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learning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초등 수학 학습 향상에 관한 연구

        이정림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pplying e-learning on improvement of math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rill and practice blending homework with lessons and utilizing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tents in math education. For this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Is there improvement of math ability of students resulted from self-directed learning applying e-learning blending homework with lessons? 2. Does e-learning help students to upgrad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3. What differences are recognized between before and after e-learning experience in students' math ability? 4. What effects do inducing interests in math study and applying the concept of incentive of behavioral learning theory have on improving students' math ability? According to these questions, the aim of lesson appropriate for the part of calculation in the level of 3rd-year elementary math was established. The ICT contents assessing calculation ability were also designed and developed in a form of provoking children's interest in lower grades. In order to induce interests in math study, the concept of incentive of behavioral learning theory was also applied. As an incentive, small gifts were given to students as prizes so that positive reinforcement could be made. To maintain positive reinforcement, types of gifts were requested and chosen at each time by students through on-line survey board. Further, the method of instant message enabling real-time question-and-answer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as utilized. The students were allowed to perform the test only once a day to be measured accurately. Once each test was finished, they could confirm their test results through calendar function as a motivation and were given the opportunities to correct their wrong answers using print function. The teachers could confirm the test results of learners through the calendar function so that they could instruct each student according to his score and grasp his state of learning. The parents could also reach their children's assessment results, getting advice and information on education of their children from teachers through online board. The 3rd-year elementary students in a school in Youngtong, Suwon province, were assessed with the ICT contents specially designed for the demonstration of this study. As a result, 87.5%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found it easy to study math with ICT contents. 78% of the students also said it was fun. Moreover, 75% of the students said they could study math for themselves everyday. After the drill and practice experience blending homework with lessons using ICT contents, the number of students who got 90 to 100 marks for math test increased by 26.9%. Therefore, e-learning gave learners motivation, encouraging them of self-directed learning.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rill students in math in lessons, the ICT contents based on the web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made it possible to train students continually. In addition, the instruction became more effective due to the fact that the students could get answers to their questions from the teacher even after school. Giving gifts as prizes were recognized as an useful method of motivating students. The students became more confident of their math ability and satisfied with their accomplishment thanks to the experience. 본 연구는 e-learning을 통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수학 학습이 수학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수학과 학습 활동에 ICT 컨텐츠를 활용하여 학교와 가정과의 연계학습으로 반복교육이 수학 학습 능력에 효과를 높일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과 학교가 연계된 e-learning을 활용한 수업을 전개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함으로써 초등수학 능력이 향상되었는가? 둘째, e-learning 학습을 통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이 신장되었는가? 셋째, e-learning 학습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수학 학습 향상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수학의 흥미를 유도하고 행동주의적 학습 이론을 적용하여 포상의 효과를 이용하였을 때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 수학 단원의 연산부분을 재구성하여 단원에 알맞은 수업목표를 설정하고 연산부분을 평가하는 ICT 컨텐츠를 작성하였다. ICT 컨텐츠의 구성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이 수학학습에 흥미를 가지며 학습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행동주의 관점에서 강조하는 포상의 효과를 사용하였다. 포상으로는 학생들이 원하는 선물을 지급하여 정적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계속적 정적강화를 위해 설문창을 이용하여 매번 학습자가 원하는 선물을 신청하도록 하였으며, 선물 투표 기능을 추가하여 적극적으로 선물을 신청하도록 유도하여 흥미를 유발하였다. 또한 교사와 학생 간 실시간 질문을 받고 적절한 답을 제공할 수 있도록 쪽지라는 매개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학습자는 학습을 한 후 학습 평가자료를 확인하여 학습동기 유발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한 평가 자료를 위해 학습자는 하루에 한번만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틀린 문제는 인쇄기능을 이용하여 다시 풀어보도록 하였으며 달력 매체를 이용하여 매일 학습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는 학습자의 평가자료를 확인하여 평가점수로 학습자의 개별화된 지도가 가능하며 달력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학부모는 자녀의 평가보기를 통해 학습현황을 파악하며 게시판 등의 메뉴를 통해 자녀에 대해 상담이 가능하며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작성된 ICT 컨텐츠를 활용하여 수원 영통 소재의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ICT 컨텐츠를 활용한 학습방법이 쉬웠다고 응답한 학생이 87.5%였으며, 수학공부가 재미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78%였다. 또한 매일 혼자서 수학 공부를 할 수 있다고 응답한 학생도 75%였다. ICT 컨텐츠를 활용하여 학교와 가정에서 반복학습을 한 후 평가 해 본 결과 100∼90점 사이가 26.9%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e-learning을 통하여 학습한 결과 학습의욕과 학습동기를 강화 할 수 있었으며,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교육현장에서 반복학습이 힘든 수학 학습을 시·공간제약을 초월할 수 있는 웹을 이용한 ICT 컨텐츠를 통해 반복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학습자와 교사 간 수업이 끝난 후에도 원활히 질문과 답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어 교육에 질이 향상 되었으며, 선물이라는 포상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학습에 흥미 유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수학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성적 성취에 대한 만족감을 얻게 되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도시·농촌지역 청소년의 음주와 부모요인에 관한 연구

        이정림 가톨릭 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도시·농촌지역 청소년의 음주와 부모요인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음주행위와 태도를 도시에 거주하는 청소년과 비교함으로써 농촌지역 청소년의 음주행위 및 태도의 수준을 파악하고,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을 구분하여 청소년의 음주와 부모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청소년 음주 예방 프로그램의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01년 9월 17일부터 27일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도시지역은 297부, 농촌지역은 313부로 총 61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조사대상자의 음주경험과 음주태도가 총 17문항, 부모의 음주빈도, 음주태도, 음주문제, 정서적 유대, 감독, 규칙의 일관성이 총 27문항, 인구사회학적 배경이 총 1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청소년의 음주와 부모요인과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주경험을 보면, 도시에 거주하는 청소년은 60.6%, 농촌에 거주하는 청소년은 66.8%로 농촌지역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조사대상자가 술을 처음으로 마신 사람과 주로 술을 함께 마시는 사람이 모두 부모로 나타나 청소년 음주와 관계 있는 요인이 부모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음주행위 및 태도에 있어서는 도시에 거주하는 조사대상자에 비해 농촌에 거주하는 조사대상자가 음주빈도, 음주량, 폭음, 음주태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비교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음주빈도, 음주량, 폭음이 높게 나타났고, 음주태도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허용적인 음주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비교에 있어서는 학년이 올라갈 수록 음주빈도, 음주량, 폭음, 음주태도 모든 영역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요인을 비교하였을 때, 음주와 관련된 요인은 농촌지역의 부모가 음주빈도, 자녀 음주에 대한 태도, 음주문제 모두 도시지역의 부모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고, 양육과 관련된 부모요인은 음주와 관련된 부모요인과는 달리 도시지역의 부모가 정서적 유대, 감독, 규칙의 일관성이 농촌지역의 부모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지역에 따른 부모요인과 음주행위를 회귀분석한 결과, 음주빈도에 있어서는 두 지역 모두 부모의 음주빈도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농촌지역은 부모의 감독이 관계의 크기가 가장 크고 그 다음은 정서적 유대로 나타났다. 음주량에 있어서 도시지역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 부모의 음주빈도이고, 농촌지역은 부모의 감독이고 그 다음은 부모의 음주문제, 정서적 유대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폭음에 있어서는 두 지역 모두 부모의 음주빈도와 감독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시지역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 부모의 음주빈도이고, 농촌지역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 부모의 음주문제이다. 마지막으로 두 지역 모두 음주태도와 관계가 있는 것은 부모의 음주 빈도, 자녀 음주에 대한 부모의 태도, 감독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은 음주태도와 관계의 크기가 가장 큰 것은 부모의 감독이고, 농촌지역은 부모의 음주빈도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의 음주와 부모요인과의 관계 분석에서 도시지역에 비해 농촌지역이 설명력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두 지역이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지역은 부모의 음주빈도와 관계가 있고, 농촌지역은 부모의 음주빈도, 부모의 감독과 정서적 유대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도시지역 청소년의 음주와 관계 있는 부모요인은 음주와 관련된 부모요인이고 농촌지역 청소년의 음주와 관계 있는 부모요인은 음주와 관련된 부모요인, 양육과 관련된 부모요인이 모두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농촌지역 청소년의 음주가 도시지역의 청소년에 비해 더 심각한 결과, 농촌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음주예방 교육과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청소년에게 부모의 음주는 밀접한 관계가 있고 특히 농촌지역은 부모의 양육 역시 청소년의 음주와 관계가 크므로 청소년 음주예방 교육과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자녀와 부모가 함께 할 수 있는 가족 중심의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자녀의 음주예방을 위한 부모교육을 실시시에 부모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rural adolescents' with urban adolescents' in order to understoo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factors and adolescents' drinking behaviors and attitude by region. The research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organized questions and answers from September, 17 in 2001 to 27 that is used for analyzing a total of 610 respondents of which 297 are urban adolescents and 313 are rural adolescents. The instrument includes adolescents' drinking frequency, drinking amount, heavy drinking and drinking attitude and, as parental factor, parental drinking frequency, parental attitude for children drinking, parental alcohol problem, affective-tie, supervision and consistency of rule application. 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rate of rural adolescents' drinking experience is slightly higher than the rate urban adolescents. Reported that they 60.6% of urban and 66.8% of rural have consumed alcoho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ir first drink experiences happen with parents and also usually drink with parents, so it means that parental factor affects adolescent drinking. Second, it shows that rural adolescents' drinking frequency is higher than urban adolescents and also drinking amount, heavy drinking and drinking attitude for their drinking and attitude too. It shows that rural adolescents' drinking is more serious. The boy's drinking frequency and amount are higher than girl's. The girls have more permissive attitude to drinking. The more grades are getting up, the more grades are increasing all of parts, drinking frequency, drinking amount, heavy drinking and drinking attitude. Third, when compared with alcohol-specific parental factors, rural areas parents are higher than urban in all of parts of drinking frequency, the attitude of adolescents'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 Comparing with parenting-specific parental factor, urban areas parents are higher than rural areas parental for affective-tie, supervision and consistency of rule application unlike alcohol-specific parental factors. Fourth, a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n both areas parental drinking frequency is related to adolescents' drinking frequency. Affective-tie and parental supervision are related to adolescents' drinking frequency in rural areas. For drinking amount, urban adolescents' drinking amount is the most relative with parental drinking frequency and rural adolescents' drinking amount is the most relative with parental supervision and next is parental drinking problem and affective-tie. Parental drinking frequency, parental attitude and supervision are similar both urban and rural areas. In urban areas drinking attitude is the most strongly related to parental supervision and, in rural, is parental drinking frequenc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ural adolescents' drinking frequency is much higher than urban adolescents relating analysis of adolescents' drinking and parental factors.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t shows that urban adolescents are related with parental drinking frequency only but, rural adolescents are related with parental drinking frequency, parental drinking problem, and especially parental supervision and affective-tie among the parenting-specific parental factor are related with adolescents' drinking. Finally, parental factor relating urban adolescents' drinking is alcohol-specific parental factor and the parental factor relating rural adolescents' drinking is both alcohol-specific parental factor and parenting-specific parental factor. The suggestion of the paper is following. It is true that the study for rural adolescents' drinking is scarce in Korea. So, my study is limited to compare urban with rural adolescents' drinking only and as the study, I recognized a serious situation of rural adolescents' drinking. From the result, rural adolescents' drinking is more serious than urban adolescents' drinking, the education and program for drinking protection should be made for rural adolescent. Also, it shows that parental drinking is related to both urban and rural adolescents and especially rural adolescents are related with parental breeding. Consequently, it is required for their parents to giv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program and protection program focusing on family to do together children and patents applying adolescent drinking protection education and program. Parental education should be done to protect drinking of children and seek method to lead parental participation.

      •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이정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s for adolescents to adjust to school and improve self-esteem, and to present programs to improve school adaptation and self-esteem. The research problems a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developing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s to improve youth's school adaptation and self-esteem? Second, what is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 to improve youth's school adaptation and self-esteem? Accordingly, the practic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develop an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 for adolescents to adapt to school and improve self-esteem. After the second round of development, the program was developed, executed, and applied, and after the reflection of the researcher, it was corrected and supplemented to present the completed program. To this end, participants' experience reports by session, activity sheet, testimony, and 3-line diary writing task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results. Based on the problems revealed by the analysis, this research program was amended and a completed program was provided.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was analyz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Second, to check the suitability of the program, a pilot program was applied to two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the pilot program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reflection journals, experience reports, activity journals, personal testimonies, and 3-line diary writing tasks.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completed program is an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 incorporating the ACTIVE coaching model and art activities, with a total of four sessions: the first introduction phase, the second phase exploration phase, the third phase execution phase, and the final four phase close phase consists of.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rt coaching program, which integrates the participants' inner world and active art activities, rather than the program limited to various counseling or coaching, improve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ego-identity and self-esteem, and above all,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s. It was appropriate to utilize. Second, through the group art activities, I control personal conflicts, and through self-reflection, who I am, what my strengths and weaknesses are, what my strengths are, and how to save myself and love myself through my rediscovery, and then go to others It is because they consider even a caring heart. Third, through the 3-line diary writing, you can notice negative emotions, the coaching process' open-ended questioning skill provides the coachee with an open space for thinking, and the 3-line diary writing that allows you to look back on yourself is a positive mindset. It has been found that, of course, it has a specific goal to change and makes an important change in the direction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여 성찰한 후,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은 어떠한가? 이에 따라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2차에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 및 적용하고, 연구자의 성찰 후 수정 · 보완하여 완성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참여자들의 회기별 경험보고서, 활동지, 소감문, 3줄 일기 쓰기 과제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토대로 본 연구 프로그램을 수정하고 완성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파일럿 프로그램을 중학생 2명에게 적용하였다. 셋째, 파일럿 프로그램 적용하면서 생긴 문제점을 심층 면담, 성찰일지, 회기별 경험보고서, 활동지, 개인 소감문, 3줄 일기 쓰기 과제 등을 바탕으로 수정 · 보완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은 ACTIVE 코칭 대화모델과 미술활동을 통합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으로, 1회기 도입단계, 2회기 탐색단계, 3회기 실행단계, 마지막 4회기 종결단계로 총 4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상담이나 코칭에만 국한된 프로그램보다는 참여자의 내면의 세계와 능동적인 미술활동을 통합 접목한 아트코칭 프로그램이 자아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등의 정서적, 심리적 요소가 향상되어 무엇보다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둘째, 집단 미술활동을 통해 개인의 갈등을 조정하고, 내가 누구인지 자아 성찰을 통해 나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나의 강점은 어떻게 되는지, 나의 재발견을 통하여 나 자신을 아끼고 사랑하는 법을 알고 나아가 상대방에게 배려하는 마음마저 고려하기 때문이다. 셋째, 3줄 일기 쓰기를 통하여 부정적인 감정을 알아차리게 하고, 코칭 프로세스의 개방형 질문스킬이 코치이(coachee)에게 열린 사고의 공간을 제공하며,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3줄 일기 쓰기가 긍정적인 마인드로 마음의 안정을 시키는 것은 물론 변화시킬 구체적인 목표를 갖고 삶의 방향성에 중요한 변화를 준다고 밝혀졌다.

      • 당뇨병 환자의 족부 합병증 위험요소와 발관리 지식 및 이행의 상관성 연구

        이정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당뇨병은 지속적인 관리와 조절이 요구되는 만성질환으로서, 최근 의과학의 발전으로 질병의 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여러가지 당뇨병성 만성합병증들에 이환되는 율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당뇨병성 족부병변(diabetic foot lesions)은 당뇨병 환자의 하지절단, 이환율 및 사망률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예방적인 발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당뇨병 환자들의 발관리 지식과 발관리 이행을 파악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발관리 지식, 발관리 이행, 족부합병증 위험요소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2002년 9월 23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A종합병원 내분비내과 외래를 방문하거나 입원한 환자 19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도구와 문헌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질문지를 작성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발관리 지식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 0.85이었고, 발관리 이행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0.75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ANOVA,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24세에서 89세로, 평균 57.4(±11.16)였으며 60세-69세가 34.2%로 가장 많았고 성별분포는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다. 2. 당뇨병 환자의 발관리에 대한 지식은 발관리 중요성(76.2%), 발 씻는 물의온도(74.1%), 발 상처시 병원방문(68.0%)에 대한 정답률이 높았다. 반면에 발의 온도 측정(21.8%), 발의 맥박 측정(23.3%), 무감각한 발의 관리(25.4%)에 대해서는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발관리 지식은 성별(t=-2.073, p=.039)과 발관리 교육유무(t=-4.640, p=.000), 연령(r=-.233,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자, 발관리 교육을 받은 자, 연령이 낮은 대상자들의 발관리 지식이 높았다. 3. 발관리 이행은 양말을 매일 갈아 신기, 면양말 선택하기, 볼이 넓고 신고 벗기 편한 신발 신기, 목이 조이지 않는 양말을 신기, 물주머니나 온열기로 발을 보온하지 않기, 금연이 이행도가 높은 반면에 발의 맥박 측정, 손거울을 이용한 관찰, 발의 온도 확인, 진료시 발상태에 대해 질문, 발관찰 위한 도움을 요청, 발에 크림이나 로션을 바르기는 이행이 낮았다. 발관리 이행은 성별(t=-3.168, p=.002), 발관리 교육유무(t=-3.650, p=.000), 발상처 경험 유무(t=-2.667, p=.01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자, 발관리 교육을 받은 자, 발상처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발관리를 더 잘 이행하고 있었다. 4. 족부합병증 위험요소는 모노필라멘트 검진에서 감각소실이 있는 경우는 38.8%- 42.6%였고, 티눈이나 굳은살이 있는 경우는 45.9%-47.5%였다. 이들 족부합병증 위험요소 중 모노필라멘트 요소와 궤양이나 염증요소가 대상자의 특성 중 질병이환기간, 연령, 발 상처 치료경험, 합병증과 유의한 관계가 있어 질병 이환기간이 길고 연령이 높고 발 상처 치료경험이 있고 합병증이 있는 경우 족부 합병증의 위험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5. 발관리 지식과 발관리 이행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r=.375, p=.000), 발관리 지식이 높을수록 발관리 이행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당뇨병 환자들이 발관리 교육을 받은 경우 발관리 지식은 높으나, 무감각한 발의 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발의 혈액순환 확인, 온도 확인에 대한 지식과 이행이 부족하고, 발관리를 위한 타인의 도움을 요청하거나 보조용품의 사용이 적고 크림이나 로션을 바르는 행위의 이행도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고위험군 선별 및 관리, 특히 무감각한 발의 관리, 발관찰을 위한 타인의 도움요청 등 실제적인 발관리 수행방법을 제시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당뇨병 환자의 발관리 지식을 향상시키고, 발관리 이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발관리 고위험군을 발견하여 추적 관리하는 환자관리 프로그램과 실제적인 발관리 기술과 이행을 제시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및 그 효과검증연구를 제언한다. 주요어 : 당뇨병, 발관리 지식, 발관리 이행 Foot complications are one of the major health problems for people with diabetes. Complications on foot may contribute to the incidence of amputation and subsequent disabilities, high mortality, and may increase the costs of the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among the foot risk factors, diabetes patients' knowledge for foot care and foot-care behaviors. The subjects were in hospital and outpatients with diabete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city within the period of Sep. 23 and Oct. 20 in 2002. Knowledge for Foot care and foot care behaviors we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cale developed by Mi young Moon(1999), and revised and complemented the question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scales in the study were Chronbach's Alpha 0.75 and 0.85, as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ANOVA, and Chi-squares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age ranged from 24 to 89, with average of 57.4(±11.16). Subjects in 60's were 34.2%, that was the most, and included 57% men and 43% women. 2. In terms of subjects knowledge for foot care, subjects showed great knowledge i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foot care (76.2%), temperature of water washing foot (74.1%), and in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of visiting physicians when they have a foot injury(68.0%). The subjects showed low knowledge in measuring foot temperature (21.8%) and pulse on foot (23.3%), and in caring senseless foot (25.4%). 3. In foot care habits, the mean score for wearing new socks everyday (4.58±0.86), choosing cotton socks(4.29±1.06), wearing shoes which was wide and easy to put on and take off(4.19±1.06), wearing socks that had wide ankle(4.09±1.09), not keeping warm with water bag or hot-holding machine(4.02±1.20), and quitting smoking(3.95±1.66) were high, but the mean score for measuring foot pulse(1.49±0.81), observing with hand mirror(l.75±1.12), checking foot temperature(l.79±1.06), questioning foot condition while treated(l.93±1.15), asking help for foot observation (2.05±1.22), and rubbing cream or lotion on foot(2.20±1.38) were low. 4.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ge and sex affected on the knowledge for foot care: Women compared to men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women vs. man)(t=-2.073, p=0.039). Young People compared to the old people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r= -233, p=.00l). In addition, attending training course affected the level of knowledge for foot care: People who have attended in the training course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than those who have not attended courses (attend vs. not attend)(t=-4.640, p=.000) 5. For the foot-care behaviors, women compared to men showed better performance (women vs. man) (t=-3.168, p=0.002). In addition, attendance in the training course and experience to be treated for foot injury affected the foot care behaviors: People who have attended in the training course showed better performance of foot care than those who have not attended (t=-3.650, p=0.000). People who have experience being treated for foot injury showed better performance of foot care than those who have not(t=-2.667, p=0.010). 6. Among the foot risk factors, 38.8%-42.6% were insensible to a monofillament and 45.9%-47.5% had a callus or corn. Among foot risk factors, insensibility to a monofillament and having a corn or callus were increased in by the longer disease contraction period, older age, having experience being treated for foot injury, and presence of complication(s). 7. Knowledge for foot care 'and foot care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interrelation (r=.375, p=.000). In terms of the findings, diabetes patients had better foot care behaviors when they had higher level of knowledge for foot care. This finding supports the importance of diabetes education. Particularly to improve the foot care behaviors that needs not only the knowledge but also skills, repetitive training are needed. By providing nursing counseling and education, more patients with diabetes may perform effective foot care; therefore, save their foot from amputation and other complications. Nurses should take time to identify people in a high risk who are in need foot care. In addition, nursing research studies that ensure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education and training are needed. Key words: type2 diabetes, foot care knowledge, foot care behaviors

      • 초등학교 시설을 활용한 在家고령자 복지서비스 統合據點 構築에 관한 연구

        이정림 경북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속적인 출생률과 사망률의 감소로 인한 인구 고령화는 21세기 세계적인 사회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고령화의 특징은 급속한 고령화의 속도, 75세 이상의 후기 고령자의 증가, 고령 독신 세대 및 고령 부부 세대의 증가이다. 이들은 과거의 고령자들보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고 교육수준과 문화수준이 높은 자립형 노인층을 형성하며 여가생활을 즐기고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으며 안정되고 행복한 노년기를 보내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거동이 불편해지고 그 이동성이 제한된다. 오늘날 고령자들이 가진 문제와 욕구가 다양한 이유는 생활수준이 향상되었고 고령자 집단 내에서도 다양한 연령계층이 존재하며, 고령자들의 복지에 대한 권리의식이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고령자 개인이나 고령자 집단에 다양한 욕구가 있기 때문에 질 높은 다양한 서비스의 연계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복지서비스가 일련의 체계를 갖추지 않는다면 그 대상이 편중되고 전달이 비효율적으로 되기 쉽다. 최근 그에 따른 노인복지 문제나 고령자 전용시설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그 관심이 저소득층이나 고소득층 위주이고 또 신체·생리적으로 취약한 고령자들을 위한 요양시설에 치중되어 있으며 전용시설의 경우도 그 기능적인 면만이 강조되고 고령자들의 거주적인 요소를 결정짓는 심리적, 사회적 측면은 등한시 되고 있다. 또한 전용시설 입주 사기 등의 폐해도 속출하고 있다. 고령자들은 자신이 살던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길 원한다. 그들이 살던 집에 살면서 지역에 공동체를 형성하며 보통 사람들처럼(normal) 함께 생활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재가고령자들에게 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관리해주는 제도적인 연계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이동성이 취약한 고령자들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가장 접근성이 양호한 도시기반시설은 초등학교를 들 수 있다. 또한 변화해가는 사회구조 속에서 학교시설은 지역사회의 공공시설로서의 기능과 지역주민의 평생 학습의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의 도보 생활권역 내에 있으면서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로 학급수와 학생 수가 감소하고 있는 초등학교를 지역 고령자들의 복지서비스 거점으로 구축하고 그 거점을 통해 재가고령자와 도시기반시설에서 제공하는 복지서비스가 연계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문헌조사, 사례조사, 현황조사가 이루어졌다. 첫째, 문헌조사에서 고령자 복지와 관련된 단행본과 선행 연구 자료를 조사하고 고령자 특성 파악을 위하여 고령자 통계 및 각종 통계자료 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GIS 커널밀도함수 기법을 이용하여 고령자 인구분포 및 이동특성을 알아보았다. 둘째, 본 연구의 공간적인 대상지인 대구광역시의 고령자 인구분포 및 도시기반시설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GIS의 커널밀도함수 분석, 중첩분석, 버퍼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재가고령자들이 원하는 복지서비스를 지역 내 도시기반시설을 연계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필요한 복지서비스의 유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령자들을 위하여 조성된 고령자 전용 맞춤아파트, 실버타운 등을 방문하여 관리자 및 고령자 인터뷰를 실시하고 설계사무실의 도면 자료 및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고령자들을 위하여 제공되는 복지서비스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넷째, 통합거점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컴퓨터 OPEN API를 활용하여 학군별, 65세 이상 고령자수, 학급 수, 학급당 학생 수, 초등학교에서 각 도시기반시설로의 최단거리 경로를 조사·비교·분석하여 적합한 통합거점을 선정하고 재가고령자에게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시기반시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고령자들은 자신이 살던 지역에 거주하면서 그들이 원하는 복지서비스를 누리길 원하며 그들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재가 고령자 복지서비스 통합거점이 필요하다. 둘째, 통합거점은 지역의 중심에서 고령자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사회참여의 장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령자의 접근이 원활해야하는데 재가고령자에게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도시기반시설 중 고령자 도보생활권에 입지하고 있는 초등학교가 접근성면에서는 가장 적합하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령인구가 줄어들어 학급 수 및 학생 수가 감소하여 여유교실이 증가하고 있어 여유교실을 이용하여 재가고령자 통합거점을 구축한다면 새로운 시설의 신축이나 증축 없이 재가고령자 복지서비스 거점의 구축이 가능하며 학교시설의 공용공간인 운동장이나 체육시설, 강당, 식당 등을 활용하여 고령자 미니복지센터를 조성하여 재가고령자의 지역 활동거점을 구축한다. 셋째, 재가고령자들이 필요한 복지서비스는 생활편의서비스, 문화서비스, 스포츠서비스, 의료서비스, 안전관리서비스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들은 이동주체에 따라 재가서비스 연계, 도시기반시설 연계, U-city 연계로 그 제공행태가 분류된다. 재가 서비스는 서비스가 고령자의 주거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주로 생활편의서비스가 이에 속한다. 고령자가 통합거점을 통해 상담하고 신청하면 통합거점에서 재가노인지원서비스 시설과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시기반시설연계 서비스는 주로 문화, 의료, 스포츠 서비스로 통합거점의 미니복지센터를 이용하거나 다른 도시기반시설로 고령자를 이동·연계하여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U-city 연계는 고령자 주거와 도시기반시설에 U-city를 구축하여 복지서비스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어지는 경우인데 주로 안전관리서비스가 이에 속한다. 넷째, 전체 초등학교 중 통합거점으로 적합한 초등학교를 선정하고 이 통합거점을 중심으로 거점 초등학교와 연계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다섯째, 재가고령자에게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위의 통합거점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최단거리 도시기반시설을 연계하고 각 거점에서 제공되는 복지서비스를 특성화하고 지역의 인프라를 구축한다. 고령자들은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경제적으로 일반인들과는 다르다. 그러나 고령자에게 맞는 공간과 프로그램을 확보하여 그들을 고립시키는 것 또한 고령자 문제의 해결방안이 될 수 없다. 우리사회는 모두의 힘으로 이룩해 온 것이며 모든 세대가 함께 생활하면서 공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한다. 본 연구는 “재가고령자”를 위한 복지서비스 연계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통합관리 하는 통합거점을 구축하여 고령자들이 자신이 살던 지역과 주거에서 계속 거주할 수는 방향성을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The aging of population by the continuous decrease of birth and death rates has emerged as one of the global social problems in this century. Particularly, Korea is showing such tendencies as rapid aging of population, the increase of older seniors over 75 years old and the senior generation as singles and couples. These people, financially richer than the past seniors, form an self-reliant senior generation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culture, enjoying leisure and healthcare services, as well as desiring stable and happy senescence. With the progress of senility, however, they experience behavioral discomfort and limited mobility. The present-day seniors have various problems and needs because their improved standard of living, existence of various age-groups even in the senior group, and the changed consciousness of rights to senior welfare. These various needs amongst senior individuals or the group make it imperative to connect a variety of quality services for them. This kind of connected welfare services, however, are likely to be delivered biasedly or inefficiently to the beneficiaries were they not be organized systematically. The recent days are accordingly witnessing active discussions on such issues as senior welfare and their exclusive facilities. Still, the main concerns are biased toward either the low-income or the high-income classes and toward sanatoriums for the senior vulnerable physically or physiologically. Even for their exclusive facilities, the emphasis is only on functional aspects excluding psychological and social ones which determine the elements of dwelling for the senior. Besides, even fraudulent cases are frequently occurring in the process of their moving into the exclusive facilities. Seniors want to keep living where they have lived. In order to let them keep living in their own house and live together like normal people by forming a community in the local area,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stitutional network that provides and manages integrated welfare services for the senior in hom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s troubled often with mobility, the most accessible urban infrastructure may be primary schools. In the changing social structure, school buildings are also transforming themselves into a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r local residents, functioning as the public facilities for the local community. Thus, this study intends to build a networked system as a local base of senior welfare services with primary schools, which are within the walking sphere of seniors and whose numbers of classes and students have been shrinking recently along with the decrease of school-aged population, and on this base, connects the in-home seniors to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the urban infrastructure.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site survey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included reviewing books about senior welfare services and the related precedent researches, examining the statistics about seniors to figure out their characteristics and conducting many kinds of statistical reviews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GIS kernel density estimation was utilized to see the distribution of senior popul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obility. Second, the GIS kernel density estimation, overlay analysis, and buff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ate of distributions of senior population and urban infrastructure in Daegu, the spatially targeted site of this study. Third, for the purpose of research to provide the welfare services for the in-home seniors in connection with urban infrastructure in the local area,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necessary types of welfare services: visiting silver towns and the customized apartment housing only for seniors,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m, collecting and analyzing such data as the drawings from architectural firms and the Internet web-site documents, and then deriving the types of welfare services provided for the seniors. Fourth, in the process of building an integrated base, surveys and compar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about the numbers of seniors, classes, and students per class, and the shortest path from a primary school to each kind of urban infrastructure. Then, after the selection of a proper integrated base, the urban infrastructure and network were built to provide welfare services for the in-home seniors. The above research entail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eniors want to keep living in the area they have lived in, and an integrated base of in-home senior welfare services is required to provide the services they need. Second, the integrated base should form a senior community in the local center and be a field of social participation. For this, the access by seniors should be easy and in this sense, the most proper urban infrastructure that can offer welfare services for the in-home seniors is primary schools located in the walking sphere of them. Primary schools, experiencing the decrease of classes and students along with the diminished school-aged population, are witnessing the increase of unused classrooms which enable building integrated bases of in-home senior welfare services without new or additional construction works and also utilizing such public spaces as playground, sports facility, auditorium, and cafeteria for making mini-welfare centers and building local activity bases for the seniors. Third, the in-home senior welfare servic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convenience, culture, sports, medical care, and safety management, the provisions of which are also typified by the subjects of mobility as those connected to in-home services, urban infrastructure, and U-city. The in-home service type is provided to the senior dwelling and mainly includes convenience services. The seniors consult and apply for any service through the integrated base, which in turn provides services for them in connection with in-home senior service facilities. The urban infrastructure type is mainly about culture, medical care, and sports services, utilizing the mini-welfare center of the integrated base or guiding seniors into other urban infrastructure in connection. The U-city type provides welfare services with the U-city network built for the senior housing and urban infrastructure, and mainly includes safety management. Fourth, amongst all primary schools, a proper one is selected for the integrated base, around which a network is built in connection. Finally, such integrated networking bases are utilized in providing welfare services necessary for the in-home seniors, connecting urban infrastructure in a shortest distance, characterizing the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each base, and building the local infrastructure. Seniors are different from normal people physically, mentally, and financially. However, isolating them by securing spaces and programs fit for them cannot be a solution for the problems on seniors. Our society has been built by all members and so should head toward the coexistence of all generations living togeth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of suggesting a direction in which senior people can keep living in the houses and areas they have lived, b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networked welfare service systems for the “in-home seniors” and building such bases as to enable integrated management for the easy provision of necessary welfare services.

      • 아동기 피아노 교수법의 이론적 고찰

        이정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 나라는 고도의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사교육에 관심을 갖게됨에 따라 음악의 기초 교육으로 보편화된 피아노 교육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피아노 교육에 있어서 보다 더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방향을 설립하는데 있다. 연구자는 첫 번째 연구 내용으로 피아노 교수법에 대해 고찰해 보았고 그 다음은 아동기의 특징과 도입기 피아노 교본을 비교했으며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교수법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아동기 피아노 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피아노 학습을 통하여 단순히 연주 기술을 익히는 것만이 아니라 아동 스스로가 음악을 경험함으로써 잠재된 능력을 개발시키며 이를 통해 정서함양과 올바른 인격형성의 기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효율적인 피아노 교수법을 위해서는 먼저 아동들에 대한 바른 이해가 있어야 하며 오늘날 악보 읽기와 테크닉에 치우쳐진 교육에서 벗어나서 올바른 자세부터 악상기호의 표현, 독보력 및 초견연주, 암보 등 학습자들이 스스로 음악을 즐기고 적극적으로 음악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전반적이고 포괄적인 교육을 할 수 있어야겠다. 최근 들어 피아노 교수법이나 지도하는 선생님의 역할에 대하여 부쩍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피아노 선생님들은 항상 연구하고 노력하는 자세로 가르치는 것에 조금의 소홀함도 없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무한한 잠재력이 숨어있는 아동들을 지도하는 피아노 선생님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se days, the improved living standard in our country driven by high-speed economic growth has trigerred increasing interest in private education, and piano instruction spreads widely as the basic universal music education 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more effective ways to offer piano education for children in childhood. For the purpose, piano lesson methods were reviewed first, and then piano manual was examined considering childhood characteristics. Finally, ways to give more successful lesson was explored. The genuine goal of piano instruction for childhood is not to simply acquire performing skill, but to develop potential capabilities through direct musical experience, cultivate emotion and build up character properly. In order to teach how to play the piano efficiently, children should be understood correctly, and the current education trend that emphasizes music reading and technique should be avoided. It's needed to make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teach the right musical attitude, use of theme sign, music reading, at-sight performance and memory, in such a way to encourage learners to enjoy music and be involved in musical activities more positively. Recently, there is a growing concern for piano lesson method or teacher role. Piano teachers should always do their best to offer better, careful lesson. It's hoped that this study might be of any use for piano teachers who teach children with unlimited hidden potentialities.

      • 수용자의 비쥬얼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이정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영상을 주체적인 수용자의 입장에서 이해하게 하고자 한다. 둘째, 영상을 현상으로서 바라보는 시각에서 한 단계 발전시켜 영상을 하나의 규칙성을 갖는 언어로서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이와 같은 일련의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체계적인 미디어 교육이 필요함을 간접적으로나마 부각시켜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갖는다. 연구문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유무에 따라 영상물에 대한 비쥬얼 리터러시 능력의 차이가 있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화여고 학생 13명과 이들과 비슷한 사회, 경제적 환경에 있는 고등학생 12명을 표집 하여 FGI를 실시하였다. 이들의 비쥬얼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세가지 측정 도구가 사용되었다. 그것은 스틸이미지, 편집, 비판적 영상인식 능력을 분석하는 틀로 각각 구성된 것이다.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틸 이미지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미디어 교육 집단과 비교육 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편집과 관련해서는 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가 나타났다. 셋째, 비일상적 영상과 관련해서는 집단간 의미 있는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일상적 영상과 관련해서는 집단간 의미 있는 차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집단간 차이가 발견되는 것은 편집과 비판적 영상인식 중의 일상적 영상 인식이었다. 특히 주목할 것은 항목간 차이에서 미디어 교육 집단의 교육 커리큘럼에 포함되었던 교육 내용들을 중심으로 집단간 큰 차를 보인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영상의 표현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살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을 설명해 주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도구에 대한 사전 검증을 거치지 못하고 소수의 표집 대상을 상대로 집단면접 방식을 택함으로서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였다. 둘째, 집단 구성에 있어 매체 이용 행태별로 집단을 구성하지 못하였으며 집단 구성이 여성으로 한정된 점도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장애로 작용하였다. 셋째, 구성된 틀에 대한 문화적 차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넷째, 실험물 구성에 있어 직접 제작한 영상을 사용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제반 연구의 한계는 측정 도구의 개발을 통해 설문을 구성하고 다수의 표집 대상을 상대로 표집을 실시함으로서 많은 부분 해결될 수 있는 문제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능력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과 실험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there points. First, this article reflected the view of critical audiences who are experienced visual images in common situation. Generally speaking, they regard visual images as a part of simple phenomena but this paper introduces the other aspect that visual ones is a language with sequence of regulations. Moreover, this research process itself purposed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media education. The question for the study is as follow: < question > Are there differences of visual literacy according that whether people were educated about media literacy or not? For the purpose, people were sampled and categorized two groups for FGI (focused group interview) test. One group were composed of 13, the students of Be-hya girls' school and the other were 12 students based on similar socioeconomic background. For the research of visual literacy, this article used three measurement tools such as still images (1), image editing (2) and critical literacy for understanding visual images (3). Results of the question are as follows: Frist, in case of still image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ut one group was well-educated about media literacy and the other was ill-educated. Next, image editing (2) made acceptabl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ird, two groups did not clearly show differences on the basis of unusual (specific) images (3) Fi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appened to groups related to usual (routine) images (3) To be brief, image editing and usual (routine) images mad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wo students' groups. Remarkably, the contents that they already knew through their curriculums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classes because they were accustomed to deal with media. Eventually, the effect shows us the possibility that visual images can be used to express oneself and also issues need of media education. To pursuit further studies, some limits of the paper should be considered as follows: Strictly speaking, it is hard to put confidence on the research because there was no pilot study of measurement tools. Besides, sample size is not suitable to perform all the study. Second, group members were not classified in the view of how to use media, and only students in girls' schools took part in the research, so that it became an obstacle to accomplish more generalized study. Third, socioeconomic factors were not reflected in the experimental framework. Forth, the works used for measuring visual images already existed and were not produced by the researcher. In the end, to get over the limits of this thesis, it should be expected that researchers develope measurement tools and build bases of experimental research about visual communication literacy.

      • 가구에 대한 의식 및 소유 실태에 관한 연구 : 제주도를 중심으로

        이정림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구는 주택과 거주자간에 일상생활이 원만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즉 가구는 주생활의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가구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고함을 목적으로 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가구에 대한 의식을 조사, 분석하였고, 이들 요인에 따른 가구 소유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해 22개의 현대가구의 목록을 작성하였고 전통가구는 제주도 각 지역의 가구가 전시되어 있는 박물관 조사를 통해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육지부의 전통가구를 중심으로 현존하는 제주도 전통가구를 포함시켜 대표적인 32개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가구 소유 실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주택의 일반적 특성 가구에 대한 의식을 조사할 수 있는 문항을 만들었다.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제주도를 여섯 개 지역으로 나누어 주부 1200명을 대상으로 가구 소유 실태를 조사하였고 조사기간은 1996년 2월∼6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은 SAS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주택의 일반적 특성, 가구의 소유실태는 빈도분석으로, 가구에 대한 의식 분석은 χ^(2)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가구에 대한 의식을 보면 수납공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는 p<0.001에서 유의한 차를 보였는데 시지역에서 긍정의 응답비율이 높았다. 중고가두에 대한 인식을 보면 낡은 가구를 고쳐서 계속 사용하거나 친분이 있는 사람과 교환해서 사용하는 등의 적극적인 가구 사용 의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있어서는 '보통'이라는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나 불만상태도 아니고 만족상태도 아닌 중간입장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가구에 대한 의식은 '전통가구가 친밀감은 준다'는 호감도가 높게 나타났고, 인지정도에 있어 p<0.01 수준에서 차를 보였는데 시지역에서 전통가구의 평생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다. 전통가구에 대한 가치여부는 대체적으로 높았고 전통가구에 대한 적극적 활용의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가구의 소유 실태는 평균 20% 정도의 소유율을 보였다. 특히 뒤주, 반다지, 찬탁, 소반은 50% 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였다. 가구류는 제주시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고, 탁자류는 북군 서쪽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상(床)류는 북군 서쪽과 남군 동쪽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고, 수납용장류는 북군 동쪽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평균 소유율을 비교해 보면 지역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머리장, 문갑, 병풍, 발, 돗자리는 서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현대가구 소유 실태는 평균 47% 정도로 전통가구보다 2배 이상의 소유율을 보였다. 그 중 수납용 가구장인 옷장, 이불장의 경우 80% 이상의 높은 소유율을 보였고, 의자류, 소파류, 탁자류, 기타 가구류는 서귀포시에서 가장 높은 수유율을 보였다. 그리고 침대류는 북군 서쪽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지역과 시외지역을 비교하였을 때는 시지역의 현대가구 소유율이 1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유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면, 전통가구는 집단간에 소유율의 차이를 보이는 요인은 없었고, 현대가구는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 주택구조에서는 철골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방의 수가 4개 이상인 주택, 자가주택, 고학력, 고소득일수록 소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Furniture plays a medium part to achieve a daily life smoothy between the house and the resident. In other words, because furniture is the important factor to raise the satisfaction of the housing life, and studying on furniture is needed now, in this research I investigated,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furniture, intende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of possession of furnitur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to suggest the using way of furniture. In the way of this research I made lists of 22 modern furniture through considering documents, collecting basic data of traditional furniture through examining the museum which has furniture from the each region of Cheju-do, marking typical 32 lists including an existing traditional furniture of Cheju-do, centering on the traditional furniture in land. And I made a list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of investigation which could influence the conditions of possession of furnitu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use, the consciousness of furniture. Dividing Cheju-do into 6 parts by a standard of on administration district, I investigated the conditions of possession of furniture applying to 1,200 housewives, and the period of investigation was from February to June in 1996. I used 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as the way of analyzing. I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nd house through Frequency Analysis. I analyzed whether there is regional difference or not through χ^(2) Analysis. And I understood the possession of furniture through Frequency Analysis. First, here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at is about consciousness of furniture.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ecuring the space for receiving on the level of P<0.001, the affirmative rate was high in the city. For the consciousness of old furniture it was showed that they didn't use furniture positively as mending old furniture and exchange it with acquaintanc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e could see that there were many middle positions which was not both satisfactory and discontent as the common answer was high. In the consciousness of traditional furniture, there was high level of good impression that the traditional furniture gives the Familiarity, and there was a difference as a level of P<0.01 in the recognizing level, and the recognizing level of name of traditional furniture was high the city. While adding the value was generally high, the consciousness of positive use of traditional furniture was low. Second, the actual conditions of possessing traditional furniture was in 20 percent in average, Especially a rice-chest ("Duiju"), a blanket chest ("Bandaji"), a side dish cupboard ("Chantak"), and a small dining table ("Soban") is as high over 50 percent. A tool was high in Cheju city and a table was high in the western of North-Gun. A desk was high in the western of North-Gun and the eastern of South-Gun, a cabinet for receiving was high in the eastern of North-Gun. When compared as an average rate of possess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regions, but a head cabinet, a stationary case, a folding screen, a bamboo and a mat were high in the city. The actual conditions of owning modern furniture was 47 percent in average, an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hold modem furniture twice as many as the traditional furniture. The rate of possessing receiving furniture including a clothes chest and a bedding chest was as high as over 80 percent, and that of a desk, a bookcase, and a drawer was over 60 percent. A cabinet was highest in Cheju city, a chair, a sofa, a table, and other furniture were highest in Seogui-Po city. And a bed was highest in the western of North-Gun. When compared as the city and the country, the rate of possessing modern furniture was as high as over 10 percent in the city. Third, in the factor to influence the actual conditions of possessing, there was no factor which showed difference of rate of possessing among groups in traditional furniture, as for modern furniture, on apartment in a housing type, a steel structure and reinforced concrete in a housing structure, house, one's own house which has more than four rooms, a high scholarship, a high income showed the high rate of poss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