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에큐메니칼 페미니스트 논쟁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 : 1988-1998

        이인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세계교회협의회가 중점 프로그램으로 전개하였던 “에큐메니칼 10년-여성과 연대하는 교회”(1988- 1998)의 페미니스트 윤리적 함의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주제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인 연구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는 UN 여성 10년(1975- 1985)에 대한 교회의 후속조치라고 평가된다. 세계교회협의회는 UN 여성 10년 동안 교회 여성의 관심이 충분히 취급되지 못했다고 판단하고, 교회 여성의 문제를 위한 장기적인 틀로서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를 전개하였다. 즉,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는 교회들로 하여금 교회 구조를 재고찰하고 힘을 동등하게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여성들의 온전한 참여를 보장하라는 요청이다.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를 입체구조적 방법(Delta Method)으로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윤리적 의미를 함축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첫째, ‘정의’라는 윤리적 함의를 가진다.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는, 1974년 베를린 국제회의를 기점으로 전환된 세계교회협의회의 여성문제에 대한 관점을 반영한다. 그것은 ‘여성을 위한 사회적·경제적 정의’인데, 이는 여성이 사회·구조적으로 억압당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둘째, 여성을 위한 정의는 교회가 여성과 ‘연대’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연대는 교회의 회개와 갱신을 전제로 한다. 셋째, 교회가 여성과 연대한다는 것은 교회의 ‘책임’있는 행동을 통해 입증된다. 넷째, 교회의 ‘일치’라는 윤리적 의미를 함축한다. 교회 일치를 추구하는 세계교회협의회는, 회원 교회들에게 여성과의 연대라는 공동의 소명을 실행하도록 권고함으로써 교회 일치를 이루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윤리적 의미 중에서 정의와 연대를 페미니스트 윤리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페미니스트 윤리는, 정의를 정의의 문제가 제기된 상황과 무관하게 정의하거나 분배 문제와 관련하여서만 정의하는 기존의 방식에 문제 제기한다.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이 억압당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하여, 그러한 억압을 제거하는 것이 정의라고 본다. “힘에 초점을 둔 페미니스트 윤리”에 의하면 정의는, 여성을 억압하는 제도와 구조, 그리고 그러한 제도와 구조를 정당화하고 합리화하는 규범과 인식을 제거하고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돌봄에 초점을 둔 페미니스트 윤리”는 연민, 감정이입, 동정, 양육, 친절과 같은 문화적으로 여성적인 가치의 명예회복을 통하여, 정의로운 사회를 형성하고자 한다. 즉, 여성적 가치를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가 함축하는 정의의 의미는, 사회·구조적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뜻하는 사회적·경제적 정의이다. 이 점에서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가 제시하는 정의는 페미니스트 윤리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런데, 페미니스트 윤리는 이러한 정의 개념에서 더 나아간다. 페미니스트 윤리는 현 사회의 문제와 위기를 해결할 대안으로서 여성적 가치를 주장한다. 즉, 여성적 가치의 명예회복을 통해 정의로운 사회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성신학에 의하면, 연대는 구원의 필수조건이다. 왜냐하면 구원은 이웃 사랑에 기초하며, 이웃 사랑은 연대를 통해 표현되기 때문이다. 연대는 피억압자에 대한 이해의 차원을 넘어서, 피억압자에게 구체적으로 응답하는 책임을 수반한다. 이러한 책임으로서의 연대는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성과 성실성을 요구한다. 또한, 연대는 억압적인 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해방적 프락시스를 요청한다. 요컨대, 여성신학적 연대 개념은 책임과 실천을 수반한다고 할 수 있다. 여성신학자들의 이와 같은 연대 개념에 비추어 볼 때, 여성과 연대하는 교회 의 연대 개념은 교회의 책임과 실천을 더 강조했어야 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feminist ethical implications of "The Ecumenical Decade-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1988-1998) developed as an emphasis program by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his thesis is the fir st full- scale study on this subject.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is regarded as a follow up of the UN Decade for Women (1975-1985). Recognizing that the concerns of women in churches have not been sufficiently treated during the UN Decade,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developed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as a long-term frame for addressing the issues. Thus,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is a call to the churches to reexamine their structures and to provide for equal sharing of power, so that fuller participations of women is guaranteed. When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is analyzed by Delta Method, it shows that it has four ethical implications. First of them is 'justice', social and economic justice for women. It has been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since Berlin conference in 1974. This concept of justice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women are oppressed socio-structurally. Secondly, justice for women is possible in solidarity with women on the part of the churches. This solidarity involves a call for repentance and renewal of the churches. Thirdly, the churches' solidarity with women is demonstrated through accountability of the churches. Fourthly, it implies the unity of the church. The World Council of the Churches seek the unity of the church by recommending it s member churches to do their common calling, solidarity with women. Of those ethical implications, justice and solidarity ar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ethics. Feminist ethics question the assumption that justice can be defined out side the social context where issues of justice arise and the way that justice is defined in terms of distribution. Feminists begin with women's particular oppressions, and find it justice to get rid of them. According to 'power-focused feminist approaches to ethics', justice includes the eliminations or modification of any system, structure, or set of norms that contributes to women's oppression. 'Care-focused feminist approaches to ethics' seek a just society through the rehabilitation of such culturally associated feminine values as compassion, sympathy, nurturance, and kindness. The justice that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implies means social and economic justice which can be translated the liberation from social and structural oppression. In this regard, the justice can be evaluated to have feminist ethical implication. By the way, feminist ethics go beyond such a concept of justice. Feminist ethics regard feminine values as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and crisis of the present society, which is to say a just society can be built by the rehabilitation of the feminine values. Feminist theologians regard solidarity as a prerequisite to salvation, because salvation depends on love of neighbor and love of neighbor is expressed through solidarity. Solidarity is not simply a matter of under standing about the oppressed, it requires concrete answerability, accountability to them. Solidarity as accountability needs to have continuity and integrity. And, solidarity requires a liberative praxis that has as it s goal radical change of oppressive structure. Thus, feminist theological concept of solidarity contains accountability and praxis. In terms of this concept of solidarity, "the Churches in Solidarity with Women" should have emphasized account ability and praxis on the part of the churches.

      • TV광고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이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TV광고를 텍스트 언어학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시·청각 기호를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화·청자의 이중 구조 등 독특한 통보 상황을 가진 TV광고 텍스트의 유형적 특징과 그것이 언어 표현에 미치는 상관성을 총체적으로 규명하지 않은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본고에서는 텍스트 언어학 이론을 도입해 실제 TV광고들을 구성하는 발화 형식들을 분류하고 그 발화 형식들의 결속구조 장치 사용 양상을 살펴 본 후 실제 TV광고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텍스트 결속구조와 결속성, 텍스트 유형의 이론적 토대를 광고와 연관하여 살펴보았다. 광고 텍스트들은 설득을 주목적으로 하는 호소텍스트이고, 대중을 상대로 하는 공공텍스트라는 공통점을 지니는데 이러한 특성은 텍스트의 구조, 사용하는 어휘와 존대 체계에 영향을 준다. TV광고 텍스트를 포함하여 설득을 주목적으로 하는 광고 텍스트들은 기본적으로 논증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하는 공공적 텍스트이기 때문에 그 존대 체계에 있어서 합쇼체나 해요체를 사용하고 전형적이며 쉬운 어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장에서는 분석 대상이 되는 TV광고 텍스트의 발화형식들과 이들의 결속구조 장치 사용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TV광고는 통보적인 특성상 화·청자의 이중 구조를 가지는데 그 때문에 실제 텍스트 수용자의 발화인 '해설'과 가상의 텍스트 상황 내 화자의 발화인 '대화' 두 유형의 텍스트가 함께 하나의 텍스트를 이룬다. 본고는 이 발화들을 각각 '해설부'와 '대화부'로 명명하고 이들의 결속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두 발화 형식은 TV광고 텍스트 내에서 사용될 때 결속구조 장치의 운용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주목할 만한 두 발화 형식의 차이점은 반복과 생략 현상을 일으키는 문장 성분이 다르다는 것이었다. 해설부가 주로 체언 성분을 반복하였다면, 대화부는 체언 성분을 생략시키고, 술어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결속구조 장치를 사용하였다. 이에 Ⅳ장에서는 실제 TV광고 텍스트들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발화 형식들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텍스트성 실현 양상을 분석했다. 텍스트 분석 과정에서는 TV광고 텍스트를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인 시·청각 기호들과 화면 전개 양상도 함께 살펴서 텍스트 내에서의 발화와 보여지는 텍스트 상황과의 상관성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특히 분석하는 자료들은 각각의 발화 형식을 선호하는 상품 광고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는 각 발화 형식들이 광고주가 의도하는 광고 주제 및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에 따라 전략적으로 사용될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 것이었다. 분석과 통계를 통해 텍스트 수용자에게 직접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광고 주제는 대화부가 삽입된 텍스트에서 가능한 것이고, 광고상품의 2·3차적인 가치를 부각시키는 이미지 광고는 주로 해설부 중심의 광고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것 역시 각각 용언과 체언 중심으로 텍스트 내용을 전개시키는 대화부와 해설부의 특징과도 관련된 것이었다. 이렇게 광고 주제와 발화 형식간 상관관계를 맺는 TV광고 텍스트는 특정 상품에도 특정 발화형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광고상품 중 비교적 고가이며 필수품이라고 할 수 없는 금융·가전 제품 등은 해설부 발화를 선호하였으며, 가격에 구애를 받지 않는 생활용품 등은 대화부 중심의 텍스트를 선호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Ⅴ장은 결론 부분으로 논의를 요약하고 본고의 의의를 점검하였다. This paper aims st analysing TV advertisement in Textlinguistic.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the analyses that failed to closely examines as a whole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V advertisement which has unique communication situation such as the dual structure of the speaker · the listener due to its ability to use audiovisual symbols and the correlatively that it influences upon the language expression. This paper adopted the Textlinguistic theory to classify utterance forms constituting TV advertisement and examined aspects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 of utterance forms, and by that analyses the actual TV advertisement texts. Th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In Chapter Ⅱ, it is examined of the theoretical bases of Cohesive and Coherence, and Text type in relation to the advertisement. The advertisement texts have in common that they are the Appellative text which have the main objects in persuasion and the Public text which target the general public. Accordingly, the advertisement texts including TV advertisement texts, mainly purposing at persuasion, basically have Argumentative structure in the form of thematic development. In Chapter Ⅲ, it is examined of the utterance forms of TV advertisement texts are subjects of the analysis and the aspects of their use of Cohesive device. TV advertisements have a dual structure of the speaker · the listener, and for that reason 'narration' that is utterance of the actual text accepter and 'conversation' that is utterance of the speaker in the virtual text situation. these two texts constitute one text together. In this paper they are named 'narrative part' and 'conversational part' respectively and their cohesive is examined. These two utterance forms show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 when used in TV advertisement texts. An especially remarkable difference is that the sentence which causes recurrence and ellipsi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le the Narration part repeats the nouns mainly. the conversational part omits the nouns, and instead uses the Cohesive device by the method of empathizing verb. Then in Chapter Ⅳ, it is examined of the general textual actualization of typical utterances used in the actual TV advertisement texts. In the process of text analysis, other elements consulting TV advertisement texts, the meaning of audiovisual symbols and scripts are observed as well to find out the correlativity between utterances in the text and the text situation shown. Particularly, the research materials are advertisements that prefer each utterance forms. This is based upon the assumtion that each utterances would have been used strategically according to the theme of advertisements intended by advertisers and the products they want to advertise. Through analysis and statistics, it is discovered that the themes of advertisements which request direct action of the text receivers, are practical in the texts where conversational part is inserted, and the image advertisements bringing into relief the second and third worth of the advertised products are used mainly in the advertisement focusing on the narrative part. This is also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part and narrative part developing contents of the text focusing on verbs and nouns respectively. The TV advertisement texts containing correlation between the theme of advertisement and the utterance form show tendency preferring certain utterance forms for certain products. For finance products or home appliances that are comparatively expensive and hard to be classified as necessities, the utterance of the narrative part is preferred, and for the necessities that make no bones of price, texts focusing on the conversational part are preferred. Chapter ⅴ is conclusion where discussion is summarized and the signifiance of this paper is reviewed.

      • 취업모와 비 취업모의 우울감이 영아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인경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어머니의 우울감이 두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어린이집 10개소의 만 0세~만 2세 영아의 어머니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우울감을 측정하기 위해 Beck(1978)의 척도를 번안한 이영호와 송종호(199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일반적 양육행동은 안지영(2001)의 척도로 조사하였으며, 발달지원 양육행동은 Lawton, Schuler, Fowell과 Madson(1984)의 'Parenting Behavior Q-sort' 의 도구 중 신체, 인지, 사회, 정서의 4개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한 양육행동을 번안한 안지영(2001)의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ɑ를 산출하였고, 연구대상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과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과 기술통계를 살펴보았다. 영아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아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아 어머니의 우울감이 영아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MOS를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취업이 우울감과 일반적 양육행동, 발달지원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영아 어머니의 취업은 우울감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에는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감이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영아 어머니가 우울점수가 높을수록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사회․심리적 배경과 양육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아기 및 학령기에 한정되어 이루어진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를 통해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특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의 두 가지 측면의 양육행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어머니의 취업과 우울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莊子』의 遊 思想과 文學的 受容

        이인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莊周(대략 B.C.306-280)는 현실에 대한 憂患을 安命無爲의 태도로 ‘遊’ 하였다. 그는 단순히 현실적 고통과 무력감을 회피하기 위해 隱逸한 것이 아니라, 직면한 현실을 수용하고 정신의 자유로운 여행을 통해 근원적 세상과 合一을 체현하고자 하였다. 변화의 시기에 정체성을 확립한 지식인의 전형적인 행보인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遊의 基本意를 바탕으로 한 莊周의 인생태도를 고찰하면서, 後代 문학에서 다양하게 재현되고 있는 『莊子』‘遊’의 문화적 원형을 살피는 데 있다. 그래서 『莊子』 遊의 원형을 파악하기 위해 遊의 문화연원과 安命無爲와 逍遙無爲의 인생을 이룩한 莊周의 ‘命’에 대한 인식과 처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莊子』 遊의 방향을 世俗과 超世로 구분하여 살피고, 끝없이 浮遊하는 ‘물’을 그것의 속성과 관련하여 遊를 이해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로서 『莊子』 ‘遊’의 문화원형이 후세 문학작품에서는 어떻게 受容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莊周는 변화시킬 수 없는 필연의 것을 命으로 인식하고, 스스로의 命을 편하게 받아들이고 따르는 安命의 인생태도를 견지하였다.혼란한 사회에서 莊周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憂患과 무력감을 해소하고 정신적인 자유를 찾기 위해 浮遊하고자 하였다. 둘째, 世俗의 遊는 公利的인 것을 초월한 無用之用과 生死超越의 自然無爲 경지로 이해할 수 있었고, 超世의 遊는 塵垢之外, 無何有之鄕, 六極之外와 같은 조화로운 이상향으로의 浮遊로서, 이것은 천지만물과 合一된 物化와 道通爲一의 境界로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끝없이 浮遊하는 물은 『莊子』‘遊’ 境界의 원형으로서, 無限至大의 물은 일상의 자아의식이 재생되는 초월적 공간이며, 고요하고 맑은 물은 心靈이 조화를 이루는 逍遙 境界의 본보기라 할 수 있었다. 넷째, 莊周는 자신의 이상과 대립되는 현실에 맞서거나 편승하기 보다는 현실초월이라는 상상력으로 ‘自然의 자유’ 즉 安命逍遙할 수 있는 境界를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후세의 많은 文人과 지식인들에게 자아를 표현하는 상상의 본보기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莊子』 遊의 受容形態는 『楚辭 ․ 遠遊』와 『穆天子傳』, 阮籍의 「詠懷」와 郭璞의「遊仙詩」 그리고 陶潛의 「飮酒」와 「桃花源記」, 王維의 「終南別業」과 李白의 「夢遊天姥吟留別」등을 통하여 표출되었다. 곧 이들 문학작품에서 정신적 遊로 체현되는 天地人 合一의 경지는 彼我의 분별이 없는 조화로운 세상에서의 體道로서, 이 같은 逍遙遊的인 脫俗의 境界는 하나의 문화 원형으로 정착되어 후대의 문학에 고스란히 受容되어 왔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Zhuangzi(approximately B.C.3C) did 'Going rambling' the anxiety about the reality as the attitude of accepting and following the destiny. He did not escape to the nature to avoid realistic pain and ineffectualness simply, and tried to embody the unity with the original world by adopting the reality that was faced, and free mental trip. It is a typical walk of an intellectual who has established the identification at the times of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Zhuangzi's attitude to the life based on fundamental meaning of 'Going rambling', and to examine cultural original form of Zhuangzi 's 'Going rambling' that is being revived variously in literary art after ages. Therefore, to grasp the original form of Zhuangzi 's 'Going rambling', the author examined the recognition and the conduct in 'life' of Zhuangzi who accomplished the life of cultural origin of 'Going rambling', adopting and following the destiny, and living in easy retirement according to natural periodical rhythm. Additionally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the direction of Zhuangzi 's 'Going rambling' by dividing into the mundane world and things transcending the world, and tried to understand 'Going rambling' by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 with reference to natural water. Finally, the author could conclude as follows by examining how original cultural form of Zhuangzi 's 'Going rambling' were adopted in literary works after ages. First, Zhuangzi recognized 'life' as an inevitable thing which could not be changed, and held fast to the his own living attitude of adopting and following own life in comfort. In confused society, Zhuangzi tried to establish own identification, get rid of anxiety and ineffectualness, and float to find mental freedom. Second, 'Going rambling' of the mundane world can be understood as a state of the useless effect transcending an utilitarian thing, the transcendence of life and death, and the life according to natural periodical rhythm. And going rambling transcending the world is freely floating toward harmonious ideal world such as the outside of the mundane world, the place where are nobody, the outside of all direction in heaven and earth, and this can be grasped as 'MulHua' that becomes one with all things in this world, and experience that becomes one with morality are embodied. Third, water free floating endlessly is original form of the state of Zhuangzi 's 'Going rambling', water in unlimited zone is transcendental space where self-consciousness in daily life is revived, and silent and clear water is the example of the state of going gambling that is harmonized with ecstasy. Fourth, Zhuangzi suggested 'the freedom of nature', namely the state of being comfortable and mentally free in own destiny with surrealistic imagination rather than with facing to own ideal opposing to the reality or jumping on it, and this became the example of imagination expressing ego to a lot of literary men and intellectuals in the following periods. In conclusion, the form of adopting Zhuangzi 's 'Going gambling' was expressed through "Far-off Wandering" in Song of the South and Biography of King Mu of Zhou, "Get rid of Apprehension" by Wan Ji, "Far-off Wandering with An Unworldly Man" by Guo Pu, "Drinking" and "The Record of Peach Blossom Spring" by Tao Yuanming, "Villa on Zhongnam Mountain" by Wang Wei, and "Wandering on Tianmu Mountain" by Li Bo. That is to say, the state that heaven, earth, and man become one embodied as emotional 'Going rambling' in these literary works is the experience of moral sense in harmonious world where is no separation between that and me, the state of being free from conventionality that is emotional freedom has settled down as one original form of culture, and been accepted entirely to the posterity.

      • 제7차 교육과정인 고등학교 '생태와 환경' 교과서의 분석

        이인경 대구가톨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Environmental problems are not limited in a region or a country, it is an international problem. Thus, the most fundamental solution to measure environmental problems is to make people aware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cooperate in order to decrease the problem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ficially anounced in December 1998, focuses on the change of attitude to environments and practical behavior in real life for 'Ecosystem & Environment' which i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in high school. By analyzing the go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current Ecosystem & Environment textbook, we need to find out whether the Ecosystem & Environment is followed the suggestion of the 7th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information in order to conduct e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by finding out problems and solutions of the textbook. The details of the purpose of research are: 1. Is the goal of the 'Ecosystem & Environment' textbook reflected the suggestion of the 7th curriculum? 2. Are big chapters and middle chapters related each other? 3. What is the catego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7th curriculum the Ecosystem & Environment rather than the 6th curriculum? 4. 'Ecosystem & Environment' in the 7th curriculum emphasizes on activity. I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the activity, presented? 5. What are problems and solutions of the Ecosystem & Environment textbook before distributing the 7th curriculum?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purposes above are: 1. The goal of the Ecosystem & Environment is not well reflected a the suggestion of the 7th curriculum. Therefore, a concrete goal strategy for the 7th curriculum has to be established. 2. Goals of chapters are not related. 3. The 7th curriculum the Ecosystem & Environment contains less field of content of environmental problems than the 6th curriculum Environmental Science. However, the 7th curriculum still stresses on environmental problems too much. 4. Although the name of the textbook is the Ecosystem & Environment, contents emphasis is very little. Students may be confused about the name and feature of the textbook. 5. In activity,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ttach too much importance on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So, discussion, experiment-practice, role-playing, games-play, and scene experience should be used for a pleasant learning. 6. Experiment-practice and scene-experience require much time and high level not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level, and reality of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curriculum easy and interes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various researches have to be conducted. 7. Contents about ESSD, which is argued as an issue of current inter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not emphasized enough. Hence, in order to introduce ESSD to environmental education, concrete studies about the goal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ESSD have to be done

      •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병원낙상 예방활동에 미치는 요인

        이인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간호사의 병원낙상 예방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G시에 소재한 C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25명을 대상으로 2011년 2월 21일부터 3월 12일까지 설문지를 사용하여 병원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활동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병원낙상 지식과 태도 측정도구는 김철규(2002)가 개발한 낙상에 대한 지식과 태도 측정도구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병원낙상 예방활동 측정도구는 황금순(2006)이 사용한 간호행위 조사지중 낙상방지부분을 발췌하여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18.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방법은 실수,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acute; test,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의 병원낙상 예방활동에 미치는 요인은 병원낙상에 대한 태도(β= .259, p< .001), 학력(β= .163, p= .002), 낙상 예방교육의 빈도(β= .139, p= .009)순으로 11.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태도점수가 높고 대졸 이상이며 낙상교육 횟수가 4회 이상에서 낙상예방활동 정도가 높았다. 2. 대상자의 병원낙상 지식 점수는 총 14점 중 6.37점으로 백분위 점수 45.5점의 낮은 수준이었다. 내과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보다(F=2.95, p= .033), 담당환자 병원낙상 경험이 있을 때가 없을 때보다(t=1.98, p= .049) 병원낙상 지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의 병원낙상에 대한 태도 점수는 문항평균 3.73점이었고 백분위 환산점수 74.6점의 보통수준이었다. 병원낙상 태도정도는 35세 이상(F=6.03, p= .001), 경력 10년 이상(F=6.91, p= .001), 대학원 이상의 학력(F=6.91, p= .001), 낙상 예방교육을 2회 이상 받은 집단(F=7.57, p< .001)이 1회 이하 받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대상자의 병원낙상 예방활동 점수는 문항평균 4.41점으로 백분위 88.2점의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학력이 대졸 이상(F=8.67, p< .001), 낙상 예방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을 때(t=2.82, p= .005), 교육받은 횟수가 4회 이상(F=4.85, p= .001)에서 병원낙상 예방활동이 유의하게 높았다. 5. 대상자의 병원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병원낙상 태도와 예방활동 간에는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271, p< .001) 지식과 예방활동 간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병원낙상 예방활동에 미치는 요인은 간호사의 병원낙상에 대한 태도, 학력, 낙상 예방교육 횟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병원낙상 예방교육을 실시할 때 낙상 예방교육을 단회에 그치는 것보다는 반복적으로 실시하고 낙상에 대한 태도를 강화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냉동 딸기와 블루베리를 활용한 고품질의 가공 기술 개발

        이인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냉동 딸기와 블루베리를 이용하여 농축 주스와 퓨레를 제조 시 색소안정화를 위한 산도 조절제로 citric acid와 sodium hexameta phosphate을 사용하였으며 효소로는 pectinase를 이용하여 최적의 처리 공정을 개발하였다. 또한 저장성 실험을 하여 안토시아닌 색소의 저장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베리류(딸기, 블루베리) 전처리 및 동결·해동 조건 설정으로 전처리로서 딸기 대비 1%(w/w) citric acid를 첨가한 40 Brix 설탕 침지용액에 1분간 침지시킨 후 deep freezer를 이용한 급속 동결한 다음 microwave 해동 또는 4℃의 공기 해동하는 공정이 동결·해동과정에서 품질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리류의 농축 주스 가공공정으로 40 Brix로 농축하는 과정에서 40℃에서 감압농축을 하였으며 살균공정으로 90℃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40 Brix 설탕용액에 산도 조절제로서 원료 대비 1%(w/w)의 citric acid와 sodium hexameta phosphate을 첨가하여 3분간 침지 한 다음 처리군으로 사용하였다. 딸기 농축 주스의 색도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CA-SHP 처리군에서 각각 44.03, 29.49 mg/100 g이었으며 항산화 활성으로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각각 88.01%와 95.38%로 가장 높은 결과 값을 나타냈다. 딸기 농축 퓨레의 색도,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CA-SHP 처리군에서 각각 24.36, 13.76 mg/100 g이었으며 항산화 활성으로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83.76%, 75.86%으로 각각 나타났다. 블루베리 농축 주스의 색가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CA-SHP 처리군에서 각각 26.86 E10%1cm, 25.41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 활성으로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각각 87.34%와 94.54%로 가장 높은 결과 값을 보였다. 블루베리 농축 퓨레의 색도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CA-SHP 처리군에서 각각 3.45, 31.30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 활성으로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및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각각 63.10%와 58.50%로 가장 높은 결과 값을 보였다. Sodium hexameta phophate 농도, 효소 농도, 반응 온도에 따른 농축 주스와 퓨레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안토시아닌 함량, 색가, 색도의 a값을 다중반응표면의 최적화 방법으로써 만족함수(desirability function)를 이용하여 종속변수들의 가중치를 1로 놓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최적 처리 조건은 딸기 농축 주스에서는 SHP 농도 0.38%, 효소 농도 1.5 mL/100 L, 반응 온도 23.75℃의 조건이었으며, 딸기 농축 퓨레의 경우 SHP 농도 0.45%, 효소 농도 1.5 mL/100 L, 반응온도 51.65℃의 조건이었다. 블루베리의 농축 주스의 최적 처리 조건은 SHP 0.34%, 효소 농도 1.42 mL/100 L의 조건이었으며, 블루베리 농축 퓨레의 최적 처리 조건은 SHP 농도 0.75%, 효소 농도 0.98 mL/100 L 로 나타났다. 베리류 농축 주스와 퓨레의 25℃에서 5주간 저장동안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딸기 농축 주스의 경우 안토시아닌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저장초기 대조군과 처리군이 각각 13.56 mg/100 g, 33.22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5주 후 대조군의 경우 0 mg/100 g으로 완전히 감소하였으며 처리군은 0.356 mg/100 g으로 나타났다. 딸기 농축 퓨레의 경우 5주 동안의 색도 a 값의 변화에서는 대조군은 31.06에서 10.39로 감소하였으며 처리군의 경우 40.31에서 13.19으로 감소하였다. 블루베리 농축 주스의 저장 중 안토시아닌 함량의 변화량은 대조군의 경우 7.05 mg/100 g에서 1.89 mg/100 g으로 73.19%의 큰 감소 폭을 보였으며, 처리군에서는 39.03 mg/100 g에서 14.29 mg/100 g으로 63.39% 감소하였다. 농축 블루베리 퓨레의 경우에서는 안토시아닌 함량의 변화량은 대조군의 경우 67.40 mg/100 g에서 43.19 mg/100 g으로 35.29%의 감소 폭을 보였으며, 처리군에서는 76.06 mg/100 g에서 61.70 mg/100 g으로 18.88% 감소하였다.

      • 국내 학술논문에 사용된 자료의 품질에 관한 연구

        이인경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st Century‘s called information age. So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quality development is getting more crucial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recognition that information is property. As well as national statistics, a genuine quality of data is required in commercial researching area. For that reason, first, we searched our present situation and a global tendency in data quality management. Second, We figured out the weakness of survey data which was used in thesis. Then, We used 16 items which were suggested by KASR(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as a standard of survey data quality evaluation in thesis. Finally, we suggested a model for a survey data quality evaluation in a thesis by observing them from KASR's principles. 21세기 정보화 시대를 맞아 정보가 곧 재화라는 인식이 팽배해지면서 정보의 관리와 질적 향상에 대한 욕구와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시대에 도래해 있다. 국가통계는 물론 연구논문에 사용되는 data 까지도 양질의 data이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먼저 현재 data 질 관리를 위해 행해지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와 우리나라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둘째로 학위논문에 사용되고 있는 여론조사 자료의 현실을 파악함과 동시에 질적으로 얼마나 취약한가를 확인하였다. 셋째로 학위논문에 사용되고 있는 여론조사 자료의 질적 평가의 기준은 한국조사연구학회에서 제시한 강령 16가지 항목을 대상으로 하였다. 끝으로 강령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항의 준수여부에 따라서 학위논문에 사용된 data의 질을 평가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 아동기의 리듬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연구 : 달크로즈 유리드믹스를 중심으로

        이인경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 음악 교육의 주된 화두는 교육으로서 음악 교육이 존재하여야 할 당위성의 문제이다. 음악 교육의 당위성의 문제는 음악을 고립된 하나의 작품으로서 배우는 것에서 벗어나, 음악을 배우는 과정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예술적 정신 생활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게 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적 중요성의 인식은 음악 교육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여, 현대 음악 교육에서 음악을 이루는 구조적인 개념들을 중시하고 그것을 지도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하였다. 음악을 이루는 구조적인 개념들 중 특히 리듬은 자연을 포함한 인간의 생활과 모든 예술에 내재된 기본적인 흐름으로, 화성이나 선율없이 단독으로 음악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음악 교육의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다. 리듬감의 발달은 청감각과 리듬감수능력이 급속히 발달하는 4세부터 9세 사이에 거의 완성된다. 따라서, 리듬을 출발점으로 삼는 음악 교육에서 아동기의 적절한 리듬 교수 방법은 한 아동의 음악적 성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 특히, 일반 음악 교육 이전의 4세에서 7세까지의 아동은 리듬에 흥미가 많고, 신체적 근육의 발달로 신체를 통한 움직임이 활발하며 상상력과 호기심이 많다. 이러한 아동기의 특징은 신체를 사용하여 리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으며, 아동의 흥미와 상상력을 자극하는 동시에 리듬 발달에 중요한 시기인 아동의 리듬과 신체 발달을 고려한 교수 방법을 요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리듬을 음악의 원동력으로 보고, 음악의 리듬을 신체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달크로즈 유리드믹스 교수법을 아동의 리듬감을 발달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지도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달크로즈 유리드믹스 지도에 의한 4~7세 아동기의 리듬 발달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리듬의 개념과 음악 교육에서 리듬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고, 아동기의 리듬 교육이 중요한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아동기의 효과적인 리듬 지도를 위한 교수법으로 제안된 달크로즈의 음악 교육 철학과 달크로즈 유리드믹스의 개념 및 34가지의 리듬 요소를 살펴보고, 코레오그라피에 의한 유리드믹스 지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셋째, 일반 음악 교육 이전의 4~7세 아동기의 리듬감 발달을 위하여 발달 특성의 차이를 보이는 4~5세와 6~7세 연령의 리듬 · 신체 · 인지 발달에 대하여 알아보고, 각 연령의 발달에 적합한 리듬 요소를 선정하여 다양한 리듬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모든 예술과 생활에 내재되어 있는 리듬은 가장 먼저 발달하는 음악적 개념이며, 아동기의 리듬에 의한 음악적 활동은 다양한 감각적 경험과 활동을 제공하여 음악을 포함한 모든 예술 활동을 위한 토대가 되며 더 나아가 지각 발달과 올바른 정서와 인격 형성에도 영향을 준다. 아동기의 리듬 교육이 아동의 음악적 성취와 함께 모든 교육의 기초를 확립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리듬과 신체와 인지 발달을 고려한 단계적인 리듬 지도 방법의 모색과 연구는 음악을 포함한 모든 교육적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면에서, 음악을 흥미롭고 적극적인 다양한 방법으로 경험하고 신체를 통하여 표현하는 달크로즈 유리드믹스는 아동의 리듬감 발달을 위한 리듬 개념 학습에 효과적인 교수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특히, 달크로즈 유리드믹스에 의한 모든 활동이 교사의 역량에 달려있다는 점에서, 교사는 아동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 재료와 지도 방안의 모색과 함께 달크로즈 유리드믹스의 교사로서 필요한 음악적 능력과 소양을 갖추기 위한 끊임없는 훈련과 노력이 요구된다. The main idea of musical educ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is that music must be educated. This shows that the musical education must not be made separately by a work of music, but by a method to enjoy the mental art activities from the various experiences in the musical learning process. Such idea arouses our interest in the methods from which the musical education should be made, and reminds us of some concerns about the teaching method by emphasizing upon the structural notions in the contemporary musical education. Especially rhythm, among the structural notions, is regarded as a starting point of the musical education because it is used without sound and melody in that it is inherent in the human life and all the arts. The sense of the rhythm is completed between 4 and 9 when the sense of hearing and the cognitive ability of rhythm make rapid progress. Therefore,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 of music in childhood is important for children enough to determine their musical achievement afterwards. Particularly, children between 4 and 7 in preschool period are interested in the musical rhythm, and the movement through their bodies is dynamic, and their imagination and curiosity are very active. Such traits of theirs make it necessary to take such teaching methods as the various expressions through their body, and the stimulus of their interest and imagination. Accordingly, this thesis shows that the teaching method through Dalcroze Eurhythmics is the best effective one to develop children's sense of rhythm and their balanced body as well as their imagination. The development of rhythm of children between 4 and 7 through Dalcroze Eurhythmics is as following. First, this thesis defines the important of the rhythm training and pays attention to the essential background of the training in childhood. Second, this thesis examines about Dalcroze's educational principles which are suggested as an effective method of children's rhythm, and makes clear of the direction of Eurhythmics' education by Choreography. Third, this thesis looks into the physical and mental acquirement of rhythm of the age groups of 4 to 5, and 6 to 7 which show the difference of the sense of the rhythm, determines the appropriate element of rhythm fit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age group, and observes the various methods for rhythm direction. The rhythm inherent in all the human lives and arts is a musical notion that is developed at first to all the humans. Therefore, the musical activity by rhythm in childhood is a basement of all the art activities. Furthermore the rhythm affects the correct emotion of children and the formation of their personality. In that the education of the rhythm in childhood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l kinds of education with the musical achievement of children,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rhythm by stages is important in all the educational aspects including music. In this aspect, Dalcroze Eurhythmics making children experience music through enthusiastic and various methods and expressing it with body is considered an effective method to the rhythm learning for children's development of rhythm. Especially, in that every activity by Dalcroze Eurhythmics depends on teachers ability, teachers are supposed to look for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echniques to make the children interested and participate in the activity eagerly. And teachers should continue to train themselves and make much effort to meet their requisite of musical competence and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