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라남도 초등 사회 3학년 지역화 교과서의 향토 자원 활용 양상 분석

        이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 속해있는 22개 시ㆍ군의 지역화 교과서에 반영된 향토 자원들을 지역의 고유성을 표현한 것이면 내용으로서의 지역화(of the rigion), 정의적 영역 즉 애향심, 지역정체성 등의 목적으로서의 지역화(for the rigion), 개념학습을 위한 지역 사례 또는 지역 현안에 대한 문제해결 학습으로서 방법으로서의 지역화(by the rigion) 총 3가지 분석 준거를 설정하여 지역화 교과서에 표현된 향토 자원들의 성격을 파악해보고, 6개의 1차범주안에 2~4개의 하위범주를 두어 총 16가지의 범주에 따른 총 향토 자원의 유형을 48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었다. 그 결과 22개 시ㆍ군의 1학기 교과서 세 가지 지역화 유형 비율의 평균은 내용으로서의 지역화 17.4%, 목적으로서의 지역화 68.5%, 방법으로서의 지역화 14.1% 나타났으며, 2학기 교과서의 향토자원들은 방법으로서의 지역화로 간주하였다. 또한 많은 시ㆍ군에서 1차범주인 자연환경, 지역특산물, 생활공간/생산공간, 관광/여행, 장소내러티브, 지역현안의 6가지 범주 중 장소내러티브 영역에서 평균 53.7%의 높은 비율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하위 범주인 문화재 및 유적, 상징물, 무형문화재(지명, 민속), 인물과 사건의 4가지 범주중에서 문화재 및 유적 범주와 무형문화재 즉 2개의 하위범주가 1순위, 2순위를 차지한 시ㆍ군이 12개로 많은 지역에서 지역화 교과서에 문화재와 관련된 지역화 자료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에 따른 결론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3학년에서 ‘사회과 탐구’의 성격과 관련된 부분이다. 3학년에서 ‘사회과 탐구’는 ‘사회’교과서 보다 활용도가 높다는 점이다. 즉 보조교과서의 성격이 뒤 바뀐다고 할 수 있다. 아동의 장소감이 형성될 수 있는 지역사회의 풍부한 향토 자원을 바탕으로 구성된 지역화 교과서인 ‘사회과 탐구’는 학습에 있어서 더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둘째, ‘사회과 탐구’의 내용과 관련된 부분이다. 내용이 어려운 부분이 많이 보였다는 점이다. 특히 교과서 구성 자료가 가장 많이 속했던 장소 내러티브 범주중 문화재 및 유적과 무형문화재(지명, 민속) 범주는 익숙하지 않은 역사적 인물의 등장과 서술은 서술의 내용이 역사적인 성격이 많아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또한 수 많은 석탑과 사적비 등의 문화재들은 오히려 학습의 방해요소로 작용할 정도로 이름이 생소했다. 그리고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여러 가지 지명들과 마을 이름 유래들 또한 학습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사회과 탐구’의 내용 범위와 관련된 부분이다. 도서·벽지 학교가 많은 전라남도의 특성상 행정적인 지역의 의미로 지역화 교과서 자료를 구성했을 때 전혀 또는 생소한 자료가 교과서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장소감이 없는 지역에 대한 학습은 학습가능성을 낮춰 학습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며 특히 전라남도의 시·군은 다른 지역에 비해 교통망이 미흡해 학습자들의 장소감을 형성할 수 있는 접근성 부분에서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접해있는 두 지역의 경계부분에 위치한 지역의 학교에서는 오히려 장소감이 행정적인 경계로 인해 본인의 지역보다 인접해 있는 도시나 군의 터미널과 시장, 극장, 인물, 학교 등에 대하여 보다 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은 문화권적이고 접근가능성이 용이한 지역에 대한 경계의 설정이 필요함을 뜻하고 지역화 자료의 취사·선택에 있어서 ‘지역화의 지역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곧 지역화 자료의 선정에 있어서 시·군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융통성 있는 지역화’를 의미하며, 단위학교 자체의 지역화를 의미한다. 넷째, 향토음식 또는 토속음식 등 음식과 관련된 향토 자원을 설정해야 한다. 지역성은 곧 친숙함이다. 자기 고장의 특산물을 활용한 음식은 평소에 접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관심을 가지기에도 충분한 소재이다. 그 특산물을 활용한 수업이 이루어지면 음식을 통한 지역의, 지역을, 지역에 의한 학습이 모두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이 그 지역의 지리적 표시제와 함께하면 향토음식 자원을 통한 지역화 학습이 최적화 될 수 있을 것이다.

      • 태권도 소비자의 용품구매 기준의 중요도 및 만족도의 관계

        이인식 가천대학교 스포츠문화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on the Taekwondo Athletes’ purchasing behavior, importance of selection Criteria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buy Taekwondo goods. For performing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made adjusting Sim(2004) & Tae(2008)’s questionnaire and Kim(2001) & Chang(2000)’ questionnaire based on Oliver & Swan(1989) and Taylor & Baker(1994) about purchasing behavior, importance of selection criteria and satisfaction. Subjects of 537 were selection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distributed these questionnaire to them. Among collecting questionnaire, 34judged to be insincere were excepted and 504 were included in analysis. In Data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Gender set up throwing variable, tested difference according affiliation using χ2 about purchasing behavior, importance of selection criteria and satisfaction. Signification’ level(α) of all analysis set up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Taekowndo athletes’ purchasing behavior appeared that majority of athletes purchase goods on booth in arena, gain information about it from their friends and purchasing decision influence on themselves, generally(p<.001). But Difference between affiliation according to gender did not appear(p>.05). 2. Ratio of Response on “very importance” & “importance” appeared to be high on Price Performanc/quality, and practicality/convenience, totally(p<.001). But, Ratio of response on “normal” appeared to be high on design/color, brand, personal connection. And Difference between affiliation according to gender did not appear(p>.05). 3. Most of Taekwondo athletes responsed to be “very satisfaction” & “satisfaction” in Taekwondo uniform, Taekwondo shoes, competiton goods, and group uniform, generally(p<.001). But, And Difference between affiliation according to gender did not appear(p>.05). In conclusion, Taekwondo athletes can be to gain it’s information from friends when they need it and purchase Taekwondo goods depending on their judge and experience. Also, They can be to think more importantly price, performance/quality, and practically/convenience then design/color, brand, and personal connection. In tandem, purchasing goods by this selection criteria can be has higher satisfaction.

      • 알칼리 화상후 BMP 7이 토끼 및 쥐의 각막 창상 치유에 미치는 영향

        이인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각막 반흔은 여러 각막질환의 후유증으로 또는 각막의 창상치유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 각막 창상치유과정에서 염증세포의 침윤과 근섬유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이 반흔의 형성을 방지하는 방법중의 하나라 생각할 수 있으며 양막은 이 두 가지 목적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각막 혼탁을 억제할 수 있는 재료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양막에 BMP 7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BMP 7이 각막 반흔형성을 억제하는지와 그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양막에 BMP 7의 존재 확인을 위하여 MALDI-TOF분석과 단항체를 이용한 western immunoblotting을 시행하였다. 쥐의 각막에 알칼리 화상을 입히고 BMP 7이 각막 반흔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각막 혼탁의 정도로 평가하였으며 fibronectin, α-SMA, IV형 콜라겐과 PCNA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조사하였다. 토끼 각막세포와 사람 HaCat 세포에서도 BMP 7처리후 fibronectin, α-SMA 발현의 정도를 western blot과 ELISA로 연구하였다. 양막에 존재하는 50여가지 주요 단백질중에서 BMP 7이 성인에게서는 발현되지 않은데 비해 양막에는 상당량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1.0N NaOH 로 60초간 알칼리 처리 된 쥐의 각막 창상치유에 BMP 7의 처리가 식염수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창상치유과정에서 각막 반흔의 발생을 억제시키며 창상의 치유속도 저하나 기타 다른 부작용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알칼리 처리 직전과 직후, 3일, 1주, 2주, 3주후에 각각 안구적출을 시행하고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BMP 7이 fibronectin, α-SMA, IV형 콜라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관찰하여 BMP 7이 근섬유모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토끼 각막의 조직배양 세포와 사람 HaCat cell에 TGF-β를 처리하여 fibronectin 및 α-SMA의 발현을 확인하고, BMP-7이 이러한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음을 관찰하여 TGF-β에 의한 근섬유모세포로의 분화를 BMP 7이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BMP-7이 근섬유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각막의 창상을 반흔 없이 치유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In clinical ophthalmology, preserved human amiontic membrane (AM) has recently been transplanted to reconstruct damaged corneal or conjunctival mucosal surfaces in patients suffering from chemical or thermal burns. So to identify a scar formation inhibitory protein in AM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rotein on corneal epithelial wound repair, AM was obtained from Korean healthy donor, and proteins from AM were fractionated and assessed for the ability to inhibit myofibroblast formation in HaCat cells. The fraction with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was subjected to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d the fraction with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was subjected to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d each protein spot was analyzed by MALDI-TOF and ESI-TOF MS/MS. Identified proteins were purified and assayed for the effect on myofibroblast formation and scar formation in rat cornea. Analysis of AM proteins by MALDI revealed BMP 7 is one of the major proteins. Purified BMP 7 was able to inhibit myofibroblast formation in HaCat cells. Addition of BMP 7 to HaCat cells was found to repress the fibronectin expression as confirmed by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In addition, BMP 7 was found to suppress scar formation on rat cornea. We have identified BMP 7 from human AM and demonstrated that BMP 7 has an inhibitory effect on myofibroblast formation in cell culture and scar formation in an rat cornea. These data suggested a potential use of BMP 7 for scarless wound healing.

      •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 선택적 원격가입 기법을 통한 멀티캐스트 전송 기법 연구

        이인식 광운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P 멀티캐스트는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최적의 기술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현재의 멀티캐스트 프로토콜들은 유동적인 멤버쉽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동 IPv6 네트워크를 위한 시간과 거리에 기반한 멀티캐스트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기 기법은 시간과 거리를 이용한다. 외부 네트워크 라우터는 이동 호스트에 대해 미리 계산된 임계값보다 더 큰 시간과 거리값을 가질 때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하는 자격을 갖게 된다. 제안한 기법은 NS-2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멀티캐스트 패킷의 지연 시간과 멀티캐스트 그룹에 대한 가입/탈퇴 횟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수학적 분석을 통해 멀티캐스트 그룹에 대한 가입 확률을 계산하였다. IP multicasting has naturally been considered the ideal technique to be used with multimedia communications. Unfortunately, current multicast protocols do not consider the dynamic membership. Therefore, this paper propose a time and distance based multicast scheme for IPv6 mobile networks. The scheme is subject to time and distance. A foreign network is qualification to join the existing multicast tree only its value of time and distance is larger than a computed threshold. The proposed scheme has been implemented and experimented on NS-2 and validated with respect to multicast packet delay time and count of Joining and pruning. Also, compute to joining probability by mathematical analysis.

      • 교원 정년 단축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조사

        이인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99년에 시행된 교원 정년단축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원의 적정 정년 연령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국가경제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고령 교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교직의 유인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다섯째, 교원의 교권과 신분보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여섯째, 교원의 사기와 직무부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일곱째, 교직 풍토와 교직 선택의 긍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산 및 울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학부모 499명을 대상으로 자체 제작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컴퓨터 통계처리 프로그램(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교원 정년단축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빈도와 백분위를 구하였고, 배경변인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을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은 교원의 정년에 대해 60세를 가장 적정한 정년 연령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남녀 교원의 정년 연령을 동일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학부모들은 정년 단축이 국가 경제위기의 극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기고 있었으며, 국가재정에의 예산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기고 있었다. 셋째, 학부모들은 정년단축이 고령 교원의 경험과 원숙함을 고려하지 않는다에 대해서는 중간정도의 인식을 나타내었지만, 고령 교원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불만을 수용하는 것에는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기고 있었다. 넷째, 학부모들은 정년단축이 우수한 학생의 교직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여기고 있었지만, 교직에 대한 유인가를 감소시켜 우수인력의 교직유치가 곤란하다고 보는가에 대해서는 중간정도의 인식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학부모들은 정년단축이 교원의 교권 확립에 도움이 되느냐에 대해 중간정도의 인식을 나타내었고, 교원의 신분보장이 잘 되겠느냐에 대해서도 중간정도의 인식을 나타내었다. 여섯째, 학부모들은 정년단축으로 교원의 사기 및 근무의욕이 향상되어지지 않는 것으로 여기고 있었으며, 학교의 직무부담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여기고 있었다. 일곱째, 학부모들은 정년단축이 교직풍토 쇄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기고 있었지만, 교사들이 교직선택에 대해 긍지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여기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ognition by student parents of reduction in retirement age of teachers which started in 1999. For the purpose, the study rais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retirement age of teachers is recognized by student parents as suitable? Second, how do student parents recognize about national economy? Third, how do student parents recognize about older teachers? Fourth, how do student parents recognize about the attractiveness of the teaching profession? Fifth, how do student parents recognize about the authority and position security of teachers? Sixth, how do student parents recognize about the morale and task responsibility of teachers? And sixth, how do student parents recognize about the atmosphere and pride of the teaching profession? To solve these questions, the study selected 499 student parents living in Pusan and Ulsan as its subjects. Then they were surveyed using questionnaires directly prepared by the researcher.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computer-based statistic program, SPSS. Recognition by student parents about the current reduction in retirement age of teachers was evaluat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ratio. Differences in such recognition based on background factors were determined using χ^(2) test.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 parents recognized the age of 60 as the most suitable retirement age of teachers. They thought that both male and female teachers should retire at the same age. Second, student parents thought that reduction in the retirement age would be helpful to overcoming the crisis of national economy by contributing to budget cuts. Third, student parents agreed moderately that reduction in the retirement age did not make allowances for older teachers' experiences and maturity, but helped accept complaint s by students and their parents about such teachers. Fourth, student parents thought that reduction in the retirement age would make it possible for more capable students to advance into the teaching profession, but they moderately agreed that the reduction would lower the attractiveness of the teaching procession and then lead to the difficulty in inducing such capable students into the profession. Fifth, student parents moderately agreed that reduction in the retirement age would help establish the authority of teachers and that the reduction would contribute to the position security of teachers. Sixth, student parents recognized that the morale and motive of teachers would not be improved by reduction in the retirement age and that the reduction would bring out changes in task responsibility of teachers. And seventh, student parents recognized that reduction in the retirement age would be helpful for renewing the atmosphere of the teaching profession, but make teachers have a lower pride about their profession.

      •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이인식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충청남도 도내 시각장애인이 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장애인이 사회참여를 통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참여하는 것이 장애인 복지의 궁극적인 목적이며 지향점이다. 시각장애인은 시 기능 손상이라는 감각 장애 특성으로 주변 환경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모든 국민은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지지만 장애인들은 장애로 인해서 차별을 받거나 동등한 권리를 누릴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사회의 많은 부분은 장애인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제약과는 다른 사회적, 환경적 제한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에 기존의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이동권에 대한 연구와 장애인을 둘러 싼 환경의 여러 요인 중 장애인의 삶의 질, 혹은 삶의 만족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찾기 힘들며 이러한 연구들의 이론적인 배경 또한 찾기 힘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로 활동이론에 기초하여 시각장애인의 특성과 사회 환경적인 상호작용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장애인들이 가장 접하기 쉬운 사회 환경적 시스템중 하나인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장애유형별 서비스의 정도, 기관으로의 접근성, 시각장애 전문 인력 및 인프라 등의 환경적 요인이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기존 장애인 복지의 패러다임의 변화로 그 방향성을 찾을 수 있다. 장애를 치료의 대상, 보호의 대상으로 바라봤던 의료적 모델에서 장애로 인해서 발생하는 문제가 사회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던 사회적 모델과 이 두 모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한다는 시각에서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충청남도 도내 지역별 장애인복지관의 유형별 서비스 정도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지역별 장애인복지관과 충청남도시각장애인복지관 등 장애인복지관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근성의 정도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셋째, 충청남도 도내 지역별 시각장애 영역 전문 인력 및 서비스제공 인프라의 정도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조사대상은 충청남도 시·군 단위 자체단체 중 14개 시군(계룡시 제외)에 거주 중인 시각장애인중 충청남도시각장애인연합회 지회 회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확률표본 추출법 중 층화추출법을 활용하여 모집단을 서로 겹치지 않는 여러 개의 층(각 지역)으로 분할 한 후 각 층에 배정된 표본을 단순임의추출법에 따라 추출한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조사원을 통한 대면조사, 전화조사로 총 280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본 연구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충청남도 도내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가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서비스 균형이 이루어질수록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복지관의 접근성이 높을수록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 인력 및 인프라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았으나 조사 결과 인프라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장애인복지관에서 시각장애 유형을 고려한 서비스의 균형의 정도를 맞추는 대안, 시설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 등을 제시하였다. 주요 용어: 시각장애인, 삶의 만족도, 삶의 질, 접근성, 서비스의 균형 정도, 시각장애 전문 인력 및 인프라, 활동이론 The present study observed that the services at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vailable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in Chungnam Province exert a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e ultimate goal as well as the direction of welfare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s to help them participate in the society as members of the community as much as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do.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re greatly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e to the nature of their disability with impaired vision. While all people have the right to pursue their happiness, people with disabilities, due to their disability, face discrimination or a situation that deprives them of the equal right. Many parts of the society impose social and circumstantial restrictions different from physical and mental limitations on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is light,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transportation righ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quality of life or life satisfaction among various factor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Meanwhile, most studies were not focused on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nd it was difficult to fi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ose r previous research. For this reason,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 activity theory, presum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nd socio-environmental interaction affects their life satisfaction; and aims to examine how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evel of service for disability type, accessibility to the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centering on welfare centers, which are one of the easily accessible socio-environmental syste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regard to the factor that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e directionality can be found in the paradigm shift of the previous welfar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aradigms shifted from the medical model that considered disability as a target of treatment and protection to the social model that considered the disability-induced issues originating from the society. To resol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e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from the perspective that both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the level of service for different types of disability at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Chungnam Province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Second, does the level of accessibility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t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local cities and in Chungnam Province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ird, does the level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for the visual impairment in local communities within Chungnam Province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o verify these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selected the sample population from the members of the Chungnam Province Associ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who reside in 14 cities (excluding City of Gyeryong) among all local government bodies in Chungnam Province. Among sample extraction methods, this study used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dividing the sample population into multiple layers (each region) to avoid overlaps, extracted samples from each layer using the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the selected participants. From September 1st, 2017 to September 30th, 2017, a total of 280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either via face-to-face survey or via over-the-phone survey. The present study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examining the effect of services at welfare centers in Chungnam Provi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alance in services was found to rais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s the accessibility to a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crease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lso increased. However, the level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did not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despite the hypothesi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alternatives that consider the visual impairment type to bring balance to services an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the facility. Keywords: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Level of lif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ccessibility, Level of balance in services,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ctivity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