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n-ZnO/p-Si 이종접합구조 다이오드 특성 연구 : n-ZnO/p-Si Diode Characteristics of Hetero Junction Structure : 이종훈

        이종훈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차세대 광원으로 주목받는 LED (light-emitting diode)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현재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가장 큰 이유는 기존의 광원보다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며, 수명이 우수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청색 LED 기술은 GaN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GaN를 기반으로 하는 LED는 특정국가에 원천기술이 묶여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세대 물질로의 대체를 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GaN를 대체하기 위한 물질로는 SiC, ZnSe, ZnS, ZnO 등의 화합물 반도체가 대표적이다. 그 중 가장 유력한 대체 물질로 주목받는 ZnO는 2-6 족 화합물 반도체로서 3.27 eV의 광대역 밴드갭을 가지는 직접 천이형 반도체이며, 상온에서 60 meV의 큰 엑시톤 결합 에너지를 가진다. 이런 큰 엑시톤 특성 때문에 ZnO는 단파장 빛 방출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와 엑시톤 기반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s)의 적용에 큰 주목을 받고 있다. ZnO 박막을 제조하려는 방법에는 스퍼터링, 화학기상 증착 (CVD), 분자 빔 에피택시 (MBE), 원자층 증착법 (ALD), 펄스 레이저 증착 (PLD) 등 매우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증착된 ZnO 박막은 산소 결핍형 산화물이기 때문에 구조적, 광학적 특성이 좋지 못하다. 그래서 아일랜드 크기를 증가시키고 격자 응력을 완화해 박막의 결정성과 발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성장 후 후속 열처리 과정이 필요로 하다. 증착된 ZnO 박막은 산소의 공공과 Zn의 침입 때문에 쉽게 n형 반도체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ZnO는 p형 형성을 위한 도핑과정에서 억셉터 불순물의 낮은 용해도와 높은 자체 보상 효과에 의해 특성이 좋고 재현성 있는 p형 ZnO 구현이 어려워 p-GaN, SiC, p-다이아몬드 기판을 이용한 헤테로 접합을 많이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위 기판들은 고 가격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격이 저렴한 p-Si(111)기판을 이용하여 이종 접합을 시도하였다. 특히 Si 기판은 ZnO와 열팽창 계수가 비슷하고, 기존의 실리콘 기반의 소자 제작 기술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Si(111)기판에서 (111) 면간 거리가 a= 0.384 nm로서 ZnO 결정의 a= 0.325 nm 와 격자 불일치가 15.4 %의 다소 큰 차이를 보인다. Si 기판을 이용하여 이종 접합 다이오드 제작 시 p 타입의 Si(111) 기판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ZnO 박막의 전자농도 및 전기적 특성의 조절이 쉬워야 하며 이를 통해 간접 천이 밴드갭을 가진 Si 이 아닌 직접 천이 밴드갭을 가진 ZnO 쪽에 Si 쪽의 홀이 유입되어 재결합을 통한 발광이 일어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재결합 과정이 일어나려면 캐리어 농도 차이에 의한 캐리어 흐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광대역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p-n 접합 소자에서 캐리어 농도가 높은 쪽이 낮은 쪽으로 공간전하 영역을 넘어 이동하는 단일 캐리어에 의한 주된 전류 특성이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정공 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기판의 비저항이 다른 두 개의 p형 Si(111) 기판을 사용하여 소자를 제작하였다. 전자의 농도 변화를 시키려는 방법에는 도핑에 의한 방법과 후속 열처리를 통한 캐리어 조절 방법 2가지 방법이 있다. 전자는 ZnO 박막에 In을 0.6 ~ 10 at. %를 도핑 하면 Zn2+자리에 In3+를 치환이 되어 자유 전자를 증가시켜 캐리어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후자의 방법으로는 N2 분위기와 air 분위기에서 열처리 하여 ZnO 박막 내의 캐리어 농도를 변화 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ZnO 박막의 구조적 특성은 XRD 측정과 AFM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캐리어 농도는 Hall 측정을 통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포토리소그래픽 공정과 lift-off 방법을 이용하여 다이오드 소자를 제작하고 I-V 측정을 하였다. ZnO의 캐리어 농도변화는 I-V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구조적 특성 때문에 I-V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턱 전압은 1.8 ~ 4.6 V까지 다양한 값을 가졌으며 가장 낮은 on-off 비 (± 5 V)는 1.0 x 106 인 것을 확인을 하였다. 높은 전압일 때 가장 낮은 시리즈 저항 값은 37 Ω인 것을 확인하였다. 높은 전압일 때 단일 캐리어에 의한 주된 전류 특성 흐름은 p+-Si 기판(~ 1019 /cm3)과 대기 분위기에서 열 처리된 ZnO 박막(~ 1016 /cm3)의 이종접합 다이오드의 I-V 결과에서 명확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모든 소자는 순방향 전압 인가 시 황색 발광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특급호텔 조리팀 직원이 지각한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리팀 동료 및 상사·부하간 관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이종훈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s of Hotel Culinary Employees' Perceived Career Plateau on Turnover Intention Lee JongHoon Department of Hotel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This study has been intended to find out what kind of impact is given to the turnover intention by the career plateau perceived by cooks, as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 manager and among the team members, for the culinary team employees in the deluxe hotels. The type of career plateau has been categorized into two types,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content career plateau, to understand what kind of influence is given to the turnover intention by each factor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concept of career plateau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task of this study, and the research has been processed after dividing it into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content career plateau. It also has checked up the concept of relationships with the manager and among the team members. It has surveyed the concept and cause of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and reviewed the career plateau, relationship with the manager, relationship among the team memb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turnover intention.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of this study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such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culinary team staff in the 5-star and 4-star hotels in downtown Seoul, and the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has been analyzed, by using the SPSS, for the factor analysis, reliance analysis, analysis of correlation with major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turnover intention, then to verify the research task for each factor.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research task is as follow. First, it is appeared that the relationships with the manager and among team members affect positive(+) influence to the turnover intention, in case the culinary employees have perceived the structural career plateau. It means that the turnover intention cannot be lowered for the culinary team staff in the deluxe hotels, perceived the structural career plateau such as promotion, which is a structural contradiction in the pyramid type modern organization, and the limitation of growth in the company, even though the relationships with team manager and among team members are good enough.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the manager has negative(-) but insignificant impact to the turnover intention, in case the culinary team staff have perceived the content career plateau. It means that the turnover intention can be reduced,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manager gets better, for the culinary team employees in the deluxe hotels, perceived the content career plateau such as content of employee’s own work, interest related to the work, challenging consciousness, and so on. This study has verified, through the verification research targeting the culinary employees in the deluxe hotel, that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employees, perceived the content career plateau, i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with the manager. It has the meaning that the influence by the manager to the staff is contributing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for the subordinate staff, perceived the content career plateau, which implies as follow. The turnover of culinary staff is getting higher because of the career plateau, which is the biggest problem recently to the culinary team in the deluxe hotel. As of the characteristics of hotel business in which the human resource is important, turnover of staff affects the smooth work flow and improvement of quality seriously, which eventually becomes a factor of weakening the image and competitiveness of the hotel. An effective method should be developed persistently to motivate the subordinate staff to develop and retain them through consistent mentoring and coaching by providing various programs, related to the role and leadership of manager in the hotel management organization, to educate the staff so as for them to have newness and interest, challenging spirit, education and growth, ambition, and so on.

      • 손해보험회사의 보험설계사 교육을 위한 조직몰입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 분석

        이종훈 崇實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손해보험회사의 보험설계사 교육을 위한 조직몰입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한 세부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업소장의 리더십 및 교육역량은 보험설계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영업소장의 리더십 및 교육역량과 보험설계사의 자기효능감은 보험설계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손해보험회사 영업소장의 리더십 및 교육역량과 보험설계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은 보험설계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등이다. 설문조사는 국내 10개 손해보험회사의 보험설계사 409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자료분석은 가설적 구조방정식모델을 추정하고자 AMOS 17.0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업소장의 리더십과 교육역량은 보험설계사의 자기효능감에 모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업소장의 리더십과 교육역량은 모두 보험설계사의 직무만족에 직․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험설계사의 자기효능감은 보험설계사의 직무만족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업소장의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간접효과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소장의 교육역량과 보험설계사의 자기효능감은 모두 보험설계사의 조직몰입에 직․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험설계사의 직무만족은 보험설계사의 조직몰입에 직접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업소장의 리더십과 교육역량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때 보험설계사의 자기효능감은 더욱 고양될 수 있고, 이는 보험설계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이어져 손해보험회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둘째, 보험설계사의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는 자기효능감의 직접효과가 가장 높기 때문에 다른 요인에 우선하여 보험설계사의 자기효능감을 증대시키는 것이 보험설계사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영업소장의 리더십이 비록 보험설계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보험설계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통하여 보험설계사의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보험설계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이 보험설계사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험설계사의 직무만족이 보험설계사의 조직몰입에 가장 큰 직접효과가 있음에 근거하여 보험설계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이 보험설계사의 조직몰입을 증대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connec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ducating solicitors of non-life insurance company. The specific questions regarding this purpose were as follows: First, does insurance sales managers' leadership and educational competency have an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solicitors engaged in non-life insurance company? Second, does insurance sales managers' leadership, educational competency and solicitors' self-efficacy have an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solicitors engaged in non-life insurance company? Third, does insurance sales managers' leadership, educational competency and solicitors‘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have an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licitors engaged in non-life insurance company? A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 total number of 409 solicitors from 10 non-life insurance compani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estimate the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MOS 17.0,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 has been derived that insurance sales managers' leadership and educational competency have a direct effect on solicitors' self-efficacy in non-life insurance company. Second, the leadership and educational competency of insurance sales managers were found to affect solicitors' job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and solicitors' self-efficacy was found to affect solicitors' job satisfaction directly in non-life insurance company. Third, the finding of the study has proved that insurance sales managers' leadership doesn't have a direct effect on solici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non-life insurance company, while the insurance sales managers' leadership has an indirect effect on solici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surance sales managers' educational competency and solicitors' self-efficacy were found to affect solici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and solicitors' job satisfaction was demonstrated to affect solici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directly. In summary, it is apparent that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sales managers' leadership and educational competency can enhance solicitors' self-efficacy. This can lead to boosting solicito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urthermore contribute to the outcome of non-life insurance company. Next, the research finding indicates that solicitors' self-efficacy among variables has the most direct effect on solicitors'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enhancing solicitors' self-efficacy should be the most effective means of increasing solicitors' job satisfaction. And finally, this will be geared to the elevation of the productivity of non-life insurance company. Although sales managers' leadership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solici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had a indirect effect on solici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solicito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enhancing solicito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can be an effective means of increasing solici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clusion, inferring from the research finding that solicitors' job satisfaction has the most effect on solici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pared to other variables, the implication has been derived that enhancing solicitors' job satisfaction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elevate solici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 건강한 한국도시교회 성장을 위한 교회 조직에 대한 이해연구 : 셀 사역을 중심으로

        이종훈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회는 사회학적으로 볼 때는 인간들의 조직체이며 하나님 쪽에서 보면 성령님이 주관하는 공동체이다. 따라서 이 긴장이 교회 조직 안에 건전한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결국 조직은 교회가 사역을 행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가 있다. 교회의 조직은 사역 자체의 성공적인 결과에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사역에 참여하는 신자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사는 삶의 성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김학수, 2003, 314) 불행하게도 많은 한국교회들은 고의든 고의가 아니든 성공을 목적으로 삼은 사업체들이 사용하고 있는 조직을 신학적인 검증없이 그대로 채택하고 있다. 대부분의 교회 조직들은 성공, 즉 양적 성장에 대한 지대한 열망이 그 원인일 것이다. 이러한 조직은 소속된 사람들을 단체의 하인으로 여기고 단체가 추구하는 목표를 성취하는 수단으로 삼는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 역사 속에 임재하시는 하나님을 증거하는 공동체이다. 인간적인 공동체로서의 교회는 성령님의 인도아래 교회를 향하여 가지고 계시는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내는 책임을 가지고 있다. 하나님의 뜻을 성취하는 것은 성령님의 인도하심뿐만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신 능력과 방편들을 가지고 있는 인간의 노력을 통해서이다. 인간은 인간의 죄성을 인식하면서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모든 것들을 사용하여서 하나님께서 맡기신 책임을 이행해야 한다. 이 책임을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교회의 조직이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 논문에서는 교회조직에 있어서 건강한 한국도시교회안에서 성장방안이 무엇인가를 연구해 보고, 연구 진행 절차와 방법으로 서울 성천교회와 광주 중흥교회의 설문을 통해서 교회조직으로서 건강한 성장의 방안이 무엇인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 네 가지 질문을 통대로 연구가 진행되어 질 것이다. 첫 번째 연구 질문은 조직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성경신학적 이해는 무엇인지를 연구할 것이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은 건강한 조직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를 통해서 본 한국도시교회에 대한 일반적 이해는 무엇인지를 연구하게 될 것이다. 세 번째 연구 질문은 조직적 차원에서 진단할 때 한국 도시 교회의 장단점은 무엇인지를 연구하게 될 것이다. 네 번째 연구 질문은 조직으로서의 한국 도시 교회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대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하게 될 것이다.

      • 순환운동이 노인여성의 체력과 혈중지질 및 에스트로겐에 미치는 영향

        이종훈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순환운동을 점증부하의 강도로 실시하여 체력 및 혈중지질과 에스트로겐의 변화를 규명하는데 있다. 14명의 실험대상자 중 7명은 통제그룹으로 7명은 운동그룹으로 무선배정 되었다. 순환운동 프로그램은 12주간 주 3일 실시하였으며,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심폐기능, TC, TG, LDL-C, HDL-C, Estrogen을 측정하였다. 측정시기는 0주와 12주에 각 집단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룹간, 처치기간에 따른 차이검정 및 그룹과 처치기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위해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고, 집단 내 측정변인간의 전 ․ 후 차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 측정변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은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심폐기능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C, LDL-C은 운동군에서 유의하지는 않지만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HDL-C도 운동군에서 유의하지는 않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TG에서는 통제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Estrogen에서는 운동군에서 유의하지는 않지만 증가를 나타내었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12주간의 순환운동을 통해서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의 유의한 증가를 가져오며 TC, LDL-C, HDL-C, Estrogen에서 유의하지는 않지만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ircuit exercise in elderly women to determine the changes i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s and estrogen. 7 out of 14 women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nd the other 7 were assigned to an exercise group. This circuit exercise program was carried out 3 days per week for 12 weeks and measured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balance, cardiorespiratory function, TC, TG, LDL-C, HDL-C, and Estrogen. The measurement took place in the 1st week and 12th week. All the data calculate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SPSS program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xperiments, and for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group and period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was carried out. Paired and independent t-test were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t levels of differences within and between the groups. significance was set at the p<.05.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 y,and bal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nce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diorespiratory function. TC, LDL-C showed a little decrea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group, and HDL-C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groups but showed a little increase. However, in TG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a Control group, but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estrogen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but was increased in exercise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roughout 12 weeks of circuit exercis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balanc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nd TC LDL-C HDL-C, and Estroge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had a tendency to increase and decrease.

      • 운동점 차단술 및 근전도 유발 신경근육 전기자극 치료의 동시적용이 경직을 동반한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종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직을 동반한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점 차단술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육 전기자극 치료를 동시에 적용 한 후, 손의 기능 및 일상생활 기능의 변화를 측정하여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발병 후 1년 이상 경과하고 Modified Ashworth Scale(MAS) 2단계 이상의 경직을 동반한 만성 편마비 환자 6명 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손목 및 손가락 굽힘근에 운동점 차단술을 시행 받았으며, 운동점 차단술 시술 1주 후부터 1시간씩, 일주일에 5회, 총 4주간의 근전도 유발 신경근육 전기 자극 치료를 받았다. 평가는 치료 전과 치료 후에 실시하였다. 일생생활 기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수정 바델 지수(K-MBI)와 운동 활동 척도(MAL)를 사용하였으며, 상지 및 손의 기능 변화는 Fugl ? Meyer Assessment 척도, Box and Block test(BBT), MAS를 통한 경직의 변화 측정 그리고 관절 가동범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대상자에서 손가락 및 손목의 굽힘근의 경직도가 감소하였으며 손목 및 손가락 관절의 능동적 운동 범위도 향상되었다. 또한 1명을 제외한 5명의 환자에게서 손가락 및 손목 폄근의 근 활성도 향상을 보여주었으며 Fugl-Meyer Assessment에서도 치료 전 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 주었다. 하지만 대상자들의 일상 생활 기능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던 K-MBI 평가 및 MAL 평가와 손의 기능과 함께 상지의 전체적인 기능을 필요로 BBT 검사에서는 치료 전후의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운동점 차단술과 근전도 유발 전기 자극치료의 동시적용이 일상생활 기능 자체의 호전을 가져오진 않지만, 자연적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정도이며 경직을 동반한 만성 편마비 환자들의 경직의 감소와 능동적 운동 범위 증가와 같은 손기능 향상을 가져 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에 적용되지 못한 CIMT등의 기타 여러 치료가 가능하게 하여 추가적인 기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 치료와 운동점 차단술의 동시적용에 대한 효과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