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스프링백 예측을 위한 경화 모델 비교

        이은국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spring back on the basis of various hardening law at the elevated temperatures. To evaluate material property of AZ31B magnesium alloy sheet, Cyclic loading test and 2D-Draw bending problem that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test method for springback evaluation were performed at elevated temperature. and than,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 of hardening laws.

      • CGSim을 이용한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잉곳 생산공정 최적화 시뮬레이션

        이은국 嶺南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ingle crystal reactor is simulated by CFD method to analyze heat flow of Czochralski process that is single crystal silicon solar cell ingot manufacture method. Using CGSim software, the study is conducted by changing location of the heater, shield shapes and reactor size. As a result, the study not confirm heat flow in a reactor but found optimal location of the heater that have power consumption less than existing ones. And new shapes of heat shield realize growth of crucible without changing to reactor siz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re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 in process of single crystal silicon solar cell ingot 1. The shield is designed to blocks heat produced in melting part and to reduce the loss of heat to a minimum 2. Growth of crucible cause decrease of thickness of chamber but give attention to the loss of heat 3. When changing location of heater, the process involves any chances by heating crucible holder If simulation results that are reached in this study are used to design reactor of single crystal silicon solar cell ingot, a study should found optimal location of the heater and confirm optimal structure such as growth of crucible. 실리콘 단결정 잉곳 생산 방법인 초크랄스키법에서 열유동을 분석 하기 위해 전산 유체 역학(CFD)기법을 이용하여 단결정 반응기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CGSim software를 이용하여 Heater 위치, shield 모양, 반응기 사이즈 등을 변경하여 실험해 보았다. 이로 인해 반응기 내의 열전달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히터의 위치 최적화로 인해 기존 보다 적게 전력이 소모되는 히터위치를 찾았다. 또 새로운 heat shield의 모양 적용하면서 전체 반응기의 사이즈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도가니의 증대를 실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단결정 잉곳 생산 공정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 되었다. 1. shield는 용융 부분에서 올라 오는 열을 최대한 막아주면서 열에 의한 손실이 없는 디자인을 하여야 한다. 2. 도가니 사이즈 증대로 인해 chamber의 줄여야 하나 이로 인한 열손실이 일어나는 것을 유의 하여야 한다. 3. 히터의 위치를 이동 시킬 때 아래로 히터를 이동을 시킬 때 crucible holder에 열로 인한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단결정 초크랄스키 잉곳 반응기의 구조 및 디자인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보인 전산모사 결과를 이용한다면 히터의 최적 위치를 찾아내고 또한 도가니 확대 등의 최적구조를 확인 할 수가 있다.

      • 해석수준에 따른 비전소통, 변혁적 리더십, 그리고 성과 간의 관계

        이은국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사람들은 동일한 현상 또는 대상이라도 현재 자신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대 상까지의 심리적 거리감에 따라 다르게 해석하여 행동반응과 선택을 다르게 한 다. 다시 말하면 어떤 사람은 먼 거리에서 전체적이고 추상적인 시각으로 보지 만, 다른 사람은 가까운 거리에서 구체적이고 부분적인 것에 주목한다. 이러한 심리적 거리를 기반으로 하는 해석수준 이론이 최근 소비자심리 연구 영역에서 점차적으로 교육적, 인지적, 심리적 영향에 대한 논의로 확장되어 연구가 진행되 고 있다. 그동안 인사 조직 연구에서는 리더십 영향력의 강도가 구성원이 사회 적, 심리적, 공간적 측면에서 상사로부터 얼마만큼 멀거나(혹은 멀게 느끼느냐), 가까우냐(가깝게 느끼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하면서 사회적 거리, 심리 적 거리, 구조적 거리, 상호교류빈도, 위계적 접촉 등의 거리개념이 상황적 요소 로서 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거리개념은 기존의 연구에서처럼 상황적 요소로서 뿐만 아니라 개인적 성향에 의한 거리개념으로도 연구될 수 있을 것이 다. 개인적 성향으로 심리적 거리를 다르게 해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태도 또는 성과에 또 다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 석수준이 변혁적 리더십 및 비전소통과 성과 간에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지 의 문제를 다루었다 그동안 변혁적 리더십은 독립변수로서 다른 조직변수들에 대하여 영향력을 주는 하향적 관점(downstream)의 변수로 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변혁적 리더 십을 조직에서 긍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변혁적 리더십을 이끌어 낼 것인가의 상향적 관점(upstream)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변혁적 리더십의 선행 변수에 대한 연구에서 리더 개인성격과 기질에 초점을 맞춘 결정론적 관점의 연 구는 리더십 개발 및 교육에서 한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개발론적 관점에서 비전 수행에 따른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주기 위한 조직차원의 비전소통을 변혁적 리더십 행위의 선행변수인 리더십 발휘동기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변혁적 리더십이 성과에 영향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가설을 설정하였 다. 선행연구 등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조직성과의 결정인자를 변혁적 리더십으 로 보고 본 연구의 주요 변수로 선정하였으며, 변혁적 리더십을 유도하는 선행변 수로는 비전소통, 변혁적 리더십과 성과 간을 조절하는 변수로는 개인수준의 행 동정체성을 선정했다. 또한 성과변수로는 태도요소인 비전만족도, 동기부여와 열 정을 선택하였다. 219개 팀(팀장과 팀원 각 1명)을 대상으로 행동정체성, 변혁적 리더십, 비전 인식수준, 비전소통, 그리고 성과변수(팀원 태도) 등을 설문을 통하 여 조사하였다. 214팀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증, 분산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위계 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비전소통은 팀원 태도와 변혁적 리더십에 각각 양(+)의 영향 력을 미치며, 변혁적 리더십도 팀원 태도에 양(+)의 영향을 주었다. 변혁적 리더 십은 비전소통과 팀원 태도 간을 부분매개 하였다. 비전소통과 팀원 태도 간의 관계에서 행동정체성은 동기부여와 열정에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과 팀원 태도 간의 관계에서 행동정체성은 모든 변수에서 조절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행동정체성이 낮은 집단에서 비전소 통을 활발히 하고 변혁적 리더십 행위를 증가하면 팀원들은 비전만족도가 높아 지고 더 동기부여 되어 열정적으로 비전 달성에 노력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추가 분석을 통하여 심리적 거리에 따라 팀장과 팀원의 조직비전에 대한 해석수준은 다르며, 행동정체성이 낮은 경우에 구체적이고 과정 중심적인 조직비전 특성이 팀원 태도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선행변수로 비전소통을 실증분석 하였으며, 해석수준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비전소통과 변혁적 리더십이 팀원 태도에 미치 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이론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실무차원에서도 행 동정체성을 인사담당자가 채용 및 승진과 발령에 참고하고, 상위해석수준의 구성 원으로 변화촉진자를 임명하며, 의사소통교육 과정에서 비전 인식수준 측정과 비 전공유를 위한 비전소통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추가연구를 통하여 해석수 준 적합성(fit)의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한계도 구체적으로 제시하 였다. 끝으로 해석수준을 기반으로 하는 조직비전과 조직목표 설정이 성과에 미 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One can construe the same phenomenon/object differently, or makes behavioral reactions and choices based on its psychological distance from his(her) current location. In other words, some keep a distance from a phenomenon or object by seeing it from an overall and abstract perspective, while others concentrate on concrete and fragmental factors of the same phenomenon or object by taking a closer look at it. Researchers have recently applied so-called construal level theory based on the said psychological distance to a broader range of fields, gradually extending the research areas from consumer psychology to educational, cognitive, and psychological impacts of the theory. Previous studies on the OB/HR predicted that the impacts of leadership would differ depending on how far or close the team members are (or think they are) from or to their leader in social, psychological, and spatial senses. In this process, the studies considered the concept of distance, including social distance, psychological distance, structural distance, interactional frequency, and hierarchical contact, as a situational factor. However, such a concept of distance has potential to provide a research topic with a focus not just on the situation but also on personal traits. Personal traits may result in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psychological distance. These findings will also be able to bring about different outcomes in terms of behavior or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what impacts the afore-mentioned construal levels could have on the relationships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ision communication, and the performance. Previous studies mainly address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a downstream approach, viewing it as an independent variable which affects the other organizational variables. To utilize the no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n organization positive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take an upstream approach, studying how to derive such leadership. A deterministic research on the antecedent 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a focus on the personality and traits of a leader results in putting limitations on leadership development and education.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theory, this paper assumed vision communica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troduced to reduce fear for change, which fulfilling the vision might bring, as a motivator for leadership, the antecedent variab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pecifically, this study proposed various hypotheses on the process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 the performan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selected as a major variable in this study as preceding studies proved it is the decisive factor of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Vision communication was determined as the antecedent variable that induc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le behavior identific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was considered as the variable that coordinate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formance. Additionally, the performance variables include such attitudes as satisfaction with the vision, motivation, and enthusiasm. A survey on behavior identific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ption of the vision, vision communication, and the performance variables (i.e. the attitudes of the team members) was conducted for 219 pairs (respondents include the leader and one member of each team pair). Additionally, 214 pairs underwent the independent-samples t-test, analysis of varianc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vision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s of the team member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s of the team memb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ediated vision communication and the attitudes of the team members.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 communication and the attitudes of the team members showed that behavior identification moderated the motivation and enthusiasm of the team member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attitudes of the team members, behavior identification moderated all variables. The results imply that when activating vision communication and increas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 team with a low level of behavior identification, the members will see a rise in the levels of their satisfaction with the organizational vision and will be further motivated, and will eventually make enthusiastic efforts to accomplish the vision. Additional analyses also indicated that the team leader and the team member construe the organizational visio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psychological distance. However, concrete and process-centric vision influenced the attitudes of the members even more greatly when the team exhibited a low level of behavior identific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vision communication, regarding the concept as the antecedent variab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 also analyzed the influence of vision communica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attitudes of the team members depending on their construal level. The purpose of the said analyses was to have theoretical reviews of their implications. On top of that, the study made suggestions on actual tasks, advising the personnel officials to consider behavior identification when making decisions on recruitment or promotion, to appoint a change agent as a member with a high-level construal, to measure perception of the vision in the communication training, and to educate the team members on vision communication for mutual efforts for the shared vision. It conducted an additional analysis and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fit analysis of construal level as well as the limits of the research. Finally, it emphasized tha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dentify the mechanism where the organizational vision and goal setting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has an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 한국어교육정책 연구 동향 고찰

        이은국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교육학 논문 중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학위 및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를 핵심 검색원으로 하여, 검색어로 ‘한국교육’과 ‘정책’을 검색어로 논문을 검색했다. 논문 검색과 문헌 선택과정은 체계적 문헌고찰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문헌 선정 과정을 거쳐 197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연구 시기, 출판 유형, 한국어교육정책의 하위 범주, 정책 대상, 연구방법론의 기준을 사용하여 경향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 서론에서는 본 논문의 목적 및 배경을 서술하고 한국어교육정책 연구의 동향을 연구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언어 정책론과 한국어 교육 정책의 이론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과 절차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어 교육 정책’ 관련 학위 및 학술 논문을 수집하고, 이를 중복 제거와 내용 확인을 통해 연구 대상 문헌을 선정한다. 선정된 문헌을 분석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여, 한국어교육정책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한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1980-1990년대 해외 한국어교육의 현황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정책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를 1기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2기 한국어 교육 정책 연구는 2000년대를 기점으로 국내의 한국어 학습자와 제도 등에 관한 현황 연구로 확대된다. 이는 국내 이주민의 증가로 인한 국내 한국어교육 수요의 확대 및 지원 정책과도 연결된다. 2기에는 현황 연구와 더불어 한국어교육정책의 정체성과 이론에 대한 논의가 등장 했으며, 관련 정부 부처와 법규 그리고 한국어 강사 제도에 대한 연구가 시작 되었다. 이 시기의 연구 확장은 한국어수요의 확대와 더불어 관련법인 국어기본법, 다문화가족지원법,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의 제정과도 관련이 있다. 한국어교육정책 연구의 3기라고 할 수 있는 2010년 이후에는 박사와 석사 논문을 비롯한 학위논문의 양적 증가와 더불어 연구 내용의 변화도 보였는데, 국내 한국어 교육 정책 대상인 다문화가족 자녀에 대한 연구가 증가 했으며, 이주노동자 대상과 유학생 정책의 연구까지 확대 되었다. 둘째, 정책 대상에 따른 연구를 살펴본 결과 한국어 교육 정책 연구는 78%가 국내 한국어교육정책 대상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국내 한국어 교육 정책 대상 연구의 80%가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는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편입되어있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한편 국외 한국어교육정책의 대상으로는 재외동포와 관련된 연구가 국외 정책 대상 연구의 92%를 차지하는데, 이는 국외 한국어교육정책이 재외국민의 교육지원을 중심으로 시작하였고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과도 상통한다. 셋째, 한국어교육정책의 하위 범주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정책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면 국내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연구가 전제 연구의 50%를 차지하여 양적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뤄졌으며, 국외 한국어교육 정책이 21%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정책 대상을 중심으로 연구 주제를 설정한 이유 때문으로 국내외 한국어교육정책에 대한 연구의 많은 수가 정책 수혜 대상을 중심으로 하는 현황연구라는 것이 요인일 것이다. 넷째 연구 방법론에 따른 연구 경향을 보면 1기의 한국어교육은 주로 문헌 고찰을 통한 현황 연구가 중심이었다면, 2기와 3기에 이르러서는 문헌연구와 더불어 설문지를 통한 통계적 접근 사용 또는 인터뷰나 심층면담, 내러티브 방식을 사용한 질적 연구와 같이 현황을 분석한 혼합연구가 활발해진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2기와 3기로 진행 될수록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의 비중이 커지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주제별로 살펴볼 때도 전체적으로 문헌연구를 사용한 연구의 비중이 높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 Access Point의 스케줄링을 통한 무선 LAN의 성능 향상

        이은국 광운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802.11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방식은 경쟁 기반 매체 접근 방식으로 스테이션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방식과 경쟁윈도우(Contention Window)를 통한 랜덤 백 오프 시간(Random Back-off Time)을 사용한다. 그러나 실질적인 데이터 전송 이외에 매체 접속을 위한 경쟁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전송 효율 저하와 전송 지연 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AP(Access Point)는 스테이션이 보내는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스테이션의 Association ID(A-ID)를 포함하는 Token-ACK(Token- Acknowledgement) 프레임을 보낸다. 이는 스테이션들 간의 매체 접속 경쟁을 회피하고, 토큰패싱(Token Passing) 효과를 갖게 한다. 그래서 자기 자신의 A-ID를 포함하는 T-ACK프레임을 받은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보낼 수 있게 된다. 이 방식은 모든 스테이션에게 매체를 공정하게 접속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또한, AP는 큐 테이블을 생성 및 관리 하여 AP에 의해 결합된 스테이션 중에서 큐 정보가 가장 큰 스테이션에게 더 많은 매체 접속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스테이션들의 큐의 포화 정도에 따라 균등하게 매체 접속 기회를 제공하며, 매체 접속을 위한 시간을 단축시킨다. 실험 결과를 통해 인프라스트럭처 구조에서 기존의 DCF방식보다 더욱 향상된 전송률과 낮은 매체 접속 지연시간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802.11 DCF is a medium access method based on contention service, which uses a random back-off time through contention window and 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ollision avoidance(CSMA/CA) to prevent collisions among stations. Aside from sending data transmission;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transmission efficiency decrease and transmission delay because of the contention time for medium access. In this paper, AP(Access Point) sends T-ACK(Token-ACK) frame including station's Association ID to a station as a response of data. it helps not only avoid channel contention among stations but also get a token passing effect. so a station which receives T-ACK frame including its owns Association ID can send data to AP. this method fairly provides opportunity for allocating channel to all of stations. Furthermore, AP offers more frequent medium access opportunity to station having highest data queue among stations associated by AP. Not only can these methods considerably reduce time for medium access to stations having high data queue, but also evenly offer medium access opportunity according to Queue's volumes. That is, this simulation proves that proposed methods significantly more outperform than DCF in the infrastructure BSS with more efficient throughput and lower medium access delay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