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매립 저회를 재활용한 혼합토의 강도 특성

        이창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환경적, 사회적으로 자원재활용의 일환으로 산업폐기물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발전소비량이 증가추세에 있어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탄회에 대한 재활용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재활용이 활발한 비회(Fly Ash)에 비하여 저회(Bottom Ash)에 대한 기초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회의 재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풍화토와 저회를 혼합한 지반재료에 대한 강도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시험은 저회와 풍화토의 혼합비를 다르게 하여 기본적인 물성시험을 수행하였고 직접전단시험과 삼축압축시험을 통하여 높은 구속압 하에서의 혼합토 강도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Constant Water Contents 상태 압축시험을 통하여 불포화 상태 및 낮은 구속압 조건에서 흡수력이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저회의 혼합비의 증가에 따른 강도특성을 각각 비교 평가하였다. Recently with the increasing interests of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there are various research on industrial wastes being recycled into geotechnical materials. Especially with the increasing, consumption of power generation efforts are being made to recycle ash, by-products from coal combustion power plant. On the contrary to the fly ashes which were already recycled to various construction materials, research on the bottom ash has little been perform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soil mixture with bottom ash a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recycle the bottom ash. Varying the mixing ratios between bottom ash and weathered granite, basic material properties are obtained through index tests and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in high confining pressure are evaluated through direct shear test and triaxial compression tests. In addition, the unsaturated compression strength characteristic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under low confining pressure were evaluated via the constant water contents compression tests.

      • 대장직장암 병기 결정에 있어서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의 유용성

        이창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Background: The lung represents next most likely site of metastatic disease after liver in colorectal cancer (CRC). Traditionally, pulmonary metastasis has been evaluated by means of a chest X-ray. But, recently,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is increasingly being performed to detect pulmonary metastasis in CRC. However, the usefulness of chest CT in the preoperative evaluation in CRC remains uncertain.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hest CT over chest X-ray for early detection of pulmonary metastasis in preoperative staging in CRC.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8 cases of CRC patients who had been surgically treated with a curative intent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2007 to December, 2007. All had been evaluated both chest X-ray and chest CT preoperatively. Results: Five of 108 patients (4.6%) had metastatic lesions of the lung. Four of these 5 patients (80%) had a positive chest CT. But only one of these 5 patients (20%) had a positive chest X-ray. Chest CT provided a sensitivity of 80% (4/5) and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80% (4/5) for the detection of metastatic lesions of the lung. In contrast, chest X-ray provided a sensitivity of 20% (1/5) and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50% (1/2) for the detection of metastatic lesion of the lung. Nine of these 108 patients (8%) were diagnosed solitary pulmonary nodule (SPN) and one of them was confirmed metastatic lesion of the lung. Conclusions: There are isolated metastatic lung lesions without other organ involvement in CRC (4.6%). Chest CT is a more accurate imaging modality for detection of pulmonary metastasis in CRC. Also we should carefully follow up SPN detected by preoperative chest CT.

      • 加味補中益氣湯이 GLUCOSE OXIDASE에 의해 損傷된 培養 脊髓感覺神經細胞에 미치는 影響

        이창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補中益氣湯은 益氣升陽, 調補脾胃하는 기본적인 처방으로서 李東垣이 《脾胃論》에서 立方한 이후 광범위하게 임상적으로 응용되는 방제이며, 그 적응증은 脾胃氣虛로 인한 食少, 피로, 畏寒, 自汗, 發熱. 脈虛大無力, 中氣下陷, 內臟下垂 및 不能攝血崩漏 등이다. 산소자유기는 치매를 비롯한 뇌허혈 및 뇌졸중과 같은 병변의 병인의 하나로 알려지고 있다. 이같은 산소자유기는 정상적으로 인체의 대사중에 소량으로 만들어지며 이는 곧 catalse나 superoxide dismutase(SOD)와 같은 항산화 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어 세포에 아무런 손상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뇌허혈이나 근위축성측삭경화증과 같은 병변에서는 산소자유기가 과량으로 만들어져 뇌속에 축적되어 과량 축적된 산소자유기는 항산화효소의 활성감소를 초래하여 결국 세포를 사멸하게 된다. 이에 저자는 加味補中益氣湯이 산소자유기에 의한 신경독성을 방어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신생 흰쥐에서 분리 배양한 척수감각신경세포를 여러농도의 Glucose oxidase(GO)가 포함된 배양액에 加味補中益氣湯 煎湯液을 3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加味補中益氣湯이 배양 척수감각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GO는 척수 감각신경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며 세포의 생존율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LDH 활성도의 증가와 총단백질 합성량의 감소를 통하며 세포에 독성을 나타냈다. 加味補中益氣湯 煎湯液을 전처리 한 경우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며 GO에 의하여 유발된 LDH 활성도의 증가, 총단백질 합성량의 감소를 유의하게 방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GO는 신생백서로부터 분리한 배양 척수감각신경세포에 신경독성을 보였으며 加味補中益氣湯은 이러한 신경독성에 대하며 방어효과를 나타냄으로서 항산화제로서의 기능으로 연구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In order to clarify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Gamibojungikkitang(GBJIKT) water extract on cultured mouse spinal sensory neuron damaged by glucose Oxidase(GO), MTT(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NR(Neutral Red) assay, LDH(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assay and SRB(Sulforhodamine B) assay were carried out after the cultured mouse spinal sensory neuron were pre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BJIKT water extract for 3 hours prior to exposure of GO. Cell viability of cultured mouse spinal sensory neurons exposed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GO for 8 hours was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MTT50 values were 45 mU/ml GO. Cultured mouse spinal sensory neurons in the medium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 of GO for 8 hours showed increasing of LDH activity and decreasing of total protein synthesis. GO was toxic on cultured spinal sensory neurons. Pretreatment of GBJIKT water extract for 3 hours following GO prevented the GO-induced neurotoxicity such as increasing of LDH activity and decreasing of total protein synthe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O shows toxic effect on cultured spinal sensory neurons and GBJIKT water extract is highly effective in proecting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GO.

      • 무선통신기기를 위한 효율증대 방안에 관한 연구 : 촉각 및 기억 특성 중심으로

        이창호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보편화 되면서 개인용 무선통신기기는이제 개인의 일상에 없어서는 않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되었다. 무선통신기기의 공간에 대한 자유로움은 사람들이 무선통신기기를 선호하게 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으며, 무선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와 사용 방식을 가진 무선통신기기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기기 사용자들은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무선통신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매번 새로운 사용방법을 학습할 수밖에 없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야기되는 사용의 복잡성은 무선통신기기 사용의 효율을 떨어트리는 요인이 되었다. 무선통신기기의 디자인에 있어 사용의 효율성은 사용자가 무선통신기기를 사용하게 되는 환경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방식이나 사용 환경을 고려한 사용성의 향상을 위한 디자인적 요구 사항을 추출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블루투스 모노 헤드셋의 경우 일반 무선통신기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게 됨으로, 사용자는 시각정보가 배제된 촉각정보 만으로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게 되어, 이를 사용자의 기억에 학습되어 있는 무선통신기기 인터페이스의 적응도와 연관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블루투스 기술과 블루투스 무선통신기기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사례를 통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기기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 보았다. 이를 근거로 연구재료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사용자의 기억특성과 촉각을 통한 형태 인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실험자에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연구재료를 이용한 뇌파측정을 통하여 촉각을 통한 형태 인지의 정도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촉각을 이용한 형태의 인지에 있어 사용자 들에게 일차적으로 들어오는 촉각정보와 함께 사용자에게 학습되어 있는 무선통신기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억 정보가 서로 연결되어 시각정보의 도움 없이 형태를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의 무선통신기기 형태에 대한 기억의 형성은 사용자의 기기 활용에 얼마나 적극적인가에 의해 달라지며, 대부분 일정기간 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촉각정보 만으로도 기기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기억하였다. 둘째, 기억된 무선통신기기의 형태를 연상함으로써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촉각정보만을 이용한 형태의 인지가 용인해 지었다. 셋째, 뇌파를 이용하여 피실험자가 실험재료의 인터페이스 형태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하여 촉각을 이용한 형태 인지를 보다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조형적, 형태적 디자인 요소를 확인 하였다. 이를 블루투스 무선통신기기 사용자에게 사용의 효율을 높이는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As the personal mobile units have been generalized, the personal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are now an indispensable mean for the daily communication of persons. As the personal mobile units have been generalized, the personal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are now an indispensable mean for the daily communication of persons. The users of the wireless telecommunications devices accordingly can not help learning how to operate it in every time to use a new devices, which the sophistication of use might lead to throw down the efficiency of use. The efficiency of use for the design of th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has serious implications with the environment which users make use of th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cientific basis for the requirement in terms of the product design considering a way of using and/or an environment of using. For the Bluetooth mono-headset which is a subject of this study, the user operates a device just with the information of tactual sense excluding any information of eyesight as the Bluetooth mono-headset is used differently from other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So, it has been studied by looking for a link with the interface adaptation of th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which the user learned in memory. For this study, it has been researched the Bluetooth technology and the Bluetooth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in first, and then has been found the features in terms of the shape of the Bluetooth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some examples. A prototype of this study subject has been made accordingly based on this. In order to find an implication of the shape acknowledgement through the user's memory and tactual sense, it has been studied how much a user can acknowledge the shape of a device with a sense of touch by measuring the brain waves with the prototype as well as making up questions to the users. Through this experiment, it has been shown that the users are able to acknowledge the shape of a device without any eyesight information by being combined the user's first tactual sense information with the learned memory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mory building of the shape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depends on how positively the user operates the device. On the experiment, the most users remembered the detail information for the device just with the information of a sense of touch after using the device for a while. Second, it has been also shown that it could become easy to acknowledge the shape just with the information of a sense of touch for a new interface by associating the remained the shape of the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Third, it has been experimented how the user could acknowledge the interface shape of the prototype by measuring the brain waves. In last, it has been found the factors, in terms of plane and solid geometry, which is able to be acknowledge the shape more clearly through the tactual sense. Suggested the design factors to raise the efficiency of use for the Bluetooth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 OLED 열화와 TFT 특성 편차 보상을 위한 AMOLED 화소 구조와 구동 방식

        이창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s) 디스플레이는 넓은 시야각, 빠른 응답 속도 그리고 높은 색 재현력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액정 표시 장치(LCDs)를 잇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주목 받고 있다. 현재까지는 수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PMOLEDs)가 이동식 휴대전화기, 디지털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수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적용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높은 구동 전압이 요구되고 소비 전력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대면적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른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수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대신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s)가 대면적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비교적 높은 공정비용과 복잡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낮은 구동 전압과 이에 따른 낮은 소비 전력량 때문에 이를 적용한 대면적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왔다.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backplane은 크게 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a-Si:H)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저온 다결정 실리콘(LTPS) TFT로 나뉠 수 있다. 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 TFT는 공간상 특성에 있어서의 균일성, 그리고 간단한 기판공정에 기인한 비교적 낮은 공정비용 등의 장점이 있으나 낮은 이동도와 동작 시간 경과에 따른 특성이 변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반면 다결정 실리콘 TFT는 그 특성에 있어, 비교적 높은 신뢰성과 비정질 실리콘 TFT에 비하여 높은 이동도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추가의 다결정화 공정에 따라서 공정비용이 높고 공간상 문턱전압과 이동도 등의 특성 편차가 나타난다는 단점을 갖는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대안으로써 그 가능성을 타진한 이래로,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backplane의 불균일한 특성 또는 낮은 신뢰성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자들과 개발자들의 노력이 있었다. 그 노력의 결과로 위에서 언급한 backplane의 특성상 문제점들은 어느 정도 해결 될 수 있었다. 그러나 backplane에서 나타나는 어려움 외에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현상 역시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구현에 있어서 주요한 장애 요소가 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 양 전극간의 전압 차가 증가하고 발광효율이 감소하는 특성이 있는데 이것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 중 하나이다. 따라서 완벽한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backplane에서 나타나는 낮은 안정성과 불균일한 특성 등의 문제점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열화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온 다결정 실리콘 방식을 적용한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의 구동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구동 방식은 화소에서 전류원 역할을 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을 센싱하여 구동회로부의 타이밍 제어기에 내장된 기억장치에 저장한 후, 연산장치를 통하여 보상된 신호를 생성하여 저온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과 이동도의 공간적 편차를 보상하는 동시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 역시 보상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구조를 256 계조를 갖는 WXGA(1280ⅹ800) 12인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조건에 맞추고 시뮬레이션 실시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비정질 실리콘의 화소 간 문턱전압 편차와 이동도 편차는 각각, 기준 문턱전압과 기준 이동도 기준으로 ±1V와 ±30% 갖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최대 25%까지 발광효율이 감소하는 경우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화소 간 발광 균일도는 -1.49 LSB에서 +1.50 LSB의 편차범위를 나타내었다.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display is considered as powerful next generation display following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because of its wide viewing angle, fast response time and high color reproducibility. So far, passive matrix OLEDs (PMOLEDs) have been applied to electronic equipments such as mobile phone, digital camcorder and so on. but, because high driving voltage and high power consumption is required to realize PMOLED display, it is difficult to apply PMOLEDs to large size and high resolution display. Thus, nowadays, to realize large size and high resolution OLED display, active matrix OLEDs (AMOLED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alternative. In spite of its relative high fabrication cost and complex structure due to low driving voltage and low power consumption, AMOLED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making large size and high resolution OLED display. Thin film transistors (TFTs), which construct backplane of AMOLEDs, are classified into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a-Si:H) TFT and polycrystalline silicon (poly-Si) TFT. The a-Si:H TFT has the advantages of spatially uniform characteristics and low fabrication cost due to simple fabrication process. However, it has unstable characteristics such as low mobility and threshold voltage shift. On the other hand, the poly-Si TFT has relative high reliability and higher mobility than that of a-Si:H TFT, but it also has drawbacks of high fabrication cost due to additional fabrication process for crystallization and spatial non-uniform characteristic problems such as threshold voltage and mobility variation. Since OLED has been considered as meaning display device material due to its unique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 AMOLED display has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and developed to overcome these backplane’s problems of non-uniformity and low reliability which explained above, thus many schemes of pixel structure and driving method are proposed. However, in addition to problems of TFT characteristics, other problem like short lifetime of OLED has been still existed. As emission time goes by, OLED’s voltage difference between anode and cathode increases together with decreasing of OLED’s luminance efficiency. To realize AMOLED display, these problems should be solved. Therefore, to make AMOLEDs as mass produced display, both problems of TFT’s backplane poor characteristics such as low reliability and low mobility and so on, and OLED degradation problem should be solved at the same time. In this thesis, a new scheme of AMOLED display system containing driving and pixel circuits, which compensates for not only poly-Si TFTs’ threshold voltage and mobility variations but also OLED degradation, is proposed. Basically, the proposed scheme has the functions for sensing OLED degradation, sensing driving TFT’s characteristic, extracting the compensated data and displaying the AMOLED display system. It adopts the method of voltage controlled voltage sensing metho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ixel to pixel luminance error which is varies from -1.49 LSB to 1.50 LSB in 8-bit WXGA(1280ⅹ800) 12-inch AMOLED application when poly-Si TFT’s threshold variation is ±1V, mobility variation is ±30% and OLED degraded from 0% up to 25%.

      •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서의 범위관리 활동이 발주자 관점에서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창호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prominent corporates of the world want to utilize information systems as a strategic tool to increase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But often information system that was developed with vast resources and proven project methods fall short of the expectation to which it was intended. There may be many reasons to it yet the biggest cause would be the general lack of scope management that should accurately recognize the purpose of the completed system and systematically define, verify and control the scope of project. This research focuses on and demonstrates how scope management (scope planning, scope definition, scope control), defined by PMI from the project owner’s perspective, effects the process performance of the project and the product performance. Also the effects of how project characteristics (size, experience, supplier type) relates to scope management and project performance were research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Systematic scope verification and scope control has a positive effect on process performance and product performance of the owner’s project. 2. Systematic scope planning and definition has ho valid effect on process performance and product performance owner’s project. Based on above research, we’ve come up with an advice to increase the project performance through scope management activity from the owner’s perspective.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해 본 발주자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프로젝트 종료 후 그 결과에 대한 성과가 당초 목표했던 바를 달성 했는지 에 대한 의문을 가져볼 것이다. 만약 프로젝트의 결과가 당초 예상했던 바를 충족하지 못했다면 프로젝트에 투입된 비용뿐 아니라 프로젝트 실패로 인한 기회비용은 더 커질 수도 있으며, 이는 그 기업의 경쟁우위 하락을 가져오는 치명적인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 실패에 대한 근본 원인은 비즈니스 케이스 분석에서 비용 대비 성과에 대한 분석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고, 명확하지 않은 프로젝트 범위에 대한 지적이 이루어 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실제 상당수 프로젝트에서 범위관리에 실패하여 수주자 와 발주자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서 발주자의 범위관리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시 되고 있으며, 이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사용자의 정보요구범위를 비교적 더 명확하고 정의할 수 있으며, 범위관리 실패로 인한 프로젝트의 위험요인도 상당수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주자 관점에서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정의하고 있는 프로젝트 범위관리 활동을 범위의 기획 및 정의, 범위의 검증, 범위의 통제 3가지로 구분하고, 프로젝트의 성과를 프로젝트 과정에 대한 성과와 제품에 대한 성과 2가지로 구분하여, 각각의 범위관리 활동들이 각각의 프로젝트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와 동시에 프로젝트의 규모, 공급자 유형, 경험여부와 같은 프로젝트 특성이 범위관리 활동과 프로젝트 성과 사이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하여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 발주자의 입장에서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설문을 시행하였고,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한 후 회귀분석으로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각 연구 가설들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범위기획 및 정의활동은 프로젝트의 과정성과와 제품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범위검증 활동은 프로젝트의 과정성과와 제품성과에 모두 정(+)의 양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범위통제 활동은 프로젝트의 과정성과와 제품성과에 모두 정(+)의 양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발주자 관점에서 범위관리 각각의 활동이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 연구를 함으로서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의 발주자들로 하여금 프로젝트에 있어 범위관리의 각각의 활동들에 대한 중요도를 인식시켜 프로젝트 범위관리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고취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시효처리에 따른 Ti-13Nb-13Zr합금의 미세구조 변화와 부식 특성

        이창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work describes the microstructure evolution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Ti-13Nb-13Zr alloy. The specimens have been solution treated in the β phase and α+β phase field and followed by water quenching(WQ), air cooling(AC), and furnace cooling(FC). The samples for optical metallograph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prepared using standard techniques and etched with Kroll's reagent. X-ray diffraction(XRD) patterns of all specimens were taken using a Philips 3121 diffractomenter. Corrosion characteistics of its alloy on the corrosion resistance was studied by anodic polarization test. The β solution treatment and WQ results in the α´(hexagonal)martensite while the α+β solution treatment and WQ leads to three-phase microstructures consisting of α´´, α and β. Only α+β phase are observed under aged condition irrespective of the prior solution treatment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