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과학기술 분야 회색문헌의 효율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이지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63

        웹이 확산되고 정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대 사회에는 다양한 형태의 자료들이 생산, 유통되고 있으며 정보와, 정보를 입수하는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자료의 대표적인 것으로 회색문헌이 있는데 회색문헌은 일반적인 서적의 판매 경로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자료보다 최신성을 가지며 특히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연구의 선취권을 가지게 된다는 점 때문에 핵심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관리의 범위를 ‘수집, 정리 및 조직, 이용’으로 설정하였고 현재 회색문헌의 수집, 조직, 이용상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함으로써 더 나은 회색문헌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문헌 연구를 통해 회색문헌의 역사, 정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정리하고 회색문헌의 이용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개괄하여 회색문헌이 정보원으로서 가지는 가치에 대해 입증하였다. 또한 미국의 NTIS, 영국의 BLDSC, 일본의 JST, 캐나다의 CISTI, 유럽 국가들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회색문헌 관리 시스템인 SIGLE을 대상으로 주요 기관들에서 회색문헌을 관리하는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국내 과학기술 분야의 정부 산하 연구소에서 회색문헌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 유형별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첫째, 연구보고서 중 정부보고서는 개별 연구소의 보고서가 모이는 과제 관리 기관을 통해 수집하고 기타 보고서는 개별 기관의 보고서 DB를 연계하여 보고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보고서 형식의 표준화, 비공개 기준과 기간의 세부화, 정보의 품질 향상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개별 기관에서 전부 입수하기 힘든 회의 자료는 중앙 관리 기관에서 망라적으로 수집하되, 이용률이 높은 자료를 위주로 수집해야 한다. 또한 개별 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를 취합해 통합 검색이 가능하게 하여야 하고, 회의 자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개별 기사 단위의 검색, 회의 자료 종합목록의 구축, 저작권 문제의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기관 내부의 자료는 지식 경영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데 도서관이 지식 경영의 주체가 될 것과 지식 경영 시스템 내에서 유통되는 지식과 자료의 품질 검증, 도서관과 사서의 전문성 제고를 제안하였다.본 연구는 실무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이론과 현실의 괴리를 좁히고자 하였다. 회색문헌에 대한 이용자의 수요를 파악하고, 이용 행태 분석을 통해 핵심 자료를 선정하는 후속 연구가 이어진다면 좀 더 현실에 적용 가능한 관리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취학전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

        이지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취학전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언어지체를 동반하지 않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아동과 언어지체를 동반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LD)아동, 정상발달 아동이다. 언어지체를 동반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LD)아동 집단은 정상발달 아동집단과 언어지체를 동반하지 않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아동 집단에 비해 언어능력에 1년 이상 지체된 아동들로 표집하였다. 음운인식 과제는 음절수준의 과제로 음절분리, 음절탈락, 음절대치, 음소수준의 과제로 음소변별, 음소대치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첫째 음절 수준의 음운인식 과제에서 언어지체를 동반하지 않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아동 집단과 정상발달 아동 집단은 과제 수행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언어지체를 동반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LD)아동 집단은 과제 수행에서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차이를 보여 음운인식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음소 수준의 음운인식 과제 중 음소 변별 과제에서는 언어지체를 동반하지 않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아동 집단과 정상발달 아동 집단은 과제 수행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언어지체를 동반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LD)아동 집단은 차이를 보였다. 음소 대치에서는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긴 하였으나 음절수준의 과제와 음소변별에 비해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음운인식 발달이 음절수준에서 음소수준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정상발달 아동 집단과 언어지체를 동반하지 않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아동 집단에서도 수행 정도가 낮게 평가되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This study of preschool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impairme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s normal development, language delay, language delay, unaccompanied children with ADHD and children with ADHD is one. The ADHD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normal development of the child population groups and language delay is not accompanied by a group of children with ADHD compared with delayed language skills in children with more than one year were sampled. The syllable-level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s challenges separate syllables, syllables eliminated, replaced syllable, phoneme-level challenges to the phoneme discrimination, phoneme substitution task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first syllable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task level language delay in children with ADHD are not accompanied by a group of children with normal development group did not show differences in task performance. One with language delay in children with ADHD group task performance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were difficulties in phonological awareness. Second, the phonemic level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nd phoneme discrimination task with a language delay group and the norm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DHD are not children in the group do not differ Although the project, accompanied by language delay, children with ADHD showed a group difference. Phonetic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looks replaced, but the level of syllables and phonemic discrimination task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at the level of the syllable, phoneme level, because the normal development of children's developmental delays and language groups unaccompanied children with ADHD performed in the degree of population is shown to have been underestimated.

      • 맞벌이 간호사 부부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

        이지연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맞벌이 간호사부부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여 자녀양육 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라남도 동부지역인 S시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 종합병원 세 곳에서 정규직으로 근무 중인 만 0세-12세 자녀를 두고 있는 기혼 간호사와 간호사의 남편 2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양육스트레스는 Crnic과 Greenberg(1990)가 개발한 PHD(Parenting Daily Hassles)의 20문항을 안지영(2000)이 수정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이를 다시 김송이(2012)가 사용한 심리적 스트레스 7문항, 신체적 스트레스 7문항, 경제적 스트레스 5문항, 사회적 스트레스 6문항으로 총 25문항을 사용하였다. 직무만족도는 송미선(2005)이 개발한 25문항을 척도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벌이 간호사부부의 양육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간호사 3.30점, 간호사의 남편 2.70점으로 간호사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 간호사부부의 직무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간호사 3.12점, 간호사의 남편 3.26점으로 간호사의 남편이 지각하는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자녀양육 스트레스는 자녀양육, 직위,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종교,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남편 양육스트레스는 양육비,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남편 직무만족도는 종교,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곱째, 간호사와 간호사의 남편 양육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사의 경우 양육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간호사의 남편인 경우에서도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여덟째, 자녀양육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간호사보다 간호사의 남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자녀양육 스트레스는 간호사가 간호사의 남편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는 간호사의 남편이 간호사보다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녀양육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간호사보다 간호사의 남편인 경우에서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핵심어 : 맞벌이 간호사 부부, 자녀양육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 2007 개정교육과정 5ㆍ6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내용 분석

        이지연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ive help to the study on the upcoming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isabled shown in the textbooks for fifth grade and sixth grade students in the 2007’s revised curriculum.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the ethics, Korean, society, mathematics, and science textbooks which ar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mong the textbooks for fifth grade and sixth grade students at 2007's revised curriculum). To analyze the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the disabled in the above-mentioned textbooks, the vital components are first comprehended by extracting those in the unit of the learning activities, and then these extracted vital components are focused by the analysis tools which contain "the described method", "the disability area", "the viewpoint", and "the educational method". By these analyses, we can draw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isabled are described in the 14 textbooks among the total observed 36 textbooks, and the textbooks for sixth grade students are dealt with the physical/mental disability twice more than those for fifth grade students. In the point of subjec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isabled are intensively appeared in the ethics, Korean, and society textbooks. Secondly, the method using the illustrations is generally used in the textbooks to help the understanding about the disabled, and the physical disability is mostly dealt. The viewpoint about the disabled is focused on "cognition and action" rather than "respect and so on". The educational method is mainly composed of the understanding to the disabled. Therefore, the upcoming textbooks are needed to progressively develop and apply more contents related to the physical/mental disability in various methods, images, and areas than the previous textbooks to turn itself into the Mecca of elementary and valuable too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n Postmodernism.

      • 영상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지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영상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지연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반 재 천) 본 연구는 영상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국공립 유치원 만5세 4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유아(20명)는 영상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비교집단 유아(20명)는 일상생활 속에서 교사의 설명, 지시로 일반 유치원에 계획되어진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주2회 6주간 총 12회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사회성 기술 검사 도구, Self-Control Rating Scale(SCRS)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전검사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전, 사후검사 결과를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증, 공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일상생활 속에서 교사의 설명, 지시로 일반 유치원에 계획되어진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전체 사회성발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성발달의 하위요인인 정서표현, 문제해결, 질서의식, 자신감 요인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상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일상생활 속에서 교사의 설명, 지시로 일반 유치원에 계획되어진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전체 자기조절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제력, 충동성감소, 주의집중력의 요인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영상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생활 속에서 교사의 설명, 지시로 일반 유치원에 계획되어진 인성교육 교육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상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자기조절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영상매체, 통합적 인성교육, 사회성발달, 자기조절능력 ABSTRACT The effects of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using video on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Ji-yeon Lee Ch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Supervisor: Jae-chun B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using video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ity and self-control. In order to inspect the above research question, 40 five-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from the public kindergarten in the city S. Among them, the experimental group (20 children) received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using video media, while the comparison group (20 children) received the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planned in the general kindergarten through explanation and instruction of the teacher in daily life. The educ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welve times a week for 6 weeks. For measurement, the Social Skills test tool by Chi-yeon Yoon (2008) and the Self-Control Rating Scale (SCRS) developed by Kendall and Wilcox (1979) were used. The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to observe whether or no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the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using vide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otal social development than the comparative group with the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planned in the general kindergarten through explanation and instruction of the teacher in daily life. Further, the emotional expression, problem solving, order consciousness, and self-confidence factor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social develop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using vide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otal self-control sc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with the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planned in the general kindergarten. In addition, the test results in the factors of self-control, impulsivity reduction, and concentration, which are all sub-factors of self-contr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using video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children’s sociality and self-control than the comparison group with the personality education curriculum planned in the general kindergarten through explanation and instruction of the teacher in daily life. Therefore, if the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using video is actively used in the education fiel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and self-control more effectively. Keywords: Visual media,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Sociality, Self-control

      • 초등학교 정서지원프로그램에서 실시한 학교미술치료의 체험 연구

        이지연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서 미술치료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 한 뒤 3년 이내의 미술치료사들이 초등학교 정서지원프로그램에서 실시한 학교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어떠한 체험을 하며,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두고 있다. 미술치료는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며, 그 유형 중 하나가 기관중심 미술치료이다. 여기서 기관이란 의미는 특수학급, 특수학교, 특수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일반학교 등을 말하며 그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기관중심 미술치료는 기관 내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기관 내의 대상자에게 심리치료적인 접근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하여 이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것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일반 교육기관 중 하나인 초등학교는 학령기 아동의 교육적 사회적 기술과 정서함양을 목표로 하며, 이 부분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학교미술치료의 접근을 시도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사람이 주관적으로 지각한 의미를 중요시 여기며 경험적이고 내적인 측면을 드러내는 자료를 수집하고 통합시킨 것에 기초를 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미술치료사가 초등학교 정서지원프로그램에서 실시한 학교미술치료의 경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서 미술치료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 한 뒤 3년 이내의 미술치료사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미술치료사로 일한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사들로서,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10명으로 선정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10월부터 2012년 4월까지이며 심층면담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취하였고, 그림, 글 등을 수집하였으며, 심층 면담 자료는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반성적 사고를 통해 분석한 결과 24개의 하위 주제들을 통해, 8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체험한 초등학교 정서지원프로그램에서 실시한 학교미술치료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초등학교 관계자들에게 학교미술치료의 이해를 돕는 기회가 필요함>, <학교미술치료 진행에서는 학교사정을 반영해야하는 특수성이 있음>, <더욱 효과적인 학교미술치료 회기를 진행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해 봄>, <미술치료 수퍼비전을 통해 도움을 받음>, <조금씩 성장하는 내 모습을 발견함>, <미술치료사로서 힘이 생기고 보람이 느껴짐>, <미술치료사로서 내가 보다 성숙하게 변화됨>, <학교미술치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김>이다. 위와 같이 도출된 연구결과와 연구자가 수집한 다양한 현상학적 자료들 그리고 글쓰기 등을 통합하여 초등학교 정서지원프로그램에서 실시한 학교미술치료의 체험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내려 볼 수 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 환경에서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아직은 충분하지 않은 현실을 경험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보다 효과적인 초등학교 정서지원 프로그램내의 학교미술치료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정서지원프로그램 관계자들과 함께 학교미술치료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돕는 적합한 사전의 만남이 미술치료 회기이전에 무엇보다 필요하고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현재 초등학교 정서지원 프로그램내의 학교미술치료는 체제적이고 구조적인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나 이러한 부분은 미술치료사가 융통성이나 창의성을 발휘하여 극복해야 하는 어려움으로 여겨져 미술치료사로서 역할의 부담이 가중된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초등학교 정서지원프로그램내의 학교미술치료 현장에서 당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책, 논문, 동료와의 소통 등과 같이 스스로 어려움을 이겨내려는 방법과 미술치료 수퍼비전과 같이 전문가를 찾는 현실적인 대안을 통해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이 같은 어려움을 도울 수 있도록 기관미술치료 전문가의 재교육을 위한 기관이 필요하다. 넷째, 초등학교 정서지원 프로그램내의 학교미술치료에 참여한 아동들은 자기표현의 기회를 갖고 가정 내에서 부족했던 정서적인 돌봄의 경험을 통해 학교 적응 및 또래 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다. 미술치료사들은 이러한 아동들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학교미술치료 진행에 있어 보람과 열정을 느끼고, 학교미술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며, 미술치료사로서 성장과 변화의 과정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심리, 정서적 건강과 학교 적응을 위한 학교미술치료의 필요성과 인식을 확장하며, 초등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학교미술치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학교환경에서의 미술치료를 발전, 정착하는 것에 초석이 될 수 을 것이다.

      • '어린이 대空원' : 내 마음의 버림받은 공간 - 展 작품론

        이지연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억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런 분실을 가져오기도 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사회의 홍수 속에서 잊혀지기도 한다. 또한, 기억은 이미지를 돌이키는 능력이며 사진은 기억 곧 체험의 이미지와 현실을 맺어주고 관련시켜 줄 수가 있다. 특히 유년 시절의 기억은 더욱 더 그러할 것이다. 유년시절은 누구나 겪은 것이며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보편적으로 공통된 감정과 정서가 있기에 공감도 되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본인의 주관적인 과거의 경험과 기억들을 바탕으로 '어린이 대공원'에 대한 이미지의 표현과 현 시점에서의 다른 놀이공원보다 냉대 받고 소외된 공간의 모습을 표현하고자 했다. 이렇듯 본인의 사진작업은 시작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 있어서 인간의 끝없는 소유욕과 물질 만능주의는 인간성 상실을 초래하기에 이르렀으며 사회 전반에 걸쳐서 일어나는 불행한 사건이나 사고들은 인간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리고 사람들로 하여금 허무주의에 빠져들게 하였다. 이와 같은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이른바 정신적 실향민으로서 끊임없이 잃어버린 낙원을 그리워하며 과거의 시간으로 회귀하려는 귀소 본능을 무의식적이든 의식적이든 가슴 한 곳에 품고 살아간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2004년 4월 21일부터 4월 27일까지 인사동 관훈 갤러리에서 전시를 열었던 「'어린이대空원' - 내 마음의 버림받은 공간」 이란 주제의 사진전에 대한 연구논문이다. 우리는 보통 '지금-여기'를 사진 찍는다. 그건 현재의 귀한 순간을 시간의 흐름으로부터 탈취하여 과거 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막으려는 오래된 시간 초월 욕망의 소산일 것이다. 그러나 누구나 알듯이 훗날 다시 보게 되는 지금 여기의 풍경은 그때-거기가 되어 우리들로 하여금 생의 시간적 조건을 더더욱 확인하게 만들 곤 한다. 김진영, 『어린이대空원 - 내 마음의 버림받은 공간』展 이지연의 전시 서문 중에서... 본인의 작업은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유년시절의 기억만으로 찾았던 그 곳이 다시 찾아가 보았을 때, 내 마음 한 곳에서 버림받은 그곳이 되어 버렸기에 이젠 '어린이대공원 大公園'이 아닌 '어린이대空원'으로 되어버렸다. 사진에서 가장 사진적인 것은 생생한 상태로 기록된 현실의 자취일 뿐이다. 이제는 가면 갈 수록 너무나 아름답고, 신비롭고, 안정된 세계의 공간이지만 여전히 참 공허함을 느끼게 한다. 본인의 작품으로서 다시금 유년시절의 추억속에서만 자리잡고 있던 어린이대공원을 찾아보면 어떨까 싶다. A memory used to be naturally missed with the passages of time, or forgotten in the flood of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A memory is also a kind of ability to conjure up images, and a photograph is able to connect and relate a memory, the images of experiences with reality. In particular, a memory of early days is much more like that. I think everyone goes through one's juvenile days, therefore s/he can sympathize those days with each other because of common emotions and feelings even if there if there are some differences. This study aims to express the images on "The Children's Park" based on my own subjectiv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past, and to reveal the appearance of the space to be treated in a colder way or alienated more than other playing parks. What mentioned above are a springboard of my photographic works. Endless desire to possess and materialism in modern society have caused a loss of humanity. Tragic events and accidents have led people to breakdown their beliefs on human beings and to fall into nihilism. I think the modern people living in this age continuously miss a lost paradise as so called disoriented and displaced men from their spiritual home, and conceive homing instinct of returning to the time of the past in their minds either unconsciously or consciously.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hotographic exhibition, <'Empty Children's Park' - The Castoff Space in My Mind>, opened in Kwan-Hoon Gallery at In-Sa-dong from the 21st to 27th day of April, 2004. We usually take a picture of 'now and here'. That is our fascination with the imitation lof time. Taking a picture make's us want to capture precious memories from the present and prevent them from disappearing into the past. In addition to, the scenery from photos taken in the 'now and here' are photos of 'then-there'. They confirm the existence of limited time again. In the preface of exhibition by Jin-Young Kim, <'Empty Children's Park' - The Castoff Space in My Mind> As the title of my works implies, now the park becomes not a children's one, but empty one since it I found only with my early days' memories turned to be a castoff space in my mind when I visited again. The most photographic thing in a photograph is just a trace of reality, which is vividly recorded. Although the park becomes more and more beautiful, mysterious, and tranquil every time I go there, it still makes me feel empty. I guess if finding again the Children's Park embedded only in my own early days' memories as my art works.

      • 창작국악관현악곡에 있어서 음계의 변화기법에 관한 연구 : 백대웅작곡 `회혼례를 위한 시나위`를 중심으로

        이지연 우석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창작국악관현악곡에 있어서 음계의 변화기법에 관한 연구 ­백대웅작곡 ‘회혼례를 위한 시나위’를 중심으로­ 이지연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악학과 작곡전공 지도교수: 백성기 창작국악의 역사는 일제시대부터 해방을 거쳐 오늘날까지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며 각양각색의 곡이 쏟아져 나왔다. 특히 창작국악관현악곡의 경우 초기엔 양적인 부분만 팽창시켯을 뿐 질적인 부분의 고민이 부족하였다. 질적인 부분의 고민중 하나는 새로운 기법의 창작음악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특히 전통적 기법을 근간으로 특징적 요소를 활용한 창작음악이야말로 정체성있는 작품으로써 지속될 수 있음을 모두가 인정할 만한 일인 것이다. 따라서 기존 창작국악관현악곡의 다양한 작곡기법을 분석 연구하여 더 나은 예술적인 작품을 창조해내는 일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창작국악관현악곡에 있어서 주된 작곡 기법중의 하나인 음계의 변화기법을 구체적으로 연구하기위해 백대웅 작곡〈회혼례를 위한 시나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굿거리악장을 분석해보면 1∼16마디는 평조/ 17∼26마디: 3음구성 계면조/ 27∼32마디: 경과구/ 33∼37마디: 남도계면조/ 38∼43마디: 메나리조/ 44∼48마디: 메나리조/ 49∼52마디: 경과구/ 53∼76 마디는 평조음계이다. 둘째, 자진모리악장을 분석해 보면 77∼87마디: 평조/ 88마디: 남도계면조/ 89∼92마디: 평조/ 93마디(대아쟁): 평조/ 93마디(가야금): 남도계면조/ 94∼98마디: 평조/ 99마디: 남도계면조/ 100마디: 평조/ 101(제1∼2박) 남도계면조/ 101(제3∼4박): 평조/ 102마디(제1∼2박) :남도계면조/ 102마디(제3∼4박): 평조/ 103마디: 남도계면조/ 104∼109마디: 평조/ 110마디: 남도계면조/ 111마디: 평조/ 112마디: 남도계면조/ 113마디: 평조/ 114마디: 남도계면조/ 115마디: 메나리조/ 116마디: 남도계면조/ 117마디: 메나리조/ 118마디: 계면조/ 119마디: 메나리조/ 120마디: 남도계면조/ 121&#12316;123마디: 평조/ 124마디: 남도계면조/ 125∼128마디는 평조이다. 결론적으로 ‘회혼례를 위한 시나위’의 주된 작곡기법은 음계변화 기법이다. 통계적으로 볼 때 굿거리 장단 8회, 자진모리 장단 28회로 총36회의 변화과정을 거쳤으며 주로 사용된 음계의 종류는 평조, 남도계면조, 메나리조 3가지 음계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회혼례를 위한 시나위’의 음계변화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집약된다. 첫째, 마디별로 음계변화를 보인 형태이다. 둘째, 동일마디라 할지라도 악기에 따라 서로 다른 음계 변화가 나타나는 형태이다. 셋째, 한 마디 안에서 서로 다른 음계가 복합적 변화 양상을 띠며 나타나는 형태이다. 〈Abstract〉 Analysis on Scale Changing Technic in Original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In the Case of "Sinawui for 60th Wedding Anniversary" Composed by Dea-woong Baek­ Ji-yeon Lee Woos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Traditional Korean Music, Composition Major Thesis Director: Sung-ki Baek Korean traditional original music has experienced various advances from the Japanese ruling era through liberation and up to date. Many original pieces of music have been produced over the perio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Korean traditional original orchestral music, even though many pieces of it were produced, there has been little consideration about how to raise its quality. A part of such consideration is to create original pieces of music based on new technic. Especially original music composed based on traditional technic with touch of special features can be appreciated by everyone as a music with unique identity. Accordingly, creating better pieces of music by thoroughly analyzing various composing technics of existing Korea traditional original orchestral music is very significant.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focused on "Sinawui for 60th Wedding Anniversary" composed by Dae-woong Baek, to analyze scale changing technic which is one of the major composing technics of Korean traditional original orchestral music. First, in the Goodgeori Movement, 1st to 16th measures have plain key, 17th to 26th measures have Gyemyeon key composed of three note, 27th to 32nd measures have bridge passage, 33rd to 37th measures have South province Gyemyeon key, 38th to 43rd measures have Menari key, 44th to 48th measures have Menari key, 49th to 52nd measures have bridge passage, and 53rd to 76th measures have plain key. Second, in the Jajinmori Movement, 77th to 87th measures have plain key, 88th measure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89th to 92nd measures have plain key, 93th measure(Big Ajaeng) has plain key, 93rd measure(gayageum)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94th to 98th measures have plain key, 99the measure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100th measure has plain key, 101th measure(1st to 2nd time)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102nd measure(1st to 2nd time)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102nd measure(3rd to 4th time) has plain key, 103rd measure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104th to 109th measures have plain key, 110th measure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111st measure has plain key, 112nd measure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113rd measure has palin key, 114th measure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115th measure has Menari key, 116th measure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117th measure has Menari key, 118th measure has Gyemyeon key, 119th measure has Menari key, 120th measure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121st to 123rd measures have plain key, 124th measure has South province Gyemyeon key, and 125th 128th measures have plain key. In conclusion, the primary composing technic used for "Sinawui for 60th Wedding Anniversary" is scale changing technic. Statistically, the music goes through 36 changes including 8 Goodgeori rhythm and 28 Jajinmori rhythm and three major scales, plain key, South province Gyemyeon key, and Menari key were mainly used. In addition, the three major forms of scale change in "Sinawui for 60th Wedding Anniversary" are as following. First, scale change appears at each measure. Second, even in the same measure, different scale changes appear according to what instrument is being played. Third, different scales appear in a measure, being changed variously.

      • 자궁내에서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새끼 생쥐의 정소 유전자 발현 분석

        이지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1.765 GHz microwave on fetal testicular gene expression of the mice Methods: We used a 1.765 GHz microwave generator with 26.7 dBm (467.7 mW) output power on average and with the estimated SAR of 0.38-1.71 W/kg. The experimental copper cage which contained the mice was created to block the influence of the microwave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s of the experimental settings. The monopole antenna of the microwave generator wa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box to radiate microwaves evenly to the all the subjects in the copper container. Twenty-four pregnant ICR mice were randomly divided to two groups,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microwave experiment began on the 5th day after after mating. The mice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en exposed to 1.765 GHz microwaves for 8 hours (from 9 am to 5 pm) every day, and were brought up to the copper cage. The mice in the control group were brought up into the cage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microwaves.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b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from 5 pm to 6 am next morning. They were deprived of water and food from 9 am to 5 pm, but given enough water and food from 5 pm to 9 am the next morning, every day. To know whether the thermal effect of the microwaves influenced the temperature of the mice, the temperature of the mice was measured rectally on the 14th day after this experiment began. The numbers of offspring per mouse, the weights, and the gross anomalies of the mice at delivery from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Neonatal testes of all the offspring were removed on the 7th day after birth. The testicular gene expression extracted from the neonatal tests separated from all the offspring were compared with the method of microarray and Real-Time RT-PCR.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ce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erms of the mean birth weights of offspring (1.55 ± 0.13 gm vs. 1.54 ± 0.08 gm, p=0.23), that of the numbers of the offspring (12.60 ± 1.71 vs. 13.09 ± 1.58, p=0.68), that of the pregnancy period (19.30 ± 0.82 days vs. 19.00 ± 1.00 days, p=0.74), or that of the maternal body temperatur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36.62 ± 0.38 ℃vs. 36.70 ± 0.48 ℃, p=0.58) at the level of p<.05. The difference of the numbers of testicular gene ex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ere observed using measurements obtained by the microarray method. We found the expression of about 5,000 gene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or decreased twice as much as the expression in the control group. We selected 3 (Tssk2, Ovol1, Mea1) of down regulated genes and confirmed by Real-Time RT-PCR. Conclusion: we found that there were the fetal testicular gene expression differ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ith the method of microarray, we detected Tssk2, Ovol1, and Mea1 were down-regulated in the exposed group. We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Tssk2, Ovol1 and Mea1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down regulated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by Real-Time RT-PCR. Key words: Male infertility, cellular phone, microwave, testes, pregnancy, gene expression, microarray, Real-Time RT-PC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내에서 1.765 GHz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태어난 새끼 생쥐의 정소에서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여 마이크로파의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실험 방법: 본 실험에 사용된 마이크로파 생성기는 주파수가 1.765 GHz이고, 전자파 흡수율은 평균 1.04 W/kg 인 마이크로파 노출장치이다. 실험 공간은 외부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다른 실험장치 및 실험자에게 마이크로파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구리로 차폐하였고 마이크로파를 실험 생쥐에게 골고루 노출시키기 위하여 안테나를 실험 장소 정중앙에 고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생쥐는 ICR 계통으로 생후 12주령인 암컷 생쥐 24마리와, 생후 12주령인 수컷 생쥐 24마리를 실험 5일전에 교미시켰다. 질전을 통하여 교미를 확인하였고 교미를 끝낸 암컷 생쥐를 12마리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을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8시간 동안 1.765 GHz의 마이크로파에 노출시켰으며, 실험 2 주째에 생쥐의 직장에서 체온을 1회 측정하여 두 군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보았다. 대조군도 실험군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였고 실험군과 동일하게 직장체온을 측정하였다. 분만 직후 양군에서 임신 기간, 어미 개체 당 평균 분만 생쥐 수, 새끼 생쥐의 분만 당시의 평균 체중을 측정하였다. 생후 7 일째 태어난 새끼들의 정소를 적출하고 RNA을 추출한 뒤 미세배열법을 실시하였다. 양군에서 차이가 있는 유전자 중에서 불임과 연관된 유전자 3개를 선택하여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새끼 생쥐 정소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연속변수 데이터의 비교를 위해 Student t-test를 했으며, 임신기간과 어미당 평균 분만 생쥐 수, 어미 생쥐의 직장온도에 대해서는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해 두 군 차이의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실험군에서는 126마리의 새끼 생쥐가 태어났고, 대조군에서는 129마리의 새끼 생쥐가 태어났다. 살아있는 새끼 중 수컷은 53마리였으며, 대조군 새끼 중 수컷은 48마리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 임신기간 (19.30 ± 0.82 일 Vs 19.00 ± 1.00 일, p=0.74), 평균 분만 생쥐 수 (12.60 ± 1.71 마리 Vs 13.09 ± 1.58 마리, p=0.68), 새끼 생쥐의 분만 당시의 평균 체중 (1.55 ± 0.13 gm Vs 1.54 ± 0.08 gm, p=0.23)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신 중 어미의 직장온도의 평균은 양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36.62 ± 0.38 ℃ Vs 36.70 ± 0.48 ℃, p=0.58). 미세배열법을 통해 실험군의 새끼 생쥐 정소의 유전자 중 약 5,000개가 대조군에 비해서 2배 이상 발현이 증가하거나 감소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유전자 중에 불임과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진 유전자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였고, 그 결과 Testis specific serine kinase 2 (Tssk2), Ovol1, Male-enhanced antigen-1 (Mea1) 이 2배 이상 발현이 감소했음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들에 대해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하여 미세배열법의 결과와 동일하게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고 증가하는지 확인하였다.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결과 실험군의 Tssk2, Ovol1, Mea1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했다. 결론: 자궁내에서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태어난 새끼 생쥐의 정소에서 대조군에 비해 Tssk2, Ovol1, Mea1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