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환교육 과정의 교사와 부모 역할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erms of: 1) perceived importance of involving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in the transition process; and 2) perceived importance and frequency of implementing the teacher’s role in improving the involvement of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in the transition process. 146 special school and classroom teachers from Daegu who work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ANOVA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ID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nvolving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in the transition process. The teachers who work in special school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ncluding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achers who work in special classroom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er roles in improving the involvement of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in this process. However,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implementation of this factor as relatively low. Through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ten necessities were identified for how teacher roles can improve the involvement of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importance among teacher groups divid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implementation level among teachers groups divided by thes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build a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involvement of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in the transition proces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농업용 엔진-발전기 하이브리드 드론에 장착된 진동 감쇠 마운트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종헌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and drones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or their agricultural applications, and recently, engine-generator hybrid drones have been studied to maximize their efficiency in agricultural applications, such as extending flight time and increasing payload capacity. However, engine vibration is not only associated with efficiency issues such as reduced flight performance, shorter flight time, and reduced durability of the drone airframe, but also with risks that can seriously threaten the stable operation of the drone. These problems are mainly caused by the fact that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engine drive of the drone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drone through the structure supporting the engi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through the damping device connected to the airfram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is context,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how effectively an engine mount applied to an engine-generator hybrid large agricultural drone can reduce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from the engine to the airframe. Three types of vibration damping mounts with different vibration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were fabricated and tested. Model 1 was machined from aluminum and combined with a rubber damper, Model 2 was made of metal alone, and Model 3 used an industrial rubber damper as a mount. Accelerometers were attached to the engine frame, fuselage frame, fuselage top, flight controller (FC), and propeller motor, and a vibration measurement system was configured using LabVIEW. Vibration data for each mount type was measured by location to compare the vibration values and frequency ranges of models 1, 2, and 3 at each location. It was found that Model 1, with its structural separation of the engine from the airframe and the use of rubber dampers and anti-vibration pads, reduced the accel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 vibration compared to Model 2, with metal mounts, and Model 3, with rubber damper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vibration damping device named Model 1 is the most effective in reducing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engine to the drone airframe. The application of this vibration damping device will contribute to reducing the negative effects on the flight control unit and motors, which can help improve the stable flight of the drone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drone airframe. 무인 항공기와 드론은 농업용으로 활용도가 높아 많은 관심을 받고 있 으며 최근에는 엔진-발전기 하이브리드 드론이 농업 분야에서 비행시간 연장, 탑재 용량 증가 등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 고 있다. 그러나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비행 성능 저하, 비행시간 단 축, 드론 기체의 내구성 감소와 같은 효율성 저하 문제뿐만 아니라, 드론 의 안정적인 운항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는 위험성과도 직접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드론의 엔진 구동으로 발생하는 진동이 엔진을 지지하는 구조물을 통해 드론 전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엔진의 구동에 따른 진동을 기체와 연결된 감쇠 장치를 통해 진동의 전달 을 최소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진행되었으 며, 엔진-발전기 하이브리드 농업용 대형 드론에 적용된 엔진 마운트가 엔진의 진동을 기체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진동의 전달 을 감소시키는지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진동 전달 특성이 서로 다른 세 가지 유형의 진동 감쇠 마운트를 제작 하여 시험하였다. 모델 1은 알루미늄을 가공하여 고무 댐퍼와 결합한 구 조이며, 모델 2는 금속만으로 제작된 것이고, 모델 3은 산업용 고무 댐퍼 를 마운트로 사용하였다. 엔진 프레임, 기체 프레임, 기체 상판, 비행제어 장치(FC), 프로펠러 모터에 가속도계를 부착하고 LabVIEW를 사용하여 진동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각 마운트 유형에 대한 진동 데이터를 위치별로 측정하여 각 위치에서 모델 1, 2 3,의 진동 값과 주파수 범위를 비교하였다. 금속 마운트인 모델 2와 고무 댐퍼인 모델 3에 비해 엔진과 기체 프레임을 구조적으로 분리하고 고무 댐퍼 및 방진 패드의 사용한 모 델 1이 엔진 진동의 가속 특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모델 1로 명명된 진동 감쇠 장치가 엔진에서 드론 기체 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 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 진동 감쇠 장치의 적용은 비행 제어 장치와 모터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이는데 기여 할 것이며, 이는 드론의 안정적인 비행과 드론 기체의 구조 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suggest the plan on the future brand management strategy by understanding a status of the Hanwoo Industry and analyzing change of management structure in Hanwoo brand organizations. Its research method is that after the history of brandization of Korean beef is surveyed and analyzed and its sales strategy of a production brand and consumers' requirements according to each year and the age are investigated, the merits and demerits on its sales method and consumption PR according to a management organization, a management structure form and a region are compared and analyzed by suggesting the brandization status and cases of foreign countries(especially, Japan). It can be said that the start of brandization of Hanwoo is early 1980s, and that this is started from several typical brand enterprises making effort for production of high-class beef like Gaegun Hanwoo, Eonyang Hanwoo and Ddang ggeut eutteum Hanwoo(Lee, 1997). The real brandization of Hanwoo was extended and promoted by measures of the Government(White paper of the Hanwoo industry: July 1997, Comprehensive development measures of the Hanwoo industry: April 2001, etc.) for construction of a product base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of farmhouses raising Hanwoo to prepare UR settlement negotiations of 1993 and liberalization of imports of cattle and beef in 2001.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future production direction by analyzing the demand of consumers and the future consumption patterns and to suggest a strategy necessary for making Hanwoo management enter the sixth industry(first, second & third industry) including the distribution․service field. It was said that the brand of stock farm products in 2007 are around 700 articles, and the Hanwoo brand amounts to 202 places(28.9%).(December 2007, Animal Products Grading Service) If calves being produced for 1 year in Korea are calculated to be 800 thousand heads, heifers are 400 thousand heads and steers re 400 thousand heads among them. Accordingly, the total heads that the name of a brand can be attached are 400 thousand heads, so it is possible that only around 1,980 heads per one brand can be attached. If several regulations such as over first grade and their own local production, etc. are considered, it has a management form that only 1000 heads or more per year can be recognized as brand Hanwoo among those. Currently, the Hanwoo brand organizations have a vulnerable production base, and only 142 places(70.3%) among 202 brand organizations are acting, and 60 places answered that the business was stopped or they don't have brand sale results.(December 2007: Animal Products Grading Service) Also, it was said that although 182 places(90.1%) received trademark registration that can get recognition of a brand value, 20 places(9.9%) are applying trademark registration or rejected from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s an organization of a Hanwoo bland as well a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bases are poor, the Government also set the brand business of stock farm products as「strategic axis of a livestock policy 」and is focusing policy capacity and is trying a plan to make it a wide area brand gradually from a small and regional brand. According to a comprehensive support promotion plan of the brand of stock farm products of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t was said that it will raise a differentiated brand organization according to a Korean farmhouse, promote its sale to large-scale processing․distribution enterprises and its consumption by linking with a wide area business division, plan to raise its market share.(Hanwoo industry development measures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December 2008) According to its development measures, it established a plan that increase shipping heads of a brand organization of a wide area business division from 32 thousand heads of 2007 to 127 thousand heads in 2012, while reducing regional brand organizations from 130 places to 40 places.(Hanwoo industry development measures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December 2008) IF The present study aims to research the future development method by comparing and analyzing merits․demerits of each brand organization and to suggest a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industry for the healthy operation and future development of brand organizations by analyzing the trend of farmhouse organizations, its commercialization and its consumers' response, etc.
한국사회의 공정성 인식과 민주주의에 관한 연구 : 소비주의 확산과 교육개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에서 공정성은 많은 경우 절차적 공정성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절차적 공정성은 공정성 가치의 일부를 반영할 뿐이다. 기회나 결과의 공정보다 절차의 공정성을 강조하는 이유는 노동시장의 변화라는 구조적 요인이기도 하지만, 소비주의의 원리가 개인에게 침투한 탓이다. 소비행위를 구성하는 경쟁과 선택의 원리는 개인이 갖고 있는 조건이나 결과에 대한 고려보다는 거래행위 그 자체의 공정성을 중요시한다. 현대인에게 소비한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활동이 되었으며, 소비생활에서 개인의 선택은 언제나 정당한 행위로 간주되므로, 시장에서 상품을 고르는 방식과 동일한 태도로 비시장재(non-commodity)를 대하게 된다. 정치나 민주주의와 같은 공적 주제에 대해서도 예외가 아니다. 유권자인 소비자는 선거를 정치시장에 나온 상품 중 마음에 드는 것 하나를 고르는 일과 동일한 것으로 여긴다. 정당 또한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위해 그들의 선호와 취향을 반영한 상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것에만 관심을 쏟는다. 이처럼 정치가 상품의 장의 편입되면서 정치가 갖는 본연의 기능은 약화되고, 더불어 민주주의의 질적 측면인 다양성의 존중, 시장이 낳은 폐해를 시정하고 사회의 역할을 복원하는 것 등에 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절차적 공정성의 완성도 여부만이 민주주의를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격상되었다. 이런 환경에서 기회와 결과의 공정을 포함한 공정성 전체의 가치를 회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되었다. 이 같은 사회의 시장화는 소비주의를 매개로 거침없이 전개되고 있다. 소비가 갖고 있는 획일적인 화폐-상품관계의 원리는 이 모든 것을 단일한 기준으로 환원하여 상품화시킨다. 또한 상품화 현상은 소비자주권이라는 이름 아래 정당화된다. 소비자주권은 소비자가 선택행위를 통해 생산자를 통제하고 주권을 회복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침으로써 소비주의를 정당화시키고 더 나아가 이를 비시장부문에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훈육된 주체는 시민의 권리가 아닌 소비자의 권리를 더욱 중요시하며, 소비자의 관점에서 정치와 민주주의를 사고한다. 정치를 소비자의 관점에서 보면 정치의 모든 것은 효용을 기준으로 선택 가능한 것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관점에서 정치적·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은 사회에 뿌리내린 기업과 소비주의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소비주의의 권능은 화폐-상품관계로 환원할 수 없는 일체의 가치들을 무력화하므로 소비를 매개로 한 정치적·윤리적 문제제기는 명백한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중요한 사례 중 하나가 교육부문의 변화이다. 1995년 5.31교육개혁은 신자유주의 기조 위에 기존 국가 중심의 교육시스템을 근저로부터 변화시킨 계기가 되었다. 5.31교육개혁이 내건 명분도 경쟁과 선택이라는 소비의 원리였다. 국가가 공급하는 교육시스템 아래서 개인의 선택권은 제약되었으므로 원하는 학교에 진학할 수 없었다. 학교 또한 스스로 학업과정을 만들고 학생을 유치할 수 있는 권한이 없었으므로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웠다. 그런 점에서 5.31교육개혁이 내건 경쟁과 선택은 교육소비자들에게 매력 있는 대안으로 받아들여졌다. 교육제도는 소비주의 원리에 의해 재편되었고, 학교를 선택하는 권리는 소비자들에게 돌아간 것으로 보였다. 그렇지만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결과 이전에 비해 교육격차는 더욱 벌어졌고, 사회경제적으로 높은 지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의 상위권 대학 진학률은 더욱 높아졌다. 결국 선택의 자유는 모든 사람에게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지위와 능력을 갖춘 사람들의 권리에 불과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쟁과 선택을 지지하는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새로운 교육정책에 편승하는 방식으로 적응했다. 따라서 처음부터 교육개혁이 의도했던 목표는 성공적으로 실현되었다. 교육격차의 심화에도 불구하고 이 시스템에 순응하는 인구를 양산하는 것이 그 의도였다. 교육부문은 지배의 대상인 인구 전체를 포괄할 뿐 아니라 공식적인 학습과정을 통해 유년기부터 생각하는 방식을 권력에 의도에 맞게 학습시키므로 유순한 신체를 기르는데 최적화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을 통해 경쟁과 선택의 원리를 체득한 개인은 이후의 삶에서도 지속적으로 소비주의 제도와 담론 그리고 기술의 영향을 받아 온전한 의미의 소비자로 재탄생한다. 민주주의와 같은 공적 가치는 사익 추구 행위 앞에서 왜소해지고, 선택의 문제로 단순화된다. Fairness is often perceived as procedural fairness in the Korean Society. However, the procedural fairness only reflects some part of fairness. The strong emphasis on the procedural fairness, rather than a fairness of opportunity or result, is not only due to structural factors such as a change in the labor market but also due to the penetration of the consumers’ values into the individual.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and choice constituting consumer behavior emphasizes the fairness of transaction itself regardless of individual’s conditions or results. An individual choice is always considered to be a legitimate act in consumer’s life: he(she) deals a non-commodity with the same pattern as purchasing products in the market. Public themes such as politics and democracy are no exception. As an citizen with the right to vote and a consumer with the right to choose, people consider election as picking their favorite product in the political market. Political parties also create commodities and services according to voters' preferences and tastes hoping they will be chosen by their “consumers”. However, when politicians are incorporated into the marketplace of goods, their original functions are weakened, and as a result, they fail to pay attention to—and respect for—the diversity of electorates which constitutes the qualitative aspect of democracy. The importance of procedural fairness has been elevated to an absolute criterion for evaluating democracy. In this environment, restoring the value of true fairness—including the fairness of opportunity and result—becomes more difficult to attain. The marketization of society is unfolding through consumerism. The principle of the currency-commodity relationship is that all of these are reduced to a single standard and commercialized. Also, this phenomenon is justified under the name of consumer sovereignty. Consumer sovereignty serves to justify consumerism and further extends it to the non-market sector by asserting consumers can control producers and therefore restore consumers’ sovereignty through choice. Disciplined subjects value consumer rights more than citizens' rights and think of politics and democracy by the consumer's point of view. Politics is to be thought based on utility. Therefore, the argument that political and ethical problems can be solved within the consumer's point of view underestimates the impact of enterprise and consumerism. In addition, the power of consumerism incapacitates all value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currency-commodity relationship, and this raises political and ethical problems of consumers' act which is bound to explicit limitations. One important example is the change within the Korean education sector. In 1995, the May 31 Education Reform became the opportunity to change the existing state-centered education system on the basis of neoliberalism. The justification of the 5.31 education reform was the principle of consumption: competition and choice. Under the state-provided education system, individual choicewas limited—students could not go to the desired school. Schools also lacked the authority to design their own academic courses and attract students. In this regard, the competition and choice made by the 5.31 Education Reform was regarded as an appealing alternative to consumers in the education sector. The education system was re-organized by the principle of consumerism, and the very right to choose a school appeared to have returned to consumers. However, as a result of the neoliberal education reform, the educational gap has widened more than before. At last, it was proved that the freedom of choice is not given to everyone but only to those with specific status and abilities. Nevertheless, the vast majority of consumers who support competition and choice has adopted new education policies. Therefor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educational reform was successfully realized. Despite the educational gap created by the new education system, its intention was to mass-produce a population that complies with the system. The education sector not only covers the entire population as subject to domination, but it is also an optimal space for creating a docile bodies by making them learn the way of thinking from childhood through formal learning course which is formed by the intention of the power. Individuals who have acquired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and choice are continuously reborn as consumers under the influence of consumerism, discourse, and technology in their subsequent lives. Public values such as democracy are eclipsed before the act of pursuing private interests and simplified as a matter of choice.
사회복지기관과 후원자와의 관계품질이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이 후원자의 지속적인 후원을 이끌어 내고, 후원자와 사회복지기관과의 협력적인 관계 구축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 후원자와 사회복지기관간의 관계품질의 구성요인, 선행요인, 결과요인을 도출하고, 이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경로분석 모형을 개발하고, 전국의 사회복지기관 후원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사회복지기관이 제공하는 후원자에 대한 관계혜택은 관계품질을 구성하고 있는 신뢰, 몰입, 만족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은 결과는 Beaty et al.(1996), 이용기, 최병호, 문형남(2002), Sargeant(2006) 등의 연구와 일치한다. 둘째, 사회복지기관과 후원자간의 관계특성은 관계품질의 구성요인 중 신뢰와 몰입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준다. 그러나 만족요인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organ and Hunt(1994), Ramesey and sohi(1997)의 검증결과와 일부 일치하였다. 셋째, 가치적합성중 가치지향성은 사회복지기관과 후원자간의 관계특성과 신뢰 및 몰입간의 관계에 각각 조절역할을 하고 있으며, 가치중요성은 관계특성과 신뢰와의 관계에 조절역할을 한다. 이는 Zucker(1986), Cazier(2004)의 연구결과와 일부 일치한다. 넷째, 사회복지기관과 후원자간의 관계품질은 신뢰, 몰입, 만족으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요인들은 신뢰→몰입→만족으로 이어지는 정(+)의 선형관계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는 신뢰와 몰입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Sargeant and Jay(2005), Schurr and Ozanne(1985)의 연구와, 몰입과 만족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Anderson and Narus(1991) 등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다섯째, 사회복지기관과 후원인과의 관계품질의 구성요인인 신뢰, 몰입, 만족은 각각 관계유지의도에 정(+)의 영향을 준다. 이 같은 결과는 Bettencourt(1997), Ganesan(1994) 등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매·서비스 분야 및 산업 마케팅 분야에서의 관계마케팅 및 관계품질 이론이 공공의 가치를 추구하는 비영리기관의 사회복지기관과 후원자와의 관계관리에도 일부 적용 가능함을 입증한다. 또한 비영리 기관의 특성상, 추구하는 가치 및 설립 목적은 후원인에게 중요한 의사결정기준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영리 기관의 가치가 후원자들에게 인식되는 수준에 따라 후원관계품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 관계품질의 결정요인과 관계품질과의 관계에서 가치적합성을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가치적합성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으로의 관계마케팅의 새로운 이론적 발전 방향을 제시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비영리기관인 사회복지시설의 경우, 비영리성 등 조직특성상 후원자에게 직접 경제적인 보상을 줄 수는 없지만, 후원자로부터 지속적인 후원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이에 상응하는 반대급부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후원자에게 후원으로 인한 긍정적 감정상태의 유발이 필요하며, 이를 상기시켜 줄 때 후원관계 성과는 높아질 것이다. 특히 가시적, 정서적, 가족적 혜택과 같은 관계혜택 중 정서적 혜택이 영향이 크고, 후원의 결과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 혹은 명성보다는 스스로의 감정적 해소를 위해 후원을 하는 것을 고려하여 후원자들의 정서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마케팅 수단 및 의사소통 채널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기관과 후원자와의 관계품질의 결정요인의 하나로 후원관계특성임을 고려하여, 개방적이고 협력적이면서 쌍방향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기관과 후원자간의 쌍방의 관계행동을 반영하는 다양한 경험적 특성이 신뢰와 몰입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후원자와의 관심분야를 데이터화하여 직접적으로 개별화한 접촉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이 과정에서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관계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후원자가 조직경영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고, 후원자에게 긍정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도구의 개발과 후원담당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기관은 관계품질의 선행요인이 신뢰임을 분명히 인지해야 한다. 타 영리 기업들도 마찬 가지지만, 특히 사회복지기관같은 비영리 단체의 경우 신뢰는 후원자들의 투자의 결정요인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비영리기관은 설립취지에 맞게 윤리적, 회계적으로 적합하게 운영되기를, 공중으로부터 기대된다. 이는 비영리 단체의 존립근거가 도덕성이라는 필수적인 요소로 내제 되어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복지 기관은 다양한 투명성 제고 방안을 추진하여 신뢰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후원금의 운영 및 기타 재정 상황을 일반인들에게 개방하고, 경영 시스템을 체계화 세분화하여 기관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하며, 후원자 관리에도 그들의 요구 사항 및 의견 등을 즉각적으로 검토하고 반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외이사제를 도입하고, 이사와 기관과의 재무적·도덕성·법적 책임에 대한 공유가 필요하다. 또 미국의 경우처럼, 민간에게 사회복지 기관의 신뢰성 검증을 의뢰하고, 그 정보를 공유하여 후원자 및 잠재적 후원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역시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의 민간감시단체인 가이드스타(Guide star)는 IRS가 정한 ‘공공자선단체’로서, 공공자선단체나 민간재단으로 지정한 860,000개 단체들에 관한 기록을 갖고 있을 뿐 만 아니라, 공공정보서비스를 통해 무료로 약100만개에 달하는 미국 자선단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가이드스타는 IRS(미국 국세청)와 Form 990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체결하였으며, IRS의 비영리기관 관리감독을 지원하고 있다. 넷째, 후원기관은 가치관리를 도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후원기관과 후원자간의 가치적합성은 관계품질과 이의 결정요인간에 정(+)의 조절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후원자들은 후원기관과의 관계에서 후원기관의 가치를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회복지기관들은 후원자들이 추구하는 가치와 기관이 추구하는 가치의 일치점을 찾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기관CF나 기관이 수행하는 캠페인명, 프로그램명 등에 기관의 가치 및 철학을 담을 수 있는 내용 및 주제를 선정해야하며, 다양화 · 전문화 되어가고 있는 후원자들의 수준을 감안하여 광범위한 가치를 제시하기보다 후원자들이 쉽게 동조할 수 있는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가치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Current situation of social welfare field is being in need of stable funding because of localizing the subject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voucher system as a gain-sharing of resource allocation. In this point, every organization concentrates on organic relationship with donors and establishes various consultative organizaions. However, most researches related "donation" don't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nor and the act of contribution but critical factors for don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 quality between donors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wo of them, relation characteristics and relation benefits were chosen as an influence factor on relation quality.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nd relation beneficiary on the relation quality between donors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is study also reported that there is som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on quality and relationship intention. From moderation effect analysis, a variable such as value congruence can be introduced for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onors and the non-profi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is result will contribute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undergone many difficulties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o maintain and develop donors.
이종헌 광주대학교 대학원, 광주대학교 부동산금융학과 대학원 2021 국내석사
The data of the tenants of urban living houses and officetels and the actual residents of the tenants are analyzed and studied. The government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ants and the tenants who live in urban living houses and officetels to study the problems and solu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a landlord who had owned the property for about six years from August 1, 2014 to August 30, 2020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The data was compiled with 1,284 cases. The analysis will be made based on statistics of 1,117 monthly rent cases, 73 sales, 52 short-term lease cases, and 42 lease cases. The monthly rent was 86.994 percent, sales 5.685 percent, short-term lease 4.05 percent and lease 3.271 percent.Of the total 1,284 cases, the number was analyzed by setting the number of cases at 1,159 excluding 73 and 52 short-term cases. There were 338 cases of moderate discharge, accounting for 29.163 percent. It can be seen that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lease period, including the initial lease and renewal period, failed to meet the lease term. In terms of monthly rental statistics, about 95 percent of tenants chose their own one-year lease period. About 5% chose a two-year lease period. In this situation, despite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the two-year lease period was not directly felt by tenants living in urban living houses and officetels (sub-housing), and the period of actual residence. Even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lease law, no tenants were found to be anxious about the lease period. There was no inconvenience in life with options such as TV,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microwave, air conditioner, induct line, wardrobe, sink, shower room and so on. It is developing into a concept of use rather than ownership. Tenants in some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S. and Europe, have signed contracts to pay about 3 million won in monthly rent for 84.8764 square meters of land, demanding full options for their mid-sized apartments. I have signed about two contracts, but I have experienced that they are not compatible with domestic sentiment yet. This is the English lease contract written in the U.S. at the time. Let's figure out the problem by aggregating the short-term lease situation. The impact of the dropout rate was due to easy moving into and leaving the facility with full options, and the main causes were job insecurity and job insecurity. In the course of work, due to the tenant's condition due to early personnel transfers, temporary jobs and part-time jobs, the withdrawal was significant. During the holidays, there were many short-term leases, and the reason was nagging at home, and other short-term leases were the types of short-term leases that were temporarily rented out due to family discord, youth independence, marriage urging, and interference with their parents' privacy. There were sales office workers, franchise sales staff, and building supervision business trips. We will analyze the disputes between residents and legal acts and study the solutions by reducing the possession of the disputes over the rights of the residents and the people's property and residents' right to rent. Given that the tenant's rights cannot be fully fulfilled due to the tenant's propensity and conditions, it can cause difficulties if he or she is not informed in advance or does not understand the contents. There will be a change to whether or not a move-in report is made du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ental business regist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because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laws to urban living houses and officetels and the influence of different management entities are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living houses and officetels and conduct legal actions. As a result of preparing the contract, we will study the choices that need to be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different opinions due to the information obta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se and lease. Let's pursue single-person singles and personal freedom. As a single-person household, I analyzed the data related to the actual residents of urban living houses and officetels. The data were prepared in the transaction process, such as the level of life, the purpose pursued, the diversity of occupations, motivation for residence, lease period, vehicles owned, and the selling price of monthly rent for maintenance. You can expect good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It is possible to set up items needed for the purpose and conduct research on past, present, and future forecasts.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the respondents will have different statistics due to insincerity, market changes, and policy changes. Comparative analysis of this research, urban living houses and officetels, puts great significance on the fact that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actual data. I think that everyone should share inform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urban living houses and officetels. What needs to be review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is that each building law and housing law is advantageous in terms of household quantity, difference in tax rate application, and construction as an urban living house and an officetel in order to pursue profits. The floor area ratio is lowered from 400 percent to 250 percent for local government offices to prevent disorderly urban development. Strengthening regulations, such as traffic impact assessment, adjustment of the number of parking lots, installation of evacuation staircases in fire-fighting facilities, and installation of evacuation areas, are considered to be beneficial to safety. In particular, due to the heavy inconvenience caused by parking difficulties, it is regulated due to its importance in expanding parking facilities and evaluating the impact of reckless development traffic. It has been shown that they make the most of the standards of 300 or less households and of several square meters in construction. In order to prevent jeonse shortages, we need a policy that can convert unsold houses into jeonse. In order to avoid various regulations, Samsung Electronics was making full use of its household size. It would be a national policy to expand LH Corporation and public-type enterprise-style construction to provide residential stability to the working class and young people. If the research data are analyzed and problems and solutions a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provided the information is satisfied, good results are expected. We want to study the exact figures so that there will be good results for the study. It will be analyzed and studied with actual transaction data. -------------------------------------------------------------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Living Houses and Officetels Topic: Legal and administrative review of differences and presentation of solutions 도시형생활주택 및 오피스텔 임대인과 실거주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연구한다. 정부는 문제점과 해결책을 연구하기 위해 도시형생활주택과 오피스텔에 사는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의 관계를 법적 행정적인 문제까지 분석할 것이다. 2014년 8월 1일부터 2020년 8월 30일까지 약 6년간 부동산을 소유했던 집주인의 관계가 수립되어 분석되었다. 이 데이터는 1,284건의 사례와 함께 수집되었다. 월세 1117건, 매매 73건, 단기 임대 52건, 전세 42건 등의 통계를 바탕으로 분석한다. 월세는 86.994%, 매매는 5.685%, 단기 임대차는 4.05% 그리고 전세는 3.271%였다. 전체 1,284건 중 73건, 52건을 제외한 1159건으로 집계하여 분석하였다. 중간 퇴실 사례는 338건으로 29.163%를 차지했다. 초기 임대 및 갱신 기간을 포함하여 임차 기간의 약 3분의 1이 계약 기간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월 임대료 통계로 보면 약 95%의 세입자가 1년 임대기간을 택했다. 약 5%가 2년 임대 기간을 선택했다. 이런 상황에서, 주택임대차보호법에도 불구하고, 도시형생활주택과 오피스텔(준 주택)에 거주하는 세입자들이 2년간의 임대기간을 직접 체감하지 못하였다. 새 임대차법이 시행되기 전부터 임대차 기간을 걱정하는 세입자는 없었다. TV,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에어컨, 인덕트라인, 옷장, 싱크대, 샤워실 등과 같은 선택권을 가진 생활에는 불편함이 없었다. 그것은 소유권이 아닌 이용의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일부 선진국의 세입자들은 84.8764평방미터의 전용면적에 대해 월세 약 300만원을 지불하기로 계약을 체결하고 중형 아파트에 대한 완전한 선택권을 요구하고 있다. 나는 두 건의 계약을 체결했지만, 아직 국내 정서와 맞지 않는다는 것을 경험했다. 이것은 당시 미국에서 작성된 영어 임대 계약이다. 단기 임대 상황을 종합하여 문제를 파악해 보았다. 중도 퇴실율이 미치는 영향은 모든 옵션을 사용하여 시설을 쉽게 드나들 수 있기 때문이었으며, 주된 원인은 고용 불안이었다. 업무 과정에서 조기 인사이동, 임시직, 아르바이트 등으로 인한 입주자 여건상 중도 퇴실이 상당수였다. 명절 기간에는 단기 임대차 계약이 많았고, 그 이유는 집에서의 잔소리, 그 밖의 단기 임대차들은 가정불화, 청년 자립, 결혼 독촉, 부모의 사생활 간서 등으로 일시 임대되었다. 영업 사무원, 프랜차이즈 영업 사원, 건물 관리 업무 출장 등이 있었다. "주민과 법적 행위 간의 분쟁을 분석하고, 거주자의 권리와 국민의 재산 및 임차권 분쟁을 줄여 해결책을 연구할 것이다. 입주자의 성향과 여건상 임차인의 권리를 충분히 이행할 수 없는 경우, 사전에 알리지 않거나 내용을 파악하지 못할 경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임대 사업자 등록 유무로 인한 입주 신고 유무에 변동이 있을 것이다. 도시형생활주택과 오피스텔에 대한 상이한 법률의 적용과 관리주체가 다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시형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을 비교분석하고 법적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 계약서를 작성한 결과, 입수한 정보 및 임대인과 임차인 관계에 따른 다양한 의견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선택 사항들을 연구할 하였다. 1인 독신자와 개인의 자유를 추구합시다. 1인 가구로서, 저는 도시형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의 실제 거주자들과 관련된 자료를 분석했다. 데이터는 삶의 수준, 추구 목적, 직업의 다양성, 거주 동기, 임대 기간, 소유 차량, 유지보수를 위한 월세 판매 가격 등 거래 과정에서 영향이 있었다. 현실적인 계약서로 설문 조사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도시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주제: 차이점에 대한 법적, 행정적 검토 및 해결책 제시
미디 이펙트(MIDI Effects)를 활용한 대중음악 제작 연구 : 자작곡 ‘This is Not a Love Song’을 중심으로
이종헌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미디 이펙트(MIDI Effects)를 활용한 대중음악 제작 연구 - 자작곡 ‘This is Not a Love Song’ 을 중심으로 - 본 연구에서는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환경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미디 이펙트(MIDI Effects)를 활용하여 대중음악에서 쓰일 수 있는 다양하고 효과적인 제작 기법을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미디 이펙트로 제작 가능한 효과의 범위를 리듬 패턴, 분산화음 패턴, 스터터(Stutter)효과로 선정했다. 이 효과들을 제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DAW 시스템 중 에이블톤 라이브(Ableton Live)의 미디 이펙트인 Arpeggiator, Chord, Scale, Velocity를 사용했다. 이와 같이 선정된 미디 이펙트들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미디 신호의 길이, 음정, 강약 등을 변화시킨 후 각 패턴 및 스터터 효과를 제작하고 자작곡에 적용해 봄으로써 미디 이펙트의 활용방안을 제시했다. 연구결과, 패턴과 효과 제작 시에 각 미디 이펙트의 설정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만으로 출력 미디 신호의 길이, 음정, 재생 속도 등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직접 미디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비해 간편하게 패턴 제작이 가능하며, 제작된 패턴의 변화 또한 실시간으로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이펙트의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에 적합한 다수의 미디 이펙트를 조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음악 제작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디 이펙트의 제작기법이 오디오 루프 샘플의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음악 제작 환경에서 작곡가가 의도하고자하는 자신만의 표현기법을 제작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examines various effective techniques for composing popular music that use MIDI Effects, which is one of the basic tools provided in DAW (Digital Audio Workstation) environment.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rhythm patterns, arpeggio patterns and stutter effects are selected as the elements to confine the scope of effects that are capable of being created by MIDI Effects. Arpeggiator, Chord, Scale and Velocity - MIDI Effects of Ableton Live in DAW System - are employed in creating the above-mentioned effects. The parameters of these selected MIDI Effects are used to adjust the lengths, scales and dynamics of MIDI signals so as to create the relevant patterns and stutter effects. The subsequent application of these patterns and effects on the author's composition ‘This is Not a Love song’ demonstrates a useful application measure of MIDI Effec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veals that it is more convenient to create desired patterns and effects via suggested approach compared to manually selecting and inserting MIDI signals as the lengths, scales and play speed of MIDI signals can be adjusted simply by controlling the settings of each MIDI Effect. Moreover, changes in the subsequently created patterns and effects may also be controlled and modified in real-time. Therefore,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each Effect and generating a combination of numerous Effects that are appropriate for creating the users' desired patterns and effects would enable more effective composition of musical works. Employing audio loop samples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the environment of composition of popular music.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proposes composition techniques using MIDI Effects that are geared to assisting composers to develop their own expression techniques that would give better effect to their intent in their musical endeavors.
Robustness and high efficiency are the key characteristics for applicable wireless power transfer (WPT) technology. Recently, a coil-to-coil WPT system maintaining high efficienc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motion of the receiver has been demonstrated. The system used a nonlinear Parity-Time (PT) symmetric circuit to automatically track the resonant frequency as the operating frequency. The efficiency, however, is vulnerable to degradation for the lateral motion because the coupling decreases rapidly in that direction. This work demonstrates that by introducing neutral elements in a parallel configuration, we are able to achieve robustness of WPT in both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This technology will be a key step to provide a user the full freedom of location while the device of the user charges with high efficiency.
TICN 교환망의 전술 라우팅에 적합한 OSPF에 대한 연구
본 논문에서는 전술종합정보통신체계(TICN: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에서 사용가능한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라우팅 프로토콜을 전술 통신환경에 맞도록 개선한다. 기존의 OSPF는 유선 통신망에서 최적화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무선 전술망 환경의 특성인 페이딩이나 재밍 등의 환경에 능동적으로 반응하지 못하여 성능이 떨어지는 경로를 그대로 유지하는 취약점이 있다. 이에 제안하는 OSPF는 무선 환경의 특성과 전술환경의 특성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비용함수를 재정의 한다. 새롭게 정의된 비용함수를 구성하는 파라미터는 네 가지로 상대적인 전송 속도, 링크 가중치, 라우터의 이용률, 링크 평균 BER(Bit Error Rate)이다. 재정의 된 비용함수로 인해 OSPF는 무선 전술환경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 경로 설정에서 능동적으로 반응하게 하였다. 또한 OSPF의 Hello 패킷을 개선함으로 각 기반노드의 무선 링크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하는 OSPF는 재밍 신호에 영향받는 경로를 다른 경로로 변경하므로 기존의 OSPF보다 능동적으로 경로를 설정하였으며, 두개의 트래픽 생성 시 경로를 분산시킴으로 네트워크를 폭넓게 사용하였다. 이에 누적 dealy 측면에서도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한다. This thesis proposes to improve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routing protocol for tactical communication in TICN(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ICN is a future tactical military communication information system that will enable precise command and control and decision. Firstly, OSPF is the optimized routing protocol in wired network, so it cannot react inadequately in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 there are many phenomenon; multi-path, diffraction, distraction. Proposed OSPF reacts adequately to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with redefine of cost function. In cost function, there are four parameters; relative transmission speed, link weight, router utilization, link average BER(Bit Error Rate). This improve cost function reflects wireless tactical communication. Therefore, OSPF is able to actively change the traffic route from bad route to alternative route. Then, we remodel the hello packet field to monitor the link state. From the simulation result, we prove that proposed OSPF is better than OSPF in jamming situation and has accumulative delay gain with dispersion of traffic load in entire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