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ssays on Trade Policy in the Presence of Asymmetric Information:An Incentiv e Compatible Approach : 이종민

        이종민 Univ. of Florida 1994 해외박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한자가 일본에 먼저 전파된 다음 한반도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한금세기 최고의 중국 언어학자인 Bernhard Karlgren의 견해를 반박하기위하여쓰여졌다. 그러므로 고대 동아시아옳記�전래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하는 백제 한자음을 「三國史記」에 나오는 地名을 자료로국어학적 방법에서탈피하여 중국 역사 음운론의 체계와 방법에 의해 새롭게 재구했다. 이 백제 프薩뮌�고대음인 上古音(漢以前音)과 隋唐代音인 中古音등과 비교 분석하여,한국의 고대 한자음을箚資습�흔적을 지니고 있었음을 밝혀냈다. 이를근거로 한국 고대 한자음이 일본의 가장 오래된체계인 吳音보다 더 이른시기의 중국음을 반영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Karlgren의 견해를 반박했다러백제 한자음을 중국의 주요 현대 방언들과 비교하여 백제 한자음의 지역적 연원에대해 고찰했늡逵窩�통설이었던 백제음, 일본 吳音과 중국의 浙江省일대의吳語와의 관련설에 대한 문제점을 � 현대 중국 방언중에는 福建省일대의閔語가 백제음, 및 일본 吳音과 가장 흡사함을 밝혀냈다. 윱�閔方言이 고대吳方言의 음운 체계를 많이 보존하고 있는데서 기인한 사실로, 백제 한자음의연논할 때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그러므로 백제 한자음의 연원이 중국의吳語라고 하는 것은 어폐갭�보다 정확히 고대 閔語 또는 고대 吳語라고해야함을 주장했다. 이 논문은 중국 언어학계에서 이견이 많은 上古音 재구에참고할 만한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으며, 고대 동아시아에서의전래의시기와 경로에 대한 기존 학설을 반박하고 새로운 견해를 제시한데 그 학문적중요성이 있�

      • 시설보호아동이 지각하는 자립준비정도와 퇴소후 적응어려움과의 관계 탐색 : 보호기간 임박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종민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urrent children care facility is the life place of children decided with the protective measure method through children deliberation committee after finding the children needing the protection of the head of a province, city, country or ward or receiving guardian's request. According to the related law, the children who enter the children facility and live before 18-year-olds must be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by the year when the children become 18-years-old. So, it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to need the time for the self-support preparation. Lots of research is the study not only for figuring out the decision points of understanding how self-support preparation is set up while children's living in the facility before the discharge, but also for identifying the life after the children's discharge. Therefore, the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children care facility can control the difficulties for the adaptation after the discharg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elf-support preparation level at the time of the discharge with having last few protective period. The aim is to study if the adaptation difficulties is controlled with discharge preparation level after the discharge when the children care facility leave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end of protective period and later, for the facility to help to establish the policy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he technical discharge preparation after find out the practical method and welfare policy with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such purpose, the survey was done with 139 participants being selected, who live in 10 children care facilities in Chung cheong buk-do province. Summariz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ho lives in the children facility, there are more male children than female children, overall the 63 % of the participants has the religions, 51.8% is middle school students, and 48.2% is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being more than the age of the fir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when the self-support drill starts were selected because of the shortage of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Through the entrance period in the children facility, 52,5% of the orphanages has the less ten-years resident period, and 47.5% of them has the more ten-years resident period. More than the sixteen-years-old, which means that the end of the protection period is within 3 years is 47.5%, and less than the fifteen-years-old meaning that the end of the protection period remains more than 3 years is 52.5%. Examin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the variables which show relevant difference of the gender and statistical figures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re the hardship of adaptation and self-support will. The self-support will based on the academic background shows the lower the academic background is, the higher the problem solving skill is. It is shown that the high school student is higher problem solving skill and self-support will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 Taking a looking at the hardship of adaptation after the discharge based on the life period in the participants, the less the life period in the children care facility is, the less the hardship of adaptation after the discharge is. Second, it is shown that in order to prepare the discharge for the the children care facility, the more the self-support preparation is arranged, the lower the hardship of adaptation after the discharge is.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 variable which influences the factor is found because of the lack of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r the hardship of adaptation felt by the children care facility. Being organized into the self-support will, life task technique, interpersonal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e subordinate of the self-support preparation should specifically be examined. If the self-support is decided not by someone's assistance but by only self-support will, it is seen that it is composed of self-esteem. So,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esteem is, the higher the self-support life skill is. Life task technique is known through the children care facility's life process. Female children are more dependent on the facility than male children. Such trend is accepted that when the discharged the children care facility face the raw society system, they suffer for less adaptation difficulty in case of not thinking of one of the barriers. Interpersonal skills are to solve various problems faced to the children care facility after the discharge. That is, interpersonal skills as the social factor of the self-support is to utilize local society resource, it is important to have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In the problem solving skill, the problem solving behavior is to avoid the damage caused in the life accidents, and the problem solving skill is used on the important life turnover.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public's awareness to the discharged from the children care facility gives them negative influences. It is true that the public have the social bias to all the children care facility as the sick who are on hospitalism in the social context. Such a social atmosphere let the children care facility do helplessness, so tend to low their self-support level. It is necessary to reduce such a negative bias. Third, it is shown that the more the time for the children care facility to leave after the protection period is impending, the more difficult it may be to adapt to society after discharge. The the children care facility have two time's separation experience: the first separation from the original family to the facility that means the change of environment system, and the second separation from the facility to the society that means it need the adaptation to the society. The typical emotion, the fear to the adaptation to the society after discharge, is what the children care facility at that time suff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the suggestion as a way to prevent the hardship of adaptation of the facility child is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or programs is tried to increase self-support will. Facility protection is considered a positive perspective rather than a negative perspective, an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become self-support around the will. Second, life task technique which must be included is the part of the self-support preparation process, and depending on how long the discharge period remains, the preparation can be changed. The life task technique should be provided within the capacity that children can accept. Third, the way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is generally developed as social skills training. The point of social skills training is to practice the lack of interpersonal skills through training courses. To actually connect with people who meet in society it is necessary to meaningfully examine social support that can be an indicator of interpersonal skill and expand it that can get social support.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important how our society recognizes the discharge of the children care facility. Fourth, the program is developed to enhance problem solving skill. In many studies for problem solving skill, problem solving skill which is developed directly helps improve the problem solving skill of children and alleviate the stress of the discharge. In addition, what the key point of this study shows is that the children who are near the end of the protection period have psychological pain for the life after the dischar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the function of self-support living facility if children want, as well as the function of the essence of the children care facility where only children under 18 years old lived in accordance with the multi-function of facilities. And it is better if the children care facility has the function of providing self-support related customized services to the children care facility. 현재 아동양육시설은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을 발견하거나 보호자의 의뢰를 받고 아동복지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보호조치 방법을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온 아동들이 생활하는 시설이다. 아동양육시설에 입소 후 아동은 아동에서 벗어나는 만 18세가 되는 해 전까지 시설에서 생활하며 관련법에 따라 만 18세가 되는 해에 퇴소해야한다. 그래서 아동은 퇴소 전까지 스스로가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지금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 어떠한 의미인지에 대한 삶의 방향과 꿈과 의지를 실현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해야한다. 따라서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향해 자립을 위한 준비시간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퇴소 전에 시설에 거주하면서 자립준비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알아보는 결정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들이거나 퇴소후의 생활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시설아동이 퇴소에 즈음해서 개인적인 자립준비정도는 앞으로 보호기간이 얼마나 남아 있는가에 따라 퇴소후의 적응에 대한 어려움을 조절할 수 있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시설아동이 보호기간 종료에 따라 퇴소할 때, 그 전까지의 퇴소준비정도와 퇴소 후의 적응에 대한 어려움의 관계에서 보호기간의 종료에 임박한 정도가 가까워도 적응의 어려움을 조절하는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조절효과를 파악하여 실천적인 방법과 정책적 대책을 찾아내어, 향후 시설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회복지실천과 전문적인 자립준비를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충북에 소재한 10개 아동양육시설에 입소한 시설아동 13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시설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해 살펴보면 남자아동이 여자아동보다 많았고 종교는 전체적으로 63%정도가 갖고 있으며 학력은 중학교 재학 51.8%, 고등학교 재학 이상이 48.2%로 나타났다. 연구초기에는 연구대상자를 고등학교 1학년 재학생 이상을 생각했었지만 조사대상자가 너무 적어 자립훈련을 시작하는 나이인 중학교 1학년 이상으로 하였다. 입소기간을 살펴보면 10년 미만이 52.5%, 10년 이상이 47.5%이고 보호기간 종료 3년 이내인 16세 이상이 47.5%, 3년 이상인 15세 이하가 52.5%이다. 이러한 연구참여자로부터 분석하여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아동양육시설 시설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성별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퇴소 후 적응어려움과 자립의지이다. 성별에 따라 퇴소 후 적응어려움은 남자아동이 여자아동보다 더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아동은 여자아동보다 자립의지를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자립의지는 학력이 낮을수록 자립의지와 문제해결기술이 더 높게 나타나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문제해결기술도 높고 자립의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소기간에 따른 퇴소 후 적응의 어려움을 살펴보면 입소기간이 적을수록 퇴소 후의 어려움도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둘째, 시설아동은 퇴소에 대비하여 자립준비를 많이 할수록 퇴소 후 적응어려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 아동양육시설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퇴소 후 적응어려움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으므로 이를 토대로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아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자립준비의 하위변수는 자립의지, 생활과업기술, 대인관계기술, 문제해결기술로 구성하였으므로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자립의지는 타인으로부터의 조력을 지원받지 않고 자신의 의지에 의해서만 모든 것을 결정하고 행동한다고 할 때, 이는 자아존중감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립생활기술도 높아진다는 의미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생활과업기술은 시설아동의 생활과정을 파악하면 알 수 있다. 여자아동들은 남자아동보다 시설에 더 의존도가 높다. 이러한 경향은 퇴소아동이 사회라는 환경체계로 전환할 때 하나의 장벽 또는 장애로 여기지 않을 경우에 적응어려움이 적을 것으로 받아들인다고 할 수 있다. 대인관계기술은 시설아동들이 퇴소 후에 자신에게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 자립에는 경제적인 요소와 심리적인 요소와 같이 시회적인 요소를 가져야 한다. 즉, 자립의 사회적 요소로 대인관계기술은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문제해결기술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행동은 생활사건에서 발생하는 손해를 피하기 위해 행하는 것이고, 중요한 생활의 변화와 전환할 때 문제해결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시설아동이 퇴소했을 때, 사회가 시설출신 아동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사회구성원은 사회적 맥락에서 시설아동들은 모두 동일하게 시설병적인 특성을 지닌 문제를 소지하고 있다고 보는 사회적 편견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시설청소년들에게 정말로 그렇게 행동하도록 침투하여 무기력하게 만드는 요소가 있어서 자립준비정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배제시키는 분위기를 갖추어 나가야할 것이다. 셋째, 시설청소년이 보호기간을 마치고 퇴소할 시점이 임박할수록 퇴소 후 사회에 적응하려할 때 어려움이 많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고 나타났다. 시설아동은 일반적으로 원가정에서 아동양육시설로의 가정으로 환경체계의 변화를 한번 겪었고, 두 번째로는 시설에서의 보호기간 종료에 따라 시설에서의 퇴소에 따른 변화로써의 사회로의 적응일 것이다. 이렇게 퇴소 후 사회에 적응하는 것에 대해 보통 퇴소시기에 시설아동들이 겪는 대표적 감정은 막연한 두려움일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시설아동의 적응어려움을 예방하는 방안으로써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립의지를 높이는 훈련이나 프로그램을 시도해야할 것이다. 시설보호를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긍정적인 시각에서 봐야할 것이고 의지를 중심으로 자립할 수 있는 노력을 기울여야할 것이다. 둘째, 생활과업기술은 자립준비과정에서 반드시 포함되는 부분으로 퇴소기간이 얼마나 남아있느냐에 따라 생활과업의 준비는 달라질 수 있고 아동이 받아들일 수 있는 역량 내에서 생활과업기술에 대한 프로그램과 훈련이 제공되어져야할 것이다. 셋째, 대인관계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은 대체적으로 사회기술훈련으로 개발하고 있다. 사회기술훈련의 초점은 대인관계기술의 부족을 훈련과정을 통해 연습하고 사회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실제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대인관계기술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사회적 지지를 의미있게 보고, 사회적 지지를 얻을 수 있는 대인관계기술을 확대시켜야할 것이다. 한편, 시설아동의 퇴소에 대하여 우리 사회가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대해서도 중요하다. 넷째, 문제해결기술을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할 것이다. 문제해결기술을 위해서 많은 연구에서는 직접적으로 개발하여 문제해결기술프로그램이 아동의 문제해결기술을 향상시키고 퇴소스트레스를 완화시켜 도움을 주게 된다. 아울러 이 연구의 핵심으로 드러난 점은 시설아동은 보호기간 종료시점에 가까운 아동들일수록 아동들이 겪는 퇴소 후 적응어려움은 심리적 고통이다. 따라서 아동양육시설은 시설의 다 기능화에 맞춰 만 18세 미만의 아동들만 생활했던 아동양육시설의 본질의 기능 뿐 아니라, 아동들이 원한다면 자립생활시설로서의 기능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동양육시설이 시설아동에게 자립관련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다면 더 할 나위 없다고 본다.

      • 측량대가의 기준과 건설공사 표준품셈의 측량비용 산출 구성 분석 및 현실화 방안

        이종민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has registered as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nd become one of the unlimited development potential areas in industry. But there is no big change in government standard of surveying cost which is base of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This causes much difficulties in calculating the actual cost. Currently in South Korea, we utilize government standard of surveying cost and standard of construction estimate for cost. But based on these two criteria, there are problems when applying to complex measurement process and new technology. Also, there is ambiguous standards without the exact boundary in direct cost and indirect cost which are suggested from government standard of surveying cost. The number of input personnel, geographical coefficient, area coefficient, and the amount of work coefficient are considerably different in objective ground, consistency and actual work in standard of construction estimate. There are limits to use these two standard for accurate and practical estimates of the survey costs, thus causes limitation of systematically promoting the industry. In this paper, by analysis government standard of surveying cost and standard of construction estimat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urveying cost estimate are presented. In addition, some suggestions for the proper cost estimate of the new surveying technology and the objective basis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andard of construction estimate. Finally, the list needed for appying the additional coefficients are analyzed based on the case study of public surveying cost estimate. Based on the suggestions and conclusions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geoinformation industry and the realization of the surveying cost are achieved. 최근 공간정보산업은 세계 첫 국가표준산업분류에 등록되는 등 독자산업으로서 향후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한 분야가 되었다. 하지만 공간정보산업의 기초가 되는 측량분야 대가산정에 대한 정부기준은 제정초기부터 지금까지 큰 변화가 없어 현실적인 대가를 산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측량분야의 대가산정을 위하여 『측량대가의 기준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12-1668호)』 과 『건설공사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활용하여 대가를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기준에 의해서는 복합적인 측량공정이 적용되었을 경우와 측량 신기술의 측량대가를 산정하는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측량대가의 기준』에서 제시하는 직접비와 간접비는 정확한 경계가 없이 모호한 기준을 두었고, 『건설공사 표준품셈』의 투입인원 수, 지형 계수, 면적 계수, 작업량 계수 등은 객관적 근거, 통일성 및 실제 작업내용과 상이한 부분이 상당부분 차지하여 이 두 가지 기준으로는 정확하고 현실적인 측량 대가산정에 제한이 있어 공간정보산업의 경영이 악화되고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는데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측량대가 산정을 위한 『측량대가의 기준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12-1668호)』 의 대가산출 구성 분석과 다른 분야(공사, 제조 등)의 대가산정 방법을 분석하여 측량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 하고 『건설공사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량부문의 구성 분석을 통하여 변화하는 측량기술을 적용한 적정한 대가산정과 객관적인 대가산출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공기관의 측량용역 원가계산 실제사례를 바탕으로 표준품셈 가산계수별 적용항목을 분석하고 적용이 필요한 가산계수를 산정하여 이를 반영하도록 제안함으로써 측량대가를 현실화 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정보산업의 발전을 견인하며 체계적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 뇌병변 및 지체장애인의 건강관리행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종민 목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뇌병변 및 지체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고 건강관리행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건강관리행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보다 정교하게 검증함으로써 장애인이 건강을 관리하는 행위를 정확하게 파악해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연구를 위해 대전에 있는 장애인 시설(서구장애인 자립생활센터, 보문장애인자립생활센터, 각 6개 지역구 지체장애인협회)을 임의로 표집하여, 뇌병변 및 지체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총150명을 조사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해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 및 신뢰도를 분석,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과 주요 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분석, 신뢰도분석, 단순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뇌병변 및 지체장애인의 건강관리 행위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애서 뇌병변 및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은 4점 만점에서 2.68점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리 행위는 4점 만점에서 2.67점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차이를 검증한 결과, 직업유무와 동거가족유무가 주관적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수준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과 직업유무, 최종학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리행위의 수준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 연령과 최종학력이 건강관리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뇌병변 및 지체장애인의 건강관리행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독립변수인 건강관리행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건강관리행위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자아존중감은 뇌병변 및 지체장애인의 건강관리행위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기 보다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 즉, 주효과를 가지는 변수다. 이 연구 결과로 뇌병변 및 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강화시키는데 정책적․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 허츠버그의 2-요인이 직무이탈에 미치는 영향 : 외식산업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이종민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식산업은 인적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특히 조리사는 전문적이고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낮은 동기요인과 높은 위생요인의 불만족으로 직무만족도가 떨어져 타 산업으로 직무이탈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심지어 이러한 조리사의 직무 불만족은 향후 조리 관련 전공자의 전공 불일치로 이어지고 외식업체에서는 유능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더 커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리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동기 요인과 위생요인을 분석하여 어떤 요인이 조리사의 직무이탈에 가장 주요한 불만족이고 만족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설문지법으로 2019년 7월 한 달 동안 조사를 하여 320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TATA SE 16의 Package를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요인분석,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생요인 중 가장 불만이 높은 항목은 ‘평가의 공정성(2.71)’ 이나 근무강도의 5항목은 3점 이상의 평균값을 보여 불만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 간에는 ‘평가의 공정성(P<.05)’, ‘시설(P<.05)’, ‘임금 인상 가능성(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별에서는 ‘ 임금수준(P<.05)’, ‘평가의 공정성(P<.01)’, ‘작업환경(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동기요인에서 가장 불만이 높은 항목은 ‘동료 간의 갈등(2.57)’이고 ‘동료 간의 원만한 관계(4.11)’는 가장 높은 만족을 보였다.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인 동기요인은 ‘상사의 지원(P<.01)’과 ‘업무의 명확성(P<.01)’이며 연령대별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상사의 지원(P<.05)’, ‘동료의 피드백(P<.001)’, ‘동료의 지원(P<.001)’, ‘동료의 신뢰(P<.001)’, ‘업무의 중요성(P<.001)’ ‘업무의 장래성(P<.001)’이다. 학력별에서는 ‘능력평가(P<.001)’, ‘동료와 원만한 관계(P<.01)’, ‘동료의 피드백(P<.05)’, ‘업무의 중요성(P<.001)’, ‘업무의 명확성(P<.01)’, ‘교육의 기회(P<.01)’, ‘조직의 지원(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직무만족에 대한 응답은 ‘자부심(3.90)’이 가장 높고, ‘진로의 재선택(2.93)’이 가장 낮았다. 그리고 직무이탈은 ‘현직유지(3.47)’가 가장 높고 ‘실무자접촉(2.42)’이서 가장 낮았다.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조건 이탈(P<.01)’, ‘장래성 이탈(P<.01)’, ‘타 직업 탐색(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연령별에서는 ‘직무만족(P<.001)’, ‘긍지(P<.01)’, ‘자부심(P<.05)’, ‘진로 재선택(P<.001)’, ‘현직유지(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별에서는 ‘직무만족(P<.001)’, ‘긍지(P<.01)’, ‘자부심(P<.01)’, ‘조건이탈(P<.01)’, ‘장래성이탈(P<.05)’, ‘현직유지(P<.001)’, ‘동료관계유지(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요인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의미를 보인 항목은 위생요인에서 근무환경(-), 근무강도(-)이며 동기요인에서는 상사관계(+), 동료관계(+), 성취관계(+), 성장가능성(+)이다. 넷째, 2-요인과 직무이탈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의미를 보인 항목은 위생요인에서 근무환경(+), 근무강도(+)이며 동기요인에서는 상사관계(-), 동료관계(-), 성취관계(-), 성장가능성(-)이다. 다섯째, 2요인에 의한 직무이탈로의 영향에서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는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여 직무만족과 직무이탈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조리사의 직무이탈을 촉진하는 가장 주요한 직무 불만족 요인은 근무 환경이고 조리사의 직무이탈을 방지하는 가장 주요한 직무만족 요인은 상사 관계였다. 그리고 2-요인이 직무이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이 매개로 영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직무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방면의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 된다. 이는 한정된 자원을 통해 조리사 조직을 운영할 때 어떤 요인을 만족시키고, 어떤 요인에서 불만족을 해소할지 선택적 전략이 필요함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몇 한계를 지닌다. 첫째, 본 연구는 직무이탈을 개념화하는 과정에서 기존 직무 전환과 이직 연구의 관점을 차용하여 논리를 구성하였다. 전문직의 경우 직무 전환 자체가 산업에서 이탈하는 경우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런데도 본 연구는 산업을 이탈하는 구성원의 심리를 이론적으로 완벽하게 설명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둘째,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로 이루어져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동일 시점에 모든 변수에 대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일반적으로 동일 방법 편의를 해소하기 위해 설문의 시점을 달리하는 것이 권장되나, 본 연구는 표본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이를 실행하지는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향후 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더 많은 표본을 확보하여 연령, 성별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그룹을 분리하여 각각이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는 우리나라 조리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직무이탈이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산업을 고려한다면 더 나은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컨대 미용 서비스 산업, 의료 산업 등 국내에는 다양한 전문 직종이 존재하며, 이들의 경우 조리사와 마찬가지로 높은 이탈 비용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는 이들 산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거나, 산업간 비교가 이루어져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2-요인 이론만을 통해 직무만족과 직무이탈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직무만족과 이탈을 결정하는 요인은 개인, 현시적 상황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생성되는 결과이므로 향후 연구는 좀 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玄鎭健 短篇 小說 硏究 : 現實 認識을 中心으로

        이종민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현진건의 작품세계와 그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작가의 문학적 시발점을 이루는 인물과 사건 및 주제 등을 면밀히 검토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작가의 전체상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그의 세계 인식과 경험의 폭이 어떻게 형성, 변모하며 단계적으로 점차 성숙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현진건이라는 한 작가의 개인적․사회적 존재 방식과 함께 문학적 취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현진건의 초기 단편 소설은 대충 3단계로 구분된다. 제1단계에 속하는 작품으로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타락자> <지새는 안개> <그립은 흘긴 눈> 등을 들 수 있으며, 제2단계에 속하는 작품으로는 <피아노> <유린> <우체국에서> <할머니의 죽음> <까막잡기> <발> <B사감과 러브레타> <동정> <여류 음악가> 등, 제3단계에 속하는 작품으로는 <운수 좋은 날> <불> <사립 정신병원장> <고향> <정조와 약가> <서투른 도적>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분류는 반드시 제작 및 발표 시기에만 따른 것은 아니다. 예컨대, <운수 좋은 날>과 같은 작품은 초기에 쓰인 것이지만 제작 연대와 관계 없이 제3단계에 소속시켰다. 이는 이 작가가 처음부터 객관적 현실 인식 태도를 기본적으로 견지하고 있었음을 가리키는 대목이기도 하다. 제1단계에서는 작가 자신의 체험을 중심으로 식민지시대 지식인의 정신적 고뇌와 갈등 심리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였다. 그는 미숙한 지식인인 주인공을 통해 일제치하의 현실 속에서 가난하고 방황할 수밖에 없는 지식인의 갈등을 치밀한 구성과 뛰어난 표현 기법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제2단계에서는 전통적 가치관과 근대화되어 가는 현실 사이에서 갈등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모습과 억압받던 여성의 성적인 욕망을 인간의 이중적인 내면 묘사를 통해 비판하고 이러한 모순된 현실을 폭 넓게 이해함으로써 현실을 좀 더 객관적으로 인식하려고 했으며 객관적 서술 태도나 반어적 수법을 통한 기교로 사실주의 작가로서의 면모를 나타내고 있다. 제3단계에서는 그 동안 자신의 체험이나 타인을 통해 현실 인식을 하던 과정을 지나 투철한 작가 의식을 가지고 현실에 대한 인식을 확대 심화시켜 나감으로써 객관적으로 현실을 인식하고 이것을 작품으로 형상화시켜 나가는 데 성공하고 있다. 결국, 이 작가는 현실(즉, 세계) 인식의 확산과 심화 과정에 따라 개인에서 사회, 주관적 안목에서 객관적 안목으로 성숙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가 사실주의 작가로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이유는 단지 현실을 있는 그대로 제시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 현실의 내부를 면밀히 관찰하고 분석, 해부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리얼리티를 느낄 수 있도록 한 그의 투철한 작가 정신과 예술적 재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보안 소프트웨어 제품을 위한 평가 매트릭스 연구

        이종민 고려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프트웨어의 다양화로 인하여 하드웨어 형태의 보안 제품에서 소프트웨어 형태의 보안 제품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소프트웨어 형태의 보안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이 존재하지 않아, 국제 표준인ISO/IEC 9126의 표준으로 소프트웨어 형태의 보안 제품을 평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형태의 보안 제품을, 국제 표준인 ISO/IEC 9126의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기준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지금까지 소프트웨어 제품의 평가 방법과 요구 사항이 국제 표준으로 제정 및 정의되어 있으나, 소프트웨어 형태의 보안 제품의 경우, 이러한 국제 표준을 적용하여 제품을 평가&#8226;인증 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중인 소프트웨어 평가 기준 인ISO/IEC 9126-1에서 규정하고 있는 6개의 소프트웨어 품질특성 중 기능성 의 부 특성인 보안성의 매트릭스의 내용을 확인하고 ISO/IEC 15408(공통평가기준) 의 내용 중 일부를 발췌 및 수정하여 기존 6가지의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중 기능성의 부 특성인 보안성의 매트릭스를 보완 및 수정하여, 새로운 보안성 평가를 위한 품질 매트릭스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