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가 장기요양노인 주수발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인경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otential factors influencing caregiving burden of primary caregivers for long-term care elderly at home,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life quality of both elderly people under long-term care at home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surveyed 99 primary caregivers who cared for elderly people (at full age of 65 or older; residing in Hwa-seong, Gyeong-gi province) over 6 months, and thereby determined potential effects of demographic-social variables, variables associated with long-term care service, family functioning, family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upon the caregiving burden of primary caregivers. All data collected from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n demographic-socail factors of primary caregivers, it was found that their monthly mean household income and caregiving period had effects on their caregiving burden.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of elderly people and the number of their chronic diseases had effects on the caregiving burden of primary caregivers. Thirdly, in terms of potential factors related to family, it was found that family communications to resolve family problems had effects on the caregiving burden of primary caregivers. Fourthly,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effects upon the caregiving burden of primary caregiv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an giv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relieve primary caregivers from their burden of caring for long-term care elderly at home: First, it is required to explore possible ways of interv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welfare, so that our social welfare system including Long-term Care Insurance can be more concerned about families including primary caregivers and can take specialized approaches of family education, counseling and family therapy to the caregivers and their family. Secondly, it is demanded to adopt such an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into primary caregivers and their family that it can enrich a group of formal and informal support resources available from external organizations and effectively organize those resourc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make more efforts to facilitate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expand a system of formal resources into wider applications, and organize and assist a self-support group of families caring for long-term care elderly. Thirdly, it is important to make such an effective strategy case management that the approach of social welfare to improving family functioning to resolve family problems and expanding a system of external supports can be properly delivered to both long-term care elderly and their family. Finally, it is urgently demanded for governmental authorities to provide policy-level interests and assistances for near poverty group families outside coverage of Long-term Care Insurance due to poor economic conditions or family discord, so that they can be relieved from the burden of caring for their elderly people. 본 연구는 재가 장기요양노인 주수발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재가 장기요양노인과 주수발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화성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재가 장기요양노인을 6개월 이상 수발하고 있는 주수발자 99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기요양서비스 관련요인, 가족기능, 가족의사소통, 사회적 지지 요인이 주수발자의 부양부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수발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월평균 가구소득, 수발기간이 주수발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기요양노인의 성별, 만성질환의 개수가 주수발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관련 요인 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족의사소통이 주수발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 요인이 주수발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가 장기요양노인 주수발자의 부양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노인장기요양보험 등의 사회복지제도가 주수발자들을 비롯한 가족들에게도 관심을 가지고, 가족교육 및 상담, 가족치료 등의 전문적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족복지 차원의 개입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외부에서 제공되는 공식적․비공식적 지지자원을 풍부하게 하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조직화하는 사회복지적 개입이 요청된다. 자원봉사 활동을 활성화하고, 제도화된 공식적 자원을 확대하며, 재가 장기요양노인 가족들을 위한 자조집단을 구성하고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족내적 기능을 향상시키고 외부적 지지체계를 확대하는 사회복지적 접근이 재가 장기요양노인과 그 가족들에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사례관리 전략이 필요하겠다. 넷째, 경제적 여건이 열악하거나 가족 간의 불일치 등의 이유로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의 사각지대에 있는 가족들의 수발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시급하다.

      • 플루트의 연주 기법에 관한 연구 : 20C에 나타난 특수 기법 중심으로

        이인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세기에 등장하는 플루트의 특수주법을 중심으로 플루트의 발달과정과 일반적인 주법, 그리고 특수주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플루트의 특수주법에 대한 연구는 20세기에 작곡된 곡들과 여러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플루트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고대 유물이나 어원학을 통하여 기원전 2~3세기 이전부터 플루트가 존재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시적인 형태의 플루트는 세로플루트와 가로 플루트로 발전하였는데 17세기 가로플루트의 유행으로 세로플루트는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 이 후, 가로 플루트는 여러 제작자들의 연구와 개량을 거치면서 현대의 플루트로 표준화 되었다. 18세기 뵘에 의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플루트의 기본적인 틀이 갖추어 졌다. 뵘의 연구 중 음향학의 법칙에 의해 정확한 인토네이션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편리한 운지를 위해 Key를 개량하여 정확한 음향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런 개발로 인해 오늘날 플루트는 독주악기와 앙상블 악기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과거 시대에는 플루트의 불완전함으로 인하여 작곡 기법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현대의 많은 작곡가들은 실험적인 창조성으로 새로운 연주 기법들을 시도하여 다양한 주법들이 많이 등장하였다. 플루트의 일반적인 주법으로는 비브라토, 싱글텅깅, 더블텅깅, 트리플텅깅, 트릴 등이 있다. 같은 음고의 음을 낼 때 그 소리의 특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표현 등을 사용하여 화려한 음색을 나타내었다. 기존의 음악에서 탈피하여 20세기에 새롭게 등장한 주법들은 플라터 텅깅을 비롯하여 하모닉스, 더블 하모닉스, 노래와 연주, 휘슬톤, 멀티포닉, 키클릭 등이다. 깨끗하고 청량한 소리를 원했던 작곡가들은 의도적으로 무채색이고 창백한 소리를 내길 원했고, 플루트의 타악기적인 효과나, 음색, 음정의 변화 등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특수주법들은 생소한 소리와 까다로운 운지법 등을 요구하기 때문에 많은 연주가들이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특수 주법에 대한 전문서적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세한 정보를 접할 기회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연주자들에게 현대 기법의 종류와 적절한 예시를 통하여 플루트의 일반적인 주법에서 벗어나 확장되고 진보된 기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20세기 특수주법을 연구하는 학생 또는 교수자에게도 교육 지표가 되길 바라며 교육현장에서도 유용하게 쓰이길 기대해본다. 또한 연주자들은 이러한 주법들을 배척하기 보다는 긍정적인 자세로 받아들이며 이에 대한 연구를 계속함이 올바른 자세라고 할 수 있다.

      • 중학교 미술교과에서 인상주의 작품 감상 지도 방안 연구

        이인경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상주의 회화는 서양미술사에서 큰 의미가 있는 회화운동으로 세계 미술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사실주의에 이어 탄생한 인상주의는 입체파와 야수파에 영향을 주어 피카소나 마티스 같은 천재화가들의 작품세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몇 해전부터 우리나라에는 인상주의 화가들의 단독 전시가 성황리에 개최되었고 인상주의 작품들도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통해서 대중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되었다. 그러나 빠르게 변하는 시대와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 학생들의 감상교육이 미비하여 이에 적절한 감상교육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능력을 높이고 인상주의 회화와 서양미술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인 중학교 미술 감상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 조직혈액 응고인자에 대한 천연물의 저해작용

        이인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박사

        RANK : 247631

        혈관 내피세포막에 결합된 당단백질 (Membrane bound glycoprotein)인 Tissue Factor(TF)는 혈액응고계의 factor X과 factor IX을 모두 활성화시켜 thrombin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혈액응고계의 개시 인자로 알려져 있다. TF는 phospholipid와 결합되어 있어야 활성을 나타내며 혈관벽의 내피세포에서 생합성되어 소포체에 저장되어 있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혈관 내피세포막에는 물론 혈장내에 아주 소량 존재하다가 감염시나 다른 병적인 상태시에 내피세포막에 이동하여 혈액응고계의 반응을 개시함으로써 혈액을 응고시킨다. TF의 induction 은 주로 배양한 혈관 내피세포에서 관찰된 결과 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게 유발물질을 직접주사하여 인위적으로 감염상태를 유발시켰을때 조직내에서 TF활성이 증가 되는가를 관찰 하였다. 흰쥐에게 국소 염증을 일으키는 turpentine oil과 내독소 (endotoxin)의 일종인 E. coli lipopolysaccharide (LPS)를 주사하고 폐와 뇌조직의 TF 활성을 측정한 결과 turpentine oil을 피하 주사한 경우 1일 후에 폐와 뇌조직에서 모두 TF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LPS를 피하 주사한 경우 폐조직에서는 2,4,6일 후 TF 활성이 대조군 보다 오히려 감소하였고 뇌조직에서는 대조군보다 2,4,6일 후 점차 TF 활성이 증가하였다. 이 실험결과 TF는 자극물질에 따라 다르게 유도됨을 알게되었다. 천연물중 TF 저해제를 찾아내고자 모동청, 지유, 치자, 인삼, 메밀등의 배당체들과 은행잎 추출물(G), 기타 여러가지 Flavonoids, 비타민들에 대해 시험관내에서 TF 저해작용을 측정한 결과 지유 성분인 ziyu-glycoside II(ZGII). 그 genin인 pomolic acid. 모동청 성분인 pubescenolic acid, prosapogenin A. 은행잎추출물(G) 들이 강하게 TF 저해작용을 나타내었고 이들의 TF one unit에 대한 50% 저해시의 농도(IaC_50)는 각각 0.46, 0.45, 0.80, 3.79, 3.35 μM 이었다. 그 구조가 유사한 여러가지 saponin 들로부터 구조와 활성간의 관계를 추측할 수 있었다. TF 저해활성이 강한 Pomolic acid 와 그 C_20 의 epimer 인 pubescenolic acid 와 이들의 배당체에 있어서, C_19의 OH와 C_17의 COOH는 TF 활성에 필수적이었고 C₃에는 OH 또는 하나의 당이 결합되어 있어야 활성이 강했으며, C_24는 COOH 보다는 CH₃일 때 활성이 더 강했다. 생체내(in vivo) 에서 ZGII와 G 의 TF 저해작용을 확인 하고자 ZGII는 체중 1kg 당 0.5, 2.5. 12.5 mg 을, G는 체중 1kg당 50 mg 을 각각 12 시간 간격으로 2회 경구투여 한후 Bleeding time, Whole blood clotting time, Plasma clotting time, 뇌 조직의 TF 활성도 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ZGII를 투여한 경우, Bleeding time, Whole blood clotting time은 약간 연장되는 경향을 보였고 Plasma clotting time은 유의차가 없었으며 뇌조직의 TF는 0.5와 2.5mg/kg 에서는 대조군 보다 오히려 TF 활성이 약 16%와 39% 정도 증가되고 12.5mg/kg 에서는 대조군과 별로 차이가 없었다. 한편 G를 투여 한 경우 Bleeding time, Whole blood clotting time, Plasma clotting time 에는 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뇌조직의 TF 활성은 대조군보다 약 45% 정도 감소되었다. 결국 ZGII 및 G는 시험관내 실험에서는 모두 TF를 저해하였으나 생체내 실험에서는 G만이 뇌의 TF를 저해함을 알게 되었다. Tissue Factor(TF), a membrane bound glycoprotein is an important initiating factor in blood coagulation cascade, which leeds to the formation of thrombin by activating both factor X and IX. In normal circulation, plasma is exposed to a very little TF, but in pathologic conditions, endothelial cells, monocyte and marcrophage cells may be induced to express TF and the exposure of TF to plasma appears to led to intravascular coagulation. Endotoxin stimulation to express TF was assayed by procoagulant activity(PCA) in response to endotoxin injection in rats. When turpentine oil(1 ml/kg) was injected subcutaneously, both the lung and the brain TF activities were incerased after one day. But in the groups injected E.coli Lipopolysaccharide(0.1-5mg/kg), the lung TF activities were decreased after 2, 4, 6, days, although brain TF activities were gradually increased after 2, 4, 6, days compared to the control. Many natural product compounds such as saponins, flavonoids and vitamins were screened for TF inhibitors. Among the, ziyu-glycoside II(ZGII), pomolic acid, bubescenolic acid(20-epipomolic acid), prosapogenin A, and the extracts of the leaves of Ginkgo biloba(G) showed strong inhibition on the Tisse Factor, and their IC_50 values for one TF unit were 0.46, 0.45, 0.80, 3.79 and 3.35μM, respectively. Form the structure and function relationships of the homologous saponins form Ilex pubesce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 vitro assay, it can be inferred that COOH on C_17 and OH on C_19 of the pomolic acid were essential for the inhibitory activity and a moiety on C₃ should be H or one sugar moiety, and it was more active with CH₃ then with COOH on C_24. Both of the epimeric form on C_20(20-epipomolic acid and pomolic acid) were strong inhibitors of TF.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0.5, 2.5, 12.5mg/kg of ZGII twice with 12hour intervals to rats, bleeding and whole blood clotting times were delayed a little, but plasma clotting time were not changed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brain TF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the groups fed 0.5 and 2.5 mg/kg of ZGII while it remained about the same as control in the group fed 12.5mg/kg of ZGII. When a dose of 50mg/kg of G was administered twice with 12hour intervals to rats, brain TF activity decreased remarkably although there were not any noticeable changes in bleeding, whole blood clotting, and plasma clotting times. In conclusion, ZGII and G both were strang inhibitors of TF in vitro, but only G was effective inhibitor in vivo.

      • 『莊子』의 遊 思想과 文學的 受容

        이인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莊周(대략 B.C.306-280)는 현실에 대한 憂患을 安命無爲의 태도로 ‘遊’ 하였다. 그는 단순히 현실적 고통과 무력감을 회피하기 위해 隱逸한 것이 아니라, 직면한 현실을 수용하고 정신의 자유로운 여행을 통해 근원적 세상과 合一을 체현하고자 하였다. 변화의 시기에 정체성을 확립한 지식인의 전형적인 행보인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遊의 基本意를 바탕으로 한 莊周의 인생태도를 고찰하면서, 後代 문학에서 다양하게 재현되고 있는 『莊子』‘遊’의 문화적 원형을 살피는 데 있다. 그래서 『莊子』 遊의 원형을 파악하기 위해 遊의 문화연원과 安命無爲와 逍遙無爲의 인생을 이룩한 莊周의 ‘命’에 대한 인식과 처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莊子』 遊의 방향을 世俗과 超世로 구분하여 살피고, 끝없이 浮遊하는 ‘물’을 그것의 속성과 관련하여 遊를 이해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로서 『莊子』 ‘遊’의 문화원형이 후세 문학작품에서는 어떻게 受容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莊周는 변화시킬 수 없는 필연의 것을 命으로 인식하고, 스스로의 命을 편하게 받아들이고 따르는 安命의 인생태도를 견지하였다.혼란한 사회에서 莊周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憂患과 무력감을 해소하고 정신적인 자유를 찾기 위해 浮遊하고자 하였다. 둘째, 世俗의 遊는 公利的인 것을 초월한 無用之用과 生死超越의 自然無爲 경지로 이해할 수 있었고, 超世의 遊는 塵垢之外, 無何有之鄕, 六極之外와 같은 조화로운 이상향으로의 浮遊로서, 이것은 천지만물과 合一된 物化와 道通爲一의 境界로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끝없이 浮遊하는 물은 『莊子』‘遊’ 境界의 원형으로서, 無限至大의 물은 일상의 자아의식이 재생되는 초월적 공간이며, 고요하고 맑은 물은 心靈이 조화를 이루는 逍遙 境界의 본보기라 할 수 있었다. 넷째, 莊周는 자신의 이상과 대립되는 현실에 맞서거나 편승하기 보다는 현실초월이라는 상상력으로 ‘自然의 자유’ 즉 安命逍遙할 수 있는 境界를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후세의 많은 文人과 지식인들에게 자아를 표현하는 상상의 본보기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莊子』 遊의 受容形態는 『楚辭 ․ 遠遊』와 『穆天子傳』, 阮籍의 「詠懷」와 郭璞의「遊仙詩」 그리고 陶潛의 「飮酒」와 「桃花源記」, 王維의 「終南別業」과 李白의 「夢遊天姥吟留別」등을 통하여 표출되었다. 곧 이들 문학작품에서 정신적 遊로 체현되는 天地人 合一의 경지는 彼我의 분별이 없는 조화로운 세상에서의 體道로서, 이 같은 逍遙遊的인 脫俗의 境界는 하나의 문화 원형으로 정착되어 후대의 문학에 고스란히 受容되어 왔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Zhuangzi(approximately B.C.3C) did 'Going rambling' the anxiety about the reality as the attitude of accepting and following the destiny. He did not escape to the nature to avoid realistic pain and ineffectualness simply, and tried to embody the unity with the original world by adopting the reality that was faced, and free mental trip. It is a typical walk of an intellectual who has established the identification at the times of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Zhuangzi's attitude to the life based on fundamental meaning of 'Going rambling', and to examine cultural original form of Zhuangzi 's 'Going rambling' that is being revived variously in literary art after ages. Therefore, to grasp the original form of Zhuangzi 's 'Going rambling', the author examined the recognition and the conduct in 'life' of Zhuangzi who accomplished the life of cultural origin of 'Going rambling', adopting and following the destiny, and living in easy retirement according to natural periodical rhythm. Additionally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the direction of Zhuangzi 's 'Going rambling' by dividing into the mundane world and things transcending the world, and tried to understand 'Going rambling' by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 with reference to natural water. Finally, the author could conclude as follows by examining how original cultural form of Zhuangzi 's 'Going rambling' were adopted in literary works after ages. First, Zhuangzi recognized 'life' as an inevitable thing which could not be changed, and held fast to the his own living attitude of adopting and following own life in comfort. In confused society, Zhuangzi tried to establish own identification, get rid of anxiety and ineffectualness, and float to find mental freedom. Second, 'Going rambling' of the mundane world can be understood as a state of the useless effect transcending an utilitarian thing, the transcendence of life and death, and the life according to natural periodical rhythm. And going rambling transcending the world is freely floating toward harmonious ideal world such as the outside of the mundane world, the place where are nobody, the outside of all direction in heaven and earth, and this can be grasped as 'MulHua' that becomes one with all things in this world, and experience that becomes one with morality are embodied. Third, water free floating endlessly is original form of the state of Zhuangzi 's 'Going rambling', water in unlimited zone is transcendental space where self-consciousness in daily life is revived, and silent and clear water is the example of the state of going gambling that is harmonized with ecstasy. Fourth, Zhuangzi suggested 'the freedom of nature', namely the state of being comfortable and mentally free in own destiny with surrealistic imagination rather than with facing to own ideal opposing to the reality or jumping on it, and this became the example of imagination expressing ego to a lot of literary men and intellectuals in the following periods. In conclusion, the form of adopting Zhuangzi 's 'Going gambling' was expressed through "Far-off Wandering" in Song of the South and Biography of King Mu of Zhou, "Get rid of Apprehension" by Wan Ji, "Far-off Wandering with An Unworldly Man" by Guo Pu, "Drinking" and "The Record of Peach Blossom Spring" by Tao Yuanming, "Villa on Zhongnam Mountain" by Wang Wei, and "Wandering on Tianmu Mountain" by Li Bo. That is to say, the state that heaven, earth, and man become one embodied as emotional 'Going rambling' in these literary works is the experience of moral sense in harmonious world where is no separation between that and me, the state of being free from conventionality that is emotional freedom has settled down as one original form of culture, and been accepted entirely to the posterity.

      • 에큐메니칼 페미니스트 논쟁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 : 1988-1998

        이인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세계교회협의회가 중점 프로그램으로 전개하였던 “에큐메니칼 10년-여성과 연대하는 교회”(1988- 1998)의 페미니스트 윤리적 함의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주제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인 연구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는 UN 여성 10년(1975- 1985)에 대한 교회의 후속조치라고 평가된다. 세계교회협의회는 UN 여성 10년 동안 교회 여성의 관심이 충분히 취급되지 못했다고 판단하고, 교회 여성의 문제를 위한 장기적인 틀로서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를 전개하였다. 즉,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는 교회들로 하여금 교회 구조를 재고찰하고 힘을 동등하게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여성들의 온전한 참여를 보장하라는 요청이다.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를 입체구조적 방법(Delta Method)으로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윤리적 의미를 함축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첫째, ‘정의’라는 윤리적 함의를 가진다.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는, 1974년 베를린 국제회의를 기점으로 전환된 세계교회협의회의 여성문제에 대한 관점을 반영한다. 그것은 ‘여성을 위한 사회적·경제적 정의’인데, 이는 여성이 사회·구조적으로 억압당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둘째, 여성을 위한 정의는 교회가 여성과 ‘연대’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연대는 교회의 회개와 갱신을 전제로 한다. 셋째, 교회가 여성과 연대한다는 것은 교회의 ‘책임’있는 행동을 통해 입증된다. 넷째, 교회의 ‘일치’라는 윤리적 의미를 함축한다. 교회 일치를 추구하는 세계교회협의회는, 회원 교회들에게 여성과의 연대라는 공동의 소명을 실행하도록 권고함으로써 교회 일치를 이루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윤리적 의미 중에서 정의와 연대를 페미니스트 윤리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페미니스트 윤리는, 정의를 정의의 문제가 제기된 상황과 무관하게 정의하거나 분배 문제와 관련하여서만 정의하는 기존의 방식에 문제 제기한다.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이 억압당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하여, 그러한 억압을 제거하는 것이 정의라고 본다. “힘에 초점을 둔 페미니스트 윤리”에 의하면 정의는, 여성을 억압하는 제도와 구조, 그리고 그러한 제도와 구조를 정당화하고 합리화하는 규범과 인식을 제거하고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돌봄에 초점을 둔 페미니스트 윤리”는 연민, 감정이입, 동정, 양육, 친절과 같은 문화적으로 여성적인 가치의 명예회복을 통하여, 정의로운 사회를 형성하고자 한다. 즉, 여성적 가치를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가 함축하는 정의의 의미는, 사회·구조적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뜻하는 사회적·경제적 정의이다. 이 점에서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가 제시하는 정의는 페미니스트 윤리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런데, 페미니스트 윤리는 이러한 정의 개념에서 더 나아간다. 페미니스트 윤리는 현 사회의 문제와 위기를 해결할 대안으로서 여성적 가치를 주장한다. 즉, 여성적 가치의 명예회복을 통해 정의로운 사회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성신학에 의하면, 연대는 구원의 필수조건이다. 왜냐하면 구원은 이웃 사랑에 기초하며, 이웃 사랑은 연대를 통해 표현되기 때문이다. 연대는 피억압자에 대한 이해의 차원을 넘어서, 피억압자에게 구체적으로 응답하는 책임을 수반한다. 이러한 책임으로서의 연대는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성과 성실성을 요구한다. 또한, 연대는 억압적인 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해방적 프락시스를 요청한다. 요컨대, 여성신학적 연대 개념은 책임과 실천을 수반한다고 할 수 있다. 여성신학자들의 이와 같은 연대 개념에 비추어 볼 때,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 의 연대 개념은 교회의 책임과 실천을 더 강조했어야 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feminist ethical implications of "The Ecumenical Decade-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1988-1998) developed as an emphasis program by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his thesis is the fir st full- scale study on this subject.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is regarded as a follow up of the UN Decade for Women (1975-1985). Recognizing that the concerns of women in churches have not been sufficiently treated during the UN Decade,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developed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as a long-term frame for addressing the issues. Thus,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is a call to the churches to reexamine their structures and to provide for equal sharing of power, so that fuller participations of women is guaranteed. When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is analyzed by Delta Method, it shows that it has four ethical implications. First of them is 'justice', social and economic justice for women. It has been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since Berlin conference in 1974. This concept of justice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women are oppressed socio-structurally. Secondly, justice for women is possible in solidarity with women on the part of the churches. This solidarity involves a call for repentance and renewal of the churches. Thirdly, the churches' solidarity with women is demonstrated through accountability of the churches. Fourthly, it implies the unity of the church. The World Council of the Churches seek the unity of the church by recommending it s member churches to do their common calling, solidarity with women. Of those ethical implications, justice and solidarity ar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ethics. Feminist ethics question the assumption that justice can be defined out side the social context where issues of justice arise and the way that justice is defined in terms of distribution. Feminists begin with women's particular oppressions, and find it justice to get rid of them. According to 'power-focused feminist approaches to ethics', justice includes the eliminations or modification of any system, structure, or set of norms that contributes to women's oppression. 'Care-focused feminist approaches to ethics' seek a just society through the rehabilitation of such culturally associated feminine values as compassion, sympathy, nurturance, and kindness. The justice that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implies means social and economic justice which can be translated the liberation from social and structural oppression. In this regard, the justice can be evaluated to have feminist ethical implication. By the way, feminist ethics go beyond such a concept of justice. Feminist ethics regard feminine values as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and crisis of the present society, which is to say a just society can be built by the rehabilitation of the feminine values. Feminist theologians regard solidarity as a prerequisite to salvation, because salvation depends on love of neighbor and love of neighbor is expressed through solidarity. Solidarity is not simply a matter of under standing about the oppressed, it requires concrete answerability, accountability to them. Solidarity as accountability needs to have continuity and integrity. And, solidarity requires a liberative praxis that has as it s goal radical change of oppressive structure. Thus, feminist theological concept of solidarity contains accountability and praxis. In terms of this concept of solidarity,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should have emphasized account ability and praxis on the part of the churches.

      • TV광고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이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TV광고를 텍스트 언어학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시·청각 기호를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화·청자의 이중 구조 등 독특한 통보 상황을 가진 TV광고 텍스트의 유형적 특징과 그것이 언어 표현에 미치는 상관성을 총체적으로 규명하지 않은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본고에서는 텍스트 언어학 이론을 도입해 실제 TV광고들을 구성하는 발화 형식들을 분류하고 그 발화 형식들의 결속구조 장치 사용 양상을 살펴 본 후 실제 TV광고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텍스트 결속구조와 결속성, 텍스트 유형의 이론적 토대를 광고와 연관하여 살펴보았다. 광고 텍스트들은 설득을 주목적으로 하는 호소텍스트이고, 대중을 상대로 하는 공공텍스트라는 공통점을 지니는데 이러한 특성은 텍스트의 구조, 사용하는 어휘와 존대 체계에 영향을 준다. TV광고 텍스트를 포함하여 설득을 주목적으로 하는 광고 텍스트들은 기본적으로 논증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하는 공공적 텍스트이기 때문에 그 존대 체계에 있어서 합쇼체나 해요체를 사용하고 전형적이며 쉬운 어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장에서는 분석 대상이 되는 TV광고 텍스트의 발화형식들과 이들의 결속구조 장치 사용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TV광고는 통보적인 특성상 화·청자의 이중 구조를 가지는데 그 때문에 실제 텍스트 수용자의 발화인 '해설'과 가상의 텍스트 상황 내 화자의 발화인 '대화' 두 유형의 텍스트가 함께 하나의 텍스트를 이룬다. 본고는 이 발화들을 각각 '해설부'와 '대화부'로 명명하고 이들의 결속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두 발화 형식은 TV광고 텍스트 내에서 사용될 때 결속구조 장치의 운용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주목할 만한 두 발화 형식의 차이점은 반복과 생략 현상을 일으키는 문장 성분이 다르다는 것이었다. 해설부가 주로 체언 성분을 반복하였다면, 대화부는 체언 성분을 생략시키고, 술어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결속구조 장치를 사용하였다. 이에 Ⅳ장에서는 실제 TV광고 텍스트들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발화 형식들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텍스트성 실현 양상을 분석했다. 텍스트 분석 과정에서는 TV광고 텍스트를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인 시·청각 기호들과 화면 전개 양상도 함께 살펴서 텍스트 내에서의 발화와 보여지는 텍스트 상황과의 상관성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특히 분석하는 자료들은 각각의 발화 형식을 선호하는 상품 광고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는 각 발화 형식들이 광고주가 의도하는 광고 주제 및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에 따라 전략적으로 사용될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 것이었다. 분석과 통계를 통해 텍스트 수용자에게 직접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광고 주제는 대화부가 삽입된 텍스트에서 가능한 것이고, 광고상품의 2·3차적인 가치를 부각시키는 이미지 광고는 주로 해설부 중심의 광고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것 역시 각각 용언과 체언 중심으로 텍스트 내용을 전개시키는 대화부와 해설부의 특징과도 관련된 것이었다. 이렇게 광고 주제와 발화 형식간 상관관계를 맺는 TV광고 텍스트는 특정 상품에도 특정 발화형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광고상품 중 비교적 고가이며 필수품이라고 할 수 없는 금융·가전 제품 등은 해설부 발화를 선호하였으며, 가격에 구애를 받지 않는 생활용품 등은 대화부 중심의 텍스트를 선호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Ⅴ장은 결론 부분으로 논의를 요약하고 본고의 의의를 점검하였다. This paper aims st analysing TV advertisement in Textlinguistic.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the analyses that failed to closely examines as a whole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V advertisement which has unique communication situation such as the dual structure of the speaker · the listener due to its ability to use audiovisual symbols and the correlatively that it influences upon the language expression. This paper adopted the Textlinguistic theory to classify utterance forms constituting TV advertisement and examined aspects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 of utterance forms, and by that analyses the actual TV advertisement texts. Th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In Chapter Ⅱ, it is examined of the theoretical bases of Cohesive and Coherence, and Text type in relation to the advertisement. The advertisement texts have in common that they are the Appellative text which have the main objects in persuasion and the Public text which target the general public. Accordingly, the advertisement texts including TV advertisement texts, mainly purposing at persuasion, basically have Argumentative structure in the form of thematic development. In Chapter Ⅲ, it is examined of the utterance forms of TV advertisement texts are subjects of the analysis and the aspects of their use of Cohesive device. TV advertisements have a dual structure of the speaker · the listener, and for that reason 'narration' that is utterance of the actual text accepter and 'conversation' that is utterance of the speaker in the virtual text situation. these two texts constitute one text together. In this paper they are named 'narrative part' and 'conversational part' respectively and their cohesive is examined. These two utterance forms show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 when used in TV advertisement texts. An especially remarkable difference is that the sentence which causes recurrence and ellipsi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le the Narration part repeats the nouns mainly. the conversational part omits the nouns, and instead uses the Cohesive device by the method of empathizing verb. Then in Chapter Ⅳ, it is examined of the general textual actualization of typical utterances used in the actual TV advertisement texts. In the process of text analysis, other elements consulting TV advertisement texts, the meaning of audiovisual symbols and scripts are observed as well to find out the correlativity between utterances in the text and the text situation shown. Particularly, the research materials are advertisements that prefer each utterance forms. This is based upon the assumtion that each utterances would have been used strategically according to the theme of advertisements intended by advertisers and the products they want to advertise. Through analysis and statistics, it is discovered that the themes of advertisements which request direct action of the text receivers, are practical in the texts where conversational part is inserted, and the image advertisements bringing into relief the second and third worth of the advertised products are used mainly in the advertisement focusing on the narrative part. This is also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part and narrative part developing contents of the text focusing on verbs and nouns respectively. The TV advertisement texts containing correlation between the theme of advertisement and the utterance form show tendency preferring certain utterance forms for certain products. For finance products or home appliances that are comparatively expensive and hard to be classified as necessities, the utterance of the narrative part is preferred, and for the necessities that make no bones of price, texts focusing on the conversational part are preferred. Chapter ⅴ is conclusion where discussion is summarized and the signifiance of this paper is reviewed.

      • 중학생, 일반고 고등학생과 특성화고 학생의 정의적 요인과 영어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이인경 한국외국어대힉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mparative Study on Affective factors and Linguistic Achievement in English Learning Among Middle School,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correlations between affective variables and English learner’s achievement in English classes. Specifically, it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s among Korea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xiety, WTC (willingness to communicate) and their English achievement scores, because learner’s English affective factors are complex and various depending on their environment.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 surveys, interview and cloze test were conducted, and the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 questionnaire with 22 items for affective variables and 10 cloze test questions were administered to 69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44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68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strumental, integrative, general motivations and anxiety factors have the meaningful result with WTC among all three groups.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WTC are ‘general motivation’ and ‘anxiety’ in all groups. Third, only 'general motivation' and the English test score are positively correlated, and specifically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strumental and general motivations are significant for the students' achievement scores.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consistently remind learners of importance of English through teaching. Second, teachers should compose English teaching in various ways and interestingly. 중학생, 일반고 고등학생과 특성화고 학생의 정의적 요인과 영어성취도와의 상관관계 본 연구는 한국의 중학생, 인문계 고등학생과 특성화 고등학생간의 영어 학습의 동기와 불안감, 의사소통의지 및 영어 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교육집단에 따라 가장 적절한 학습동기와 최소한의 불안감, 그리고 높은 의사소통의지의 영어 수업을 제공하고자 한다. 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학습자의 성공적인 외국어 학습을 위해 꼭 필요한 연구 주제이다. 게다가 학습자가 속한 다양한 사회적 분위기나 학습 환경에 따라 결과는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격적인 영어 학습을 시작하는 중학생, 대입을 목표로 하는 인문계 고등학생, 그리고 취업을 목표로 하는 특성화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자들의 정의적 요인과의 관계, 그리고 영어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여자 중학교의 학생 69명, 여자 인문계 고등학교의 학생 44명, 그리고 여자 특성화 고등학교의 학생 68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중학생 3명, 인문계 고등학생 4명, 특성화 고등학생 4명과 함께 인터뷰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특성화 고등학교,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동기(통합적 동기, 도구적 동기, 일반적 동기), 불안감이 영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생들의 학습동기, 불안감, 영어 의사소통의지의 상관관계가 집단별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셋째, 학습동기, 불안감, 의사소통의지와 영어 성취도의 상관관계는 전체적으로 또는 집단별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하여, 통합적 동기, 도구적 동기, 일반적 동기, 불안감을 측정하기 위한 Gardner(2010)의 AMTB(Attitude and Motivation Test Battery)를 사용하여 번역, 재구성 하였다. 영어 의사소통의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해련과 김우형(2006)의 설문문항과 Cao와 Philp(2006)의 문항을 차용한 이해련(2014)의 설문문항을 중학생 수준에 맞도록 단어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영어 성취도 평가를 위해서 학습자들이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동화이야기를 현 교사들의 검증을 받아 클로즈 테스트로 만들어 10점 만점으로 채점 하였고, 개별 인터뷰는 열린 질문 형식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통합적 동기, 일반적 동기 그리고 불안감이 의사소통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둘째, 영어 의사소통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된 요인을 집단별로 살펴보았을 때 중학생, 특성화고, 일반고 학생 모두 ‘일반적 동기’ 요인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로 영향력이 높은 것은 ‘불안감’ 요인으로 드러났다. 셋째, 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일반적 동기’만이 영어 성취도과 유의미함을 보여주었고, 인문계 고등학생의 도구적 동기와 일반적 동기가 영어 성취도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집단별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학습을 파악하여 영어 과목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수업을 제공하고, 교과서뿐만 아니라 매체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영어활용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동기를 불러일으켜 자동적으로 불안감이 줄어들고 의사소통의지와 영어 성취도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취업모와 비 취업모의 우울감이 영아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인경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어머니의 우울감이 두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어린이집 10개소의 만 0세~만 2세 영아의 어머니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우울감을 측정하기 위해 Beck(1978)의 척도를 번안한 이영호와 송종호(199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일반적 양육행동은 안지영(2001)의 척도로 조사하였으며, 발달지원 양육행동은 Lawton, Schuler, Fowell과 Madson(1984)의 'Parenting Behavior Q-sort' 의 도구 중 신체, 인지, 사회, 정서의 4개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한 양육행동을 번안한 안지영(2001)의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ɑ를 산출하였고, 연구대상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과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과 기술통계를 살펴보았다. 영아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아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아 어머니의 우울감이 영아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MOS를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취업이 우울감과 일반적 양육행동, 발달지원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영아 어머니의 취업은 우울감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에는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감이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영아 어머니가 우울점수가 높을수록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사회․심리적 배경과 양육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아기 및 학령기에 한정되어 이루어진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를 통해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특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의 두 가지 측면의 양육행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어머니의 취업과 우울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