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뮬레이션과 DEA를 이용한 최적 작업조 기반의 Cost Data Table 개발

        이윤경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건설산업에서 합리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된 예정가격으로 계약을 체결하는 것은 사업의 성패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예정가격을 산정하는 근거로 표준품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표준품셈에서 제시하는 품이 적정성 문제와 작업조 및 생산성 정보의 부재로 인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공사비를 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건설공사의 공사비를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도록 최적 작업조기반의 Cost Data Table을 제시하였다. 콘크리트 타설공사의 최적의 작업조를 찾아내기 위한 DEA 모형을 제안하였고, 콘크리트 타설공사를 대상으로 생산성을 분석할 수 있는 CYCLONE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표준품셈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문헌과 국외 관련제도를 분석하여, 현행 표준품셈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에 표준품셈 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2) 생산성 영향요인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공종의 현장조건을 명확히하고, 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3)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12가지 DMU를 설계하고 EnPAS를 이용한 DEA를 실시한 결과, 콘크리트공 5명, 보통인부 1명인 최적 배치 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CYCLONE 모델을 개발한 뒤, 일일 타설량 346.11㎥/Daily Hours, 투입 노무시간 0.1386 Labor Hours/㎥이라는 생산성 분석 정보를 도출하였다. 4) 도출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축적할 수 있는 Cost Data Table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검증대상 사례의 공사조건을 기준으로 개발된 Cost Data Table에 의해 산출된 노무량 및 작업시간과, 국내외 품셈관련제도에 의해 산출된 노무량 및 작업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전문가 면담을 통해 Cost Data Table의 실무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DEA 모형을 이용한 최적의 작업조 도출 프로세스는 다른 공종의 숙련공, 비숙련공을 구별한 최적의 작업조 정보를 도출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공사의 WebCYCLONE 모델은 공동주택 주동의 모든 콘크리트 타설공사의 생산성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콘크리트 타설공사 이외에 다른 공종은 단위작업의 분절화가 용이하지 않고, 데이터 수집단위가 크기 때문에 데이터 획득에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이런 점을 보완한다면 공공아파트 주동부분 건축공사의 공사비 산정 시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critical in cost management to ensure that a contract price is reasonably derived in construction projects. South Korea currently utilizes “The standard for construction estimation(Pyo-jun-poom-sem)” as the basis for estimating Construction cos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stimate a reasonable and cost-effective construction cost due to unreasonably determined costs and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optimal crew and productivit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and allow reasonable determination of construction costs, this study proposes an optimal crew based Cost Data Table. The DEA model was proposed to find the optimal crew of concrete placement and a CYCLONE model was developed to analyze concrete placement productivity. Progr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o understand problems related to The standard of construction estimation, reviews of previous studies and analyzation of the U.S., Japan and U.K. systems on The standard of construction estimation was performed. The literature review allowed directions leading to solutions to this problem of The standard of construction estimated. 2) Factors affecting productivity in terms of the concrete placement was defined, and data were collected. 3) After 12 kinds of DMUs designs using the data collected, the result of DEA using EnPAS, a master plan on the optimal placement of labourers was drawn involving skilled labors of 5, low skilled labors of 1. In addition, After CYCLONE model developed, unit volume of concrete placement per day 346.11 m3/Daily Hours, unit volume of concrete placement of labor hours 0.1386 Labor Hours/m3 productivity analysis of the information was derived. 4) Cost Data Table allowing systematic accumulation of derived information was presented. And verification of the target practice was developed based on work conditions were produced by Cost Data Table labor hours and work, and related systems were produced by foreign standard of construction estimated labor hours and working hours were analyzed. The practicality of Cost Data Table was verified by experts. In this study, the optimal crew derived using DEA model units of works process of other skilled labors, low skilled labors, distinguish the best use of the crew is possible to derive information. In addition, construction of concrete placement WebCYCLONE model is applicable as a tool to analyze productivity of concrete placement of the main buildings of all multi-family housings. However other works except for placing the concrete presented in this study was not easy to divide work into unit tasks and difficult to obtain the size of the data. In the future, once these points are solved, the public portion of these different apartment building construction cost estimate will be a useful index.

      • 한국 성인에서 흡연 및 음주와 비타민 D 수준과의 관련성

        이윤경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vitamin D level among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6th(2013-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for 3,565 people who were over the age of 19 ages and checked vitamin D level and consumption frequencies of vitamin D rich foods among 15,568 respondents to the '6th(2013-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ne group(non-smoking and non-alcohol drinking), smoking only group, alcohol drinking only group and both group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χ2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weighted composite sample analysis. Results: The mean serum vitamin D level of the subjects was 16.5±0.20ng/mL and 73.5% of vitamin D levels were insufficient and deficiency. The results from 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Odds ratio for insufficient vitamin D due to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moking only group 2.281(95% CI 1.080-4.817)times and both group 1.356(95% CI 1.010-1.922)times than none group.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vitamin D level was significant in Korean adults. Future studies, such as a more systematic cohort stud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vitamin D level may be helpful in confirm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vitamin D level.

      •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를 위한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이윤경 한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elf-care program for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patients' meaning in life, hope and quality of life. The self-help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following proces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based on ADDIE model and performed form July 29, 2006 to October 28, 2006.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selected from Hanyang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meaning in life scale developed by Choi et al.(2005), hope scale developed by Kim and Lee(1998), 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PDQL) developed by de Boer et al.(1996) and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Functional Rating Scale-Revised (ALSFRS-R) developed by Cedarbaum et al.(1999).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using SPSS PC program version 12.0.1. 1. The results of development of the self-care program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phase is the first phase of the self-care program. Need analysis, patients analysis, environment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ost necessary contents were medical treatment, physical or exercise treatment and regular follow-up. 2) In the design phase, the goals were defined and program management method, motivation method and evaluation tools were designed. The program contents consisted of 'understanding of self-help program and disease', 'dietary and respiratory management', 'transfer and skin management' and 'hope promotion'. 3) In the development phase, the materials were made up printed matter including pictures and photos. 4) In the implementation phase, the self-care program was carried out monthly form July 29, 2006 to October 28, 2006. 5) The evaluation phase is the last phase of the self-care program. In this phase, meaning in life, hope,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ere evaluated. 2.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the self-care program are as follows: 1) After the program, there was a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ing in life, hope and quality of life. 2) After the program, the score of 8 subjects in meaning in life was equal or increased, the score of 4 subjects in hope and 6 subjects in quality of life were increased. 3) The score of awareness of self limitation, love experience, self transcendence and relation experience in meaning in life, and the score of social functioning and emotional functioning in quality of life were slightly increased. 4) After the program, 'an explanation of a self-care group' was the most satisfactory content. In conclusion, the self-care program for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was a first self-care group organization and provided systematic management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본 연구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자가관리 프로그램은 분석, 설계, 제작, 실행, 평가 단계의 ADDIE 모형을 기초로 개발되었고, 7월 29일부터 10월 28일까지 매월 1회 80분씩 4회에 걸쳐 운영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은 El Escorial criteria(World Federation of Neurology, 1998)에 따라 근위축성측삭경화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 12명이었고, 연구 도구로는 생의 의미는 최순옥 등(2005)이 개발한 도구를, 희망은 김달숙과 이소우(1998)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삶의 질은 Boer 등(1996)이 개발한 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PDQL)를 번역한 홍석경(2001)의 도구와 Cedarbaum 등(1999)의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Functional Rating Scale-Revised(ALSFRS-R)를 번역한 김현영 등(2006)의 도구를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program version 12.0.1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분석 단계에서는 자가관리 프로그램에서 도움 받기 원하는 내용과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들에 대한 분석 및 프로그램 경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자가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 결과 의학적 치료, 물리치료 또는 운동치료, 정기적인 건강관리(77.8%)에서 가장 많이 도움 받기를 원하였다. 2) 설계 단계에서는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은 자가관리 모임과 질병에 대한 이해, 식이와 호흡 관리, 환자 이동과 피부관리, 희망 증진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운영 방식, 동기 부여 방법 및 프로그램 운영 후 평가도구에 대한 설계를 시행하였다. 3) 제작 단계에서는 교육내용을 기초로 각각의 강의에 필요한 자료를 그림과 사진을 포함한 인쇄물로 제작하였다. 4) 실행 단계에서는 2006년 7월부터 10월까지 매월 1회 80분씩 총 4회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5) 평가 단계에서는 생의 의미, 희망, 삶의 질과 자가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프로그램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는 자가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참여 후에 생의 의미, 희망,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대상자 12명 중 자가관리 프로그램 참여 후에, 생의 의미는 8명의 점수가 동일하거나 증가하였고, 희망은 4명의 점수가 증가하였고, 삶의 질은 6명의 점수가 증가하였다. 3) 생의 의미의 하부 요인 중 ‘자기 유한성 인식’, ‘사랑체험’, ‘자기초월’, ‘관계체험’에서, 삶의 질의 하부 요인 중 ‘사회적 기능’과 ‘정서적 기능’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에 약간의 점수 증가가 있었다. 4) 자가관리 프로그램 운영 후, 각 내용의 만족도를 확인한 결과 ‘자가관리 모임에 대한 설명’이 가장 높은 비율(83.3%)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가관리 프로그램은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를 위한 최초의 자가관리 모임 결성으로 가족과의 참여를 통해 다른 환자 및 가족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정신적 안정을 얻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데에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노인복지관 경로식당 급식현황 및 급식관리자 업무조사 : 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이윤경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현대사회는 보건ㆍ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환경 등의 변화에 의한 평균 수명연장에 따라 노인인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 시대에 노인복시설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정책적인 요구를 증대시키고 있다.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변환기에 있는 노인들에게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식생활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노인복지시설에서의 급식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복지시설의 급식은 타 단체급식시설에 비해 시설적인 면에서 열악한 편이며, 급식전반에 걸친 관리ㆍ감독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배치율이 저조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노인종합복지관의 경로식당 급식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급식현황과 급식관리자의 업무 조사로써 효율적인 경로식당 급식서비스 제공 및 운영의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복지관의 운영주체는 사회복지법인이 가장 많았고, 5년 이상 운영한 곳이 60%로 나타났으며, 하루 이용자수가 200~400명이 50%로, 주 5회 운영하는 곳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 1일 중식을 제공하고 있었고, 운영시간은 1시 30분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1회 급식 이용료는 1,500~2,000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왔고, 대부분이 순수 식재료비로 급식비의 70~80% 이상을 사용하고 있었다. 수용좌석으로는 50~100석 미만이 51.1%로 나타났고, 실비이용자와 무료이용자의 비율은 61.4% : 38.6% 로 나타났다. 그리고 급식과 관련한 사업 중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일반 노인 급식제공과 수급자 노인 급식제공, 주간보호소 급식제공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로식당의 전반적 운영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급식실의 환경 및 시설의 문제로 나타났다. 2. 인력현황은 평균적으로 영양사는 0.70명, 조리원은 2.52명, 경로식당 담당 사회복지사가 0.51명으로 나타났고, 1일 평균 자원봉사자수는 7.66명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자 활동범위로는 배식, 전처리, 세척 순으로 나타나, 활동범위가 다양하였으며, 인력관리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급식종사자들과의 관계(자원봉사자 포함)로 나타났다. 3. 식단작성 시 가장 고려하는 점은 영양가였고, 식단 작성주기는 41.6%가 반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급식관리에 있어 전산프로그램은 대부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료 구매방법으로는 계약구매가 72.2%로 가장 높았고, 계약구매 중 80%가 수의계약을 체결하였다. 급식 시 배식방법은 대부분이 대면배식이었고, 1인 분량 결정은 급식관리자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배식 시 남은 잔식은 대부분이 폐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상수거를 통해 처리하였다. 식수제공은 대부분이 정수기를 통해 제공하였고, 조리와 배식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각각 시설 및 환경 열악과 급식이용자수의 예측으로 나타났다. 4. 위생관리에서 온도관리영역은 대부분 온도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리종사원의 위생영역은 대체적으로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배식/음식오염방지 영역에서 ‘야채나 과일 세척 시 소독제 사용’과 ‘식품 보관 시 라벨링 작업’이 항상 실시한다가 각각 17.8%와 48.9%로 수행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기름 반복 사용여부’와 ‘음식의 교차오염 구분’은 항상 실시한다가 85.6%와 83.3%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척/소독영역에서는 ‘용기의 세척과 건조, 소독’은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소독농도확인을 위한 검사지 사용’은 실시하지 않음이 5.6%로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위생관련 업무영역에서는 방역을 항상 실시한다가 63.3%로 나와 이를 제외하고는 모두 높은 작업수행정도를 나타내었다. 5. 기기 및 시설 설비 보유현황에서 창고가 있는 곳은 66.7%였고, 급식조리에 필요한 기기 및 설비인 취반기, 냉장ㆍ냉동고, 전기소독고, 정수기, 국솥 보유현황은 비교적 높게 나왔으나, 위생관리에 필요한 자외선 칼ㆍ도마 소독고 , 에어컨, 장화ㆍ고무장갑 소독고의 기기 보유현황은 낮게 나타났는데, 안전하고 위생적이고 경로식당 관리를 위해 미비한 시설에 대한 구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6. 경로식당 급식관리자 일반현황에서 급식관리자 총 90명 중 영양사가 55명, 비영양사가 35명으로 나타났고, 성별은 90%가 여성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5~30세 미만이 33.3%명으로 가장 많았고, 학력으로는 4년제 졸업이 가장 많았으며, 복지관 경로식당 담당자로서의 경력은 3년 미만이 4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7.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각 담당자가 업무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중요성에 비해 수행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업무관리에서 중요도-수행도간 차이가 상대적으로 가장 적게 나타난 반면 식단 및 영양관리에 있어서는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경로식당 담당자가 영양사인 경우와 비영양사인 경우 각 업무에 대해 느끼는 중요도-수행도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영양사 집단이 급식업무에 대해 중요도, 수행도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특히 조리 및 배식관리에서 중요도와 식단 및 영양관리에서 수행도에 있어서 비영양사 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8. 복지관 경로식당 관리자의 급식관련 외의 업무 조사결과 복지관 행사 시 업무 지원과 공공근로 및 청소인력관리, 대형버스운행, 이미용과 목욕관리, 동아리 및 회원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렇게 급식관리 외 업무수행으로 급식관리 업무 수행에 소홀해짐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식중독 사고와 급식서비스의 질 저하를 고려하여, 이는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橘山 李裕元(1814~1888)의 書畵古董趣味와 繪畵觀 : 『林下筆記』를 중심으로

        이윤경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rtistic Taste of Gyulsan Yuwon Lee (1814~1888) for Collecting Classical Works and His View of Painting - With a focus on『Yimhapilgi (林下筆記)』- Yeun-Kyung Lee Dept. of Cultural Properties Graduate School Duksung Women's University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circles of the 19th century in Joseon Kingdom and Gyulsan Yuwon Lee (橘山 李裕元, 1814~1888) with a focus on the records of painting found in his anthology of『Yimhapilgi 林下筆記』. He was active as a writer during the 19th century and authored『Yimhapilgi』which was a compilation of manuscripts and writings comprising 39 volumes in 33 books. The anthology was composed of 16 parts in total in which 6 parts including Chunmyeongilsa (春明逸史), Sunilpyeon (旬一編), Hwadongoksampyeon (華東玉糝編), Byeokryeosinji (薜荔新志), Busanggaehwanggo (扶桑開荒攷), and Bongraebiseo (蓬萊秘書)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were written on the basis of his own ideas. A total of 209 records concerning paining are largely contained in Chunmyeongilsa in the volumes 25~30 and in Hwadongoksampyeon in the volumes 33~34. More emphasis is placed in this paper on the paintings in general than on illustrations alone and efforts are made to reveal daily routines and tastes of high officials during that century as reflected in the taste of Yuwon Lee. As far as painting is concerned, the records of『Yimhapilgi』might show five features in him: royal family-related painting; strong attachment to his family clan of Gyeongju Lees; Chinese painting style of the Southern School, popularity of Gihaengsahaengdo (奇行事行圖); and his inclination to collect classical works and to construct his favorite gardens. Yuwon Lee seemed to have enjoyed working and noble hobby at the same time in an adequate manner by not exceeding the line between his political career and involvement in collecting classical works. As Sechang Oh (吳世昌, 1864~1953) commented in his『Geunyeokseohwajing 槿域書畵徵』that Yuwon Lee was an excellent calligrapher. He was thought to have remained not simply an noble official but a true calligrapher or a genuine collector of classical works. The ten-fold screen paintings of Congratulatory Ceremony for the Birth of Crown Prince (王世子陳誕陳) and Ten Longevity Symbol (十長生圖) as well as the painting of Chosun Mission's Peace Negotiation (朝鮮平和談判圖) are found to have the name of Yuwon Lee inscribed in them. Notably, the former two ten-fold screen paintings were said to have been commissioned by Yuwon Lee when he was the chief adviser of the then delivery office for court ladies, witnessing his strong interest in pictures and calligraphic works. His refined taste was accompanied with his deep love for his family tradition, producing as a result such works as anthology of monumental inscriptions for the family clan of Gyeongju Lees『慶州李氏金石錄』, sub-clan register for the family of Gyeongju Lees『慶州李氏波譜』and his portrait <李裕元 肖像>, an imitation of his ancestor Jehyeon Lee's portrait <李齊賢 肖像>, all of which showed definite evidences for his characteristic hobby of collecting classical works. In reflection of his grave concern for paintings, his anthology of『Yimhapilgi』allowed much space for describing about Jeonghee Kim (金正喜, 1786~1856), and Wi Shin (申緯, 1769~1847), both leading artists of the 19th century in Joseon Kingdom, representing the Chinese painting style of the Southern School which was then in fashion. From the description of his anthology, it became clear that Yuwon Lee was following Wi Shin in full agreement with the latter's view of poems, calligraphy and paintings. It can not be denied, however, that Yuwon Lee held in high the real landscape painting since he was known to have asked Hajong Kim to compile the book《Pungakgwon 楓嶽卷》which illustrated the landscape of the Mt. Diamond, even though he still took part in the then trend of fashion. The construction of his villa named Gaogok (嘉梧谷) was believed to have been a decisive momentum for him to keep his hobby of collecting classical works going longer. In the villa, he could continue writing books, enjoy companionship with his colleagues, and rearrange his view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Judging from his influential power over the royal court, his family clan and the artistic circles, Yuwon Lee might be called a real artist who loved calligraphy as well as painting in true sense. He also exercised great influence upon the political field, leaving several items of paintings that illustrated major events held in the court room. It is particularly remarkable to note that he made his own portrait in imitation of the portrait for Jehyeon Lee and that his travel through the Mt. Diamond motivated him to place weight on landscape, as characteristically visible in his hobby of collecting classical works as a representative literary man of the 19th century. 橘山 李裕元(1814~1888)은 19세기에 활동한 사대부이다. 오랜 기간 동안 관료로 활약하면서 여러 권의 책을 지은 저술가이기도 하며 서화수장과 감상에도 적극적인 취미가 있었다. 그의 문집인『林下筆記』에 실린 중국과 한국서화 관련 자료를 통해서도 이러한 면모를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임하필기』에 수록된 서화기록을 고찰하면서 이유원의 서화 관련 취미 및 활약을 구명하려고 한다. 이유원은 1837년(憲宗 3) 진사에 합격하면서부터 관료의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는 생애동안 막중한 재상의 자리를 지켜온 인정받는 정치가였다. 하지만 그는 늘 山林으로 돌아가고 싶어 했다. 재상의 자리에 있는 동안 여러 번 상소를 올려 산림으로 돌아가기를 청하였지만 그때마다 허락받지 못했다. 몸은 비록 돌아가지 못했지만, 마음은 이미 산림에 있다고 하면서 이유원은 서화고동취미와 저술활동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이유원은 별장인 嘉梧谷을 건설하여 그림과 서예작품들을 수집하여 감상하였고,『임하필기』를 1871년(高宗 8) 天摩山 林下廬에서 탈고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유원이 산림으로 돌아가지 못하자 그의 열망은 취미였던 서화수장으로 집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유원의 서화수장취미가 지나쳤음을 알 수 있는 일화들이『임하필기』를 통해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임하필기』는 39권 33책 筆記類 編著로 총 16編이다. 그 중에 春明逸史, 旬一編, 華東玉糝編, 薜荔新志, 扶桑開荒攷, 蓬萊秘書인 6編이 자신의 생각을 바탕으로 서술된 것으로 의미가 있다. 총 209건의 회화 관련 기록은 25~30권의 춘명일사편, 33~34권의 화동옥삼편에 집중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회화를 중심으로 이유원의 서화수장 취미를 정리하였다. 『임하필기』에는 漢, 唐, 金, 元, 宋, 明, 淸 등 중국 역대 왕조의 회화에 대한 기록 뿐 아니라 삼국시대,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의 회화 관련 기록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서 이유원이 중국과 한국을 망라한 폭넓은 관심과 시야를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임하필기』에 실린 회화기록들을 크게 구분하여 보면 王室 關聯 회화, 慶州 李氏 가문에 대한 애착, 사의적 南宗畵風, 紀行寫景圖, 書畵收藏趣味 등 5가지 성향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유원은 정치가와 서화취미의 경계에 머무르며 일과 취미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吳世昌(1864~1953)의『槿域書畵徵』에 서예를 잘 쓴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단순한 사대부가 아닌 書畵家 혹은 書畵收藏家라고 하여도 부족하지 않다. 그는 궁중회화와 관련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기록하거나 제작하는데 관여하였다.《王世子誕降陳賀圖》10幅 屛風,《十長生圖》10幅 屛風, <朝鮮平和談判圖>의 작품에 이유원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왕세자탄강진하도》10폭 병풍과 《십장생도》10폭 병풍은 이유원이 産室廳의 都提調로 있을 때 의뢰한 것으로 알려져 이유원의 서화에 대한 관심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그의 취미가 가문에 대한 애착과 만나 탄생한『慶州李氏金石錄』과『慶州李氏派譜』, 先祖인 <李齊賢 肖像>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李裕元 肖像>은 그만의 특징적인 서화수장 취미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유원은 조선후기와 말기에 걸쳐서 활동한 인물이었고『임하필기』에는 南宗文人畵가 유행하던 조선말기(약 1850~1910)의 회화 기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金正喜(1786~1856)의 서예와 화평에 대한 일화나 紫霞 申緯(1769~1845)의 회화관과 묵죽화에 대한 이유원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는 기록들이 이를 증명해준다. 특히 소론계 선배인 신위를 존경하고, 그의 영향을 받았음을 인정하고 있다. 그는 금강산의 실경을 그린《楓嶽卷》을 유명한 화원 金夏鐘(1793~?)에게 제작하게 하였는데, 이를 통해서 實景을 중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남종화에 밀려 實景山水畵가 주류가 아니었던 시절, 이유원은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약 58개의 명소를 그리고 관련된 글을 모아 화첩을 제작했다. 하지만 동시에《풍악권》에는 남종화풍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서 이유원이 개성적인 회화관과 취향을 지니고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 북경올림픽 역사이야기

        이윤경 계명대학교 통·번역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beginning of the modern Olympic Games, the 30th Olympic Games will be met in London in 2012. The economy of our country has been accelerating since the 1988 Seoul Olympics and its international profile has been raised. Now the Olympics become the arena of competition in which every country compete with each other to hold the Olympics for the development of country and enhancement of the national dignity. China, having hosted the Olympic Games in 2008 also promoted social development through its preparation for the Olympic Games and performed the reforms in various areas. San Kim, a writer teaching in 'Beijing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the director of 'Institute of Sports Culture' introduces the history of the Olympics which China walked through until the Beijing Olympics, the ideologies of the Beijing Olympics, the legacy of the Beijing Olympics, and its effect on economic development, in details. The original book was constructed in 7 chapters in total, but the translated version selected only 5 chapters, the essence of the book. Chapter 1 tells about the long history of the China's Olympics from Qing Dynasty till the 2008 Olympics. It introduces Olympic-related events, figures, and the history of participations, by year and depicts the introduction process of 2008 Beijing Olympic Games, obtained after the failure in the first attempt for the introduction and the followed challenge for retaking. Chapter 2 tells about torch relay, the Beijing Olympic,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eremony of Paralympic Games. And it also deals with the experiences and the stories of many people, including Olympic athletes and performers, volunteers, etc. are dealing with people's experiences and stories. Chapter 4 tells about the three ideologies of the Olympics: 'Humanities Olympics', 'Science and Technology Olympics' and 'Green Olympics'. 'Humanities Olympics enhanced the image of Beijing, and the level of civic literacy and 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Olympics' upgraded Beijing's the ability to create and the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promote industrial development. And 'Green Olympics' improved the environment of Beijing, which was seriously polluted by industrialization and yellow-dust storm, and changed peopl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Chapter 5 introduces the legacy born by the Olympics, urban management, such as traffic problems, and the Olympics security. Beijing, not only having preserved its history and culture well, but also, having constructed open and modern sports infra successfully, reached the top level, and also implemented a series of effective measures, such as building roads, expanding public transportation, and restricting vehicles, to resolve the traffic problems, 'the distress of Beijing'. Also, Beijing mobilized the organizations of all walks of life, such as military, police and civilian organizations, to strengthen the security, without a hitch, and assumed the charge of the security for the stadiums and around the stadiums. Chapter 6 explains about the effect of the Beijing Olympics on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new evaluation brought onto urban development. The Beijing Olympics accelerated economic development and GDP has been increasing every year, resulting in rapid development in real estate, transportation, telecommunication, finance, culture and sports. Through the preparation the Olympics, Beijing has adjusted and optimized the industry, led by the heavy and chemical industries, and expanded the space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service industry and high-tech industry. 현대 올림픽이 시작된 후, 2012년이 되면 제30회 올림픽을 영국 런던에서 맞이하게 된다. 우리나라도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통해 경제발전을 더욱 가속화 했고, 국제적인 위상을 높였다. 이제 올림픽은 국위 선양과 자국의 발전을 위해 세계가 서로 개최하려고 각축전을 벌이는 장이 되었다. 이러한 올림픽을 2008년에 개최한 중국 역시 올림픽 준비를 통해 사회의 발전을 촉진하고 각 분야의 개혁을 단행할 수 있었다. 북경사회과학원에 재직 중이며 체육문화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작가 김산(金汕, 1948~ )은 이 책을 통해 중국이 올림픽을 개최하기 전까지 걸어온 올림픽 역사와 북경올림픽의 이념, 북경올림픽이 남긴 유산과 북경의 경제발전에 끼친 영향 등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의 원문은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번역문에선 그 중 정수를 골라 총 5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은 청나라 시대부터 2008년 올림픽을 개최하기 전까지의 기나긴 중국의 올림픽 역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올림픽에 관련된 사건이나 인물, 참가역사를 연도별로 자세히 소개하고, 첫 올림픽 유치실패와 재도전하여 따낸 2008년 북경올림픽의 유치 과정을 그리고 있다. 제2장은 성화 봉송과 북경올림픽 및 장애인올림픽의 개ㆍ폐막식 장면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들과 공연단, 자원봉사자 등 다양한 사람들의 경험과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제4장은 북경올림픽의 3대 이념인 ‘인문 올림픽’, ‘과학기술 올림픽’, ‘녹색 올림픽’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인문 올림픽’은 전반적으로 북경의 이미지와 시민의 소양 및 문화수준을 높였으며, ‘과학기술 올림픽’은 북경의 창조능력과 과학기술 수준을 제고하고 산업발전을 촉진했다. 그리고 ‘녹색 올림픽’은 산업화와 황사 등으로 오염이 심했던 북경의 환경을 개선하고, 사람들의 환경보호의식을 변화시켰다. 제5장은 올림픽이 낳은 유산과 교통문제 등의 도시 관리, 올림픽 안보 등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북경은 역사와 문화를 잘 보호하면서도 개방적이고 현대화된 체육 인프라를 잘 건설하여 일류 수준에 도달했고, 북경의 큰 우환거리인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로건설, 대중교통 확대, 차량운행제한 등 일련의 효과적인 조치를 시행했다. 또한 올림픽 안보를 위해 군인, 경찰, 민간인 등 각계각층의 조직을 동원하여 한 치의 소홀함도 없이 경계를 강화했고, 각종 첨단장비를 투입하여 경기장과 주변의 보안을 책임졌다. 제6장은 올림픽이 북경의 경제발전에 끼친 영향과 도시발전에 어떤 새로운 평가를 가져다주었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올림픽은 북경의 경제발전을 가속화해 GDP가 해마다 증가했으며, 부동산ㆍ교통ㆍ통신ㆍ금융ㆍ문화ㆍ체육 분야의 빠른 발전을 가져왔다. 북경은 또 올림픽 준비를 통해서 중화학 공업이 주도하는 산업구조의 조정과 최적화를 추진하여, 현대서비스업과 첨단기술산업의 발전공간을 넓혔다.

      • 전공과 희망진로 불일치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 연구

        이윤경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과 희망진로 불일치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요인과 과정을 분석하여 참여자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경험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 유형을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현재 전공학과와 희망 진로가 일치하지 않고 다른 분야로 직업을 준비하고 있는 4년제 대학생 중 3, 4학년 학생들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그 자료를 스트라우스와 코빈(1998)의 근거이론의 방법인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고, 그 결과 157개의 개념과 49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전공과 희망직업 불일치 대학생의 현상은 ‘전공에서 나와 일치성을 찾아 떠남’이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에 해당하는 인과적 조건은 ‘외적요인에 의한 전공 선택’과 ‘전공 선택의 중요성을 알지 못함’으로 나타났다. ‘전공에서 나와 일치성을 찾아 떠남’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요인은 ‘자기에 대한 확신’, ‘주변 환경의 차이’ 였다. ‘전공에서 나와 일치성을 찾아 떠남’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맞지 않는 전공이지만 성과를 위해 노력함’, ‘의미 없는 전공을 두고 확장과 변형’과 ‘잠시 전공을 떠나 있음’ 이었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재조건은 ‘진로를 위해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확인함’, ‘경험을 진로로 바꾸어 적용함’, ‘의미 있는 타인과 사회가 고려됨’ 이었다. 그 결과는 ‘정한 진로를 위해 준비를 시작함’, ‘정한 진로에도 어려움이 있음’, ‘대안직업을 갖거나 재조정함’, ‘진로결정을 통해 삶의 방향이 바뀜’ 등으로 나타났다. 전공과 희망진로 불일치 대학생의 진로결정의 핵심범주는 ‘주도성을 갖고 확장을 통한 일치성을 찾아감’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과정은 ‘불일치의 인지’, ‘도전과시도’, ‘전공의 유지와 확장’, ‘진로의 선택과 준비’ 등의 4단계로 나타났다. ‘주도성을 갖고 확장을 통한 일치성을 찾아감’의 유형은 ‘가족 고려 갈등형’, ‘성적고려 확장형’, ‘본인주도 전공유지 확장형’, ‘의존갈등형’, ‘독립적 확장형’ 등의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전공과 희망직업 불일치 대학생은 본인과 일치하지 않는 환경 속에서 전공에서 나와 일치성을 찾아 떠나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고, 주도성을 갖고 확장을 통해 일치성을 찾아감을 통해 진로를 결정하게 되었다. 이 과정은 맥락적 조건과 중재적 조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공과 희망진로 불일치 대학생의 진로결정 경험의 구조를 인과적 조건,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결과를 포함하는 패러다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과정 분석을 통해 단계별로 특징적으로 작용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그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공과희망진로 불일치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서의 ‘전공에서 나와 일치성을 찾아 떠남’현상과 핵심범주인 ‘주도성을 가지고 확장함으로 일치성을 찾아감’의 유형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전공과희망진로 불일치 대학생의 진로결정 경험을 이해하고 상담개입을 포함한 조력활동을 위한 기초자료의 틀을 마련하였다.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areer decision factors and related process of the major-desired career mismatch students in an effort to identify their career decision experiences and explore types of the process involved. Target for this research were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a 4-year college who intend to find a job in a field other than their majors as their major and desired job does not match. We have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se students and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on coding procedure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we have derived 157 concepts, 19 categories, and 49 sub-domain categories. The phenomenon of major-desired job mismatch students that was revealed in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Getting out of the present major in search for congruence’. Causal conditions that correspond to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turned out to be ‘Major selection due to external factors’ and ‘Failure of knowing the weight of major selection.’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 ‘Getting out of the present major in search for congruence’ were ‘Self-confidence’ and ‘Surrounding environmental differences’. And Action/Interaction strategy for ‘Getting out of the present major in search for congruence’ were ‘Major does not match but try for better result’, ‘Extension and transformation while leaving the major behind’ and ‘Leaving the major for the time being’. In this kind of phenomenon, the mediating conditions that act in the direction of promoting or suppressing Action/Interaction strategy are ‘Identifying what he or she wants for career’, ‘Applying one’s experience to a new career’, and ‘Giving consideration to significant others and society’. And the results turned out to be ‘Starting preparation for the newly chosen career’, ‘The chosen career is not free from difficulties’, ‘Having an alternative job or making a readjustment’, and ‘Direction of life is changed by a career decision’. Core category that affects career decision of major-desired job mismatch students turned out to be ‘Pursing congruence through extension under one’s own initiative’, and the process that appears as the time flows turned out to be four (4) stages of ‘Recognition of mismatch’, ‘Challenge and attempt’, ‘Extension or maintain the major’, and ‘Selection of career and preparation’. The type of ‘Pursing congruence through extension under one’s own initiative’ turned out to include following five (5) types: ‘Agonizing in consideration of one’s family type ’, ‘Extension type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 ‘Extension type while maintaining the major under his initiative’, ‘Agonizing on dependency type’, and ‘Independent extension type ’.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major-desired career mismatch students felt the necessity for getting out of the present major, an environment that is not congruent with oneself, in search for congruence came to make career decisions through extension under his or her initiative. This process proceeded in conjunction with contextual conditions and mediating conditions. In this research, the structure of career decision experiences of the major-desired career mismatch students is presented in a paradigm model that includes causal conditions, phenomenon, contextual conditions, mediating conditions, and the result. At the same time, major factors that act characteristically by stage were analyzed through process analysis, and their effec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Lastly, a discussion is presented on the phenomenon of ‘Getting out of the present major in search for congruence’ and the type of ‘Pursing congruence through extension under one’s own initiative’ that are involved in career decision of the major-desired career mismatch students --the core category-- in an attempt to understand career decision experiences of the major-desired career mismatch students and to lay a framework of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assistance programs including consultation intervention.

      • 한국인 급성 폐색전증 환자에서 혈전용해술의 임상결과와 출혈 위험성 분석 연구

        이윤경 울산대학교 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급성 폐색전증은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 저혈압이 발생한 환자에서 출혈 위험이 높지 않을 경우 혈전용해술의 시행은 생존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각 연구의 목적, 주요출혈의 정의에 따라 혈전용해술 후 출혈 빈도에 대한 보고가 매우 다양하며, 아시아인 특히 한국인에서 혈전용해술 이후 발생하는 출혈 빈도와 위험인자에 대한 보고가 없어 한국인 급성 폐색전증 환자에서 혈전용해술의 임상 결과 및 출혈 빈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서울 아산병원에서 폐색전증의 치료를 위해 alteplase 또는 urokinase가 처방된 총 111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출혈은 2014년 PEITHO trial에서 사용한 정의인 수혈이 필요한 출혈로 정의하였고, 폐색전증의 위험도는 2014년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guideline에 따라 분류하였다. 혈전용해술의 실패 기준은 36시간 이내에 혈역학적, 임상적으로 안정을 보이지 않고, 추적검사에서 우심부전이 남아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의무기록을 통해 폐색전증으로 진단 받을 당시의 기본정보 및 과거력, 진단을 위해 시행한 검사 및 검사실소견, 투약한 약물의 종류, 진단 이후 혈전용해제 투약까지 걸린 시간을 조사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PASW statistics 22 (SPSS Inc., Chicago, IL)을 이용하였다. 결과: 총 111명의 환자 중에서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환자가 88명 (79.3%), 입원 중 발생한 경우 21명 (18.9%), 외래를 통해 입원한 경우 2명 (1.8%)이었다. 평균 나이는 64.3±13.59 세, 평균 몸무게는 64.1±12.51 kg로 주요 출혈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주요 출혈의 빈도는 36%였으며, 출혈은 혈전용해제 투약 첫날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주요 출혈 여부에 따른 원내사망율, 7일, 30일, 전체 사망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주요 출혈군에서 중환자실 입실기간(12.8±16.1일 vs 6.7±13.2일, p=0.047), 인공호흡기 사용기간(7.2±10.5일 vs. 2.2±5.2일,p=0.007)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여성(OR 2.57, 95% CI 1.03-6.45; p=0.044), 체질량지수 23미만(OR 7.23, 95% CI 1.36-38.60; p=0.021), 중심정맥관 삽입(OR 3.81; 95% CI 1.52-9.55; p=0.004) 시에는 출혈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급성 폐색전증의 치료를 위해 혈전용해제를 투약한 경우 서양인에 비하여 주요출혈 발생이 한국인에서는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주요출혈이 있는 경우는 더 긴 중환자실 치료기간, 인공호흡기 사용기간과 연관성을 보였다. 여성, 낮은 체질량지수, 중심정맥관 삽입이 주요출혈과 연관성을 보였다.

      •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이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윤경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유아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N구에 소재한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30명(남=12, 여=18 )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 통프로그램을 4주 동안 주 3회, 총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 의 누리과정 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담임교사가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로 사 전검사를 시행하였고, 프로그램이 끝난 후 동일한 척도로 사후검사를 시행하였 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 구성요소인 정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 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고, 연구의 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시행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사에서 유아의 정 서조절능력, 정서성, 또래 관계기술은 동질집단으로 나타났지만, 유아의 사회적 규범 이해는 동질한 집단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유아의 사회적 규범 이해’는 제외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이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이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이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또래 관계기술에 유의한 영향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은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유아의 정서성, 유아의 또래 관계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 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음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 를 대상으로 놀이를 활용한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를 대상으로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인 정 서조절 능력, 정서성, 또래 관계기술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연령과 영역에서 놀이를 공감적 의사소통프로그램에 적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 다. 더불어, 놀이가 가능한 아동기 시절부터 함께 놀이하는 또래들과의 의사소 통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공감 정서발달의 중요성을 검토하여 유아교 육 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