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덱스트로메토르판으로 유도된 세로토닌성 행동독성에 Protein Kinase Cδ의 역활

        이영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specific serotonin (5-HT) receptor-mediated mechanism were involved in dextromethorphan (DM)-induced serotonergic behaviors. As a results, the activation of 5-HT1A receptor, but not 5-HT2A receptor, was involved in DM-induced serotonergic behaviors in mice. Further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up-regulation of 5-HT1A receptor induced by DM facilitates which specific PKC isoform was induced, because that 5-HT1A receptor activates protein kinase C (PKC) in previous reports. DM (80mg/kg, i.p.) induced a selective induction of PKCδ out of PKCα, PKCβI, PKCβII, PKCξ and PKCδ in the hypothalamus of wild-type (WT) mice. Interestingly, 5-HT1A receptor co-immunoprecipitated PKCδ in the treatment of DM. Also, rottlerin, a pharmacological inhibitor of PKCδ, or PKCδ knockout significantly protected against increases in 5-HT1A receptor gene expression, 5-HT turnover rate, and serotonergic behaviors induced by DM. Administration of DM induced in an initial increase in nuclear factor erythroid-2-related factor 2 (Nrf2) nuclear translocation and DNA binding activity, γ-glutamylcysteine (GCL) mRNA expression, and GSH level. This compensative induction was potentiated by rottlerin or PKCδ knockout. However, GCL mRNA and GSH/GSSG levels were decreased 6 h and 12h post-DM. These decreases were decreased by PKCδ inhibition. All tog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5-HT1A receptor and PKCδ is important for inducing serotonergic behaviors induced by DM, and that inhibition of PKCδ attenuates the serotonergic behaviors through down-regulation of 5-HT1A receptor and up-regulation of Nrf2-dependent GSH synthesis. 덱스트로메토르판 (Dextromethorphan, DM)으로 유도된 세로토닌성 행동들에 5-HT1A 수용체 활성화 여부와 단백질인산화효소 C (Protein kinase C, PKC) 중 어떤 동형체 (Isoform)가 관여하는지 조사하였다. 고용량 DM (80mg/kg, i.p.)을 Wild-type 생쥐에 투여시 시상하부에서 PKCα, PKCβI, PKCβII, PKCξ 및 PKCδ 중 PKCδ를 선택적으로 유도하였으며, 5-HT1A 수용체도 함께 면역침강반응이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Rottlerin (PKCδ 억제제), PKCδ 유자자결손 (Knockout, KO)은 DM으로 유도된 5-HT1A 수용체 유전자 발현, 5-HT 대사율 및 세로토닌성 행동들에 대해 유의하게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DM 투여 시 nuclear factor erythroid-2-related factor 2 (Nrf2)의 전위 (Translocation) 및 DNA 결합활성, γ-glutamylcysteine (GCL) mRNA 발현 및 환원글루타치온 (Reduced glutathione, GSH) 농도가 초기에 증가되는데, 이러한 보상 반응들은 Rottlerin 또는 PKCδ KO로 더욱 증가되었다. 그러나 GCL mRNA 발현과 GSH/산화형 글루타치온 (Oxidized GSH, GSSH) 비율은 DM 투여 6시간 및 12시간 이후 감소되었는데, PKCδ 저해는 이러한 감소를 억제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5-HT1A 수용체 및 PKCδ의 상호작용은 DM으로 유도된 세로토닌성 행동들에 중요한 요인들 중 하나이며, PKCδ 억제시 5-HT1A 수용체의 하향 조절 (Down-regulation) 및 Nrf2-의존성 GSH 합성의 상향 조절을 통해 세로토닌 행동들을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金融發展과 經濟成長間의 相關關係 分析

        이영호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nalyzing the correlationship of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Ever since the pioneering contribution of Schumpeter(1912), Goldsmith(1969), McKinnon and Shaw(1973),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has remained an issue of debate. This paper reviews the result of analytical literature on economic growth and financial development by analyzing time series data. Results of these empirical analyses are as follows ; First, the results of multivariate cointegration tests suggest a stabl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se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Second, roughly speaking, the results of Vector Error-Correction Model(VECM) suggest stock market development index and banking development index are both positively related with economic growth.

      • Core-shell 형태의 다양한 무기복합체 제조 (1.Y-coated BaTiO₃;2. Ag-coated SiO₂)

        이영호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다양한 복합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분자, 금속, 옥사이드 입자들간의 복합체를 만들어서 하나의 물질만을 사용했을 때는 얻을 수 없는 물성을 얻기도 하고 기존의 물성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복합체에는 매트릭스 안에 다른 입자를 분산 시킨 형태, core-shell 형태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합체 중에서 무기 입자 표면을 다른 무기 입자로 개질하여 core-shell 형태의 입자를 만들었다.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TiO3 particles Coated with Yttrium compounds” 에서는 강유전체인 BaTiO3에 미세적층 공정에서 소결 과정시 grain growth를 막아주는 yttrium compound를 코팅하는 연구를 하였다. Urea가 60C 이상에서 분해되어 carbonating ion이 생성되는 것을 이용하여 BaTiO3에 표면에 yttrium 화합물을 layer 형태로 코팅하였다. 전자 현미경을 통해 농도에 따른 코팅 layer의 두께를 관찰하였고, EPMA data를 이용하여 yttrium의 손실정도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XRD를 통하여 yttrium oxide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Preparation of Silica coated with Noble metal” 에서는 금,은 등의 이온이 thiol과 complex를 형성하여 metal thiolate가 되는 것을 이용하여 실리카 표면에 noble metal을 코팅하였다. 3-mercaptopropyltrimethoxsilane으로 표면처리 된 실리카를 이용하여 표면에 noble metal 입자를 seed 형태로 코팅하고 noble metal을 성장시켰다. FT-IR spectra를 통해 thiol과 Ag+ 이온과의 complex 형성 여부를 확인하고, 전자현미경과 EDS를 이용하여 noble metal이 실리카에 코팅 된 것을 관찰하였다.

      • 鹽水電解用 가스壙散電極의 微細構造에 따른 電解特性 硏究

        이영호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for Ag-loaded gas diffusion electrode for chlor-alkali process, the condition of reaction layer structure for optimum electrode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the catalyst size on carbon black support were investigated. The gas diffusion electrodes were prepared with the carbon black in different hydrophilic carbon black (KB) to hydrophobic carbon black (DB) ratios and the carbon black which have the different size of Ag. The influence of the carbon black composition and the silver catalyst size in reaction layer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and performance of the gas diffusion electrode for chlor-alkali process were evaluated with the reduction peak area of cyclic voltammogram and polarization curve by using electrochemical analysis method. An advanced gas diffusion electrode is proposed in which a new design concept of electrode structure is applied where the function of electrolyte network and gas network are assigned completely to catalyzed carbon black and hydrophobic carbon black. In this case, the reaction layers of the gas diffusion electrodes have the different KB and DB ratio. the electrode was increased reduction peak area by KB content increased. But, highest performance of electrode in 33 wt.% NaOH solution at 80 oC was observed when reaction layers of electrodes have the KB to DB ratio of 4:6. Reaction layer of electrode has the Ag-loaded carbon black of the different size of Ag and has the extraordinarily similar microstructure from the viewpoint of gas and electrolyte network distribution. The electrode of smaller Ag size showed more high performance than the others. But, that electrode is more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verpotential.

      • 대학 고층 기숙사 시뮬레이션 평가를 통한 피난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이영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경제성장과 함께 산업의 발달로 사회 각 부분이 전문화,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고 성장 속도는 점점 빨라져 가고 있다. 건축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인간이 행하고자 하는 행위와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하고 여러 가지의 목적이 함께 어우러진 건축물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임대형 민자 사업(BTL)으로 대학교 기숙사들이 지어지면서 고층화 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대학 고층기숙사에 대한 운영체제라던가 운영방식, 비상시 대처 방안들이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숙사는 공동주택으로 분류가 되어 공동주택의 방화기준을 따르고 있다. 기숙사는 공동주택과는 달리 사용행태나 동선의 행태가 다르고, 운영방식도 다르기 때문에 기숙사를 공동주택의 기준에 맞추어 방화 및 화재안전성능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불합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층화 건축공간의 화재 시 피난안전에 관한 국가 간 기준을 비교 및 분석을 하고 이를 재실자의 피난 상황을 분석 평가하는 피난 전용 프로그램인 시뮬렉스를 통하여 대학 고층 기숙사에 대한 피난 성능을 검증 하고자 한다.

      • NFC를 적용한 스마트 근태관리 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영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안전에 대한 인식은 물리적 측면에서만 통용되었지만,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정보보안, 관리보안 측면으로 확대되어 다차원적인 보안 요구를 맞추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과거 인력경비를 중심으로 한 보안 서비스에서 기계경비로 전환되면서 356일 24시간 감시가 가능해지고 정확한 증거확보 및 경제적 측면에서도 비용 절감을 가져왔다. 이러한 현실은 수요자의 눈높이도 인력경비에서 기계경비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계 경비로의 전환은 인력 경비 업체의 수익성 문제를 야기 시키고, 현장에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인력 경비에 비해 떨어지는 역부작용을 낳게 됐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력에 의한 보안업무를 담당하는 시설경비에서 인력에 대한 수요자의 불신을 해소하고, 보다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근태 관리에 대한 기술적 연구 개발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이 RFID, 지문인식, 홍체인식 등의 고정형 단말기 기법을 사용하여 파견 및 출장 등의 다양한 업무형태에 적용하기 어렵고, GPS를 이용한 근태관리의 경우 본 연구에서도 적용해 보았지만, 위치 정보에 대한 오차 및 실내에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으로 적용범위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업무형태 및 위치 정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스마트 근태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 강원도 도유림의 식물상 및 식생 : 광덕산, 백운산, 화악산 지역을 중심으로

        이영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강원도 도유림 중 광덕산, 백운산 및 화악산 지역을 중심으로 식물상 및 식생을 연구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지역의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은 90과 304속 472종 66변종 8품종 총 546종류로 나타났다. 2) 한국특산식물은 금강초롱꽃, 땃두릅나무, 금강제비꽃 등 13과 16속 15종 1변종 총 16종류로 출현하였다. 3)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산작약이 만주바람꽃, 모데미풀, 땃두릅나무, 금강초롱꽃, 말나리, 나도개감채, 너도바람꽃, 만병초 등 11과 17속 20종 총 20종류로 나타났다. 4) 귀화식물은 단풍잎돼지풀, 돼지풀, 다닥냉이, 말냉이 등 6과 10속 12종류가 조사 되었다. 5)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Ⅴ등급 10종류, Ⅳ등급 15종류, Ⅲ등급 36종류, Ⅱ등급 34종류, Ⅰ등급이 56종류로 총 151종류가 나타났다. 6)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자원은 총 24종류로 출현 하였다. 7) 생활형을 종합한 Biological Type은 G-R5-D4-e로 나타났다. 8) 기후변화 취약식물은 총 17종류로 전체 546종류 중 약 3.1%로 나타났다. 9)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546종류의 자원식물의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식용 210종류(38.5%), 약용 192종류(35.2%), 관상용 71종류(13.0%)로 용도미상 115종류(21.0%)가 나타났으며, 공업용 3종류(0.5%)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10) 광덕·백운산 지역의 식생구조는 교목층이 총 25종 출현하였고, 신갈나무가 가장 우점하고 있었으며, 화악산 지역은 교목층이 총 17종 출현, 신갈나무가 가장 우점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11) 광덕·백운산 지역의 직경분포는 대부분 6cm~21cm 분포하고 있었으며, 소경목의 비율이 높게 나타 났으며, 화악산 지역의 직경분포는 6cm~21cm에 많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지만, 36cm~41cm 대경목도 드물게 출현하였다. 이상의 요약을 종합해 보면 광덕산, 백운산, 화악산 지역은 우리나라 중부 활엽수림대를 대표하는 지역으로 조림지 보다 자연림의 비율이 현저히 높은 유령림에서 장령림으로 넘어가는 시기로 볼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한국특산식물과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자생하는 보전 가치가 높은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강원도에서는 이 지역 도유림을 보전하고 훼손의 압력에서 보호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에서 대퇴골두의 침법정도 및 병기가 대퇴경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호 翰林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ults of total hip arthroplasty for the patients with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AVN) have been known to be poor. Early failure can be attributed to several factors : 1) relatively young patients; 2) a high level of activity; 3) obesity: 4) a history of corticosteroid use; and 5) ongoing systemic disease. In addition, the AVN is not confined to the femoral head but can be extended to the calcar femorale. This may cause difficulties in promoting bone ingrowth in cementless total hip replacement. Furthermore, it may be responsible for the subsidence of prostheses that rely on the good quality of proximal bone for fix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more extensive involvement of AVN in the femoral head can influence the proximal femoral bone (including calcar femorale) and thus adversely affect the result of total hip arthroplasty.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rega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stage and involvement in the femoral head of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on the area of the femoral ne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R signal abnormality and the histologic changes in the femoral neck in the patient of AVN of the femoral head, to evalu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hanges in the the femoral neck, to correlate the head involvement according to radiographic staging and MR imaging with the MR signal and histologic changes in the femoral neck. Forty-five hips in 37 patients who had AVN of the femoral head (> stage III) were studied with radiography, MRI, and biopsy. Twenty femoral head specimens for histologic study were obtained intraoperatively from patients undergoing total hip arthroplasty. Patient data such as age, sex, site, bilateraity, weight, activity, the history of alcohol or steroid use were collected. Preoperative radiographs were reviewed to define the extent of the involvement and location of the necrotic lesion. The hips were classified into IIIA, IIIB, and IIIC, and IV according to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Association Research Circulation Osseous). The depression of the femoral head was measured using the template of concentric circles (designed by J. Richard Bowen, M.D. A.I. DuPont Inst.) and the goniometer. Singh's index and Dorr ratio were measured. MR images were evaluated by identifying alterations in signal intensity both within and adjacent to the femoral head and neck. The extent, location, and pattern of such signal changes were assessed on the coronal sections. The coronal giant section of the femoral head specimens and the axial giant section of the femoral neck were prepared for histologic study. Observed histologic changes in the femoral neck were fibrovascular tissue infliltration, amorphous cellular debris, necrotic bone and marrow. Histologically changed area from the section of the femoral neck was quantified using point-counting with a grid and graded as Grade 1 (0%), Grade 2 (1-50%), and Grade 3(>50%). For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correlation were performed using SAS software and the 0.05 level of p value was considered significant. Patient data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emoral neck involvement. Abnormal MR imaging in the femoral neck was observed in 19 hips (42.2%). The pattern was classified as Type ! (diffuse, Mitchell class C), Type B(localized, Mitchell class D), Type C(localized with central lesion, Mitchell class B). Ten hips showed Type A(52.6%), four hips showed Type B(21.1%), and five hips showed Type C (26.3%). The histologic section of one femoral neck (Type C) showed evidence of osteonecrosis of bone and bone marrow. When the extent of involvement was greater than 50% of the femoral head, the incidence of abnormal MR imaging in the femoral neck was high. Histologic changes in the femoral neck were more apparently observed in the cases which showed abnormal MR signal intensity in the femoral neck (p<0.05). The extent of involvement of the femoral head on MR imaging and the extent of histologic changes in the femoral neck were correlated (r=0.7, p=0.012). The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radiogical stage and the extent of invovement on MR imaging suggests that prediction of change in the femoral neck is possible from the radiograph of hip. Histologic change in the femoral neck was higher in the femoral neck of Type C than Type A on MR imaging.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hanges on MR imaging and histologic findings in the femoral neck were increased when the extent of involvement of the femoral head on the radiograph and MR imaging is extensiv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tage and involvement of the femoral head of AVN of the femoral head influnce histologic change in the femoral neck. This may adversely influence the bone ingrowth or mechanical initial stability of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