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초한 조형 활동 중심 프로젝트 수업 방법 연구 :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태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물질문명의 부작용으로 나타난 많은 역기능을 극복하기 위하여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였고, 최근 교육학 연구의 동향인 구성주의와 조형 중심 활동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실천적인 대안으로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초한 조형 활동 중심 프로젝트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프로젝트 학습의 교육적 가치는 학습자에게는 내적 동기유발, 책임감, 긍정적인 자아개념, 협동심, 사회적 기술, 사회에 대한 관심과 문제 해결력, 다양한 탐구와 표현 능력, 사고의 유연성, 체험적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거나 신장시키며, 교사들에게는 새로운 교수 경험을 안기고, 학부모와 지역사회에는 교육에 대한 관심과 역할을 촉구한다. 또 학습자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 학습과정의 계획과 탐구 과정에서의 체험적 측면에서 학습자의 주도적 활동을 특히 강조하며 학습자에 삶과 친숙하고 밀접한 주제를 정하여 학습자가 자신에게 맞는 재료 방법을 선택하여 상호작용 통해 다양한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자가 담임하고 있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으로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초한 ‘소중한 친구’ 라는 조형 활동 중심 프로젝트 학습을 ‘친구에게 줄 선물 만들기’, ‘친구의 모습 그리기’, ‘친구와 함께 가을 동산 꾸미기’ 라는 세 가지 활동으로 계획하고 적용한 후 아동들의 설문지 응답 결과 및 아동의 작품평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통해 탐구·체험·표현활동 등 학습자의 흥미와 요구를 존중하는 활동을 전개함으로 정서성이 길러졌다. 둘째, 개개인의 직접 혹은 간접 경험을 통한 감동이나 형성된 심상이 분과적인 지도 보다는 통합 지도로 인해 독창성, 심미성,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아동의 관심에 맞는 실제적인 주제를 가지고 다양한 방법으로 지식 습득이 이루어지므로 조형영역 뿐 아니라 타 교과와의 통합적 사고력이 향상 되었다. 넷째, 아동들이 친구들과 함께 토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협동심이 길러지게 되었고 학습에 대한 자신감도 갖게 되었다. 다섯째, 프로젝트 준비과정에서부터 마무리 단계까지 교사와 학생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므로 학생들의 학습 성취 의욕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구성주의 학습원리에 기초한 조형 활동 중심 프로젝트 수업은 정서성, 독창성, 심미성, 표현력, 주변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통합적 사고력, 협동심과 자신감, 교사를 조언자, 배움을 같이 하는 동료 학습자의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성취의욕 고취에 효과가 있는 학습 방안 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담임하고 있는 소수의 학생들을 하나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앞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다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로 보다 심도 있고 효과적인 프로젝트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Need change of education to overcome a lot of dysfunctions that appear by side effect of modern material civilization. This study presents a research about project instruction method through formative activity based on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by the nuts-and-bolts alternative that can overcome dysfunctions through Constructivism and formative activity that is a new trend of latest pedagogy study. Educational value of project instruction method in this study offer a induction of inner motivation, sense of responsibility, positive self-concept, cooperation spirit, a social technology, interest about society and problem solution power, various research and expression ability, flexibleness of thought, opportunity of heuristic studying to learner, and give new teaching experience to teachers, and students' parents and local community urge interest and role about teaching. Also, composed so that go through interaction because learner select a proper method to oneself and various class is achieved because learners decide subject that emphasize learner's leading activity specially and is familiar and close with life to learner in heuristic side in plan and research process of a course of study for learning environment furtherance that participate to subject. Target of this study by first-grader in elementary school who investigator is taking charge. Project instruction method through formative activity 'Important friend' based on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plan and applies by three activities; 'To make a gift to friend', 'To draw friend's image', 'To decorate the autumn garden with friend' Thereafter, analyze questionnaire response result of children and child's work estim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ffectivity is improved with unfold activity that esteem learner's interest such as expression activity and experience through making course of study. Second, creativity, aesthetics, power of expression were improved by integrated education. Third, synthetic thinking faculty with other subject as well as formative activity area was improved because knowledge acquisition is achieved by various method. Fourth, cooperation spirit and pride for learning were improved through process that children discuss with friends and solve problem. Fifth, project instruction method through formative activity based on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can elevate studying accomplishment volition of students because strict interaction of teacher and a student is attained from project preparation process to finish step. In other words, students for project instruction method through formative activity based on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can improve affectivity, creativity, aesthetics, power of expression, synthetic thinking faculty that widen comprehension for the surrounding world, cooperation spirit and pride, artfulness that it is studying plan that effect is in abusive language inculcation of accomplishment presenting companion learner's role who have together adviser, learning. This study regarded a few students which I am taking charge as a target. Therefore, I desire that study about more deep and effective project instruction method is achieved to a many student considering school, age, area etc.

      • 韓國 鐵鋼産業의 國際 競爭力 提高에 관한 硏究 : 國際마케팅 推進 戰略을 中心으로

        이태정 明知大學校 貿易經營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강산업의 대외 경쟁력은 신기술의 신속한 개발도입에 의한 원가절감 및 품질수준 향상 그리고 국내외 철강수요의 확보 등 적절한 대응전략의 성공적인 수행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한국 철강산업이 향후 당면하게 될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요구되는 對應戰略은 철강산업과 관련 이해관계 집단과의 역할구조에 연관되어 크게 세가지 측면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철강산업내의 각 기업체 수준에서 추진되어야 할 企業 內的 側面의 對應戰略이며, 둘째는 철강산업내의 각 기업간 또는 철강산업과 기타 관련 산업 간의 집단수준에서 추진되어야 할 企業間·産業內 側面의 對應戰略이며, 셋째는 鐵鋼産業과 政府와의 關係에 관련된 대응전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각의 대응전략을 본 논문의 결론으로 요약하여 제시한다. 첫째, 企業 內的 側面에서의 競爭基盤 構築이다. 전체산업이 원가, 제품, 기술 등의 측면에서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우선 그 산업을 구성하고 있는 개개의 기업들이 競爭能力을 갖추어야 한다. 우리나라 철강산업이 산업구조의 조직화·고도화를 통해 범세계적인 산업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우선 철강관련제품 생산과 관련해 첫째 생산·기술수준의 고도화 및 생산성 향상, 둘째 고부가가치 제품구조의 고도화, 셋째 시장구조 및 유통구조의 고도화를 추진해야 하며, 또한 동시에 철강산업의 사양화에 대비한 多角化 戰略도 추진하여야 한다. 둘째, 協力業體의 構築 및 企業間·産業間 戰略集團의 形成이다. 기업은 보다 많은 시장점유율이나 이익 등 기업성과를 얻기 위해 기업간에 경쟁하고 있다. 그러나 경쟁이 격심해지면 생존과 성장을 보장받기 위해 다른 기업이나 外部機關과 協力을 모색하게 된다. 결국 협력은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과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외부환경 요소들과의 공동노력을 모색하는 전략적 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세계 철강산업에서는 이러한 협력관계의 모색에 의한 협력체제 및 전략집단 형성 노력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세계 철강산업의 구조가 경쟁과 협력체제로 바뀌게 됨에 따라 앞으로의 국제경쟁력은 누가 더 강력하고 폭넓은 전략집단을 형성할 수 있는가에 의해 결정되게 되었다. 우리나라 철강산업도 국내적으로는 철강산업의 協業化·組織化·共同化를 통한 강력한 전략집단을 형성해야 하며, 나아가서는 세계 주요 철강기업과의 협력관계 구축을 통하여 범세계적 철강산업으로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 철강산업도 다양한 협력전략을 사용하여 철강산업내의 분업화와 전문화, 공동기술개발·공동수요개발 등 공동노력의 강화를 꾀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政府 및 業界의 共同協力의 强化이다. 정부는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더불어 국내산업보호를 위한 수입억제정책을 실시하여 왔다. 특히 국가의 기간산업으로서 철강산업은 다른 주요 산업과 함께 무역면에서 정부의 각종 지원 및 보호를 받아왔다. 철강산업에 대한 輸出政策은 수출지원정책과 수출제한정책으로 나뉘어지는데 이 중 수출지원 정책의 수단은 세제상의 지원과 금융상의 지원이 주로 사용되었다. 철강산업은 정부와의 관계에 있어 철강산업의 構造化·組織化를 통한 전략적 경쟁집단의 형성, 나아가서는 철강산업의 범세계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철강산업 환경요인의 이해에 바탕을 둔 공동노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며며, 국제적으로는 기술개발, 철강수요 기반조성, 철강산업 조직화·고도화를 위한 지원과 공동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이태정 을지의과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방암은 여성의 악성종양 중 1위를 차지하는 암으로 유방암의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은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을 조기 발견하기 위한 검진법에는 유방자가검진(breast self-examination), 전문가에 의한 유방검진(clinical breast examination), 유방촬영술(mammography) 등이 있으며 이 방법들은 상호보완적으로 쓸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런 검진법들이 상호 보완된 유방암 조기검진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교육효과를 확인하기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유사실험 설계 중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며 연구대상자는 편의 모집하여 연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실험군과 비교군, 대조군으로 집단에 따라 할당하였고 실험군은 23명, 비교군은 24명, 대조군은 22명이었다. 실험군에게 제공한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프로그램은 유방암과 유방암 조기검진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 소책자를 제공하고 유방모형을 이용하여 강의하며 대상자 스스로 자가검진을 따라하게 하는 과정이었다. 교육시간은 약 40분정도 소요되었다. 비교군에게는 소책자만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시행하지 않았다. 연구의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유방암 조기검진에 관련된 내용과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방자가검진 기술은 최경옥(1996)이 개발한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은 Champion(1993)이 개발한 것을 기초로 최경옥(1996)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12문항의 5점 척도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12.0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정규성 검정은 Kolmogorov-Smirnov test로 분석하였으며 변수의 정규성 검정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모수적 통계방법을 사용하였고 정규성 검정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모수적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초경연령, 유방암과 유방암 조기검진에 대한 지식 및 기술, 촉진시 소요되는 시간, 촉진범위, 몽우리 발견 수와 자기효능감은 ANOVA 혹은 Kruskal Wallis test로 분석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의 내적 신뢰도는 Cronbach's alpha로 분석하였다. 실험처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유방암과 유방암 조기검진에 대한 지식점수와 몽우리 발견 수, 자기효능감은 ANOVA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기술점수와 유방모형을 이용한 촉진범위는 Kruskal Wallis test로 비교, 분석하였다 세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전 지식점수, 유방자가검진 기술점수, 촉진 범위, 소요 시간, 몽우리 발견 수 및 자기효능감은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비교군, 대조군의 유방암 조기검진 지식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F=18.10, p<.001)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비교군, 대조군의 유방자가검진 기술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Kruskal Wallis X²=31.46, p<.001) 제 2 가설은 지지되었다. 3)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비교군, 대조군의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F=10.07, p<.001)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유방암 조기검진 교육프로그램이 유방암 조기검진에 대한 지식과 유방자가검진 기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소책자 제공시 지식은 향상되지만 자가검진 기술은 향상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유방암 조기검진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 시행시 실습교육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며 교육 시행 후 유방자가검진의 정확성은 증가하지만 이행정도는 증가하지 않으므로 유방자가검진을 새로운 습관으로 가지기 위해서는 행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내용 또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Breast cancer is the commonest cancer among women, and its incidence and death rates are on the increase every year. Screening exams for early breast cancer detection include a breast self examination, clinical breast examinations by specialist and mammography. When these methods are combined complementarily, the effectiveness could be more enhanced.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breast examination an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of quasi-experimental study. 69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sisting of 23 in the experimental group, 24 in the comparative group, 22 in the control group.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was consisted of lecture using booklets and practice using breast examination model. The booklets was developed which was composed of what is breast cancer and how to conduct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about breast cancer and practiced adequale methods of breast cancer early detect. The lecture took about 40 minutes. For the comparative group, only booklets were provided, and the control group didn’t receive any treatment. As instrument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revised to measure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knowledge of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and the skills of breast self examinatio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2.0 PC program. A normality test was done by conducting Kolmogorov-Smirnov test, and 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in case the normality condition of variables was satisfied and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in case not satisfied. In order to test homogeneity of the group, ANOVA or Kruskal-Wallis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age of menarche, knowledge about breast cancer, skills of breast self examination, time spent for the examination, the examination range, the number of lumps detected,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in experimental treatments,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scores of knowledge of breast cancer and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the number of lumps detected, and self-efficacy, and Kruskal-Wallis test was applied to analyze the scores of skills of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and the examination range by using the breast model. In the results of homogeneity test of the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pre-knowledge, skills of breast self examination, the examination range, time spent for the examination, the number of lumps detected, and self-efficacy among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providing the educational program (F=18.10, p<.001), the first hypothesis was supported. 2)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chniques of breast self examination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providing the educational program (Kruskal Wallis X²=31.46, p<.001), the second hypothesis was supported. 3)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providing the educational program(F=10.07, p<.001), the third hypothesis was supported. In conclusio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knowledge and skills and self-efficacy. Though with booklets only, the skills of self examination could not be improved even though the knowledge was increased, practice should be implemented together in further educational programs for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In addition, contents to help new habit forming should be included.

      • 몰입 경험이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태정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문대학에서 치과기공(齒科技工)을 전공하는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납형제작 실습수업에서의 몰입 경험이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진로상담은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진로 선택 및 결정 과정에서는 개인의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어 유능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최대한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영역의 직업을 찾는 것을 중요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교육학 및 심리학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하고 있는 몰입 (flow) 이론을 진로 상담에 접목시키고자 하였다. 전공 실습 과목에서의 몰입 경험이 진로 선택 및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진로 교육이나 진로 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에서 치과기공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전공 필수 과목인 납형제작 실습수업 중에 몰입을 경험하는가? 이러한 몰입 경험은 성별, 연령별,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 둘째, 몰입의 배경변인인 학업성취도, 자아효능감, 전공학과 만족도는 몰입 경험을 촉진시키는가? 그리고 몰입 경험을 촉진시키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셋째, 납형제작 실습수업을 통하여 경험한 몰입 경험과 배경변인은 진로 결정 효능감이나 진로 태도 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결정적 변인은 무엇인가? 그리고 몰입 경험은 다른 배경 변인에 비하여 진로 결정 효능감 및 진로 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 연구 문제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소재 3개 전문대학에서 치과기공을 전공하는 3학년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독립 변인은 몰입 경험이며, 종속 변인은 진로 태도 성숙과 진로 결정 효능감이다. 그리고 배경 변인으로 자아효능감, 전공학과 만족도, 지난 학기 학업 성취 수준을 상정하였다. 각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 방법은 Windows SPSS 9.0 Version의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몰입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타당화하여, 몰입 경험은 몰입 선행요인, 몰입 상태 요인, 몰입 결과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몰입을 정확하게 개념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량적 연구가 부족하였던 몰입 연구에 경험적인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보여진다. 둘째, 몰입 경험은 성별, 연령별, 그리고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남자가 여자보다, 학업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몰입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자가 여자에 비하여 목표를 분명히 하고, 주어진 과제에 주의 집중하며, 환경을 통제함으로서 일 속에서 유능감과 즐거움을 많이 얻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전의 학업 성취 수준은 실습 과목에 대한 자신감을 불어넣었고, 이것이 내적 요인으로 작용하여 몰입 경험을 촉진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몰입 경험을 촉진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을 살펴본 결과, 자아 효능감, 전공학과 만족도가 몰입 경험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일 뿐만 아니라, 몰입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효능감의 하위 영역 중에서 '자신감'과 '자기 조절 효능감'이, 전공학과 만족도 중 '적성·학습 영역에서의 만족도'가 몰입 경험에 대한 설명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몰입 경험을 촉진시키는 주요 심리적 변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몰입 경험 및 배경 변인들(자아효능감, 학업성취도, 전공학과 만족도)이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납형제작 실습수업에서의 몰입 경험, 자아효능감, 그리고 전공학과 만족도가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과의 관계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몰입 경험, 자아효능감의 '자신감'과 전공학과 만족도의 '진로·직업 요인', '적성·학습 요인'이 진로 태도 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 결정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몰입 경험, 자아효능감의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 그리고 전공학과 만족도의 '적성·학습 요인'임이 밝혀졌다. 특히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서 몰입 경험이 다른 배경 변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몰입 이론을 진로 상담 영역에 접목시켜, 일상생활에서의 몰입 경험이 합리적인 진로 탐색과 진로 결정을 돕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전문 대학생을 위한 진로 상담에서 진로 문제의 유형과 진로 상담의 목표에 따라 구체적으로 몰입에 대한 평가를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에게 몰입 경험을 증폭시켜 주기 위한 진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관련 행동은 전공학과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선정한 치기공과 이외에 다른 학과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치기공과 전공 실습 수업 중에서 납형제작 실습수업을 선정하여 몰입 경험을 측정한 것으로 타 전공과목에서도 유사한 결론이 나오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몰입 경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몰입 상태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는데, 이 척도에 대한 타당화 작업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과 관련이 있는 변인들의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몰입 경험, 자아효능감, 전공학과 만족도 변인 이외에도 진로 태도 및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이 있으므로, 관련 변인들을 연구 변인으로 포함하여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low experience during prosthodontics wax pattern lab.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Career counseling is a process to help individuals to make a more appropriate career decision. It is important that individuals find their own jobs to experience self-efficacy and pleasure at work. This study tried to connect flow theory which were one of new evolving theories in the area of psychology and education. This study provided the overview that examine the effects of flow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 in order to apply it to practice. The research problems which were investigated were as following:First, do the college students who majored in dept. of dental technology experience flow during the filed work class? Does this flow experience show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school achievement? Second, do self-efficacy, school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a major facilitate flow experience? What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facilitate flow experience? Third, does flow experience during prosthodontics wax pattern lab. affect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s flow experience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compared to other factors? To prove above hypotheses, 179 senior college students who were majored in dept. of dental technology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s. Participants had been studying at three colleges, which were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was flow experience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Extraneous variables were self-efficacy, satisfaction in a major, school achievement last semester. To analyze the data,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using Windows SPSS 9.0 Version.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low experience were proven to consist of flow precedent factor, flow state factor, and flow result factor using a scale to measure flow experience. This result suggested experimental data because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studies of flow had insufficient resources due to difficulties in conceptualizing flow. Second, flow experience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ge, and school achievement. Males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flow than females did. Higher school achievement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flow experience they di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les were more likely to set more definite goal, concentrate more on the task itself, experience efficacy and enjoy more pleasure controlling the conditions. The previous school achievement inspired confidence in a fieldwork and facilitated flow experience. Third,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a major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low experience. They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low experience. Confidence and self-control efficacy in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career-vacation factor and aptitude-learning factor were influential 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lso, flow experience, 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and aptitude-learning factor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efficacy. Especially,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flow experience had a rel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flow experience, compared to other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hat flow experiences in a everyday life helped students to explore career more actively and make a more successful decision, connecting flow theory to career couns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ssessment of flow experience should not only be administered, based on types of career problem and objective of career counseling, hilt also career counseling program to expand flow experience should be developed. Finally, recommended further resear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 study to examine whether college students who are working on other majors except dental technician reveals a consistent results is needed. Second, this study only investigated flow experience during the shaping fieldwork class without considering other fieldwork classes. Third, this study used translated flow state scale in order to measure flow experience, continuous validation in this scale is needed. Forth, this study selected only flow experience, self-efficacy, satisfaction of their own major among various factors to affect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Therefore, other factors with flow experienc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further study.

      • Thermoelectric Element Tourniquet의 정맥천자 통증과 스트레스 완화 효과

        이태정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입원 환자의 최대 80%가 말초정맥을 통한 수액 주입로를 확보하고 있으나, 의료 현장에서 정맥 천자시 통증은 치료와 관계된 일시적인 것이라고 보기 때문에 통증 완화를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시술로 인한 통증이라 하더라도 통증 관리는 간호에 중요한 영역이므로 환자가 경험하는 통증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맥 천자시 통증 인식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유연 열전소자를 이용해 온, 냉 적용이 가능한 온도 조절장치와 Tourniquet을 결합한 TEE (Thermoelectric Element) Tourniquet을 개발하여 입원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통증 및 스트레스, 대상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종합병원 일반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수액 주사를 맞기 전 18 Gauge Angiocath로 정맥 천자를 시행 받는 성인을 대상으로 기관 내 모집공고를 통해 모집하였으며, 온요법군, 냉요법군, 통증 착각요법군, 대조군에 총 118명이 참여하였다. 실험 처치는 정맥 천자시 TEE Tourniquet을 천자할 부위 위쪽 10cm 이내에 적용시키고 각 군별로 최대 1분간 온요법(40~45℃), 냉요법(0~10℃), 온과 냉을 동시 제공하는 통증 착각요법(40~45℃, 0~10℃)을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은 온도 적용없이 TEE Tourniquet만 적용하였다. 통증과 스트레스는 주관적 지표로 대상자가 지각한 정도를 NRS (Numeric Rating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객관적 지표로 말초산소포화도, 혈압, 맥박,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였고 처치가 끝난 뒤 대상자에게 TEE Tourniquet 적용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에게 정맥 천자시 TEE Tourniquet을 적용하였을 때 지각된 통증(F=4.82, p=.003), 관찰된 통증(F=5.50, p=.001), 지각된 스트레스(F=4.72, p=.004)는 네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온요법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통증 및 스트레스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말초산소포화도와 혈압, 맥박, 스트레스 지수, 대상자 만족도는 네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정맥 천자시 TEE Tourniquet으로 온요법을 적용하였을 때 통증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완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온도 조절이 가능한 TEE Tourniquet은 대상자에게 적용 시간이 최대 1분간이므로 기존 간호 중재의 새로운 대안으로 좀 더 편리하게 간호실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lthough up to 80% of hospitalized patients have a fluid infusion route through a peripheral vein, there is a tendency not to make efforts to relieve pain because the medical field considers venipuncture pain to be temporary and related to treatment. Even if it is pain caused by medical procedure, pain control is an important area for nursing intervention, so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relieve pain during venipuncture. In this study, as a method to reduce the perception of pain during venipuncture, a TEE (Thermoelectric Element) Tourniquet was developed that combines Tourniquet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capable of warm and cold therapy using a flexible thermoelectric element. This study is a randomized controlled experimental study to confirm the effect of TEE Tourniquet on pain, stress,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when venipuncture is applied to hospitalized pati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through an in-hospital recruitment notice among patients admitted to the general ward of a university hospital who underwent venipuncture with an 18 gauge angiocath for intravenous fluid infusion. A total of 118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warm therapy group, the cold therapy group, the TGI (Thermal Grill Illusion) therap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TEE Tourniquet was applied within 10cm above the puncture site during venipuncture, and warm therapy (40~45℃), cold therapy (0~10℃), and TGI therapy (40~45℃, 0~10℃) in which warm and cold were applied at the same time were provided to each group for up to 1 minute. As a control group, only TEE Tourniquet was applied without temperature application. Pain and stress perceived by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NRS (Numeric Rating Scale) as subjective indicators. In addition, as objective indicators, saturation of percutaneous oxygen,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stress index were measur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ith the application of TEE Tourniquet was measured. As a result, when TEE Tourniquet was applied to participants during venipuncture, perceived pain (F=4.82, p=.003), observed pain (F=5.50, p=.001), and perceived stress (F=4.72, p=.004)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ur groups, and in particular, the warm therap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pain and stress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ur groups in saturation of percutaneous oxygen, blood pressure, pulse rate, stress index,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conclusion, when warm therapy was applied with TEE Tourniquet during venipuncture, there was a relief effect on pain and perceived stress. The temperature controllable TEE Tournique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nursing practice more conveniently as a new alternative to the existing nursing intervention because the application time for participants is up to 1 minute.

      • 한국 이주노동자의 이주과정과 변형 아이덴티티 :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for migrant workers movement in South Korea

        이태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한국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이주노동자가, 한국 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에 대응하면서 이주민으로서의 위치를 만들어가는 과정과 그 특성을, ‘변형 아이덴티티’(transformational identity)라는 개념을 통하여 분석한 글이다. 이주노동자의 아이덴티티는 생계유지나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는 개인적 차원의 욕망과, ‘이주노동자로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삶의 조건들이 부딪쳐 빚어지는 산물이다. 노동이주 과정 속에서 끊임없이 생성되고 변형되는 이주노동자 아이덴티티의 특성과 의미를 이해하고, 그것이 한국사회와 맺고 있는 상호연관성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에서 이주노동을 하고 있는 아시아계 이주노동자 중, 이주노동자운동 경험이 있는 사례들로 연구대상을 구성하였다. 이주노동자 운동은 이주노동자의 개인적 갈등이 집단적으로 표출된 것이자, 한국 사회의 변화를 초래한 집단적 행위라는 점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연구대상의 특성상 각 사례에 대한 심층면접 및 표적집단면접(FGI), 출신국가 현지조사를 중심으로 하는 질적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자료는 네팔, 방글라데시, 미얀마, 필리핀 등 4개국 출신 30명의 이주노동자의 경험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노동이주는 지리적 이동은 물론 계급적 이동을 동반하는 정치경제적 ‘과정’이다. ‘이주과정’은 개별 노동자의 ‘더 나은 삶’을 향한 욕망과 기회, 이들이 속한 공동체가 글로벌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 그리고 반복되는 이주가 초래하는 사회구조적 차원의 변화가 맞물려 진행된다. 한국을 선택한 이주노동자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교육을 받았으며, 경제적으로는 중류층 이상의 계층적 위치에 있다. 이주노동자들의 출신국은 역사적으로 지속되어 온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빈곤으로 인하여 글로벌 자본주의 체제의 주변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은 이주노동자의 이주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사회․정치적 활동과 이주의 연결망을 발전시키는 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사회․정치적 활동으로서 이주노동자 운동이란 넓은 의미에서 이주노동자들이 자신에게 가해지는 차별과 착취의 문제를 인식하고, 그에 대한 시정을 요구하는 집단행동을 뜻한다. 한국의 이주노동자운동은 이주노동자들이 임금체불, 산업재해, 작업장 내 차별 및 폭력 등에 맞서 지원단체와 함께 집단 농성을 벌인 데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집단행동은 나아가 이주노동자 노동조합과 국가별․공동체별 자발적인 운동조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것은 NGOs로 대표되는 시민․종교단체 지원조직, 노동조합, 그리고 한국인 활동가들과 이주노동자가 긴밀한 상호의존관계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더욱 중요하게, 이주노동자들이 저항운동 참여와 한국의 법적·제도적 변화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자존감과 함께 주체적인 행위자로서 스스로를 자리매김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이주노동자 운동은 이방인이자 아웃사이더였던 ‘투명인간’ 이주노동자들을 사회적 행위자로 끌어내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 과정을 거쳐서 이주노동자들이 집합적 아이덴티티를 구성, 변형, 재구성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주노동자의 아이덴티티는 이주과정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수시로 달라진다. 이주노동자들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출생과 동시에 주어진 아이덴티티(given identity)- 인종, 종교, 민족, 젠더 등 -를 이주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구조적 맥락에 따라 끊임없이 재해석하고, 내면화한다. 그러므로 이주노동자의 아이덴티티는 고정된 것이라기보다는 유동적이고, 범주화되기 보다는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속성을 가지며, 그리하여 늘 갈등과 긴장 속에서 드러난다. 즉, 아이덴티티가 자신이 누구인지에 관한 질문을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늘 행위하는 인간의 삶의 과정에서 만들어지고 재구성되고 새로워지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아이덴티티의 특성을 ‘변형 아이덴티티’(transformational identity)로 개념화하였다. 이주노동자의 ‘변형 아이덴티티’는 이주과정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 큰 특징을 보이고 있다. 첫째, 이주과정을 통해 가장 먼저 드러나는 아이덴티티 문제는 에스닉 아이덴티티의 혼란이다. 여기에는 가족과 고향에 대한 향수, 한국사회의 발전상에 대한 동경과 열등감, 부자가 되겠다는 열망 등이 중첩되어 있다. 동시에 이주노동자는 자신을 이주노동자로 내모는 모국의 빈곤과 정치적 혼란에 대하여 분노하고 자기부정적 감정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감정은 노동이주를 감행하기 이전 모국에서는 학생운동 및 정치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 시기 이주노동자의 아이덴티티는 출신 공동체로부터의 이탈과 한국사회의 차별배제로 인하여 모국과 한국, 두 사회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소외감과 이방인 의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주노동자의 계급적 아이덴티티는 ‘제한된’ 노동자 의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한된 노동자의식은 이주노동자가 자신의 계급적 위치를 상황에 따라, 부분적으로만 인정하는 유동적 태도에서 발견된다. 우선, 이주노동자는 계급적으로 하향이동을 경험하였다. 즉 모국에서의 중산층 이상의 사회경제적 위치가 한국에 오면서 이주노동자라는 하층 노동계급으로 하락한 것이다. 이로 인해 이주노동자는 작업장에 배치됨과 동시에 자존감에 상처를 받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노동현장에서의 거듭되는 차별과 부당 대우는 이주노동자 스스로 노동자로서 자리매김하기 어렵게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여기에 한국인 노동자들의 폭력과 욕설, 무시 등으로 인하여 노동자들 간의 동류의식은 찾아보기 힘들고, 오히려 이주노동자들에 의한 ‘거리두기’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거리두기 행위는 작업장에서의 경험, 특히 임금체불, 산업재해, 차별, 폭력, 욕설 등과 같은 상황에 노출되면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이주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요구하는 저항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운동에 참여한 이주노동자들은 자존감을 회복하고 노동자로서의 자신을 긍정적으로 내면화하며, 노동자라는 동질성에 연대감을 표현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저항적 아이덴티티 또한 균질적이고 탄탄한 노동자적 연대의식에 기반한 것이라 보기 어렵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 집단적인 저항적 아이덴티티조차 잠정적이고, 불안하며, 해결불가능한 분열의 요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강제추방에 대한 두려움, 농성 및 노동운동 과정에서 만난 한국인들에 대한 복합적인 감정 등 한국사회가 외국인에게 부여한 배제의 장벽에서 비롯되고 있다. 셋째, 노동이주의 결과는 본국 귀환, 재이주, 그리고 한국체류의 세 가지로 크게 나눠진다. 세 유형의 이주결과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은 이주노동자들이 여전히 한국과 모국이라는 두 개의 사회를 오가면서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유형 내에서 이주노동자 운동의 경험을 어떤 방식으로 내면화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아이덴티티를 보이고 있다. 즉, 이주노동자 운동의 경험과 현재 자신의 삶을 연속선 상에 놓고 긍정하는 유형과 이주노동자 운동의 경험과는 독립적으로 현재 자신의 삶에 더 큰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는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를 다시 내용에 따라 구분해 보면, 다음과 나뉜다: 이를 다시 내용에 따라 구분해 보면, 다음과 나뉜다: 첫째, 모국의 발전에 기여하고픈 느슨한 애국심을 표출하는 ‘모국에 대한 애착’; 둘째, 보편적 존재로서의 노동자로서의 위치화와 ‘제한된 노동자 의식’, 그리고 셋째, “어디에서 왔냐”라는 질문보다는 “어떤 사람이냐”라는 질문을 받기를 원하고 개인적 권리를 소중히 하는 ‘개인화된 이방인 의식’. 이와 같은 결과는 앞서도 강조한 바, 이주노동자들이 노동이주 과정 속에서 형성하고 갱신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들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재확인하고 성찰함으로써 그 모습을 드러내었다. 단, 세 유형의 아이덴티티 역시 명확하게 범주화된 채 머물러 것은 아니다. 한 개인을 구성하는 아이덴티티의 다양한 측면은 상황에 따라 때로는 중첩되고 때로는 특성화되며 때로는 새로운 것으로 변화한다. 요컨대 이주, 특히 노동이주는 전통적으로 인간을 범주화했던 인종, 종교, 민족과 같은 요인들이 더이상 아이덴티티를 설명하는 본질적 요인이 되지 못함을 증명하고 있다. “이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아이덴티티는 노동이주의 과정에서 얻어지는 다양한 경험과 관계를 담고 있다. 변형 아이덴티티는 특히 이주노동자운동과 같이 행위자의 사회활동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변형 아이덴티티는 이주노동자가 시민적 권리의 주체로 서게 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노동이주는 이주하는 행위자 당사자는 물론, 이주노동자가 생활하는 사회가 어떤 방식으로든 재구성되기를 요청하는 행위이다. 이 점에서 노동이주 과정과 이주노동자의 변형 아이덴티티는 곧 근대 국민-국가의 제한된 상상력, 즉, 민족 동질성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기도 하다. * 주요어: 노동이주과정, 변형 아이덴티티, 민족정체성, 노동자의식, 이주노동자 운동, 자존감, 전지구적 자본주의, 국민국가.

      •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영아의 운동능력과 사회정서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태정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움직임을 기본 바탕으로 하는 전통놀이는 영아들이 탐색을 원활하고 활 발하게 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하며 영아들은 전통놀이를 통해 주변 환 경과의 다양한 접촉을 하게 되면서 성장하고 배우게 된다. 이은화(1989)는 전통놀이가 영아의 자아 존중감을 발달시키며 정서를 풍요롭게 하고 운동 능력과 더불어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영 아기에 경험하는 전통놀이는 긍정적인 정체성과 사회정서 발달을 도모하 고 신체의 성장 발달에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지성애(1994)는 전통놀이가 영아의 사회적, 정서적, 인지적, 신체적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오춘숙(1998)과 최철영(1999)은 전통놀이가 영아의 신체발달 및 기본 운 동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하지만, 영아들의 발달에 크게 영향을 주는 전통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위와 같은 선행연구들이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의 전통놀이 활 동이 소홀히 다뤄지고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한상술, 1993). 또한 조계숙(1994)은 전통놀이가 언어, 성격, 신체적 기능 발달, 욕 구 불만과 긴장의 해소 등 영아의 전인적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을 강조 하였는데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전통놀이 활용도는 낮게 나타나고 있는 상 황이라고 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영아의 운동능력 과 사회정서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 대상은 만2세 영아로 실험집단 14명과 통제집단 14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전통놀이 활동은 총 12회기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은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을 자유선택놀이 시간과, 실외놀이 시간을 이용하여 소집단 또는 대집단으로 1주에 1가지씩 총 12가지 전통놀이 활동을 12주 동안 진행하 였고, 통제집단은 표준보육과정을 주제로 진행 되었다. 12회기 프로그램 실행 전후 사전·사후 운동능력과 사회정서능력 검사 결과를 통해 전통놀 이 활동이 영아의 운동능력과 사회정서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았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운동능력 하위 요인 중 조작적 운동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운동능력 하위 요인 중 이동 운동능력과, 비이동 운동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정서 하위 요인 중 기본정서 및 사회적행동, 자기조절, 사회적관계 능 력이 향상 되었다. 넷째,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 회정서 하위 요인 중 자아개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영아의 운동능력 발달 과 사회정서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영아의 전인적 성장 발달 을 돕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2세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2학기 중 12주라는 다소 제한적 단기성 주제였으며, 표준보육과정의 주제와 연계를 이루지 못했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연구에 적용한 전통놀이는 12종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교육적 효과를 검증할 수 없었으므로 다양한 전통 놀이를 바탕으로 인지발달, 언어발달, 창의성발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주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사찰 토벽화 모사본 제작 연구 : 고창 선운사 영산전 내부벽화 모사본 제작을 중심으로

        이태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selected three of the internal murals in Yeongsanjeon, Sununsa Temple in Gochang, and reproduced the traditional mud mural painting technique through the making of the replica of the mural paintings. In this research, examine the necessity and the significance of making the replica of mud wall paintings will be done. Recently, there has been a vigorous study of art history and conservation science on temple murals. Also, through scientific analysis of the structure,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of wall structure,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mud wall painting are being very encouragingly accumulated. However, research o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mud mural painting based on these data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synthesized the research cases in each area and proceeded to manufacture the replica of mud mural painting. The method of research was studi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with a prior study on the internal murals of temple paintings and murals from the Seonunsa Temple in Gochang. In addition, a more authentic replica of the mud mural painting was to be produced through the study of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mud mural painting and the study of the internal mural of the Seonunsa Temple.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digital technology, it is now possible to record and utilize using digital media, and the substitute for exhibitions serves as a replica for various cultural assets. The use of such digital media has also been applied to temple murals, and there are shown studies. But even in this era,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is necessity, is because the digital media is capable of making facsimile version of certain assets but cannot fully contain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This is because it includes all the traditional materials, production processes, and technology of the time when cultural assets were enshrined. It is most appropriate to preserve cultural assets as they are, and no matter how reliable the replica is, they cannot contain all the values of the original cultural assets. However,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loss of mud mural paintings of cultural assets in Buddhist temples, various production experiments and studies on making replica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humanities and scientific analysis for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producing technique of mud wall painting. In addition, hopefully this study will diversify the research related to temple murals. Key-words : Temple murals, mud mural painting, Seonunsa Temple, replica, wall structure, producing technique. 본 논문은 고창 선운사 영산전 내부벽화 중 3점을 선정하여 토벽화 모사본 제작을 통해서 전통 토벽화 제작 기술을 재현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토벽화 모사본 제작의 필요성과 그 의의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근래에 들어 사찰벽화의 관한 미술사적·보존과학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벽체의 구조 및 재료, 제작방법에 관한 과학적 분석 연구들을 통해 토벽화 제작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가 축적되고 있어 매우 고무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토벽화 제작 및 재현에 관련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각각의 영역에 머물러 있던 연구사례들을 종합하여 실질적인 토벽화 모사본 제작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 사찰벽화 및 고창 선운사 내부벽화에 대한 선행연구와 함께 사찰벽화 모사본 제작사례를 시기 순으로 대표적인 사례를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그간 토벽화 제작과 관련한 과학적 분석조사 사례 및 선운사 영산전 내부벽화에 대한 과학적 조사 사례 연구를 통해서 보다 진정성 있는 토벽화 모사본을 제작하였다. 연구결과, 토벽화 모사본 제작을 통해서 원 벽화가 지닌 질감 및 색감을 반영할 수 있었고, 오염 및 훼손부분을 실제와 같이 표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토벽의 제작기법 및 재료 연구와 벽화 채색기법연구가 가능하고, 그간 과학적 조사와 실제 모사작업이 융합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모사제작 실험을 실시하고 객관적 결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 현대에는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기록 및 활용이 가능해지면서 다양한 문화재를 대상으로 한 전시대체품이 모사본의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매체의 활용은 사찰벽화에도 적용되기 시작하여 관련 연구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매체의 경우에는 어디까지나 활용의 목적으로 제작되어 시각적 전달 사항을 위주로 제작되는 한계를 지닌다. 즉, 벽화 문화재가 갖는 전통 재료 및 제작기법을 포함하여 작품의 가치와 진정성을 완전히 담을 수 없기 때문이다. 문화재는 현재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아무리 신뢰성 있는 모사본일지라도 그 문화재의 가치를 모두 담을 수는 없다. 하지만 향후 사찰 토벽화 문화재의 멸실을 대비하고, 전통 토벽화 제작 기술의 계승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인문학적·과학적 분석을 토대로 다양한 모사본 제작 실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사찰벽화, 토벽화, 선운사, 모사, 재료, 제작기법, 보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