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합창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꽃염불" 분석 연구

        이예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63

        국 문 초 록 <합창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꽃염불”>은 남성 판소리 독창과 여성 정가 독창, 혼성 4부 합창 그리고 국악관현악을 위해 작곡한 작품으로 2013년 6월에 이예진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연주회에서 초연되었다. <합창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꽃염불”>은 제주도 의식요 “꽃염불”과 고려가요 “가시리”를 문학적 재료로 하고 있다. “꽃염불”에서는 망자의 입장을 나타내는 가사를, 고려가요 “가시리”에서는 보내는 이의 마음을 담은 가사를 발췌하여 그 순서를 재배치함으로써 작품의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가사의 재구성은 망자와 이승에 남은 사람들의 반대 입장을 가사에 대비시켜 악곡의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작품의 극적 이미지를 강화시키기 위해 두 명의 독창과 혼성합창에 역할을 부여하였다. 남성 판소리는 망자의 역할을, 여성 정가는 남편을 떠나보내는 아내의 역할을, 혼성합창은 상여를 따라가는 사람들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일부 관현악기를 상징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악곡의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다양한 타악기 주법의 사용으로 악곡의 극적 이미지를 극대화하였다. 상여를 끌고 사람들의 발소리를 나타내는 현악기의 타악적 주법은 본 악곡의 주요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연극적 재료들은 그 음색과 가사의 이미지를 자극하며 악곡이 가진 극적 이미지를 강화시킨다. <합창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꽃염불”>의 문학적 재료와 연극적 재료는 작품 안에서 음악적 재료와 융합되어 작품의 이야기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합창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꽃염불”>의 주가 되는 음악적 재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악곡의 전통음악적 재료는 제주 의식요 “꽃염불”의 메나리 선법과 판소리의 진계면 선법, 메기고 받는 형식 등이다. 망자의 심상에 따라 메나리 선법과 진계면 선법을 적절히 사용하여 슬픔의 강약을 표현하였다. 독창과 관현악 반주 간의 메기고 받는 형식을 통해 제주도 의식요 “꽃염불”이 가진 민요의 형식을 적용하였다. 둘째, unison, homophony, polyphony, ostinato, polyrhythm, 저음지속음, 언어의 타악기적 사용 등 일곱 가지의 음악 양식을 성악 성부에 사용하였다. 각 음악 양식을 망자와 망자의 아내, 상여를 따라가는 사람들의 심상에 대응시킴으로써 등장인물의 심경 변화를 표현하였다. 셋째, 보다 복잡하고 강렬한 감정을 묘사하기 위해 음악 양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polyphony와 polyrhythm’, ‘언어의 타악적 사용과 polyrhythm’ 그리고 ‘언어의 타악적 사용과 homophony’ 등이 이에 해당된다. <합창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꽃염불”>의 분석 연구를 통해, 작품의 배경이 되는 문학적, 연극적 재료와 작품 안에 내재되어 있는 음악적 재료를 정리함으로써 작곡가 고유의 음악 양식을 찾고자 하였다.

      • 감염병 입원환자의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이예진 청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감염병은 국가에 큰 위협되는 존재로 감염병 발생 시 유행되지 않도록 초기 대응에 힘써야하고, 이러한 초기 대응은 의료이용 규모를 예측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염병 입원환자의 의료이용 현황과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함으로써 감염병의 효과적인 정책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2-2014년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의료기관의 조직적 특성, 의료기관 이용 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의료이용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의료이용 현황과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IMB SPSS statistics 23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Chi-square test, 다중회귀분석, 이분형 로지스틱을 실시하였고 모든 분석에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의료기관의 조직적 특성, 의료기관 이용 특성에 따른 평균재원일수 차이를 파악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광역시‧도 지역의 자체충족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감염병 입원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만 나이, 입원경로, 의료비 지불유형, 입원계절, 부진단 유무, 수술여부, 치료결과, 질병유형(법정 감염병, 지침서 분류), 병상규모(1000병상이상 제외), 의료기관 소재지, 자체미충족 여부였다. 넷째, 자체미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만 나이, 입원경로, 의료비 지불유형, 입원계절, 부진단 유무, 수술여부, 치료결과(사망 제외), 질병유형(바이러스 창자 감염, 감염성 기원으로 추정되는 설사 및 위장염 제외)이였다. 본 연구에서는 감염병 입원환자의 의료이용이 암 등 다른 질환 입원환자들의 의료이용과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실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감염병도 급격한 패턴의 변화가 있지 않는 이상 과거의 자료를 이용하여 의료이용을 예측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과거 3년동안의 의료이용 현황을 분석하고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이에 향후 감염병 의료 이용을 예측하는 역할로 감염병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infectious disease is a serious threat to the country, and it should strive for early response so that it does not become epidemic when an infectious disease occurs. This initial response starts from predicting the amount of medical uti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cal utilization status of infected patients and the factors affecting medical utilization, and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effective policy formulation of infectious diseases. This study used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2012-2014’ and se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use characteristics of medical institut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 the medical utilization as dependent variabl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hi-square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d all analyzes were weigh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length of sta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use characteristics of medical institutions. Second, the self - sufficiency rate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all variables affected the length of stay of infected patients, except in the case of women and when the size of beds were higher than 1000 beds. Finally, except for Either the treatment result has died or Infectious diseases except for diarrhea and gastroenteritis which are presumed to have infectious origin·viral intestinal infections, all variable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in self - insuffic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edical utilization of inpatients with infectious diseas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edical utilization of inpatients with other diseases such as cancer.

      • Study on the effects of Protonation in meso-substituted Porphyrins on optical properties and structure

        이예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Protonation of meso-subsituted porphyrins leads to significant shift in B- and Q-bands. However, the origin of the shifts in absorption bands by protonation still remains in open questions. To delineate the cause of these features, we have investigated optical and photophysical properties with five types of tetra-meso-substituted porphyrins with phenyl (PPPP), thiophenyl (TTTT), hydroxyphenyl (HHHH), pentafluorophenyl (FFFF), and mesityl (MMMM) peripherals in free-base and diprotonated forms. In addition, we also calculated the optimized structures and frontier molecular orbitals using DFT methods [B3LYP/6-31G(d,p)]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tonation on porphyrin structure. The absorption spectra of diprotonated porphyrins that PPPP, TTTT and HHHH show bathochromic shifts in both B- and Q-8 bands. On the other hand, Q(0,0) band of FFFF and MMMM is blue-shifted while the B band is red-shifted.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have explained that porphyrins with bulky substituents at the ortho position of the phenyl group inhibit effective resonance interaction and lead to blue shift of Q-band. In our study, however, the Q-band of FFFF was blue-shifted even though fluorine was not reasonably large compared to proton. HOMO of substituents except for pentafluorophenyl are close to HOMO and HOMO-1 of diprotonated porphine. However, since pentafluorophenyl has a low HOMO energy, the interaction with diprotonated porphine seems to be small.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Q-ban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oth structural and energetic features.

      • 연마 방법에 따른 리튬디실리케이트 유리도재의 표면 거칠기 연구

        이예진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surface roughness of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by various polishing methods Ye-Jin Lee, D.D.S.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an-Jin Park, D.D.S., M.S.D., Ph. D., Yoon-hyuk Huh, D.D.S., M.S.D., Ph.D.) Purpose: For the long-term prognosis of ceramic protheses, polishing process is necessary. Surface roughness depends on the types of ceramics and polishing instru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urface roughness by polishing two types of lithium disilicates with various ceramic polishing instruments. Materials and Methods: Two types of lithium disilicates were used: A-group(Amber mill, Hass) and E-group (IPS e.max CAD, Ivocalr Vivadent). Four types of polishing instruments were used: lithium disilicate dedicated polishing instruments; L-Edenta group(StarTec; Edenta AG), L-Jota group(LS9877M, LS9878M, LS9878F; Jota AG), zirconia dedicated polishing instruments; Z-Jota group(ZIR9867M, ZIR9868M, ZIR9868F; Jota AG), feldspathic ceramic dedicated polishing intruemnts; P-Shofu group(Ceramiste, Shofu INC). There were eight experimental groups (AL-Edenta, AL-Jota, AZ-Jota, AP-Shofu, EL-Edenta, EL-Jota, EZ-Jota, EP-Shofu). Each experimental group was made up of three stages. Specimens were polished at the specified rpm for one minute in each stage. Confocal scanning microsope was used to measure surface roughness. The surfaces of specimens and polishing instruments were analyzed with SEM and the composition was analyzed with ED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e was confirmed by Mann-Whitney test, Krusakl-Wallis test, and Bonferroni method. Results: Except for P-Shofu group, A group and 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the two lithium disilica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L-Edenta group, L-Jota group, Z-Jota group. P-Shofu showed significantly lower surface roughness than other groups(p<0.05). In SEM and confocal scanning microscopic images, L-jota group showed rougher surface than other groups, and P-Shofu group showed the smoothest surface. Conclusions: Amber Mill showed a higher surface roughness than IPS e.amx CAD when using lithium disilicate and zirconia polishing instrum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thium disilicate and zirconia polishing instruments. Satisfying surface roughenss can be obtained with an polishing instrument dedicated to feldspathic cemramics. ------------------------------------------------------------------------------------------------------- Key Words : Lithium disilicate, ceramics, polishing instruments, surface roughness 연마 방법에 따른 리튬디실리케이트 유리도재의 표면 거칠기 연구 이예진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철학 전공 (지도교수 박찬진, 허윤혁) 목적: 세라믹의 장기적인 예후를 위해 연마 과정은 필요하며 세라믹의 종류와 연마 기구따라 표면 거칠기가 결정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리튬디실리케이트를 다양한 세라믹 연마 기구로 연마하여 표면 거칠기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두 가지 리튬디실리케이트인 A군(Amber Mill, HASS)과 E군(IPS e.max CAD, Ivoclar Vivadent)를 이용하였다. 연마기구로 리튬디실리케이트 전용인 L-Edenta군(StarTec; Edenta AG), L-Jota군(LS9877M, LS9878M, LS9878F; Jota AG)과 지르코니아 전용인 Z-Jota군(ZIR9867M, ZIR9868M, ZIR9868F; Jota AG), 장석계 세라믹 전용인 P-Shofu군(Ceramiste, Shofu INC)을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8개(AL-Edenta군, AL-Jota군, AZ-Jota군, AP-Shofu군, EL-Edenta군, EL-Jota군, EZ-Jota군, EP-Shofu군)이다(n=8). 총 3단계로 단계별로 1분간 설정된 rpm으로 연마하고 공초점 현미경으로 평균 표면조도(Ra)를 측정하였다. SEM으로 시편과 연마기구의 표면을 분석하고 EDS로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으로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로 유의성을 확인하였고 사후분석으로 Bonferroni method를 이용하였다. 결과: P-Shofu군을 제외한 실험군에서 A군과 E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두 리튬디실리케이트에서 L-Edenta군, L-Jota군, Z-Jota군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P-Shofu군은 다른 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작은 표면조도를 보였다(p<0.05). SEM과 공초점 현미경 분석에서 L-Jota군은 다른 연마기구에 비해 거친 표면을 보였고 P-Shofu그룹은 가장 활택한 단면을 보였다. 결론: 리튬디실리케이트 전용과 지르코니아 전용 연마기구 사용 시 Amber Mill이 IPS e.max CAD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보였다. 리튬디실리케이트 전용 연마기구와 지르코니아 전용 연마기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석계 세라믹 전용 연마기구로 만족할 만한 표면 거칠기를 얻을 수 있다. ------------------------------------------------------- 주요어 : 리튬디실리케이트, 세라믹, 연마 기구, 표면 거칠기

      • 맹학교 음악교육 실태조사와 시각장애학생의 가창 및 기악수업 교수·학습 방안 연구 : 20세기 음악교수법을 활용하여

        이예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가창 및 기악수업의 음악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지도방안’과 ‘시각장애학교 실태조사’에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시각장애의 분류 및 특성과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음악과의 내용체계, 표현, 교수·학습 방향과 방법과 20세기의 대표적인 음악 교수법으로 자크-달크로즈(Emile Jaques-Dalcroze)의 교수법, 졸탄 코다이(Zoltán Kodály)의 교수법과 칼 오르프(Carl Orff)의 교수법에 관한 이론적 내용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시각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음악수업에 관련한 설문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Ⅳ장에서는 Ⅲ장의 실태조사에서의 내용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20세기 음악교수법을 적용한 시각장애학생의 음악 교수·학습 방안과 이에 대한 지도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시각장애학생의 음악수업은 청각과 촉각을 주로 사용하는 음악활동을 중점적으로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창활동과 기악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음악적 학습 요소는 리듬교육이며, 리듬의 음악적 개념학습을 신체로 표현하며 유의미적인 음악학습을 제공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20세기 음악교수법인 자크-달크로즈(Emile Jaques-Dalcroze)의 교수법, 졸탄 코다이(Zoltán Kodály)의 교수법과 칼 오르프(Carl Orff)의 교수법을 적용하여 음악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후속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도방안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개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시각중복장애학생에게는 음악치료적 접근도 고려해봐야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가창수업과 기악수업 중심의 지도방안을 제시하였지만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창작수업과 감상수업의 연구도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보조적 기기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이성관계에서 상대방에 대한 기대가 관계 만족도와 갈등해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이예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이성관계에서 상대방에 대한 기대와 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 상대방에 대한 기대와 갈등해결 행동 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설문연구 및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은 기대와 관계 만족도, 기대와 갈등해결 행동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를 설문지 방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고, 현재 이성교제 중인 남녀 305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기대, 부정적 기대, 관계 만족도, 갈등해결 행동, 거부민감성 척도를 포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거부민감성은 긍정적 기대와 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부정적 기대와 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부정적 기대와 갈등해결 행동 중 회피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연구 2에서는 실험을 통해 관계 만족도, 기대와 관찰된 갈등해결 행동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커플 28쌍에게 갈등 주제를 정하도록 한 후,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화를 하도록 하였다. 커플의 대화는 녹음되었고, 녹음 자료를 분석하여 갈등해결 행동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거부민감성은 기대와 관계 만족도의 관계는 조절하였으나, 둘째 기대와 관찰된 갈등해결 행동의 관계는 조절하지 않았다. 종합하면, 상대방에 대한 기대와 관계 만족도에서는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가 대부분 유의하였으나, 상대방에 대한 기대와 갈등해결 행동에서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는 거의 유의하지 않았다.

      • SNS 네이티브광고의 사용자경험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신호탐지이론의 활용을 중심으로

        이예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SNS의 대중화와 더불어 최근 대중적인 광고기법으로 떠오 르고 있는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사용자 경험 특성의 분석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우선적으로 네이티브광고와 신호탐지이론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SNS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광고출현빈도에 따른 SNS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사용자 경험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NS 네이티브광고의 탐지에 관한 두 가지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SNS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신호탐지이론을 적용하는 방법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SNS 사용자를 남성과 여성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사용자 집단의 SNS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탐지 여부를 측정하였 고, 그 결과를 신호탐지이론에 적용하여 각 사용자 집단의 경험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광고 탐지에 대한 사용자 집단의 경험특 성을 해석하는데 신호탐지이론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SNS 콘텐츠에서 네이티브광고의 출현빈도가 사용자의 반응특성, 즉 광고 탐지 비율과 광고 판단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한 SNS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신호탐 지이론을 적용하는 방법의 타당성도 추가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 다. 두 번째 실험의 결과에서도 첫 번째 실험과 마찬가지로 SNS 네이티브광 고의 출현빈도에 따른 사용자의 경험특성을 분석하는데 있어 신호탐지이론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SNS 콘텐츠에서 광고출현빈도에 전반적으로 사용자의 판단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반면 성별은 사용자의 판단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광고의 출현빈도는 광고 탐지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성별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신호탐지이론의 사용자경험척도인 민감도와 반응편향 모두 광고 출현빈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광고에 대한 판단시간과 민감도, 판단시간과 반응편향, 판단비율과 민감도는 의미 있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판단비율과 반응편향은 의미 있는 상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SNS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사용자 경험특성을 분석하는데 신호탐지이론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있었고, 사용자의 반응특성과 연계하여 다양한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 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은 SNS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특 성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 탐지에 대한 수행도의 비교 분석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SNS 네이 티브광고의 효과를 비교 평가하는 측면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은 SNS 네이티브광고를 대상으로 그활용 가능성이 분석되었고 그에 대한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SNS 네이티브광고 뿐만 아니라 그 외의 다양한 광고형태에 대해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I discuss how to analyze us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native advertisement, which is emerging as a popular advertising technique along with the popularization of SNS. First of all, I carried out a literature survey on native advertisement and signal detection theory for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 conducted two experiments on the detection of SNS native advertisement. The firs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method of applying signal detection theory to analyze the us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SNS native advertisement. In this experiment, SNS users were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user groups. The detection of SNS native advertisements by each user group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applied to the signal detection theo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signal detection theory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identify the performance and the judgment attitude of the user group on the advertisement detection. The secon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d frequency of native advertisements on detection probability and judgement time of user in SNS contents. Also, through this experiment I further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the method of applying signal detection theory to analyze the us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SNS native advertisement. As a result of the second experiment, it is confirmed that the signal detection theory can be used effectively in analyzing the us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d frequency of SNS native advertisement as in the first experimen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ignal detection theory can be effectively used to analyze us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SNS native advertisement, and it was found that various analysis can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users.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not only to analyze us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SNS native advertisement but also to effectively assess comparative analysis of performance on ad detection. It can be also used effectively in terms of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NS native advertisement.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 of this study will be applicable not only to SNS native advertisement but also to various other forms of advertisement in the future.

      • 충청도 지역 암석 내 자연방사성물질 함유광물의 광물학적 특성 및 함유실태

        이예진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NORMs) may contain any of the primordial radionuclides or radioactive elements as they occur in nature, such as radium (226Ra), uranium (238U), thorium (232Th), potassium (40K), and their radioactive decay products, such as radium and radon (222R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ecause they exist in small amounts in rocks, soil, and groundwater and decay while emitting alpha, beta, and gamma r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neralog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formed in representative rocks distributed throughout Chungcheong province. The study area includes dwellings of relatively high indoor radon concentration nationwide, and the uranium deposits in a black slate of the ogcheon belt. In this study, igneous rocks (n=51), metamorphic rocks (n=41), and sedimentary rocks (n=8) were sampled to examine mineralogy, geochemistry, and concentrations of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within rocks distributed in Chungcheong province. The mineralogy and texture were observed with polarization light microscope (PLM). And mineralog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of rock samples was identifi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XRD) and X-ray fluorescence analysis (XRF). Gamma-ray spectroscopy was us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s of NORMs, and electron probe micro analysis (EPMA)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form and chemical composition of U- and Th-containing minerals. The geology of Chungcheong province is mainly composed of sedimentary originated metamorphic rocks (i.e., the Oogcheon belt), granitoid, and limestone. Naked eyed observation PLM, XRD, and XRF analyses of the rocks sampled were used to classify rocks. Sedimentary rocks sampled include sandstone, conglomerate, limestone, and etc. Igneous rocks sampled are biotite granite, phophyric granite, granite diorite, pegmatite, and etc. Metamorphic rocks sampled are slate, phyllite, banded gneiss, mica schist, and granite gneiss, and etc. Halos, traces of radioactive decay, were mainly observed in biotite and accessory minerals such as zircon, allanite, and others because NORMs are substituted and existed in these minerals. The average content of 226Ra, 232Th, and 40K within the rocks sampled was 48.6 Bq/kg, 74.2 Bq/kg, and 1,066 Bq/kg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of radiation concentration index (RCI) of the rocks sampled was 0.89. Concentrations of NORMs were in the order of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226Ra, 232Th, and 40K and the RCI of the igneous rocks sampled were 55.5 Bq/kg, 84.6 Bq/kg, 1,192 Bq/kg, 1.01, respectively. Biotite granite contain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226Ra (129.6 Bq/kg), 232Th (185.3 Bq/kg), and RCI (1.84) and granite gneiss contained highest concentration of 40K (2,041 Bq/kg). Among 100 rocks sampled, 33 rock samples exceeded the recommended RCI (1) and 23 samples of them were classified as igneous rocks. Among granitoi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226Ra and 232Th of the Cretaceous granite was 65.9 Bq/kg, 101.0 Bq/kg, and that of 40K of the Jurassic granite was 1,253 Bq/kg, respectively. The average of RCIs of Cretaceous and age-unknown granites were 1.12 and 1.04, respectively. Among metamorphic rock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226Ra of slate and phyllite was 46.2 Bq/kg, and the concentrations of 232Th and 40K, and the average RCI of gneiss were 68.6 Bq/kg, 1,230 Bq/kg, and 0.90, respectively. Clastic and nonclastic sedimentary rocks showed varied concentrations of NORMs and RCI, and clastic sedimentary rocks usually contained high concentration of NORMs and RCI. Among granitoid, 40K is high when it has higher concentration of K2O in rock and 226Ra , 232Th are high if the concentration of SiO2 is abundant at the end of magma differentiation. EPMA analyses of rock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NORMs showed monazite, fergusonite, and thorite are major U- and Th-containing minerals. U- and Th-substituted accessory minerals include titanite, zircon, and xenotime. In metamorphic rocks, U- and Th-containing minerals include monazite and thorite and U- and Th-substituted accessory minerals are xenotime, zircon, and allanite. In sedimentary rock, monazite is a Th-containing mineral. 자연방사성물질이란 방사성 핵종인 우라늄(238U), 토륨(232Th), 포타슘(40K), 라듐(226Ra) 등과 방사성 붕괴 생성물인 라듐(226Ra) 및 라돈(222Rn) 등과 같이 자연에서 발생하는 방사성원소를 포함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이들은 암석, 토양, 지하수 내에 소량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붕괴하면서 α-선, β-선, γ-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조사를 통해 국내의 자연방사성물질 분포특성과 이를 통해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에 행해진 연구로는 고농도의 자연방사성물질 암석과 토양, 지하수 내 자연방사성물질(라듐, 라돈 등) 분포에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암석이 풍화되어 토양과 지하수로 가기 때문에 다양한 암종의 자연방사성물질의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충청도의 실내라돈농도는 전국에서 높은 편에 속하며 옥천층군 내 우라늄광상이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청도 전 지역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암석에서 산출되는 자연방사성물질의 함유실태와 광물학적, 지화학적 특성 및 존재형태를 규명하고자 한다. 충청남도의 지질은 변성퇴적암류와 이를 관입하는 화강암류 및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옥천누층군의 점토기원변성암류, 충청북도의 지질은 변성퇴적암류와 옥천층군, 고생대의 석회암층군 그리고 이들을 관입하는 대보관입암류가 주를 이룬다. 옥천누층군 내 흑색점판암과 탄질점판암 내에 우라늄 함유광물로 토라이트, 토루타이트, 우라니나이트, 에카나이트, 브래너라이트, 코피나이트 등의 광물들이 존재하며 저품위 우라늄 광화대가 분포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충청도 전역에서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암석을 선정하여 퇴적암(8개), 화성암(51개), 변성암(41개)을 포함한 총 100개의 암석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암석들 중 일부 시료의 박편을 제작하고 편광현미경(PLM)으로 구성광물 및 조직을 관찰하였으며, 파우더 처리한 시료를 X-선 회절분석(XRD)과 X-선 형광분석(XRF)을 통해 주 구성광물과 주 구성원소을 확인하였다. 자연방사성물질의 핵종감별과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감마선 분광 분석과 우라늄, 토륨 함유광물의 형태와 화학조성을 분석하기 위한 전자탐침현미분석(EPMA)를 실시하였다. 채취한 시료를 육안관찰, PLM과 XRD, XRF 분석을 통해 암종을 확인한 결과, 퇴적암은 사암, 역암, 석회암, 화성암은 흑운모화강암, 반상화강암, 화강섬록암, 페그마타이트 등, 변성암은 점판암, 천매암, 호상편마암, 운모편암, 화강편마암 등으로 분류되었다. PLM 분석 결과, 흑운모와 부 구성광물(저어콘, 갈렴석 등)에서 방사성물질의 붕괴 흔적인 방사성환(halo)이 관찰되었다. 이는 운모류와 부 구성광물에 자연방사성물질이 치환되어 존재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감마선 분광 분석 결과, 전체 암석의 평균함량은 226Ra에서 48.6 Bq/kg, 232Th에서 74.2 Bq/kg, 40K에서 1,066 Bq/kg, 방사능 농도 지수는 0.89로 나타났다. 226Ra, 232Th, 40K의 평균함량과 방사능 농도 지수는 모두 화성암(55.5 Bq/kg, 84.6 Bq/kg, 1,192 Bq/kg, 0.99)에서 높게 나타났다. 흑운모화강암에서 226Ra(129.6 Bq/kg), 232Th(185.3 Bq/kg), 방사능 농도 지수(1.84), 화강편마암에서 40K(2,041 Bq/kg)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 암석 100개 중 33개가 방사능 농도 지수 건축자재 권고기준치인 1을 넘었으며, 그 중 23개가 화성암으로 나타났다. 화강암에서 라듐, 토륨의 평균함량과 방사능지수의 평균값은 백악기(65.9 Bq/kg, 101.0 Bq/kg, 1.12), 포타슘의 평균함량은 쥐라기(1,253 Bq/kg)가 높게 나타났다. 백악기와 시대미상 암석의 방사능 지수 평균은 1.12과 1.04로 1을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변성암에서 226Ra의 평균함량은 점토기원변성암류(46.2 Bq/kg), 232Th, 40K의 평균함량, 방사능 농도 지수의 평균은 편마암류(68.6 Bq/kg, 1,230 Bq/kg, 0.90)가 높게 나타났다. 퇴적암은 쇄설성 암석이 비쇄설성 암석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훨씬 높게 나타났다. 화강암 내 K2O의 함량이 많을수록 40K의 함량도 높게 나타났으며, 분화 후기에 부화되는 SiO2 함량이 많을수록 자연방사성물질의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 방사성물질 함량이 높은 일부 암석의 EPMA 분석 결과, 방사성물질 함유 부 구성광물은 화성암에서 우라늄, 토륨 함유광물인 모나자이트, 퍼거소나이트, 토라이트와 우라늄, 토륨이 일부 치환되어 존재하는 티타나이트, 저어콘, 제노타임이 산출되었다. 변성암에서는 우라늄, 토륨 함유광물인 모나자이트, 토라이트, 그리고 일부 치환되어 존재하는 제노타임, 저어콘, 갈렴석의 형태로 산출되었다. 퇴적암의 사암에서는 토륨을 함유하고 있는 모나자이트가 산출되었다. 연구지역의 암석 내 자연방사성물질 함량은 특히 화성암에서 기존에 연구된 국내 화성암, 변성암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226Ra, 232Th, 40K, 방사능 농도 지수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PLM 분석시 방사성환이 비교적 많은 암석에서 자연방사성물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우라늄과 토륨 함유광물의 존재형태는 주로 흑운모, 부 구성광물 내 방사성환(halo)의 포유물로 존재하거나 암상마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였다. 주로 흑운모 내에서 발견되는 방사성환(halo)이 많을수록 자연방사성물질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암석이 결정화될 때 원자직경이 큰 방사성원소가 결정내로 들어가지 못하고 운모류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암석 내 자연방사성물질 연구를 위해서 암석의 구성광물, 화학조성 등 지질학적, 지화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자아 고갈,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 성향이 SNS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예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advent of smart media, donation activiti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traditional media are rapidly spreading through SNS recently. SNS is in the spotlight as a useful medium for conducting and promoting donation campaigns in that it is a social place where individual interactions take place based on sharing connections. Therefor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NS environment as the context of donation campaigns and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effects of ego depletion, social support, and trait self-control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word of mouth(WOM) intention for SNS donation campaigns. Ego depletion is a state in which self-regulation resources are depleted. According to the strength model of self-regulation, self-regulation resources that individuals can use are limited, which can lead to ego depletion. Ego depletion negatively affects pro-social behavior. On the other hand, social support which means all resources provided from social relationships has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Based on this, this study predicted that ego depletion would have a negative effect and social support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WOM intention for SNS donation campaigns. Also ego depletion has a negative effect and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Considering that self-efficacy is a leading factor in increasing pro-social behavior such as donation, this study expected that self-efficacy would be restored when social support was provided in a state of ego depletion, thereby mitigating the negative impact of ego depletion on donation behavior. Specifically this study predicted that social support would moderate the effect of ego depletion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WOM intention for SNS donation campaigns, and self-efficacy would mediate this moderation effect, which means social support has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In addition there is an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related to self-regulation, trait self-control. Trait self-control refers to the consistent level of self-control that each individual has. In that not only situational variables but also individual’s internal characteristics can affect donation participation,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rait self-control together.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ego depletion, social support, and trait self-control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WOM intention for SNS donation campaign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2(ego depletion / no depletion) × 2(social support / no support) × 2(high trait self-control / low trait self-control) between-subjects design. Ego depletion was manipulated by alphabet-limited writing and social support was manipulated by whether or not social support messages were included in the donation campaign post. In the case of trait self-control, the high self-control group and the low trait self-control were divided based on the median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go deple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WOM intention for the SNS donation campaign. But when social support was provided in the donation campaign post,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WOM intention were higher than when social support was not provid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depletion and each dependent variable, and this moderation effect was completely mediated by self-efficacy. Specifically,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social support was not provided the negative indirect effect of ego depletion through self-efficacy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WOM intention was significant. However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social support was provided, the negative indirect effect of ego depeltion through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 It seemed that self-efficacy, which had been reduced due to ego depletion, recovered through social support. Thus it was verified that providing social support in donation campaign posts can alleviate the negative impact of ego depletion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WOM intention for SNS donation campaigns. Meanwhile the interaction effect of ego deple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two dependent variables was not moderated by the level of trait self-control.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ocial support and trait self-control on the two dependent variables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participants with low trait self-control had no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WOM intention for the SNS donation campaign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cial support.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with high trait self-contro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articipation intention and WOM intention under the social support condition than the no support condition. Also under the no support condition, they even showed lower intentions to participate and engage in WOM than participants with low trait self-control. It suggests that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enhancing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WOM intention for SNS donation campaigns is greater and more important to those with high trait self-control.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as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It reaffirmed the positive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context of SNS donation campaigns using the social support messages in the campaign post. Also the study explaine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he interaction effect of ego deple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the WOM intention for SNS donation campaigns. Furthermore the study integrally discussed the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and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on donation participation and contributed to the donation literature. 스마트 미디어의 등장으로 전통적인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던 기부활동은 최근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SNS는 연결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장소라는 점에서 기부 캠페인을 진행하고 홍보하는 유용한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부 캠페인 맥락 중 SNS 환경에 주목하여 자아 고갈과 사회적 지지, 그리고 자기통제 성향이 SNS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자아 고갈이란 자기조절 자원이 소진된 상태로 자기조절 강도 모델에 따르면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자기조절 자원이 한정되어 있어 자아 고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자아 고갈은 친사회적 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반면,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관계로부터 제공받는 모든 자원으로 친사회적 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아 고갈과 사회적 지지가 SNS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 및 구전 의도에 각각 부적 영향과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한, 자아 고갈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에도 각각 부적, 정적 영향을 미친다. 자기효능감이 기부 등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선행요소임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자아 고갈 상태에서 사회적 지지가 제공될 경우 자기효능감이 회복되어 이에 따라 자아 고갈이 기부 행동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완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구체적으로 자아 고갈이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고, 이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매개된 조절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한편, 자기조절과 관련된 개인차 변수로 자기통제 성향이 있다. 자기통제 성향이란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일관된 자기통제 발휘 수준을 의미한다. 기부 참여에 상황적 변수뿐만 아니라 개인 내적 특성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통제 성향의 영향을 함께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아 고갈과 사회적 지지, 그리고 자기통제 성향이 SNS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아 고갈(유/무) × 사회적 지지(유/무) × 자기통제 성향(고/저) 피험자 간 설계로 진행되었다. 자아 고갈은 알파벳 제한 글쓰기를 통해 조작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기부 캠페인 포스트 속 사회적 지지 메시지 포함 여부로 조작하였다. 자기통제 성향의 경우 중위 수를 기준으로 자기통제 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의 자아 고갈 상태는 SNS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 및 구전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기부 캠페인 포스트에서 사회적 지지가 제공되었을 때 제공되지 않았을 때보다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와 구전 의도가 더 높았다. 또한,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결과 자아 고갈과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 및 구전 의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이러한 조절효과가 자기효능감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지가 제공되지 않은 조건에선 자아 고갈이 자기효능감을 통해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부적인 간접효과가 유의하였지만, 사회적 지지가 제공된 조건에서는 자기효능감을 통한 부적인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자아 고갈로 인해 낮아진 자기효능감이 사회적 지지를 통해 회복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기부 캠페인 포스트에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자아 고갈이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기부 캠페인 참여 및 구전 의도에 대한 자아 고갈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는 개인의 자기통제 성향 수준에 따라 조절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종속변수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통제 성향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통제 성향이 낮은 참가자들은 사회적 지지 유무에 따라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와 구전 의도의 차이가 없었다. 반면, 자기통제 성향이 높은 참가자들은 사회적 지지가 없는 조건에선 자기통제 성향이 낮은 참가자들보다도 더 낮은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와 구전 의도를 보였으나, 사회적 지지를 받았을 땐 사회적 지지가 없는 조건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와 구전 의도를 보였다. 이는 SNS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 및 구전 의도를 높이는 데 사회적 지지가 갖는 효과가 자기통제 성향이 높은 사람들에게 더 크며,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를 기부 캠페인 포스트 속 사회적 지지 메시지로 구현하여 SNS 기부 맥락에서 사회적 지지의 긍정적인 효과를 재확인하였다. 또한, 기부 캠페인 참여 의도 및 구전 의도에 대한 자아 고갈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의 기제를 설명하였으며, 상황적 변수와 개인차 변수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논의하여 기부 연구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