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つもりだ」に?する一考察 : 이아람

        이아람 성신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 일본어의「つもりだ」에 관한 연구는 주로, 의지동사에 접속되는지 무의지동사에 접속되는지에 관한 고찰과 의지의 지속성이나 확고성 등에 의한 고찰이 그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意志≫의 용법에 관한 연구가 많으며, 다른 용법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도 통일성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인칭과의 공기관계, 유사표현과의 교체현상, 그리고 화자의 의도성 강약이라는 관점에서 「つもりだ」를 「予定」「意志」「評?」「照?」「仮定」의 다섯 가지로 하위분류하여 考察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형태적인 구별이 없기 때문에,「予定」과「意志」를 ≪意志≫로 다루어졌다. 그러나 「予定」의 경우에는, 의도성보다는 결정사항(스케줄)에 관한 표현이기 때문에, 「(よ)うと思う」와 치환할 수 없으며, 주체가 2인칭인 의문문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반면에, 「意志」의 경우에는, 의도성을 나타내는 용법이기 때문에 「予定だ」와 치환할 수 없으며, 주체가 2인칭인 의문문에 사용하면 실례되는 표현으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予定」과 「意志」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갖기 때문에, 각각 다른 용법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評?」와 「照?」, 그리고 「仮定」은 주체의 주관적인 의도를 나타낸다고 하는 의미적인 공통점 때문에, 주로 같은 용법으로 취급되어져 왔다. 그러나 다음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선 「評?」의 경우에는, 주체의 주관으로 현재를 평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기 때문에, 「ル形」에 접속하는데 반하여, 「照?」의 경우에는, 사태의 성립 전에 주체가 가지고 있던 본래의 의도를 나타내는 표현이기 때문에, 「はずだ」와 교체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仮定」의 경우에는, 주체가 가정하여 생각한다는 의미에서, 「と思う」와 겹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치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처럼 「評?」과 「照?」, 그리고 「仮定」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 다른 용법으로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つもりだ」를 「予定」「意志」「評?」「照?」「仮定」의 다섯 가지로 하위분류하여, 전체상을 그려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결론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소설만이 아닌 다양한 자료에서 예문을 발췌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つもりだ」는 왜 「予定だ」「(よ)うと思う」「はずだ」와 같이, 다양한 교체영역을 이루고 있는가에 대한 결론을 이끌어내기에 아직 부족함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많은 연구에서 「つもりだ」와 치환할 수 있다고 지적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だ」와의 비교를 포함하여 남겨진 문제점은 앞으로의 과제로 삼겠다. The studies about [Tsumori-da(つもりだ)]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relation with volitional verb and non-volitional verb and considerations of the continuance and the firmness of voli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olition and [Tsumori-da(つもりだ)], there is no agreement in those discussions. In this study, [Tsumori-da(つもりだ)] is classified in expectation(予定), volition(意志), evaluation(評?), correspondence(照?) and assumption(仮定) by considering of co-occur relation between [Tsumori-da(つもりだ)] and the second person , an alternation in similar expressions and [Tsumori-da(つもりだ)] and a degree of volition in [Tsumori-da(つもりだ)]. In brief,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previous studies about [Tsumori-da(つもりだ)], it is said that expectation (予定) and volition(意志) of it are the same as volition(意志) becaus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m. However, when [Tsumori-da(つもりだ)] is used as the expression of expectation (予定), it cannot be replaced with [Youto-omou((よ)うと思う)] but can be used in an interrogative sentence which has the second person as a subject because it is an expression of schedule rather than volition. And when [Tsumori-da(つもりだ)] is used for the expression as volition(意志), it cannot be replaced with [Yotei-da(予定だ)] and can be rude expression in an interrogative sentence which has the second person as a subject because it is the expression of intention. For these reasons, it is thought that both are not the same because there are different features between expectation (予定) and volition(意志) in [Tsumori-da(つもりだ)]. lt is considered that these have been treated same because evaluation(評?), correspondence(照?) and assumption(仮定) in [Tsumori-da(つもりだ)] have a common meaning in that these express subject's intention. But, it can be found in this study that these have different features respectively. It is used just behind of "ル形" when [Tsumori-da(つもりだ)] is used for the expression of evaluation(評?) because it is the expression of evaluation of "current event" with a subject's subjectivity. In the case of correspondence(照?), [Tsumoro-da(つもりだ)] can be replaced with [Hazu-da(はずだ)] because it means the intention that a subject had it before realizing a certain event. As for the assumption(仮定), [Tsumori-da(つもりだ)] can be replaces with [To-omou(と思う)] because it has a similar meaning with [To-omou(と思う)]. For these reasons, it is considered that these three are different. To classify [Tsumori-da(つもりだ)] into expectation (予定), volition(意志), evaluation(評?), correspondence(照?) and assumption(仮定), it is demanded to analysis of sentences from not only novels but also various kinds of materials. Also, further study is needed to find the reason why [Tsumori-da(つもりだ)] can be replaced with [Yotei-da(予定だ)], [Youto-omou((よ)うと思う)] and [Hazu-da(はずだ)], and to analysis of the substitution with [Ki-da(?だ)] which is already proved that it can be replaced with [Tsumori-da(つもりだ)] in many theses.

      • 중금속 및 미량원소 노출과 자궁과 난소 질환 연관성 연구

        이아람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Heavy metals and trace elements are naturally present in the earth’s crust and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including atmosphere, soil, and water from industrial activities. Heavy metals such as cadmium (Cd), lead (Pb), and mercury (Hg) may cause health effects such as cardiovascular system, nervous system, kidney, and liver. The use, emission, and human exposures of toxic heavy metals have been regulated and monitored by laws in most countries. On the other hand, studies on the health effects of trace elements remain scarce. As trace elements could co-exist with heavy metals in the nature and their effects on health might interact each other, the effect of co-exposures needs to be considered. Some heavy metals have been recognized a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Most of the studies on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of heavy metals has been performed for male participants and their health outcomes. However, not all the findings derived from male studies were applicable to women, because exposure conditions, genetics and physiology would not be comparable between men and women. Moreover, gynecologic diseases, that is well-known to be associated with female sex hormones, are health outcomes of concerns specifically for wome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and trace elements and most prevalent gynecologic diseases in premenopausal women who are vulnerable to gynecologic diseases due to active secretion of sex hormones. A total of 516 premenopausal adult women (ages between 20 and 49) without subjective symptoms was recruited from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s of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between 2015 and 2016.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was used to identify most prevalent gynecologic diseases such as uterine leiomyoma (UL), adenomyosis (AM), endometrial polyp (EP), and ovarian benign tumor (OT). A questionnaire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symptoms relating to menstruation was answered, and blood an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Blood Cd, Pb, Hg were analyzed using 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GFAAS) and mercury analyzer. Sixteen heavy metals and trace elements (Arsenic (As), Barium (Ba), Cd, Cobalt (Co), Cesium (Cs), Hg, Manganese (Mn), Molybdenum (Mo), Nickel (Ni), Pb, Antimony (Sb), Tin (Sn), Thallium (Tl), Uranium (U), Tungsten (W) in urine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ly plasma mass spectrometer (ICP-MS). Wilcoxon rank-sum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and trace elements in the blood and urine between control and case groups.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or trace elements and gynecologic diseases were analyzed wi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hich derived odds ratios (ORs)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 In Chapter 3,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and trace elements in the blood and urine of premenopausal women were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s of Cd, Pb, Hg in blood and Cd in urine were comparable to previous studies for the similar age groups of women in Korea, while Cd, Pb, and Hg, in blood and Cd, Co, Cs, Hg, Mn, Pb, Sb, and Tl in urine were higher than the results from other countries such as US and Canada. The concentrations of blood Pb and Hg and urinary Cd, Mn, and Pb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lder age group. The concentrations of blood Hg and urinary Ba and Pb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weight/obesity group. Blood Pb and urinary Ba, Cd, Mn, Pb, and T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pregnancy experience.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Pb and Cd or Pb and Hg in blood. Urinary Ba, Ni, Pb, and Sn concentrations also showed strong correlations each other. For Cd and Pb, weak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blood and urinary concentrations. In Chapter 4,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Cd, Pb, and Hg in blood and gynecologic diseases were analyzed. C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se groups with UL and benign uterine diseases (UL, AM, or EP) than the control group. Blood Cd presented positive associations with EP and benign uterine diseases (UL, AM, or EP). Blood Pb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enign uterine diseases (UL, AM, or EP), but clear dose-dependent patterns were not observed. For blood Hg, lower ORs were observed for case groups with EP and OT. In Chapter 5,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urinary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and trace elements and gynecologic diseases were evaluated. Urinary C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group with EP comparing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blood Cd and EP presented in Chapter 4 of this study. Urinary N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group with benign uterine diseases (UL, AM, or EP). Urinary As showed a decreased ORs of UL in the high exposure group. Cs and W presented negative associations with AM and OT, respectively, although dose-dependent results were not clear.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multiple exposure of heavy metals and trace elements in urine, Factor 1 (As, Cd, Co, Cs, Mn, Mo, Sb, Sr, Tl, and W)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M and benign uterine diseases (UL, AM, or EP). Still, dose-dependent patterns were not clear. Excessive exposures to Co, an essential trace elements, showed an increased risk of EP. This study analyzed Cd, Pb, and Hg in blood and As, Ba, Cd, Co, Cs, Hg, Mn, Mo, Ni, Pb, Sb, Sn, Sr, Tl, U, and W in urine, and explored their associations with benign uterine and ovarian diseases. The analyzed 16 elements included not only toxic heavy metals but also essential trace elements of the human body. Cd both in blood and in urine presented positive associations with UL, EP and benign uterine diseases (UL, AM, or EP). Negative associations were observed between UL and OT for Hg in blood and EP for As in urine. Cs and W in urine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gynecologic diseases with unclear dose-dependency.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confirm the associations between heavy metals and trace elements and gynecologic diseases an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heavy metals and trace elements causing gynecologic diseases. 중금속과 미량원소는 지표면을 구성하는 원소로 자연환경에 존재할뿐더러, 다양한 산업활동의 재료로 사용되고, 부산물로서 환경으로 배출되기도 한다. 납, 카드뮴, 수은 등 독성이 잘 알려진 중금속은 인체 심혈관계, 신경계, 신장, 간 등 다양한 신체기관에 건강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 및 배출단계의 규제와 인체 내 노출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반면, 미량원소의 노출수준과 건강영향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들은 저노출에서 지속적인 노출의 우려가 있고, 중금속과의 상호작용 가능성이 보고되었기 때문에 중금속의 건강영향 평가에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중금속은 성호르몬을 포함하는 내분비계를 교란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건강영향의 대부분은 남성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여성은 노출 환경, 유전영향, 생리적인 기전이 남성과 다르므로 남성을 대상으로 한 건강영향 연구 결과를 그대로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특히, 성호르몬의 교란이 주요한 위험인자인 여성 생식기 질환은 여성에게만 해당되는 건강영향으로 남성 중심의 일반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는 구분지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성호르몬의 분비가 활발하여 여성 생식기 질환에 취약한 폐경 전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인체내 중금속 및 미량원소의 농도와 이들의 여성 생식기 질환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대학병원 4곳의 산부인과에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일반 정기검진을 위해 방문한 폐경 전 성인 여성 516명 (20-49세)을 모집하였다. 이들은 방문 당시 여성 생식기 질환과 관련된 증상을 호소하지 않은 참가자들로, 임신 중인 여성은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n=33). 인구학적 특성과 여성건강과 관련된 자각증상을 포함한 설문조사와 함께, 혈액과 소변을 각 1회씩 수집하였다. 혈중 카드뮴 (Cadmium, Cd), 납 (Lead, Pb), 수은 (Mercury, Hg)는 흑연로 원자흡광광도계 (GFAAS)와 수은 전용 분석기 (Mercury analyzer)로 각각 분석하였다. 소변 중 16종의 중금속과 미량원소 (As, Ba, Cd, Co, Cs, Hg, Mn, Mo, Ni, Pb, Sb, Sn, Sr, Tl, U, W)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 (ICP-MS)로 분석하였다. 참여자가 방문한 산부인과에서 질식초음파검사 (transvaginal ultrasonography)으로 자궁 평활근종 (uterine leiomyoma, UL), 자궁 선근증 (adenomyosis, AM), 자궁 내막용종 (endometrial polyp, EP), 난소 낭종 (ovarian benign tumor, OT)을 진단하였다. 혈액 및 소변 중 중금속과 미량원소의 노출과 여성 생식기 질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 가지 이상의 질환을 진단받은 군 (이하 환자군)과 대조군 간의 농도 차이를 비교하고, 농도와 질환 여부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제 3장은 폐경 전 여성의 혈액과 소변 중 중금속과 미량원소의 노출 분포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혈중 Cd, Pb, Hg 농도는 본 연구와 유사한 나이대의 한국 여성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미국과 캐나다를 포함한 다른 나라보다는 높았다. 혈중 Pb, Hg와 소변 중 Cd, Mn, Pb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Hg와 소변 중 Ba, Pb는 과체중/비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Pb와 소변 중 Ba, Cd, Mn, Pb, Tl은 임신 경험이 있는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Pb와 Cd, Pb와 Hg 농도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소변 중 Ba, Ni, Pb, Sn간에 높은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Cd과 Pb의 경우, 혈중 농도와 소변 중 농도 사이에 양의 상관성이 관찰되었지만, 그 크기는 크지 않았다. 제 4장은 혈중 Cd, Pb, Hg 농도와 여성 생식기 질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UL과 자궁 질환군 (UL+AM+EP)에서 혈중 Cd 농도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혈중 Cd는 EP와 자궁 질환과의 양의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Hg의 노출은 EP와 OT와 음의 상관성이 관찰되었으며, Pb는 자궁 질환들과 음의 상관성이 관찰되었으나, 노출과 반응관계에서 선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 5장은 소변 중 16종의 중금속과 미량원소의 농도와 여성 생식기 질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소변 중 Cd 농도는 EP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는 본 논문 Chapter 4에서 혈중 Cd와 EP가 양의 상관성을 보인 것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소변 중 Ni은 자궁 질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As의 노출은 UL과 음의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Cs와 W는 여성 생식기 질환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이 관찰되었으나, 노출-반응관계의 선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소변 중 중금속 및 미량원소의 복합노출 고려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Factor 1 (As, Cd, Co, Cs, Mo, Tl, Mn, Sb, Sr, W)이 자궁 질환과 AM과의 음의 상관성이 관찰되긴 했지만, 노출-반응관계에서 선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필수 미량원소인 Co의 과다 노출은 EP의 위험성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폐경 전 여성을 대상으로 혈액 중 Cd, Pb, Hg와 소변 중 As, Ba, Cd, Co, Cs, Hg, Mn, Mo, Ni, Pb, Sb, Sn, Sr, Tl, U, W 농도를 분석하고, 여성 생식기 질환과의 연관성을 탐구한 것이다. 분석대상물질은 기존에 유해성이 잘 알려진 중금속뿐 아니라 인체 구성의 필수적인 미량원소를 포함한 16종이었다. 혈액과 소변 중 Cd은 UL, EP, 자궁 질환과의 양의 상관성이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반면, 혈중 Hg는 UL과 OT, 소변 중 As는 EP와의 음의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소변 중 Cs, W와 복합노출을 고려한 결과 일부 여성 생식기 질환과의 유의한 음의 상관성이 나타났으나 노출-반응이 선형적이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관찰된 중금속과 미량원소의 노출과 여성 생식기 질환과의 연관성을 검증하고 여성 생식기 질환에 대한 중금속과 미량원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특징 선택과 가중치 부여를 통한 자동문서분류시스템의 성능 향상

        이아람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계학습을 이용하는 자동문서분류시스템은 분류모델의 구성을 위해 단어를 특징으로 사용한다. 자동문서분류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보다 의미 있는 특징을 선택하여 좋은 분류 모델을 구성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좋은 분류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 적절한 특징을 선택하고, 선택된 특징의 가중치를 계산하여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를 두 가지의 개념으로 나누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링크를 고려하지 않는 문서의 분류에서는 의미 있는 특징을 선택하기 위하여 특징의 중의성을 해소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자연어 처리 기법인 청킹을 통하여 특징의 모호함을 배제하고 특성 있는 특징으로 가공하고 적절한 특징을 선택한다. 선택된 특징의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다. 링크를 고려하는 문서의 분류에서는 링크정보와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분류 모델을 개선한다. 링크정보를 통하여 인접한 문서의 특징을 차용하고, 문서의 중요도를 계산하여 가중치를 부여한다.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을 선택하고, 특징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 한다. 제시 방안은 나이브 베이즈 알고리즘을 통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팽화 인삼의 초고압 추출 조건 최적화

        이아람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UHPE) is a novel technology that can be used as a non-thermal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nents. Puffing process uses heat and pressure to modif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oods for esthetic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optimum condition of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UHPE) for puffed ginseng and to compare the extraction efficiencies determined by the various extract methods and UHPE. First of all, ethanol was used as solvents for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of ethanol was varied from 0 to 90% (v/v). In case of UHPE, extraction yield decreased with increasing ethanol concentration. The highest crude saponin content was obtained at 70% ethanol. Therefore, concentration of ethanol for UHPE of puffed ginseng was selected as 70% ethanol because the highest active components included. Effect of extraction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 from puffed ginseng on solvent to solute ratio was higher at 20:1. Therefore, condition of maximum for extraction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 was selected as ratio of 20:1. To determin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with two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ressure and time. As pressure and time increased, extraction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 increased. Especially, the treatment time greatly affected extraction yield and crude saponin. The optimum condition of extraction yield was determined at 446.46 MPa, for 14.84 min. Estimated data of extraction yield was shown 21.72 % with 1.000 of desirability. Also, optimum condition of crude saponin content was determined at 450 MPa for 15 min. Estimated data of crude saponin content was shown 12.90 mg/g with 0.700 of desirability. Verification data was determined as 22.67±1.23 % of extraction yield and 16.59±0.76 mg/g of crude saponin content,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optimum condition of both extraction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 were determined as 21.84% and 12.90 mg/g with 0.837 of desirability. Verification data was determined as 23.47±1.04 % of extraction yield and 16.59±0.76 mg/g of crude saponin content. The optimum extract condition of puffed ginseng using ultra high pressur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extract methods. The method for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was shown heat reflux extraction as 28.07±1.86 mg/g. The extraction yield with various extraction methods was improved with increase of treatment time. The highest crude saponin content was shown as 16.59±0.76 mg/g by optimum condition of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초고압 추출은 비 가열 처리가 가능하여 열에 불안정한 생활성 물질의 추출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신개념 프로세스이며, 팽화는 고온 고압의 상태에서 압력을 단시간에 상압으로 낮추어 재료 중 전분의 호화를 유도하고 수분이 제거되면서 부피가 커지는 공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각광 받고 있는 비열 처리의 초고압을 이용하여, 팽화 인삼의 추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최적화 조건을 제시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환류 추출법을 포함하여 기존에 시행 되어 온 다양한 추출 법인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그리고 비열 처리가 가능한 Pulsed Electric Field (PEF) extraction 을 진행하여, 초고압 추출과의 효율성 관계를 비교하고자 한다. 팽화 한 인삼의 초고압 추출 조건 최적화 공정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 설계 및 최적화를 위해서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이 사용 되었다. 실험 점 확립을 위한 독립 변수(independent variables)는 반응 압력(X1, MPa)과 반응 시간(X2, min)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종속 변수(dependent variables)는 추출 수율(Y1, %)과 조 사포닌 함량(Y2, mg/g)으로 하였다. 각 실험군은 중심합성계획법(Central composite design, CCD)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요인의 -1, 0, +1 점을 부호화하였고 반응압력은 200(-1), 325(0), 450(+1)MPa의 범위로 선정하였으며, 반응시간은 5(-1), 10(0), 15(+1)min의 범위로 선정하였다. 추출 수율의 최적 조건은 적용 압력(X1)이 446.46MPa, 처리 시간(X2)은 14.84min 일 때로 도출되었으며, 조 사포닌 함량에 대해서는 적용 압력(X1)이 450MPa, 처리 시간(X2)은 15min 일 때로 제시 되었다. 최적화 된 초고압 추출 조건과 인삼 추출이 가능한 기존의 열 추출을 포함하여 다양한 추출 방법간의 추출 수율 및 조 사포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 추출 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환류 추출을 이용하는 추출의 경우(28.07±1.86 %)로 나타났으며, 조 사포닌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초고압 추출을 진행 했을 때(16.59±0.76 mg/g)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인삼의 유효 성분인 조 사포닌 함량을 얻는 데에 있어 환류 추출법을 포함한 기존의 열 추출 방법과 비교 하였을 때, 초고압 추출을 통해 짧은 시간 동안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출 시간과 투입 에너지 등의 경제적인 면의 효율을 바탕으로 초고압 추출의 산업적인 활용이 기대되는 바이다.

      • 상담자의 자기분화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 상담협력관계의 매개효과

        이아람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 기독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자기분화, 상담협력관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 자기분화 사이의 관계를 상담협력관계가 매개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전국 상담기관의 290명의 상담자였다. 각 참여자는 자기분화 척도, 상담협력관계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를 완성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자기분화와 심리적 소진 사이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심리적 소진은 심리내적 요인과 대인관계적 요인 모두와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상담자의 상담협력관계와 심리적 소진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상담협력관계의 하위요인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심리적 소진은 목표합의를 제외한 과제동의와 정서적 유대가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상담자의 자기분화와 상담협력관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자기분화자기분화의 하위요인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상담협력관계는 심리내적 요인과 대인관계적 요인 모두와 영향력이 있었다. 넷째, 상담협력관계는 자기분화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differentiation, working alliance and burnout and to identify how working alliance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burnout. The participants in the this study were 290 counselors working in counseling centers in Korea. Each participant completed Korean Self-Differentiation Inventory (Chung & Cho, 2007), Working Alliance Inventory (Horvath & Greenberg, 1989), Maslach Burnout Inventory (Maslach & Jackson, 1981) and a demographic shee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unselor's self-differentiation and burnou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Looking at the results for each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burnout was found to be influential inner psychological dimension and interpersonal dimension. Second, the counselor's working alliance and burnou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Looking at the results for each sub-factors of working alliance, burnout was found to be influential task agreement and emotional bond except goal agreement. Third, the counselor's self-differentiation and working allianc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Looking at the results for each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working alliance was found to be influential inner psychological dimension and interpersonal dimension. Fourth, working alliance was a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burnou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 이해 및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이아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해보면서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이 문장제 문제의 해결 과정 중 학생들의 문제이해 및 의사소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순 지식 전달 위주의 수업이 아닌 이야기 속에서 수업을 이끌어 가고 수학적 개념이 필요한 상황을 이야기하여 설득력을 높이는 스토리텔링의 수학 수업이 문제이해력과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문장제 문제를 도입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수학만의 알고리즘과 조작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수와 식만으로 제시되는 수식제와 비교하여 문장제는 수학이 실생활의 필요에서부터 발전되어 온 것임을 고려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인 수업과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에서 문장제 문제의 해결 과정 중 학생들의 문제이해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간의 차이가 있는가? 1-1. 일반적인 수업과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간의 문장제 문제 해결에서 학생들의 문제이해력에 차이가 있는가? 1-2. 일반적인 수업과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간의 문장제 문제 해결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2.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 중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은 어떠한가? 2-1.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 중 집중 단계의 동화 이야기 속에 나타난 수학적 원리를 찾아보는 활동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은 어떻게 전개되는가? 2-2.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 중 확장 단계의 직접 스토리텔링을 하는 활동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은 어떻게 전개되는가? 선행연구에서 스토리텔링의 모형에 대해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 절차를 고안하였다. 그리고 타당하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문제이해력과 의사소통능력의 평가 기준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본 뒤, 김민경, 노선숙, 권점례, 김유진, 주유리(2008)가 개발한 서술형 평가의 일반적인 평가 기준틀을 참고하여 문제이해력과 의사소통능력의 수준 분석틀을 재구성하였다. 또한 의사소통의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Hufferd-Ackles, Fuson과 Sherin(2004)의 평가 기준에 수학화를 추가하여 재구성한 뒤 이를 토대로 프로토콜 분석을 하였다.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의 S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을 4주간 실시한 뒤, 문장제 문제 해결에서 학생들의 문제이해력과 의사소통능력 측면의 사전, 사후 검사의 차이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 간의 평균을 비교하는 통계 기법인 t-test로 검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의사소통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학생간의 의사소통을 녹화, 녹음한 자료를 평가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문제이해력과 의사소통능력에서 그 수준과 질이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문제이해력과 의사소통능력의 수준이 향상된 학생들이 비교집단보다 실험집단에 더 많았으며, 사전 검사에서 의사소통능력이 상위 수준이었던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경우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 후 문제해결 과정에서 세부적으로 자세한 설명을 덧붙이고 풀이과정의 표현을 더 정확하고 세련되게 하였다. 즉, 최고 수준의 의사소통능력으로 수준에서는 변화가 없었지만 풀이과정의 질을 살펴보았을 때 의사소통의 깊이가 더 깊어진 모습이었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은 수학 부진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의 증진을 가져왔다. 문제이해력과 의사소통능력 수준의 변화가 가장 큰 학생들은 수학 부진아동들로 상위 집단에 비해 두드러진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수학에 대한 흥미가 적을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연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은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을 통해 수학 부진아동들이 수학에 흥미를 갖고 다양한 수학적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셋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 중 의사소통은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기술과 개념 발달을 촉진시켰다. 학생들의 의사소통에서 수학적 아이디어, 학습의 책임성 측면이 활발히 이뤄지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반성적 사고를 하는 학생들의 모습이 두드러졌다. 즉 학생들은 교사 주도의 개념 주입식 수업보다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뤄지는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을 통해 수학 개념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적용해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수학적 사고 기술을 익히고 수학적 개념을 발달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and analyze students’ comprehens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y affected by implementation of storytelling-based mathemat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us the emphasis of this research is not on solely conveying knowledge but on employing story-driven instructional methods to better facilitate students with mathematical concepts with the persuasive power of storytelling. By adapting such methods, the researcher intends to acquire the effects on learners’ comprehension and communication skill using word-based assessment questions. Word-based questions are measured and developed upon needs of real world authentic situations comparing with equations that can be solved only by mathematical algorithm and those presented solely with numbers and formulas.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research. 1. Are there any variances in learners’ comprehens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skill during the course of solving word-based problems in ordinary lessons and story-driven lessons? 1-1. Are there any significant variances in learners’ comprehension during the course of solving word-based problems in ordinary lessons and story-driven lessons? 1-2. Are there any significant variances in learners’ mathematical communication skill during the course of solving word-based problems in ordinary lessons and story-driven lessons? 2. How do students demonstrate mathematical communicative competency in story-driven lessons? 2-1. How is mathematical communicative competency of learners demonstrated in story-driven lessons where the objective is to attain mathematical principles established in the specific steps of presented stories or fairytales? 2-2. In the process of story-driven lessons, how is learners’ mathematical communicative competency developed in the very productive and extensive stage of telling a story? Advanced researches included the models of storytelling, their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procedures in actual classrooms. Learners’ levels of comprehens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were examined in order to assemble appropriate and objective standards for assessment. Based on general and descriptive rubrics developed by Kim Min Kyeong, Noh Sunsook, Kwon Jum Rye, Kim Eugin, Joo You Ri (2008), the researcher restructured instruments to specifically assess learners’ level of comprehens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Furthermore, assessment rubrics offered by Hefferd-Ackles, Fuson, and Sherin (2004) were utilized as base tools to supplement mathematical concepts for reconstruction of communicative procedure developments followed by protocol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driven math lessons, the research conducted an experiment on two 5thgrade classes; one class as an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as a comparative group. After 4 weeks of observation, the researcher analyzed students’ before and after variances of comprehens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y when exposed to word-based problems. Using SPSS program, t-test method was utilized to examine the means and average outcomes of the two groups. Additionally, recordings of communication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were analyzed to observe developments of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findings of this experiment are the followings. First, story-driven math lessons optimistically affect learns’ comprehens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y. Both groups have demonstrated a competency reduction yet the comparative group has displayed a lower amount of decline compared to the experiment group. Second, story-driven math lessons positively influence underachievers’ communicative competency. Underachievers demonstrated a clear adjustment associated with high level learners. Third, communication among learners during story-driven math lessons developed learners’ mathematical concept,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This is proven by observation of story-driven math lessons. Learners demonstrated mathematical ideas, responsibility, and reflective behavior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 결핵 치료 요법이 치료 완료 및 재발에 미치는 영향

        이아람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Tuberculosis (TB) management is a national agenda, as it affects health of an individuals and commun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atment completion and relapse rate in Korean TB patients, the effects of treatment regimen on them, and association by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s and medical institute. Methods) The patients,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Sample Cohort, who took first-line antituberculosis drugs within a year since diagnosis with TB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2 were include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figure out treatment completion and relapse by treatment regimen according to Korean TB treatment guideline, and additionally determine associations for TB treatment regimen between completion and relapse analyzed by subgroup analysis. Results) Among 5,604 subjects, 2,541 people (45.3%) had completed TB treatment. It was 66.0% (3,701/ 5,604) that early treatment termination was allowed after they took more than 80% of maintenance period. After the treatment, 13.5% (755/5,604) of the cohort relapsed. Compared to 9-month oral treatment regimen, 6-month oral regimen achieved 3.7 times treatment completion (OR 3.66, 95% CI 2.89-4.63), and streptomycin containing 6-month regimen showed 1.8 times completion (OR 1.82, 95% CI 1.18-2.79). In the analysis for recurrence, 6-month oral regimen reduce the risk 32% (OR 0.68, 95% CI 0.53-0.88), but streptomycin injection raised it twice(OR 1.88, 95% CI 1.20-2.96), compared to 9-month treatment. The subsequent subanalyses resulted in that 6-month treatment increased treatment completion and prevented recurrence of TB, but streptomycin injection increased both of them in general. Conclusion) The research identified that 6-month oral anti-tuberculosis regimen increased completion rate of standard TB treatment and prevented risk of recurrence in most conditions. Even this recommended regimen is not available, however, in order to achieve treatment success,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are required to take care closely factors to hamper compliance, and various political efforts should be implemented to support the patients, healthcare providers, and society for individual treatment success and eradication of TB. 연구 목적) 결핵 관리는 그 영향이 환자 개인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도 미쳐 정부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국내 결핵 환자들의 치료 완료율 및 재발률, 그리고 결핵 치료 요법이 치료 완료와 재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 코호트에서 2004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결핵으로 진단 받고 1년간 1차 항결핵약제로 치료 받은 5,604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국내 결핵 진료 지침이 권고하는 표준 치료 요법에 대한 결핵 치료 완료와 재발, 수진자 또는 의료기관 관련 요인이 여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고, 하위분석을 통해서 결핵 치료 요법과 치료 완료 및 재발에 미치는 요인들을 추가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선정 기준에 따라 포함된 5,604명의 결핵 환자들 중 2,541명 (45.3%)이 치료를 완료하였다. 유지 치료기의 80%를 투약하여, 조기 치료 완료로 간주할 수 있는 환자들은 66.0% (5,604명 중 3,701명)이었다. 치료 후 13.5% (755/5,604)가 재발하였다. 9개월 경구 요법과 비교했을 때 6개월 경구 요법은 치료 완료가 3.66배 높았고(OR 3.66, 95% CI 2.89-4.63), 스트렙토마이신 주사가 포함된 6개월 치료 요법은 치료 완료가 1.82배 높았다(OR 1.82, 95% CI 1.18-2.79). 결핵의 재발에 미치는 치료 요법의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9개월 경구 요법과 비교했을 때 6개월 경구 요법은 재발을 32% 낮췄으나(OR 0.68, 95% CI 0.53-0.88), 스트렙토마이신 주사가 포함된 6개월 치료 요법에서는 재발이 1.88배 높았다(OR 1.88, 95% CI 1.20-2.96). 결핵 치료 요법이 치료 완료와 재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하위 분석을 통해 대부분의 특성에서 9개월 치료에 비해 6개월 경구 치료는 치료 완료를 높이고, 재발을 억제하였으나, 스트렙토마이신 주사가 포함된 치료는 치료 완료와 재발의 위험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6개월 경구 표준 결핵 치료 요법이 결핵 표준 치료 완료율을 높일 뿐 아니라, 결핵의 재발 위험을 낮추었다. 그러나, 불가피하게 이런 6개월 경구 표준 요법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보다 효과적인 치료 성공을 위하여 결핵 환자의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대한 환자와 의료진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다양한 정책 활동으로 치료 성공 및 결핵 퇴치라는 목표를 달성을 위한 이들의 노력을 충분히 지원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