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適用地域과 非適用地域에서 高等學校 數學敎科의 水準別 移動授業에 관한 意識調査

        이용송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 나라의 수학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중의 하나는 -초등학생 정도의 수학능력을 가진 학생이 다른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중등학교 수학 수업을 받아, 결과적으로는 수업에서 소외되어 버리는 현상-을 해결하며 학생수준에 적합한 "제자리"를 찾아주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생 개개인의 개인차를 최대한 고려하여 학생의 성장 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수업방법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와 같은 수업 방법의 하나가 수준별 이동 수업이다. 수준별 이동수업에서는 학생들의 학습능력이나 학습욕구가 교육활동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학생들 수준의 교육 내용의 선정,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교수-학습의 방법, 평가 방법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수준별 이동수업은 교육개혁의 핵심인 수요자 중심 교육을 실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는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생의 능력에 부합되는 학습 내용을 차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준별 이동수업은 교육개혁의 핵심인 수요자 중심 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는 근본 취지에서는 동의할 수 있지만, 수준별 이동수업이 열악한 한국적 교육여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과 폐단 또한 간과할 수 없으므로 수준별 이동수업의 시행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용지역과 비 적용지역을 비교하여 문제점을 의식 조사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적용지역과 비 적용지역에서 수준별 이동수업 운영에 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의견과 학생들의 학습 의욕은 어떠한가 ? 둘째,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하는 것이 학생들의 수학교과 학력향상에 도움이 되는가 ? 셋째, 수준별 이동수업의 계속 실시여부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 넷째,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의식 및 문제점은 무엇인가 ? 이러한 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수학교과에서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적용지역의 경기도 수원시의 여자고등학교, S여자고등학교, S고등학교, D고등학교의 남.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 비 적용지역인 경기도 화성군에 있는 S종합고등학교, O고등학교, K고등학교, B종합고등학교, S고등학교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의 설문지는 학생의 설문조사를 시행한 고등학교와 그 이외 화성군에 있는 전 고등학교와 수원시의 일부 고등학교의 수학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하여 비 적용지역의 학생들이 적용지역의 학생들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과의 수준별 이동수업의 학습의욕은 적용지역, 비 적용지역 모두, 상위반 학생들이 하위반 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하위반 학생들이 생각하는 문제점은 선생님들의 하위반 학생들에 대한 편견과 열등감으로 인한 자신감의 결여로 나타났다. 넷째, 수준별 이동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대체로 이동수업을 경제적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반대하는 의견도 높았다. 비 적용지역에서 교사들은 찬성한다와 반대한다라는 의견으로 양분되어 나타났는데, 반대하는 의견이 꽤 많은 이유는 하위반 수업 시 학습의욕의 결여와 산만함으로 수업의 진행이 어렵기 때문이었다. 다섯째, 수준별 이동수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2단계(상. 하)에 분반보다는 다양한 세분화가 필요하고 다양한 수준의 교재가 필요하다. 또한 내신 산출의 획일적인 평가보다는 다양한 수준별 분반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수준별 이동수업이 효과적으로 수행 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수준별 이동 수업 시 산만함을 줄이고 분실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급의 인원을 줄이고 이동수업을 위한 특별교실을 확보하여 수업에 불편함이 없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하겠다. One of the problems in secondary school education We face today 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students with different mathematical abilities are all in the same class and under the very same instruction of a teacher. Rather inferior students often get lost and consequently grow to lose any interests or motives in learning.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Group Teaching-Learning Method(GTLM), under which students are divided in two groups based on their learning abilities and taught with different teaching materials and in different teaching methods, has been devised and applied as an instructional method which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individual capabilities and to enhancing educational efficiency. To apply the GTLM effectively, students' learning abilities and wishes should be reflected and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subjects and materials and suitable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It is true that the GTLM realizes the consumer-oriented education which is the main issue of the educational reform. However, side effects that might arise from the GTLM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problems of the GTLM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wo different regions (one is where each student takes an entrance examination to get an admission to a high school; the other is where each student just gets assigned randomly a high school to go) and hope to suggest some ways to improve the GTLM in two regions. For these purposes, we have made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wo different regions asking their opinions to the following questions" Does the GTLM based on students' abilities really help students make better achievements and have strong intentions to study? Do students like the GTLM and want it to be continued? How do teachers feel about the GTLM, its positive or negative factors? What would be solutions of the problems of the GTLM? Analyzing the answers of the questionnaire, we could conclude as follows: Students in the firs region accept the GTLM more agreeably than those in the second region; Students in both regions, however, appear to get more willing to learn mathematics; Students in lower level groups show lacks of confidence from feeling inferiorities to those in upper level groups; Most teachers respond affirmatively to applying the GTLM to mathematics education but they still find it hard to teach lower level groups due to students' indifferences and distractions. To obtain more effective results from the GTLM,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be divided in more than two groups based on their learning abilities, that various texts suitable to different level groups be developed, that evaluation be made according to each group's level, and that better environments such ad convenient classrooms for each small-size group be rea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