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成就目標指向性 槪念의 再分化

        이종욱 全北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conceptual re-differenti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New conceptualization is composed of 2×2×2 frame: 2 orientation contents of ‘mastery’ vs ‘performance’, 2 orientation attitudes of ‘approach’ vs ‘avoidance’, and 2 orientation distances of ‘distal’ vs ‘proximal’. The last one is the unique feature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623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Two hundreds and four of them were utilized as exploratory group and the other 359 students were utilized as confirmatory group. The measure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2×2 8 factors structure. Total of 32 items were created, in which 4 items were included in each of the 8 factors. After examining the response tendency of items, internal consistency and uni-dimensionality of 8 factors, 28 items were maintained for the further analyses. A seri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2×2×2 factor structure. This means that the new conceptualiz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evidently confirmed.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oretically, a motivational system of ‘controlled vs autonomous’ was suggested in comparison with the usual ‘extrinsic vs intrinsic’ system. Practically, the usefulness of orientation multiplicity was emphasized for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was highlighted in view of ‘short-term objective’ vs ‘long-term goal’.

      • 제 4차 공무원연금법 개혁과정에서 교원단체를 중심으로 하는 옹호연합의 형성과 작동 분석

        이종욱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육학의 영역에서 교원정책 중 하나이며 공무원 보수정책과 인사정책 기능으로 작동한 제4차 공무원연금개혁 정책형성과정의 원인과 과정, 그 결과를 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제4차 공무원연금 개혁 과정에서 교원단체를 중심으로 하는 옹호연합은 어떻게 형성되고 작동 했는가?”라는 점이 핵심적인 연구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홍호연합모형의 분석변수를 중심으로 세부적인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옹호연합의 형성과 작동을 하게 만드는 외적 요인은 무엇인가, 특히 안정적 외적변수로서 공무원연금 개혁 문제가 정부의 정책의제로 설정되게 만든 요인과 배경은 무엇인가? 또한 역동적 외적변수로서 공무원연금 개혁을 추동한 정치적 기회구조는 어떤 것이며 사회경제적 조건의 변화와 여론의 변화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둘째, 정책하위체제로서 옹호연합모형의 역동적 상호작용은 어떠하였는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부 사항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i) 정책 과정의 핵심적인 정책참여자들은 누구였고, 그들이 어떤 신념과 이해관계로 옹호연합체를 형성하였는가? (ii) 옹호연합체들의 구체적인 활동과 전략은 어떠했으며, 이것이 어떻게 정책변동에 영향을 미쳤는가? (iii) 연합체들은 어떤 정책지향 학습을 하였으며 당초 정책신념은 어떤 내용으로 변경되었는가? (iv) 정책연합체간 갈등을 극복하고 산출을 가져온 정책중개자는 누구였으며,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했는가? 셋째, 공무원연금개혁 추진으로 어떤 산출물을 얻었고 그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일부에서는 제4차 공무원연금법 개정은 불완전한 개혁이었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무원연금법은 재개정 요구가 정부, 정치권, 언론, 시민단체 등을 통해 또 다시 제기될 수 있다. 이 경우 2015년 공무원연금개혁 추진과정에서 미흡했던 부분을 분석해 대안을 모색 할 수 있다. 또한 정책결정의 시행착오를 줄이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와 제시한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공무원연금제도, 교원단체, 옹호연합모형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논의하며, 3장에서 연구방법을 정리하면서 옹호연합모형 이론의 관점에 입각한 분석틀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공무원연금 개혁의 경과와 결과를 정리하고 나아가서 정책형성과정과 연구모형의 메커니즘을 본 연구의 분석틀에 입각하여 고찰한다. 이러한 공무원연금 개혁의 정책과정 분석을 통해, 공무원연금개혁 정책형성과정과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과 그 활동 내용을 밝혀내고, 연금개혁과정에서 맞선 세력 간의 대립과 갈등 설득과 압박 그리고 상호작용의 결과와 산출물을 분석하고자 한다. 5장에서 연구의 핵심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 결과를 논의한다. 이를 통해 공무원연금 개혁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공무원연금 개혁과정에 대한 연구를 위해 질적 분석으로서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틀로 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연금개혁 정책변동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에는 불균형적인 연금수급구조와 미래세대의 과중한 부담을 유발하게 하는 연금수급자의 증가와 공무원의 기대수명의 증가에 따른 연금수급기간의 장기화를 만드는 고령화 등의 안정적인 외적변수가 있다. 둘째, 공무원연금개혁 정책변동과정에 참여한 정책하위체제 내의 정책참여자들은 정부관료, 이익집단으로 구성되는 교원단체, 공무원노조단체와 정당, 언론, 시민단체 등 다양한 구성원들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정책형성과정에서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자신들의 신념체계에 따라 다양한 집단을 구성하고 옹호연합을 형성하였다. 셋째, 공무원연금개혁 정책과정에서 생성된 정책산출은 연금재정안정연합의 정책핵심신념의 변화와 여야 정치권의 정치적 타협으로 구분되었다. 넷째, 제4차 공무원연금개혁은 연금개혁으로 재정건전성 확보를 통해 공무원연금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확보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무원연금개혁과 관련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변동 분석함에 있어서 한 가지 모형의 적용보다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종합적인 분석틀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옹호연합모형의 분석요소 중 옹호연합의 신념과 정책중개자를 중심으로 활동과 전략을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셋째 향후 공무원연금개혁을 할 경우 관련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수렴을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넷째 공무원연금의 특수성과 인사정책적 기능의 인식제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 공무원연금개혁, 옹호연합모형, 교원단체

      • Integrated analysis of DNA methylation, microRNA, transcriptome and exome wide association study in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이종욱 Soonchunhyang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s a chronic, progressive form of lung disease characterized by fibrosis of the supporting framework of the lungs. Epigenetic mechanisms a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pathogenesis in IPF. To determine the DNA methylation and miRNA expression change, and their effects on gene expression, we compared microarray data of DNA methylation, RNA and miRNA expression, and exome-wide association study. Methods: A microarray of gene expression, DNA methylation, miRNA were performed in 8 IPF-fibroblasts and 4 controls using the Illumina HumanHT-12 BeadChip, Illumina HumanMethylation450 BeadChip, Agilent miRNA Microarray 8 x60k, and EWAS was performed in 186 IPF and 262 controls using the Exome-24 v1.0 BeadChip. Correlation was evaluated between the intensities of mRNA (t-test and TNoM p<0.05, fold changes>l2l), miRNA (t-test and TNoM p<0.05, fold changes>l1.2l) and beta values of CpG sites (t-test p>0.05 and delta beta values >l0.2l) on these genes. Results: Among 178 genes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DEG) between IPF and controls, 15 genes exhibited >10-fold change of mRNA. Among them, 13 were novel in relation with IPF. On CpG methylation assay of a total 485,577 loci, 5,850 loci were present on 2,282 differentially methylated genes between the two groups (delta beta of >l0.2l and p value <0.05). Among them, beta values of 80 CpGs (30 hypermethylated and 50 hypermethylate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RNA expression of 34 genes (13 down regulated and 21 upregulated). Among them, 26 genes have not been recognized in processes of fibrosis. Among the 2,006 miRNAs on the chip, 10 miRNA showed different expression targeted the 3,167 of 15,020 genes. Six miRNAs targeted 62 genes among the 178 DEG.s Among them, levels of 5 miRNAs targete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RNA levels of 43 genes (p<0.05). Network analysis using 5 miRNAs and 43 genes demonstrated that 19 genes were co-targeted with more than 2 miRNAs. Among them, PTGS2 (Cox-2) gene was interacted with 4 miRNAs. In the EWAS study, 1,052 genes including 1,655 exonic SNPs identified genetic risk with association in IPF (HWE> 0.05 and p value<0.05). Among them, 8 genes (4.49% of 178 DEGs) including 9 SNPs were overlapped. In the integrated analysis of the transcriptome, miRNA and DNA methylation study, 12 genes of 178 DEGs were overlapped with genes targeted by 5 DEMis, and genes which containing the 22 CpGs. These 12 DEGs, 5miRNAs and 22 CpG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IPF and normal control. Additionally, among the 12 DEGs, 2 DEGs including TMTC1 and PRKG2 genes were contain the 4 DMs and 2 SNPs, and targeted by 4 DEMis. Conclusion: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y that 178 DEG were affected by 19.1% CpG methylation, 24.1% miRNA and 1.1% exonic SNP. Our study is the first to provide an overview of epigenetic and genetic regulation at the combined levels of DNA methylation, miRNA expression and gene expression in IPF fibroblast, and EWAS in IPF, and then systematically identified differentially expressed noble gene that may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IPF. And then, these data confirm the relationships between altered DNA methylation levels and miRNA expression by lung tissue fibroblast, and we evaluated the genetic variant by EWAS in IPF. They provide insight into transcriptomic, genetic and epigenetic changes in IPF lungs and identify novel genes responsible for the pathogenesis of IPF.

      • 체험주의에 기반한 도덕교육에 대한 연구 : '고전과 윤리'수업과 관련하여

        이종욱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전과 윤리’에 대한 새로운 도덕교육적 접근을 위해 ‘체험주의’를 그 이론적 기반으로 삼았다. 체험주의는 현대 과학의 성과와 다양한 학문 분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인지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세계가 다원화되고 그로 인한 문제는 복잡하고, 각 영역의 변화의 속도는 인간의 능력으로 따라잡기 어려운 수준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점에 ‘도덕교육’과 ‘고전’이라는 주제는 시대적 가치와 적절성이 있는지 먼저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의미가 불분명한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 학교 교육을 전제로 하는 도덕교육과 고전교육은 오히려 구시대적이고 낡은 사고 방식, 부적응적 사회 인식 등으로 오해를 받을 수도 있다. 무엇으로 이 둘은 정당화할 것인가. 체험주의의 기본적인 사유의 틀을 살펴보면, 인간의 인식은 몸을 기반으로 하고, 몸에 의한 체험이 은유적 과정을 거쳐 인지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의 바탕에는 기존의 절대주의와 이성중심주의에 대한 비판과 한계를 지적하는 지적 전환의 자세가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체험주의에서 우리는 기존의 주류적 사고와 중심적 사유에 대한 반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도덕교육의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덕교육의 주류를 형성했던 콜버그류의 합리주의적 도덕교육, 덕윤리에 바탕한 도덕교육 등을 체험주의적 관점에서 비판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려 했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데는 이르지 못했으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반성적으로 도덕교육을 바라볼 수 있었다. 특히 ‘고전과 윤리’의 고전과 체험주의적 사유방식 사이의 유사점을 찾고 이를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도덕교육이 지니고 있는 정체성으로서의 앎과 실천, 즉 몸의 행위를 통한 실천적 측면의 아이디어를 체험주의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이것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현대와 서구, 전통과 한국이라는 범주로 나누어 수업을 위한 기초적 제안을 하였다. 살아 움직이는 교실의 수업 장면과 특수하고 개별적인 교육 현장의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수업 실천을 위한 방법적 제안으로 비평과 번역, 강, 체화와 만남을 제시하였다. 고전은 삶의 의미 물음에 관한 보편적인 탐구와 그 검증된 결과물을 담고 있는 책이다. 시간적 검증과 어느 사회에서나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유효성을 확보한 것이 곧 고전이고, 이것들을 관통하고 있는 화두는 당연히 삶의 의미 물음이자 인간다운 삶을 향한 열망이다. 삶의 의미 물음, 존재에 대한 가장 깊은 수준의 스스로와의 만남과 대화를 이끌어 주는 것이 고전 독서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고전과 새로운 사유의 구조와 방법으로서의 체험주의의 접점을 학교 수업의 영역에서 확인하고 그 반응을 더욱 확장시켜 나가고자 한다. 이 연구가 2018년 새롭게 적용되는 ‘고전과 윤리’ 수업에 그 이론적 기초와 방향을 제공하기를 바란다.

      • KCl 용융염 합성법에 의한 0.9Pb(Mg⅓Nb⅔)O_(3)-0.1PbTiO_(3)세라믹스의 제조 및 유전성

        이종욱 安東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Preparation and reaction mechanism of 0.9Pb(Mg1/3Nb2/3)O3-0.1PbTiO3 (PMNT) by molten salt synthesis method using KCl salt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600℃ to 850℃. For the specimens that was calcined at 800℃ and then sintered at 1100℃, the dielectr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 have been also investigated. From the results of XRD analysis, the formation of perovskite phase was accelerated in the MSS method, as compared to the CMO method at temperatures higher than 700℃. The perovskite phase with less than 7% pyrochlore phase could be prepared in the MSS powder calcined at 800℃.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improved reactivity due to the shorter diffusion distance between solids by the melting of KCl salt at lower temperatues. The powders prepared by the MSS method showed the sperical particles due to the interaction of KCl salt. However, the powders prepared by the CMO method showed very agglomerated and nonuniform particle characteristics. In the MSS specimen sintered at 1100℃ for 4hrs, dielectric constant and loss was 9000 and 0.03, respectively.

      • CSCL에서 Microblogging활용이 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사회과를 중심으로

        이종욱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CSCL 학습이 협력활동을 하면서 공동의 지식을 구성하는 새로운 학습환경 또는 학습방식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새로운 형태의 학습촉진도구로서 마이크로블로깅이 학습자의 상호작용 지원유형에 따라 공유정신모형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 알아보고자, 세 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지원 집단(스캐폴딩도구로 사용하는 집단, 논증도구로 사용하는 집단, 글쓰기도구로 사용하는 집단)을 구성하여 실험을 통해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 활용 학습이 공유정신모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마이크로블로그의 활용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 논증도구,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 간에 팀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 논증도구,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 간에 팀 과제에 대한 공유정신모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문헌과 사례 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고,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을 상호작용 지원도구로 설계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예비 실험을 실시하여, 기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이후에 연구 대상자들을 각각 실험집단에 무선 배치하였다. 스캐폴딩을 지원하는 집단에는 집단을 이끌어가는 리더를 2명 선정하여 과제를 진행하는 동안 마이크로블로그인 미투데이(me2DAY)를 활용하여 스캐폴딩 역할을 하도록 사전에 교육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집단의 논증도구로 활용하는 집단에서도 리더를 2명 선정하여 과제를 진행하는 동안 논증활동을 지원하도록 사전에 교육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글쓰기 집단에는 특별한 지원기능이 없이 집단구성원들이 글쓰기 도구로 미투데이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은 2주 동안 미투데이를 이용하여 팀 과제를 수행하였다. 팀 과제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사회 2단원을 학습한 후 제공된 CSCL 학습 싸이트인 네이버 까페의 과제방에 각 조별 과제를 웹상에서 협력적으로 작업하여 제출하는 것이다. 팀 과제를 마친 후에 공유정신모형을 1회 측정하여, 공유정신모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실험이 끝난 후 사이트와 마이크로블로그에 포스팅 된 글에서 스캐폴딩집단, 논증집단, 글쓰기집단의 팀별 활동상황과 학습자들의 토론의 내용과 빈도, 적극성, 토론의 지적 수준, 동기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CL 환경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 논증도구,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 간 팀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팀 과제를 마치고 측정한 팀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의 평균점수는 마이크로블로깅을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 마이크로블로깅을 논증도구로 사용한 집단,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로 사용한 집단 순으로 높았으며,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마이크로블로깅을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로 사용한 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마이크로블로깅을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마이크로블로깅을 논증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마이크로블로깅을 스캐폴딩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마이크로블로깅을 논증도구로 사용한 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팀 과제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에 대한 평균 점수는 글쓰기도구, 논증도구, 스캐폴딩도구 순으로 높았다. 집단별로 공유정신모형의 평균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 분석을 하였다. 사후검증 결과에서도 마이크로블로깅에서 스캐폴딩 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논증도구로 사용한 집단과 글쓰기로 사용한 집단 사이에 평균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을 활용한 도구의 유형이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글쓰기도구와 논증도구 유형이 스캐폴딩도구 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마이크로블로깅을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이 팀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의 형성을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 지원도구 유형이 팀의 과제에 대한 공유정신 모형 형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한 본 연구의 두 번째 가설은 결과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마이크로블로깅을 글쓰기도구로 사용한 집단이 팀에 관한 공유정신모형의 형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고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의 사용자 만족도와 학습결과도 좋았다. 따라서 마이크로블로깅은 CSCL에서 글쓰기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블로깅을 학습에 이용하는 방법이 학습결과물을 보다 더 숙고할 만한 것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 마이크로블로깅이 이러한 과정을 지원하는데 적합한 기술이 될 수 있는지를 실험한 결과 학생들은 보다 더 참여적이었고, 더 반성적이었으며 더 비판적이었고, 예전보다 훨씬 더 많은 개인적인 기술과 의견을 피력함으로써 마이크로블로깅을 이용할 때 정보 활용에 있어 놀랄만한 가능성과 새로운 방법이 열려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한 Ebner & Maurer(2008)의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CSCL에서 마이크로블로깅은 집단 구성원들 간의 자유로운 글쓰기를 통해 팀원들의 역할과 책임, 정보의 제공과 공유,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집단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microblogging as collaboration supporting tools those are a scaffolding tool,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and a writing tool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and team task. In order to find out the above described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of the study were delineated. The first question of the study is whether using microblogging as a scaffolding tool,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and a writing tool has a meaningful difference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The second question of the study is whether using microblogging as a scaffolding tool,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and a writing tool has a meaningful difference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task. The method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rough the references and case studies,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the strategies to design meaningful interaction supporting tools using microblogging are produced. An experimental study was undertaken for two week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supporting tools in terms of microblogging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and team task. Twenty -nin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Team task was ' Submit of group task which is given after learning social studies in Naver Cafe assignment section after implementing collaboratively on the web.'. In each group except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two learners selected as leaders had been taught to use me2DAY program to support the team activity before the experiment. Shared mental model of team was assessed on a Liker's 5-point scale and team task was analyzed by examining learner's log-files and frequency, motivation, level and participation attitude of their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ith the regard to the effects of microblogging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groups.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average score between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and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 scaffolding tool. However,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average score between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and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And also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average score between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 scaffolding tool and the group using microblogging as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Through this result,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can be effective on building shared mental model of team. Second, with the regard to the effects of microblogging on shared mental model of team task,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average score among the groups using microblogging as a scaffolding tool, an argumentation supporting tool and a writing tool. One-way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score was meaningful statisticall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through this study. First, when using microblogging as supporting tools in CSCL, the type of supporting tools can affect on building shared mental model of team. The team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got higher score than the others. Through this fact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can be more effective on building shared mental model of team. Second, when using microblogging as supporting tools in CSCL, the type of supporting tools doesn't affect on building shared mental model of team task. To sum up, the study may suggest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Microblogging would contribute to build shared mental model of team and team task. Especially using microblogging as a writing tool to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would be more effective to build shared mental model and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earning outcome. As a result microblogging would be an appropriate learning supporting tool from the fact that learners were more involved, more reflective and more critical in the process of their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at learners expressed more detailed description and personal opinions during the learning session using microblogging, microblogging seems to have the remarkable possibility and new ways are open in the field of information utilization. In conclusion, microblogging can be an effective tool to enhance learning efficiency by facilitating meaningful interaction, information providing and sharing about learning and recognition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mong team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