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리전공 학생들의 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조리전공 학생들의 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지도교수 : 김희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조리교육전공 본 연구에서 조리를 전공한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리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함에 따라 실증적 분석을 통해 설정된 연구 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진행하였다.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임의로 선정된 조리를 전공한 고등학생, 2·4년제 대학생(졸업생포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00부의 표본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성 및 타당성 검토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SPSS/WIN 통계프로그램 Ver.22.0으로 여러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현 연구에서 교육환경의 차별성이 각각의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교육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체계적이며 질 높은 교육환경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가 54.0%로 과반수 이상이었고 연령은 20대가 84.0%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졸/재학중이 82.3%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미혼이 87.0%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학년은 4학년이 54.0%로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출신 고등학교 유형은 일반계 고등학교가 71.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조리기능사 관련 자격증 취득 여부는 1개가 43.7%로 과반수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환경과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조리교육환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재학생 유지충원의 어려운 상황에서 조리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 재학 및 졸업생을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둘째, 조리교육환경, 교육만족도와 진로진비행동의 변수를 가지고 동시에 영향관계를 파악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셋째, 조리를 전공하여 배우는 학생들의 학교에 대해 조리교육환경이 학생들에게 지각되는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간의 영향관계에 기본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 교육에 있어 교수자 자질과 적절한 교육과정, 최신식 실습실로 인한 교육의 만족도를 확보하면 내가 관심을 가지는 적성 또는 직업에 대해 다양한 체험과 정보를 누적 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질 것이다. 둘째, 교육환경 요소를 개선하여 학생들이 좋은 환경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사료되며, 대대적인 개선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셋째, 각 학교들의 학생상담센터에서의 진로상담 또는 지도교수 관리 아래의 모의면접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질적인 진로준비행동의 대한 보완 또는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본 연구는 긍정적인 시사점들을 제시함에도 불구하고 한계점을 가진다. 첫 번째, 본 연구는 표본 추출에 있어 광주, 전남, 전북의 일부지역 학생들을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전국적인 학생들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일반화 하기에 한계점이 있다. 두 번째, 본 연구에 대상자들은 소속되어 있는 교육기관의 교육환경만을 접했을 뿐 타 교육기관의 교육환경에 대해 모른채로 진행되는 연구에서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전국의 조리교육환경이 갖추어진 대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본 연구대상자가 소속된 학교들과 비교하여 차별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본 연구는 아직 현장에 진입하지 않은 조리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리교육환경(교수요인, 교육프로그램, 교육시설), 교육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함에 있어 측정 문항에 제한적으로 한계점이 있으며 대상자들의 특성에 맞는 측정도구에 대한 개발의 필요함이 사료된다. ABSTRACT The Effe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oking Major Students Lee, Joung Min Advisor : Kim, Hee Kee Culina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ambu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establish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were verified as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was hypothesi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entering on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randomly selected high school students and second- and fourth-year college students (including graduates) and verified the hypothesis based on a total of 300 sample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various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SPSS/WIN statistical program Ver.22.0. This researcher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into a systematic and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zing whether the differenti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ac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general matters, men accounted for 54.0% of the gender, more than a majority, and those in their 20s were overwhelmingly high at 84.0%.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was overwhelmingly high at 82.3 percent for college graduates/secondary students, and 87.0 percent for unmarried students. As for the grade, 4th graders accounted for 54.0% of the total, and general high schools accounted for 71.7% of the types of high schools they graduated from. As for whether to obtain a certificate related to cooking technicians, one was 43.7%, showing a majority. Second,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Fourth,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and graduates in the current difficult situation of maintaining students. Second, it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d conducted research at the same time with variables of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ogression flight. Third, it is considered valuable in that it presented basic data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students for schools that learn by majoring in cook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results of the study secure the teacher's qualifications, appropriate curriculum,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hrough the latest laboratories in high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it will have a direction to accumulate variou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bout the aptitude or job I am interested in. Second, it is believed that the elemen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so that students can take classes in a good environment, suggesting that extensive improvement is an important task. Third,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or improve more qualita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introducing a mock interview system under the management of career counseling or guidance professors at each school's student counseling center. Despite presenting positiv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because i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nationwide as research is conducted mainly on students in some regions in Gwangju, Jeollanam-do, and Jeollabuk-do. Second, in order to draw a clear conclusion from a study conducted without know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randomly select universities with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s across the country and recognize the difference compared to the schools to which this study belongs. Third, this study has limited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teaching factors,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al facilitie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who have not yet entered the field.

      • Ultrasound-mediated imaging and drug delivery systems using nanobubble-contained micro platforms

        이정민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Drug penetration and heterogeneous drug distribution of nanomedicine–based continue to impede the therapeutic effect. Ultrasound (US)-enhanced drug delivery has become a promising strategy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Recently as a blood pool tracer ultrasound contrast agents (UCA), microbubbles stabilized with a composite shell of phospholipid or albumin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he microvasculature due to biosafety. The advantage of small bubbles is their capability to easily perfuse into the capillaries, the ability to carry and deliver drugs to a specific location using targeting materials, etc.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research using microbubble because of the relatively short retention period and drug loading capacity due to gas-filled inside the bubble also ultrasound efficiency is low because of the low concentration of bubbles. So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is study we designed a micro platform by mixing and encapsulating oil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nanobubbles so a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to react to ultrasound further this system could also load a sufficient amount of drug. release of drug was observed on bursting the bubble due to heat energy and distribution of the drug was seen via 'Diffusion mechanism'.

      • 초등 5~6학년 발달성 난독학생과 일반학생의 설명 담화이해력

        이정민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Introduction :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of the school age, understanding of discourse is achieved through listening and reading, and through this, the subject is learned.(McCray, Vaughn, & Neal, 2001). To successfully understand discours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entral contents of the processed text and connect them using one's semantic and syntactic knowledge(Kamhi & Catts, 2014). According to Chall's(1983) reading development model, elementary and upper grades are based on automated reading skills as the “reading stage to learn” to acquire new information, for learning, the process of reading and comprehending discourse comprehension becomes important. In the Simple View of Reading model, it explains that for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both decoding abilit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should be examined.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are specific learning disorders that show difficulty in accurately and fluently decoding words due to phonological defects despite continuous education.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in the simple view of reading model, even if there is no difficulty in listening comprehension, it may appear as a difficulty in reading comprehension due to difficulty in decoding. As a result of a preceding study targeting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y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general students in word reading tasks that did not correspond to letters and sounds (Pae et al., 2017). For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decoding, providing texts with an adjusted discourse decoding difficult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help with reading comprehension. The length and structure of the presented text can also have an impact on successful text comprehen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text needs to be adjusted from a long and complex structure to a short and simple structure (Fang, 2006; Lee, 2011). In particular, when listening to and understanding discourse, the longer the discourse becomes, the more it becomes an obstacle to listening and understanding (Chen, 2005; Demirkol, 2009). Recently, there is a study that prefers 346 characters as the amount of text information in the mobile era (Jung Research et al., 2016). This suggests that controlling the amount of discourse is a factor influencing discourse comprehension. Various linguistic factors such as vocabulary, syntactic ability, and working memory are factors influencing discourse understanding, and it is especially an important skill to have for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understand a text, it is necessary to know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in it (Nagy & Scott, 2000), and the amount and depth of vocabulary are factors that affect the semantic understanding of the text (Quellette, 2006). In addition, processing of structural representations in sentences and sentence structure affects discourse comprehension, and difficulties in recognizing sentence structures and grammatical morphemes of texts can appear as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Working memory is the cognitive ability to temporarily remember and process given information (Danemen & Carpenter, 1980). While more vocabulary knowledge is required as the grade goes up,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have difficulty learning new words (Alt et al, 2019). Difficulties in vocabulary can be caused by difficulty understanding sentences and paragraphs by grasping the structure of writing and using syntactic structu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xt comprehension of developmentally dyslexic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 will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reading comprehension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length of text, and language factor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15 people per group, total of 30 people. Both groups achieved an in the shape scale test of the Korean 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 - Second Edition (K-CTONI-2; Park, 2014),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 with a publication index of 85 or higher, t=1.586 (p = 0.124), and childre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closure ability were selected. In addition, KOrean Lang-based Reading Assessment(KOLRA; Pae et al., 2015) were selected as children with no language difficulties with a standard score of 85 or higher in listening comprehension. Also, the students were reported to have no physical problems such as vision, hearing, or movement by their parents or teachers.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show difficulty in reading with a standard score of less than 80 on the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KOLRA) Reading Index 2 (decoding,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General students were selected as children who had no difficulty in reading with a standard score of 85 or higher.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produced by referring to Lee Joungmin et al. (2021). Eight them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extbook topics for the 3rd and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erms of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the text of each topic is more than 40% of syllables with grapheme-phoneme mismatch, The difficulty level was less than 20%, and the amount of discourse consisted of 50 to 60 words for short texts and 100 to 110 words for long texts. Four types of texts were created by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and length of text by topic, and the same questions were asked to all types of texts. Each question consisted of 8 questions and was scored on a 0, 1, 2 point system. The linguistic factor test for text comprehension evaluated the vocabulary semantic classes,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recalling sentences of the four items of the Korean-Clinical Evaluation of Language Fundamentals(K-CELF 5). 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 was conducted for group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general students)*discourse mode (reading, listening), group*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and group*length of text. In additio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in the four domains of language factors (vocabulary semantic classes,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recalling sentences) on comprehension. Results & Discuss :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discourse mode (reading, listening) of the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0.718 p=.197), but the group (F=20.848, p=.000) and discourse mode (F=26.866, p=.000)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s. The developmental dyslex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general children in both reading and listening tasks, and both normal and developmentally dyslexic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listening comprehension than reading comprehen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which must be achieved academically through text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lead to a lack of language skills, which also affects listen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support is needed not only for reading comprehension but also for listening comprehension during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between the two group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F=13.081, p=.001).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 in both group (F=20.848, p=.000) and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F=10.207, p=.003). Normal students did not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but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showed lower performance in texts with decoding difficulty of a text difficulty than easy texts. In Hangeul, correspondence between letters and sounds is regular, and decoding ability is relatively high (Landerl et al., 1997), and word decoding is said to increase in the upper elementary grades. (Kim, Pae, 2011, Yoon, 2015, Yoon, 2016). Nevertheles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ifficulty in decoding can lead to reading comprehension until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adjusting the writ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decoding performance can be a positive factor in text comprehens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ext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ext between the two group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F=0.133 p=0.718). No main effect was found in the length of text (F=0.748, p=0.394), but a main effect was found in the group (F=20.848, p=.000). Although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general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affected by the length of text. It can be seen that the long text of this study is about 340 words, and it is not burdensome when 5th to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process it. It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that 346 characters are preferred as the amount of text information in the mobile age in a study on the article path in the mobile age (Jeong et al., 2016).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language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developmental dyslexic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levels than the general children in all four areas of vocabulary semantic classes,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recalling sentences. It was found that although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are cognitively no different from general students, they show more difficulties than general students in not only vocabulary and syntactic structure, which are the basis of text, but also in repeating sentences to remember and process what they have memorized. It seems that developmental dyslexia students have less reading experience and as a result, they have difficulties in linguistic ability to acquire through text. This can be seen as the effect of the Matthew effect, which occurs when vocabulary and background knowledge are lower than those of normal children due to reading difficulties proposed by Stanovich(2009).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various language abilities are also required by factors of vocabulary semantic, syntactic knowledge, syntactic semantic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서론: 학령기의 교실환경에서는 읽기와 듣기를 통해 담화 이해가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교과내용을 학습하게 된다(McCray, Vaughn, & Neal, 2001). 성공적인 담화이해를 위해서는 처리한 텍스트의 중심내용을 파악하여 자신이 가진 의미, 구문지식 등을 활용하여 연결해야 한다(Kamhi & Catts, 2014). Chall(1983)의 읽기발달에 따르면 초등 고학년은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는 “배우기 위해 읽는 단계”로 자동화된 읽기능력을 기반으로 학습을 위하여 읽고 이해하는 담화이해의 과정이 중요해진다. 읽기 단순 관점 모델(Simple View of Reading)에서는 성공적인 읽기이해를 위해서는 해독능력과 듣기이해능력 두 능력을 모두 살펴보야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발달성 난독학생은 지속적인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음운론적인 결함으로 인해서 정확하고 유창하게 낱말을 해독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특정학습장애이다. 읽기 단순 관점 모델에서 발달성 난독학생의 특성을 살펴보자면, 듣기이해능력의 어려움이 없더라도 해독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읽기이해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다. 초등 발달성 난독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결과, 글자와 소리를 대응하지 않는 낱말 읽기 과제에서 일반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배소영 외, 2017). 해독의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성 난독학생을 위하여 담화해독난이도를 조절한 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읽기이해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성공적인 담화이해를 위해서는 제시되는 텍스트의 길이와 구조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텍스트를 길고 복잡한 구조에서 짧고 단순한 구조로 조절해줄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Fang, 2006; 이성영, 2011). 특히 담화를 듣고 이해할 때에는 담화량이 길어질수록 듣고 이해하는데 방해요인이 되며(Chen, 2005; Demirkol, 2009), 최근 모바일 시대 텍스트 정보량으로 346자를 선호한다는 연구가 있다(정연구 외, 2016). 이는 담화량을 조절해주는 것이 담화이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어휘, 구문 능력, 작업기억 등 다양한 언어요인들이 담화를 이해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 특히 성공적인 읽기이해를 위해 갖춰야할 중요한 능력이다.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안의 어휘의 의미를 알아야 하며(Nagy et al., 2000), 가지고 있는 어휘의 양과 깊이는 텍스트를 의미적으로 이해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된다(Ouellette, 2006). 또한 문장 내 구조적 표상, 문장의 구조에 대한 처리가 담화이해에 영향을 주며, 텍스트의 문장 구조 및 문법형태소의 인식의 어려움이 읽기이해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다. 작업기억은 주어진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처리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다(Danemen & Carpenter, 1980). 학년이 올라갈수록 많은 어휘지식이 요구되는데에 비해 발달성 난독 학생은 새로운 단어를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Alt et al, 2019). 이러한 어휘의 어려움은 글의 구조를 파악하고 구문구조를 활용하여 문장과 문단을 이해하는 것의 어려움으로 야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고학년 발달성 난독학생의 담화이해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읽기이해와 듣기이해에 따라 담화이해력에 차이가 있는지, 담화해독난이도, 담화량, 언어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 5-6학년에 재학 중인 발달성 난독학생과 일반학생으로 집단별 15명, 총 30명으로 하였다. 한국 비언어 지능검사 제2판의 도형척도검사(K-CTONI-2; 박혜원, 2014)에서 지능지수 85이상으로 독립표본 t 검정 결과, t=1.586(p=0.124)으로 인지능력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한국어읽기검사(KOLRA; 배소영 외, 2015) 듣기이해 표준점수 85이상으로 언어적인 어려움이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부모 혹은 교사에 의해 시각, 청각, 운동 등 신체적인 문제가 없다고 보고된 학생이었다. 발달성 난독학생은 한국어읽기검사 읽기지수2(해독,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표준점수 80 미만으로 읽기의 어려움을 보이나, 일반학생은 표준점수 85 이상으로 읽기의 어려움이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이정민 외(2021)를 참고하여 제작되었다. 초등 3-4학년 교과서 주제를 바탕으로 8개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각 주제의 텍스트는 담화해독난이도 측면에서 난이도 상은 자소-음소 불일치 음절 40% 이상, 난이도 하는 20% 이하로, 담화량은 짧은 글은 어절 50~60개, 긴 글은 어절 100~110개로 구성하였다. 주제별로 담화해독난이도와 담화량을 고려하여 4개의 타입의 텍스트를 제작하였으며, 모든 타입의 글에 같은 질문을 하였다. 각 질문은 8문항으로 0, 1, 2점 체계로 채점하였다. 담화이해에 대한 언어요인 검사는 한국어 핵심 언어 임상평가(K-CELF5, 배소영외, 출판준비중)의 4가지 항목의 어휘 의미, 문법 지식, 구문 의미 이해, 문장따라말하기 영역을 평가하였다. 집단(발달성 난독학생, 일반학생)*담화모드(읽기, 듣기), 집단*담화해독난이도, 집단*담화량에 대하여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담화이해에 대한 언어요인 4가지 영역(어휘의미, 문법지식, 구문의미이해, 문장따라말하기)의 집단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 첫째, 두 집단의 담화모드(읽기, 듣기)에 따른 담화이해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F=0.718 p=.197), 집단(F=20.848, p=.000)과 담화모드(F=26.866, p=.000) 모두에서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발달성 난독 집단은 읽기와 듣기 두 과제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일반학생과 발달성 난독학생 모두 읽기이해에 비해 듣기이해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초등 고학년이 되면서 학업적으로 텍스트를 통해 성취해야 할 읽기이해의 어려움이 언어능력의 결핍으로 이어져 듣기이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발달성 난독학생 중재 시에 읽기이해 뿐만 아니라 듣기이해에도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두 집단의 담화해독난이도에 따른 담화이해력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13.081, p=.001), 집단(F=20.848, p=.000)과 담화해독난이도(F=10.207, p=.003) 모두에서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반학생은 담화해독난이도에 따른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발달성 난독 학생은 담화해독난이도가 어려운 글에서 쉬운 글보다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한글은 글자와 소리의 대응이 규칙적이고 해독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으며(Landerl et al., 1997), 초등 고학년 시기에 낱말 해독이 올라간다고 한다(김미배, 배소영, 2011, 윤효진, 2015, 윤효진, 2016). 그럼에도 발달성 난독학생은 초등 고학년까지 해독의 어려움이 읽기이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학생의 해독수행력에 맞춰 글을 조절해주는 것이 담화이해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두 집단의 담화량에 따른 담화이해력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F=0.133 p=0.718). 담화량에서는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F=0.748, p=0.394), 집단에서 주효과가 나타났다(F=20.848, p=.000). 발달성 난독학생은 일반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담화량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긴 글 텍스트는 340자 내외로 초등 5-6학년 학생들이 처리할 때에 부담스럽지 않은 담화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모바일 시대의 기사 길에 관한 연구(정연구 외, 2016)에서 모바일 시대 텍스트 정보량으로 346자를 선호한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넷째, 두 집단의 언어요인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어휘의미, 문법, 구문이해, 문장따라말하기 4가지 영역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발달성 난독학생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수준을 보였다. 이는 발달성 난독학생이 인지적으로는 일반학생과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담화의 바탕이 되는 어휘, 구문구조 뿐만 아니라 기억하고 기억한 것을 처리하는 작업기억에서도 일반학생보다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달성 난독학생은 읽기경험이 적어지면서 결과적으로 텍스트를 통해 습득해야 하는 언어적인 능력의 어려움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는 Stanovich(2009)가 제안한 읽기에 어려움으로 인하여 어휘력 및 배경지식이 일반아동보다 낮아지면서 생겨나는 마태효과(Mattew effect)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어휘 지식, 문법, 구문 지식 및 작업기억의 요인들에 의한 다양한 언어능력 또한 요구됨을 확인해 본 것에 의의가 있다.

      •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빈랑자 추출물의 효능 연구

        이정민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빈랑자 추출물의 효능 연구 이정민 지도교수 : 유민정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에서는 빈랑자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이용해보고자 항산화효과 시험에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 활성,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UV 자외선 흡수도,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B16F10 mouse melanoma 세포에서 melanin 생합성 저해율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α-MSH 유도하여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합성효과는 Type-Ⅰprocooage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7종의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빈랑자 열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1 mg/mL에 포함되어 있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빈랑자 열수 추출물은 140.14 μg/mL, 에탄올 추출물은 101.20 μg/mL의 함량이 확인되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는 열수 추출물은 76.19 μg/mL, 에탄올 추출물은 96.72 μg/mL의 함량이 확인되었다. 빈랑자 열수, 에탄올 추출물 400 μg/mL의 농도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각각 69.72, 82.90%으로 확인되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각각 50.22, 71.53%의 소거능 확인되었으며, ABTS radical 소거능은 70.26, 85.73%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효과가 확인되었다.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 자외선 흡수도는 빈랑자 에탄올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보다 UV-A와 UV-B 영역 모두 자외선 흡수도가 높게 확인 되었다.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측정결과 400 μg/mL의 농도에서 tyrosinase 저해 활성도는 각각 56.12%, 79.26%로 확인되었다. B16F10 mouse melanoma 세포에서 melanin 생합성 저해율 측정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각각 82.66%, 75.61%로 melanin 생합성 저해효과가 확인 되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80.66%, 65.61%으로 저해 되었다. α-MSH (0.5 mM) 유도에 의한 melanin 생합성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α-MSH (0.5 mM)만 처리한 경우에는 melanin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205.7%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빈랑자 열수, 에탄올 추출물을 같이 처리한 경우에는 α-MSH (0.5 mM) 단독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α-MSH (0.5 mM) 유도에 의한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α-MSH (0.5 mM) 만 처리한 경우에는 tyrosinase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191.5%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빈랑자 열수, 에탄올 추출물을 같이 처리한 경우에는 α-MSH (0.5 mM) 단독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가 확인되어 100 μg/mL 농도에서 139.9%, 124.1%로 tyrosinase이 저해되었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melanin 합성에 관여하는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TRP-2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RP-1에서는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콜라겐 합성능은 procollagen type Ⅰ C-peptide (PIP)의 함량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136.2%, 150.3% 콜라겐 생합성률을 보였다.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는 5 mg/mL 농도에서 빈랑자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2, 4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효과는 4, 6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효과는 1, 4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항균효과는 3, 5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 효과는 3, 5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효과는 2, 4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Tricho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한 항균효과는 3, 5 mm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빈랑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콜라겐 합성, 항균 효과를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결망에 기반한 공동체 특성 분석: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민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Traditionally, community space implies a small-scaled geographic area mainly hinged upon face-to-face contact. Nowadays, however, owing to the breakthrough of mobility equipped with the combination of high-speed internet and mobile phone, the social interactions occur in a wider area and the community extends beyond the conventional space, stressing the non-space world. Korea is no exception: the village is now at the center of community discussion, which has been strengthened by a series of "Maeul(Village)-Making-Movement" since the 1990s. Different from the past, however, as activities related with housing, labor, culture and leisure are separated each other, more people have to spend most of time outside the village. If community policies are confined to village, nowadays communities of people who do not spend their daily lives in the neighborhood are invisible and consequently it is not possible to support their communities. The key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community, drawing out reliable implications from the in-depth analyses of the intimate network of ordinary people. It examines 3,985 network data of 572 Cheongju people in Korea, apply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SNA) methods. The followings are major findings. Firstly, neighborhood networks occupy only 6.1 percent, consisting of housewife and the aged. Secondly, 77.1% of the total networking occurs within Cheongju proper. The second position is given to connecting with Seoul Metropolitan Areas and nearby cities including Daejeon and Sejong. There exists a weak connection with other cities within Chungbuk Province. Thirdly, 85.12% of the total networking is geared towards a huge cluster, and main connectors are the unemployed, artists and activist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supporting the actual communities of the people within a village unit. With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s and communication, accessi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propinquity to form a community, locally and regionally. In order to restore the community, various communal spaces which can be intertwined with places of labor, culture and leisure should be on the discuss table. Also,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ctivities-based communities such as artistic activities and local movements. In this context, the unemployed group would be treated as precious social capital rather than insignificant social surplus.

      •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Major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Lee, Jeong-min Schools have recently made sports club activities obligatory to get students' participation. However, sports club activities are stil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after-school or club activity and specialty aptitude classes and are poor at getting students'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school life, activate school sports in general as well as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nd encourage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sports club activities. For this purpose, 320 participants in sports club activities at middle schools in Jeonju City, North Jeolla Province were sampled; then, 30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he exception of 11 copies containing insincere responses, obtaining meaningful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on school life satisfaction by th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chool life satisfaction by gender or school year. In contrast, participation duration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relations: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ose activities for ≥1 year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eacher relations than those participating for <1 year. Second,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on self-efficacy by th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fidenc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boy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self-confidenc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than girls. Participation duration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etence: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ose activities for ≥1 year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competence than those participating for <1 year and the students spending ≥1 hour in sports club activitie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self-confidence and competence than those spending <1 hour. Third, as for the effect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significantly affected peer relations, teacher relations, and competence in school activities. It also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hysical attractiveness. To put these results together,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positively affecte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played a role of presenting a desirable direction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enable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ontinuously and to attach importance to the educational aspect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which is expected to make great contributions to cultural development of healthy and good adolescents. 국 문 초 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이정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최근에는 의무적으로 시간을 정해두고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 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스포츠클럽 활동은 방과 후 학교나 동아리 활동, 특기적성시간 등 체육활동으로 학생들의 참여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를 증가시키 기 위해,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학교생활에서 갖는 만족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은 물론이며, 전반적인 학교 체육을 활성 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 시키고자 전라북도 전주시에 있는 중학교에 스포츠 클럽활동 참여자 32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불성실 하게 응답한 11부를 제외하고 309부의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여,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도출 되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면, 먼저 성별과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참여기간에 따라 교사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년 이상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한 집단이 1년 미만 참여한 집단에 비해 교사관계를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 자신감, 신체매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자신감과 신체매력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기간에 따라 유능감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1년 이상 참여집단이 1년 미만 참여집단에 비해 유능감을 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 났고, 스포츠클럽 활동시간 1시간이상 참여집단이 1시간 미만 집단보다 자신감, 유능감을 보다 높게 지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교활동에서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매력에도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중학생의 스포츠클럽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스포츠클럽 활동은 청소년시기인 중학생들의 생활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 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지속적으로 참여 할 수 있게 운영이 되어야하고, 꾸준한 관심을 가지게 되면 보다 건강하고 바람직한 청소년들의 문화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므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의 교육적인 면을 중요시해야 한다. 주제어: 스포츠클럽, 학교생활만족.

      • Gen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is-acting Signal Mutant Influenza Virus : 이정민

        이정민 연세대학교 공과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바이러스 유전자(vRNA)의 양끝에는 항상 보존된 서열들이 일정 수만큼 존재한다. 그 중 자연적으로 유일하게 발견되는 변종은 3' 끝 쪽의 네 번째 위치의 염기서열(C 나 U) 이다. 이 염기서열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HA와 NA 유전자 단편 중 하나의 단편에 변이가 있는 바이러스를 비롯하여, 두 단편에 모두 변이가 있거나 야생형 (wild-type)의 바이러스까지, 3' 끝 쪽의 네 번째 염기서열을 바꾼 4가지 종류의 바이러스를 역유전적(reverse genetics) 방법으로 만들었다. NA 유전자 단편에 C에서 U로 변이가 형성되면, NA 유전자의 mRNA/vRNA 비율이 증가하였다. 즉, U가 네 번째 염기서열에 존재할 때는 바이러스 유전자의 전사가 촉진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반면에 NA 유전자 단편의 U가 C로 변이 되면, NA 유전자의 cRNA/vRNA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C가 네 번째 염기서열에 존재 할 때는 바이러스 유전자의 복제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HA 유전자 단편에 대해서는 이 규칙이 항상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 NA가 충분히 발현되고 있다는 등의 다른 조건이 필요하다. 더불어 HA 유전자 단편에 U 대신 C가 존재하면, MDCK 세포에서 plaque가 생성될 때 그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비리온(virion) 안에 존재하는 표면 항원(HA, NA)의 양을 비교해 봤을 때, vRNA 당 mRNA의 비율과 비슷하게 변화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wild type 바이러스와 비교하면 세 개의 재조합 바이러스는 모두 HA/NA의 비율이 낮다. 다시 말해서 바이러스가 세포에 감염되거나 방출되는 용이함으로 p.f.u./HA 비율이 높게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변종 혹은 야생형 바이러스에 감염된 생쥐는 큰 감염증세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결론적으로 각 유전자 단편의 3' 끝 쪽 네 번째 염기서열은 단편 특이적으로 바이러스 유전자의 전사와 복제의 효율을 조절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이 조절 요인의 변화로는 바이러스 성장이나 병원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를 이용하여 독감 바이러스 백신을 유전공학적으로 제조 할 때나, 다른 바이러스에의 백신 기능을 가진 독감 바이러스 백신을 만들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Within the conserved sequence at the extreme end of the influenza virus vRNA, a unique natural variation (U or C) is observed at the position 4 of the 3' end. To test the role of this nucleotide, four recombinant viruses, with substitution ether on position 4 of HA or NA segment, or both segment, and wild type, were generated by reverse genetics. The time course of expression of influenza specific RNAs was monitored by RT-PCR after infection of MDCK cells by recombinant viruses. The mRNA/vRNA ratio of NA segment was increased by the substitution of C nucleotide to U nucleotide, which suggest that the U4 nucleotide stimulates transcription. Whereas, the cRNA/vRNA ratio of NA segment was decreased by substitution of C to U, suggesting that C4 stimulates replication. However, for HA segment, this role adapted on condition. In addition, C4 nucleotide on HA increases the stability to form plaque in MDCK cell than U4. Compared with wild type virus, all three mutants exhibited lower HA/NA ratio, so they had the higher ability to infection and releas higher p.f.u./HA ratio. In the mouse model, the mutant and wild type recombinant viruses failed to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rulence. This suggests that the position 4 of the 3' end is a genetic determinant for the control of transcription and replication efficiency and it operates in a segment-specific manner without detrimental effect on virus growth or pathogenicity. The results could be usefully implemented for developing influenza viruses as genetically engineered vaccine and RNA viral v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