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합운동 형태에 따른 비만 여대생의 신체둘레 변화와 대사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이윤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exercises on changes in body circumference and leptin levels by testing 13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over 30% of body fat rate for 8 weeks. The 13 experimenta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40 minutes of aerobic exercise and 20 minutes of anaerobic exercise) and B(20 minutes of aerobic exercise and 40 minutes of anaerobic exercise), each consisting of 6 and 7 subjects, respectively. The aerobic exercise was specified by walking on the treadmill with the HRmax intensity of 70%, while the anaerobic exercise was conducted by nine types of resistive exercises each repeated 15~20 times with a 1RM intensity of 60~65%. As a result, subjects in group A showed decrease in circumferences of chest, arm, waist, and hip but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thigh circumference, however showed a decrease of 8.60%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1). In the case of group B, the decrease in all parts of the body with the exception of chest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 was a 7.52% decrease in arm circumference (p<.01), 3.37% decrease in waist (p<.01), 1.75% decrease in hip (p<.05), and 10.51% decrease in thigh circumference (p<.001). Also, the 9.95% reduction of the subcutaneous fat in the sub scapul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of body size between the two groups faile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of leptin levels between the two groups was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ue to a 49.96% decrease in group B (p<.05). 본 연구는 체지방률 30%이상인 비만 여대생 13명을 대상으로 A그룹 6명(유산소운동 40분, 무산소운동 20분), B그룹 7명(유산소운동 20분, 무산소운동 40분)으로 분류하여 8주 동안 복합운동 형태를 다르게 실시함으로 나타나는 신체둘레의 변화와 leptin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산소운동은 트레드밀에서 HRmax70%의 강도로 걷기를 실시하였으며, 무산소운동은 근저항운동으로 1RM의 60~65%강도와 15~20회 반복횟수를 적용하여 9종목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그룹의 경우 가슴둘레, 팔 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에서 둘레의 감소는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다리둘레에서 8.60% 감소하여 유의한(p<0.01) 차이를 보였다. B그룹의 경우 가슴둘레를 제외한 팔 둘레 7.52%(p<.01), 허리둘레 3.37%(p<01), 엉덩이둘레 1.75%(p<.05), 다리둘레 10.51%(p<.001), 또한 피하지방에서 견갑하골 9.95%(p<.05)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leptin의 경우 B그룹에서 49.96%(p<.05)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광선추적법에 의한 자동 광검사 장비용 조명 광학계의 분석 및 최적 설계

        이윤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자동 광 검사장비에서 사용되는 정밀검사 조명 광학계의 특성 분석 및 최적 설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목적에 맞는 조명을 설계할 수 있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광선 추적법을 기반으로 작성된 것으로, 자동 광 검사장비용 조명 광학계의 모든 구성 요소를 정의 할 수 있으며, 설계된 조명 광학계로부터 방출되는 조명광의 밝기 분포와 조명각 분포를 분석하여 조명 광학계를 평가할 수 있다. 끝으로 최적의 조명 광학계를 설계하는 방법론을 제안하고, 그 절차에 준하여, 조명 광학계의 구성, 평가,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로 요구된 조건을 만족하는 최적의 조명 광학계를 설계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과 설계법은 향후 자동 광 검사용 조명 광학계의 설계 및 최적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기반 조명로봇 제어

        이윤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t lamp units at ceilings, walls, and streets are static and no automatic motion capabilities are available at all to adjust lamp tilting angles and its zooming position. This paper proposes a new robotic lamp that creates three degrees of freedom (DOF) motion by using a spherical-type parallel mechanism with a unique forward kinematic position. In the robotic lamp, three motors are located. at the base frame to control its two tilting angles and its one-DOF zoom in-and-out motion for a localized light. And ubiquitous sensors installed at environment are used to detect the location of the human body. The kinematic model of this device is derived and the prototype has been developed. A test room equipped with nine PIR sensors, a Zigbee, and one robotic lamp has beed developed. The performance of this device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 나노 식각공정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두께 진단 센서

        이윤석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e miniaturization and high integra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are rapidly progressing. In particular, with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in various fields, yield is emerging as a very important issue in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In order to maximize semiconductor productivity,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semiconductor process in real time and use the result to stabilize and improve the process. However, various unexpected variables that occur during the process and errors in judgment on them sometimes lead to large losses for companies. For that reason, the development of a reliable system is also important, but a sensor technology that can compensate for this and accurately monitor the thickness is also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a basic study was conducted for the concept of a thickness diagnosis sensor through the change of physical quantity of thin film according to etching. A significant change in physical quantity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change using a resistivity meter of the thin film. In addition, to measure the reliability, the change in physical quantity according to the thickness was measured several times and quantified.

      • 골프장 이용객들의 선택속성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윤석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골프장의 과잉공급으로 골프장 경영이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현실에서 골프장 이용객들의 선택속성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고객유치와 새로운 고객확보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여, 골프장 경영자의 소비자 행동측면에서 조언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상은 2013년 6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경기도 남부지역에 위치한 3개의 실외 골프연습장, 골프장 이용경험이 있는 남·여 이용자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표본을 제외하고 284명을 유효 표본으로 실증분석에 적용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설문지의 자료처리방법은 SPSS WIN Ver.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구체적인 통계분석 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인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그리고 골프장 이용객들의 선택속성 요인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섯 가지 골프장 선택속성 요인을 독립변인으로, 방문의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이용요금 요인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요금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골프장 방문의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코스관리 요인도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스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골프장 방문의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입지적 접근성 요인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골프장 방문의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골프장 명성 요인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골프장 명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골프장 방문의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부대시설 요인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의 증감은 골프장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골프장 이용객들의 수요 증가를 위해서 이용객들이 특정 골프장을 선택하는 속성을 규명하고, 어떤 요인이 골프장 선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골프장 경영전략과 이용 창출을 위한 고객만족지향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시대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며, 이는 이용객의 편의와 계속적인 소비는 물론 궁극적으로 국내 골프장 경영관리 및 활성화를 위해 반드시 선결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 to attract and acquit golf course customers to the management facing difficulty with its domestic oversupply, thereby proposing/identifying the empirical data that can conduct as a counseling role to the golf course manager in terms of customer behaviour. To attain the purpose, survey was made from June 1st to July 15, 2013 to 300 previously experienced male/female golf course users from 3 outdoor driving range located in southern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WIN Ver. 21.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implemented as explicit statistic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of stud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were adapted to analys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The reliability analysis was verified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golf course visitor selection attributes on their intention of visit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5 selection attribute factors of golf cours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ntention of visit as dependent variable to figure the influence between the two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green fee factor on the intention of vis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ore green fee satisfaction rose, the higher the intention of golf course visit was. Second, the influence of course management factor on the intention of vis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igher the management satisfaction was, the higher the intention of visit was. Third, the influence of position accessibility factor on the intention of vis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igher the accessibility satisfaction was, the higher the intention of visit was. Fourth, the influence of golf course reputation factor on the intention of visit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igher the reputation satisfaction was, the higher the intention of visit was. Fifth, the influence of the subsidiary facilities factor on the intention of visit was not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s satisfaction variation did not influence the intention of visit.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the establish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oriented marketing strategy for golf course business strategy and profit by identifying user selection attribute of a certain golf course and the influence factor of golf course selection attribute to increase user demand is a crucial task of the time for user convenience and continuous consumption, and ultimately, for the domestic golf course management/activation.

      • 확률 수업에서 나타나는 오개념 분석 및 지도 방안 연구

        이윤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확률 수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오개념의 분석과 그에 따른 적절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확률 개념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수준에 걸쳐 조건부 확률, 사건의 독립과 종속이 어려운 개념으로 꼽혔고, 하수준에서는 독립 사건과 배반 사건의 개념도 어렵다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다. 이를 바탕으로 집단을 소규모·수준별로 재조직하고, 기본적인 개념 문제를 제시하여 답안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오답에서 드러난 오류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따른 오개념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개념에 대하여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 가족기업에서의 승계자 후계자 간 갈등과 해소전략에 대한 연구

        이윤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Conflict Between an Incumbent CEO and a Successor : Causes and Resolving Strategies Yunseok, Lee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Family business is one of the oldest companies in the world. Family businesses play a major role in the overall economy of all countries, and the importance and weight of family businesses are increasing in various fields. In a situation where the influence of family enterprises is growing, research on family enterprises is still insufficient. Many factors are important for a family business to grow into a long-lived business, that is, a sustainable business, but the most important one is succession. Hanyang University's TRUIS Lab conducted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factors affecting family business success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successors in relation to family businesses, and confirmed that mutual trus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f we check other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amily businesses, the trust formed before the start of succession was trust based on a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succession process, the influence of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e successor and the heir was greater than in previous studies and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tudy on family business-related succession, it was confirmed that trus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the factor that can destroy trust is conflict. Conflict is an important factor as much as trust is important in the succession proces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conduct research on conflict as a central topic for successful succession, which is the most essential and important reason for family businesses. Based on this, we will conduct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hich conflict type affects succession in succession, which is the core issue of a family business, with a focus on the current manager (the successor) and the successor, who are the main stakeholders of the family busines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kind of conflict exists between successors and successors, the key players of family businesses, and what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re preferred. This study used a mixed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electing an exploratory design among the design types of the mixed methodology. Exploratory design is a two-step design strategy, and the second analysis starts after the first analysis is completed. The order of the study proceeded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data analysis after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was completed, and by analyzing the qualitative data, new phenomena were explored, and the validity of the investigated phenomenon was verified in a quantitative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understand what conflicts occur within the family business and why they occur. Second, despite the fact that conflict is an important topic, I will try to understand how and how conflict develops in the context of a family business because it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Third, we present guidelines for resolving conflicts by analyzing the causes and development of conflicts during the succession process within a family enterprise in the future, and identifying solutions (resolving processes). In this study, Study 1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case study. By setting criteria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10 successors who either worked or plan to work in a family-related company. A summary of the conclusions of the qualitative study is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uccessors recognized that conflict was the cause of the breakdown of trust during the succession process, and they used different resolution strategies to resolve the conflict. Second, as the causes of conflicts with the successors considered by the successors, they were mentioned in the order of disagreement of opinion, differences in work methods, and management style of successors. Third, there was a personal conflict with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future of the family business that the successor will carry in the future. Fourth, the successor uses variou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o prevent aggravation of conflict with the successo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differ according to the type of conflict and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ifth,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preferred by the successor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compromise strategy -> cooperation strategy -> adaptation strategy -> avoidance strategy.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y preferred the method of resolving conflicts. Sixth,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a third party during th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that is, the intervention of the media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between the successor and the successor. Seventh, the successor predicted that the preceding conflicts that were not resolved in the expected development process for the future conflict with the successor would continue. Eigh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when the conflict was completed and the conflict was identified through an interview to determine whether conflict resolu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cc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study, a quantitative study corresponding to Study 2 was conducted. The reason for the second stage of the study is to conduct a qualitative study in Study 1, which confirmed the actual causes of conflicts between successors and successors, and the process by which the successors select and resol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eferred resolu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the preferre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change according to the type of conflict? Second, Does the successor's personal characteristics change the preferre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hird, What effect does the role of a third-party intervention mediator h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t, and Study 2 was designed and conducted to achieve that purpose. In order to proceed with Study 2, each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were extracted. Conflict typ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s dependent variables. Finally, as a moderator variable, the role of a third-party intervention mediator was set for the study. As a measurement tool, a total of 36 items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hrough previous studies, including 9 item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 types, 9 items on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2 items on the mediator role, and 16 items on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s an analysis tool, SPSS v.21 was used for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mposed of successors' acquaintances, and among the 101 samples recovered, 88 samples, excluding 13 unfaithful respondents,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he conclusion of the qualitativ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ve strategy was implemented as the extroversion and affinity among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were higher. Second, the compromise adaptation strategy obtained a significant value only for affinity among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Third, the avoidance strategy could only obtain a significant value from relationship conflict. Since the succession process itself cannot proceed without the help of the successor, the successor must receive succession while maintain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uccessor. Therefore, it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during the succession process of a family business, the importance of conflicting relationships between key players and the necessity of management were confirmed once again. It has been found that trust is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succession, bu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anage it because it is a mutual conflict that has an effect that destroys that facto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undesirable strategy amo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as the avoidance strateg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of succession completion and the conflict of a company vari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onflict is resolved. Through this study, for a family business to become a long-lived business, the succession of the family business must be successful. I knew the need to manage. In other words, the most dangerous conflict among the conflicts between the successor and the successor is the relationship conflict, and if there is no problem onl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ccessor, it can be judged that the company is not going in a dangerous direction due to the succession. Conflict management of key players is the most important for successful succession of family businesses. 국문요지 세계적으로 수많은 기업들 중에 가장 오래된 역사를 이어가고 있는 기업은 가족기업이다. 가족기업은 모든 국가의 전반적인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가족기업의 가치 있는 경제활동이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성과 비중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가족기업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가족기업이 장수기업 즉,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영속성을 갖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요인들이 중요하지만 그중 가장 중요한 요인이 승계이다. 한양대학교 TRUST 연구실은 가족기업에 관련하여 후계자 관점에서 가업승계 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중요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상호간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른 가족기업 관련 많은 선행연구를 확인해 보면 승계 시작 전에 형성되는 신뢰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로 인한 신뢰였다면, 승계가 시작된 후 승계과정 중에 부모와 자식 간의 신뢰가 기업을 경영하는 신뢰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며 줬으며, 승계과정에서 승계자와 후계자 간의 신뢰관계는 선행연구를 통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업 관련 승계에 대한 연구 진행한 결과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면, 그 신뢰를 무너뜨리는 원인이 되는 요인으로는 갈등이라는 요인이 존재한다. 승계과정에서 신뢰가 중요한 만큼 갈등도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기업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공적 승계를 이루기 위해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둔 갈등을 중심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여러 학자들의 선행연구들과 이론들을 기반으로 가족기업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현 승계자와 후계자간 승계 과정 중에 어떤 갈등유형들이 있으며 어떤 갈등관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가족기업의 핵심 플레이어인 승계자와 후계자 간에 어떤 갈등이 있으며,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이 무엇 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혼합방법론의 설계 유형 중에 탐색적 설계를 선택하여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탐색적 설계는 2단계 설계 전략이고, 첫 번째 분석이 완료 된 이후에 두 번째 분석을 시작하였다. 연구의 순서는 정성적 연구가 완료된 이후에 정량적 연구 순서로 진행이 되고, 정성적 자료를 분석하여 새로운 현상을 탐구하여서 그 탐구된 현상의 유효성을 정량적 방법으로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가족기업 내 어떤 갈등이 발생하고, 왜 발생하는지를 파악한다. 두 번째, 가족기업 내에서 갈등이 어떤 양상으로 어떻게 갈등이 전개되는가에 대한 맥락을 파악한다. 세 번째, 향 후 가족기업 내에서 승계 과정 중에 갈등의 원인과 전개 과정을 분석하고, 해결방안(해소과정)을 파악함으로써 갈등해소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본 연구 에서는 연구1을 정성연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맞는 기준을 정하여서 가족기업 관련 기업에서 일을 하거나, 일 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후계자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정성연구의 결론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계자 대부분이 승계과정 중에 신뢰를 무너뜨리는 요인이 갈등 때문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그 갈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각 다른 해소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후계자가 생각하는 승계자와의 갈등 발생 원인으로는 의견불일치, 업무 방식의 차이, 승계자의 경영스타일 순으로 언급하였다. 셋째, 후계자의 앞으로 짊어지고 갈 가족기업의 미래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감은 갖는 개인적 갈등을 보였다. 넷째, 후계자는 승계자와의 갈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갈등해소전략을 사용하는데, 각각 갈등의 유형과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갈등해소전략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후계자가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은 타협전략 -> 협력전략 -> 순응전략 -> 회피전략 순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갈등 해결을 위한 방법 중 가장 크게 작용한 요인(해결방법)은 대화를 통해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선호한다는 것도 파악하였다. 여섯째, 갈등해소과정 중에 제 3자의 역할, 즉 중재자의 개입은 승계자와 후계자 사이의 갈등 해소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후계자는 승계자와 앞으로의 갈등에 대하 예상되는 전개과정은 해결되지 않은 선행갈등 들은 계속 지속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여덟째, 갈등이 승계완료 시점과 갈등 간에 관계는 인터뷰를 통해 승계여부에 따라 갈등해결여부도 다양하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정성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2에 해당되는 정량연구를 진행하였다. 2단계 연구는 연구1 정성연구를 통해 도출된 승계자와 후계자 간 갈등 발생원인을 변수로 설정하여 해소 과정을 통계적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2를 통하여 그 갈등의 유형과 개인의 성향에 따른 선호하는 해소전략을 검증하기 위해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갈등의 유형에 따라서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이 달라지는가? 둘째, 후계자의 개인의 특성이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이 달라지는가? 셋째, 제 3자의 개입 중재자 역할은 어떤 효과를 가져 오는가? 이와 같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2를 설계하고 진행하였다. 연구2를 진행하기 위해 각각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연구1 정성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추출하였다. 독립변수로는 갈등유형의 특성과 개인의 성격특성, 종속변수로는 갈등해소전략 마지막으로 조절변수로는 제3자의 개입 중재자역할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선행연구를 통해 갈등유형의 특성 9문항, 개인의 성격특성 9문항, 중재자역할 2문항, 마지막으로 갈등해소전략 16문항으로 총 36개의 문항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분석도구로는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기 위해 SPSS v.21를 사용하였고, 연구 대상은 한양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YES MBA)트랙 재학생 & 졸업생 등 잠재적 후계자를 포함한 대상으로 구성되었으며, 회수 된 101개 샘플 중 불성실 응답자 13개를 제외한 88개의 샘플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정성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전략은 개인의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친화성이 높을수록 협력전략을 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타협순응전략은 개인의 성격특성 중 친화성만 유의한 값을 얻었는데, 다시 말하면 타협순응전략을 펼칠 때 후계자는 승계자와의 관계를 가장 의식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회피전략은 관계 갈등만 유의한 값을 얻을 수 있었는데, 승계라는 과정 자체가 후계자가 승계자의 도움이 없이는 진행 될 수 없기 때문에 후계자의 입장에서는 승계자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승계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계자와 후계자 간 승계과정 중에 갈등관계의 중요성과 관리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 하였다. 신뢰라는 요인이 승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데 그 요인을 무너뜨리는 영향을 미치는 것이 상호간에 갈등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를 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갈등해소전략 중에 가장 추천 하고 싶지 않은 전략은 회피전략인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업의 승계완료 시점과 갈등 간에 관계는 승계여부에 따라 갈등해결여부도 다양하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서 가족기업이 장수기업이 되려면 가업승계가 잘 이루어 져야 하는데, 이때, 승계자와 후계자는 회사 내에서 일어나는 업무과정보다는 성격차이, 가치관, 개인적인 감정의 불일치에서 일어나는 관계에서 일어나는 관계갈등을 잘 관리해야 하는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승계자와 후계자 간에 생긴 갈등 중에 가장 위험한 갈등은 관계갈등이라고 할 수 있으며, 승계자와의 관계부분에서만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면 회사가 승계로 인해 위험한 방향을 가지 않는 다는 것을 판단 할 수 있다. 가족기업의 지속적인 승계를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핵심 플레이어들의 갈등관리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