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趙之鎌의 篆刻藝術 硏究

        이시규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晩淸의 전각 대가 趙之謙의 篆刻을 연구한 것이다. 전각사는 奏漢代와 明淸代를 고봉으로 삼고 있는데, 진한대의 인장은 당시 인장이 발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 하에서 형성된 것이고, 명청대는 전각에 대한 문인들의 애호와 청대 정치와 관련한 학술사조에따른 고고학의 발달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여건 하에서 예술에 대한 천부적 자질을 타고난 조지겸은 짧은 예술 생애에도 불구하고 위대한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 그의 서예와 회화, 전각은 후대에 잘 알려져 많은 영향력을 주었다. 그의 서예는 청대 중기 금석학, 훈고학의 발달에 따르는 비학발흥에 힘입어 북위해서체와 예서체에 특히 뛰어났고, 이른바 '逆入平出, 萬毫力'의 이상을 실현하였다. 회와는 화훼를 중심으로 인물화와 산수화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大寫意 文人畵의 대가였다. 그는 당시 다른 전각가들 처럼 진한인을 학습한 깊은 뿌리 위에 명청대의 각 유파인장의 장점을 받아들이고, 宋元代의 圓朱文印의 특징을 흡수하여 자신의 전각을 이루었다. 그의 전각은 엄격한 법도를 지키면서도 다양한 字法을 구사하였다. 白文印은 이른바 '빽빽한 곳은 바람이 통하지 않도록 하고, 성긴 곳은 말이 달릴 수 있게 한다.'는 포치의 원리를 십분 표현하여, 광결주경한 선질로 渾厚茂密한 풍격을 이루었고, 朱文印은 瘦勁한 필획으로 流麗한 풍격을 나타내었다. 특히 시대적 조류에 따라서 鄧石如의 印從書出論을 발전시켜 印外求印의 사상을 제창하고, 자신의 전각 창작의 방식으로 삼았다. 이러한 것은 전각의 印文과 邊款에 잘 나타나 있는데, 당시 출토된 奏詔版, 權量, 전와, 碑刻, 帛布, 鏡銘 등 고기유물의 문자를 인장에 入印하였을 뿐만 아니라, 邊款에 南北朝의 造像記이나 漢代의 畵像石 등의 도형을 과감하게 도입하는 등 새로운 국면을 창출해 내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심미관과 창작들은 후세 전각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고, 전각 발전사에 신기원을 세웠던 것이다. 전각사에서 '印外求印論'과 함께 커다란 공적으로 기록되는 것이 '변관의 영역 확대'이다. 원래 변관은 해서로 관지를 기록하는 것에 불과했었는데, 조지겸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변관에 다양한 서체를 쓰거나 그림을 새겨 넣는 등 다양한 형식으로 변관을 하나의 예술 표현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깊이 있게 접근하였다. 이 두 가지 관점은 서로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면서,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전각예술 절정기의 주역이면서 풍격면에서도 확연하게 다른 吳昌碩과 黃士陵에게 많은 영향을 준 것은 그의 예술이 凡常하지 않음을 반증하고 있다. 이 논문은 '法古創新'에 대한 인식을 다시 한번 환기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즉 예술의 소재는 멀리있는 것이 아니라 가까이에 있고, 이미 있던 것에 있고, 평범함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주변의 모든 자연적, 인공적 요소들은 모두 예술창작의 소재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을 어떻게 나의 것으로 수용하느냐 하는 것이 창작의 성패를 가름하는 요소가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ngravings of Cho Ji-gyem, an engraving master during late Chin China. The origins of engraving may be traced back to Quin/Han China and Ming/Ching China. During the former age, engraving developed under various favorable conditions for seals, and during the latter age, engraving developed under the auspice of the literary class and in association with development of archaeology. Cho Ji-gyem who was an inborn artist could produce a great achievement despite his short life as artist. He admitted the advantages of various seals developed during Ming/Ching China based on the deep root of Quin/Han China seals. Moreover, he absorbed the tradition of round red seals developed during Sung/Yuan China to create his unique engraving style. His engraving conformed to some strict rules but featured diverse letter styles. His white engraving reminds us of the principle "tight parts do not allow for any wind, while the loose parts allow horses to run through." The result was a bright, clean, strict and diligent quality as well as a luxurious and tight style. Meanwhile, his red seals looked stern but smooth. In particular, Cho Ji-gyem followed the current of his age. He developed Dung Haeng-yeo's principle "seal should follow letters", and championed the thought of "pursuit of seal outside seal", presenting himself as source of engraving and influencing his followers deeply. Such a thought is apparent in the letter tablets and changes. In the history of engraving, another achievement beside "pursuit of seal outside seal" may be "expansion of letter changes". Originally, letter changes meant recording some square styles on paper. However, Cho Ji-gyem surmounted such a limit to use diverse letter styles or even engrave figures on seals. After all, he established letter changes as an artistic expression. In this study, these two-fold achievements are reviewed in depth. They were related with each other, affecting the later engraving. The great artistic quality of his engraving may well be eloquently proved by the fact that Oh Chang-sik and Hwang Sa-rung both of whom represented the climax of the engraving art but distinguished themselves clearly from him were influenced much by him.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innovation should be based on tradition'. The sources of art are not far away from us but near us. They may be found in existing things and therefore, must be ordinary. Thus,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review and accommodate the things around us and thereby, re-create them.

      • 사회복지 관련기관의 서비스가 클라이언트(client)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시규 湖南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과 주민자치센터가 주민들에게 제공하는 생활복지 서비스 프로그램과 문화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이 클라이언트들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분석 검토하였다. 첫째, 생활복지서비스, 문화복지서비스, 그리고 삶의 질의 수준이 클아이언트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차이는 나는가? 차이가 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생활복지서비스와 문화북지서비스가 이론적으로 구별 가능한가? 만약 구분된다면 어떤 의의를 갖는가? 셋째, 생활복지서비스와 문화복지서비스가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느가? 만약 영향을 미친다면 생활복지서비스와 문화복지서비스 중 어떤 서비스의 영향이 더 강한가? 그리고 그것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서울특별시 종로구와 서대문구 지역에 있는 사회복지관과 주민센터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들로부터 구조화된 질문지 1,500매를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This study supposes that the social welfare centers and resident autonomy centers in basic area unit of local government in Korea supply two kinds of service programs, life welfare service programs and cultural welfare service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which of the two service programs has stronger effect on their users' quality of life. At the beginning, this study raised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ree variables, life welfare service, cultural welfare service, and quality of life, among users classified by their socioeconomic status ? Second, is the life welfare service discernable from cultural welfare service statistically importantly? If it is yes, then what implications do we take from the distinction? Third, do the two services impact on the users' quality of life? If yes, then, which of the two services has stronger effect? With reference to the needs hierarchy theory of Abraham Maslow, life welfare service was defined as services satisfying the low level needs such as physical and safety, and cultural service as services satisfying the higher level needs such as self esteem and actualization. Quality of life was defined three types; first, objective life conditions such as income, houses, age, school attendance and so on; second, life satisfaction; and, third, psychological well-being.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s, from service center users in Seodaemoon and Jongro Districts, Seoul, mid September through the end of October, 2010. Among the 1500 collected data inadequately answered 589 samples were discarded, 911 data were used for this study (actual rate of response = 60.7%). For distinction of the two services, credibility test and factor analysis classified the services supplied by the social welfare centers into two, life welfare service and cultural welfare servic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this process, I could certify the converging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expected. Life welfare service is composed of two items, service participation period and one time participation hours. To these items two are added for cultural welfare service, participation frequency a week and participation cost burden. Life and cultural welfare services have different characters. For example, life welfare service is elastic to the user's age, religion, and having or not having sons (or daughters) and living with them or not, but not elastic to the user’s school attendance, health, income, and housing conditions. But cultural welfare service is contrary to the life welfare service in character. Concerning the service fees burden, two services have common interesting nine characters in common. With socioeconomic backgrounds, female user feels more burden than male, user living with spouse does more than user without spouse, user between ages 40 and 60 does more than other age groups, user with longer than 16 years school attendance does than with less years, user with religion does than without religion, healthy user does than not healthy, user living with sons (or daughters) does more than without sons(and or daughters), user with more income does more than with less income, and user with house does than without house. That is, the more the user has, the more burden he (or she) feels. It is an irony but a consistent fact. The effect of cultural welfare service on user's quality of life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life welfare service program. The cultural welfare service includes wider range of contents than life welfare service. As the time goes on, so change the contents of needs. For example at the time of Abraham Maslow, the needs to learn english conversation or Chinese was self-esteem or self actualization needs. But today these needs are lower level needs, even though they are not physical.

      • 전철역세권 주변 지가변화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 구리시와 남양주시를 대상으로

        이시규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가 발전함에 따라 급속한 경제성장과 인구의 유입으로 인하여 대도시에서는 주택, 환경, 교통문제 등의 각종 사회,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대도시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와 지방자체단체는 획기적인 개선책으로 지하철을 건설하고 있다. 지하철은 대량운송이 가능하고 신속한 교통수단인 관계로 지하철 노선을 중심으로 하는 교통축은 지역개발을 촉진하고 아울러 시민 생활패턴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고 특히 토지 이용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철역의 개통으로 인한 교통접근성의 개선이 전철역 주변의 지가에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평균지가변화량을 종속변수로 하고 역과의 거리, 접면도로, 용도지역 그리고 토지이용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토지이용, 용도지역 그리고 접면도로는 평균지가변화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토지이용 중 상업용과 주거용 토지일 수 록 또한 평균가격이 많이 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도로조건 중 접면도로는 중로 이상인 경우에 평균가격이 많이 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용도지역 중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의 경우 평균가격이 많이 오른 것을 연구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역과의 접근성을 나타내는 역과의 거리는 뚜렷한 일관된 영향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접근성이 양호하다고 지가가 많이 상승하는 것은 아니며 토지의 상태 예컨대 제도적, 지리적 요인에 의해서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와 일관된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전철역의 개통으로 인하여 역 주변 지가는 변화하는데 그 토지의 제도적 여건 즉 토지이용이나 용도지역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지리적인 여건 즉 접면도로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역세권을 분석하거나 공시지가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보다 정교한 변수 측정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게 한다.

      • Regional structures and microfabrics of paleozoic Joseon supergroup in Northwestern Jeongseon area, South Korea

        이시규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Part 1. The Silurian Hoedongri Formation of the Taebaeksan Basin of South Korea has been used as a key unit to the correlation of tectonic provinces of East Asia since the South China craton (or Yangtz block) contains Silurian-Devonian sequences as well as Cambrian-Ordovician ones in the Paleozoic basins while the North China craton (or Sino-Korea block) is devoid of Silurian-Devonian sequences. In the northwestern Jeongseon area,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early Paleozoic Joseon Supergroup consists of the Jeongseon, Haengmae and Hoedongri formations in structurally ascending order. These strata are strongly deformed, with few occurrences of primary sedimentary structures. I found that the Jeongseon and Hoedongri formations which are previously known as the bluish-gray limestones are in fact multiply deformed marbles. The elongated calcite grains in the marbles consist of dynamically recrystallized matrix grains (5~40 μm) and twinned relict grains (80~120 μm), and show a grain-shape foliation. These grains are deformed by dislocation creep, and show characteristics of dynamic grain boundary migration. In addition, the rocks previously known as pebbly limestones (Haengmae Formation) are porphyroclastic mylonitic marbles in a shear zone with repeated cycles of plastic and brittle deformations. I call this the Biryongdong Shear Zone (BSZ). The mylonitic marble within the BSZ has similar structural orientation to the adjacent Jeongseon and Hoedongri marbles. The mylonitic rocks in BSZ often show jigsaw-puzzle-fracturing structures both in outcrop and microscopic scale, and the porphyroclastic rock fragments within the mylonitic marble are either elongated or in angular shape. The constituting calcite and dolomite grains of the porphyroclastic rock fragments are commonly elongated. The dolomite grains in the matrix frequently show sweeping undulose extinction, and the quartz grains show deformation band within the grains. The boundary between the Hoedongri marble and the mylonitic marble in BSZ (previously called the Haengmae Formation) was interpreted as an unconformity, but I found that it is a healed fault breccia zone (~ 10 m thick). Also, there is a regional open fold structure around the study area. The deformation evolution of the Joseon Supergroup in the study area is summarized as follows; multiple ductile deformations resulting in transposition and then formation of the Biryongdong Shear Zone followed by regional open folding. I suggest that the stratigraphic subdivision of the Jeongseon Formation into the Jeongseon Limestone, Haengmae Formation and Hoedongri Formation in 1970’s and 1980’s is incorrect. Part 2. In one outcrop of the ‘Hoedongri Formation’, an undeformed or slightly deformed lens of carbonate rock occurs within strongly deformed and recrystallized marble. This undeformed carbonate lens contains fossils, such as crinoids and gastropods. In the outcrop, there is a gradual transition from weakly, moderately to strongly deformed carbonates. Also the fossils show a gradual transition from no, weak to full recrystallization. To understand dynamic recrystallization processes of calcitic fossils, the crinoid fossils are analyzed by optical microscopy and EBSD (electron backscattered diffraction) method including lattice orientation mapping. With a higher degree of dynamic recrystallization, the original large fossil grains become smaller recrystallized grains. The deformed and recrystallized grains of fossils commonly have deformation twin, and the new grains nucleate along the grain boundaries and twin boundaries. The newly-formed recrystallized grains show a large misorientation angle. The randomness of the misorientation angle distribution of the recrystallized grains within the fossils increases, indicating weaker lattice preferred orientation. The recrystallization mechanism consists of two processes. The first one is intragranular process which is comprised of lattice distortion with subgrain wall formation by recovery process. The other one is intergranular process which is the composite process of grain boundary migration and subgrain rotation. The lines of microfabric evidence indicate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of recrystallization. I suggest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calcitic fossils in fully recrystallized marbles by microfabric analyses, because the microfabrics of fully recrystallized fossil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fully recrystallized matrix. Part 1. 태백산 분지 내 북동 정선지역은 정선형의 고생대 조선누층군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층서적으로 하부에서부터 청회색의 오르도비스기 정선석회암층, 갈회색의 오르도비스기 행매층, 그 위에 부정합으로 청회색의 실루리아기 회동리층이 놓인다고 보고된 바 있다. 특히 회동리층은 남한에서 유일한 실루리아기 화석 산출 지층으로 동아시아의 생층서 조구조구 대비에 중요한 지층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 따르면, 이 암석들은 심한 변형으로 인해 퇴적구조를 찾기가 매우 어려우며, 기존에 퇴적구조로 해석되던 특징들은 변형에서 기원한 것이다. 기존에 정선 및 회동리층으로 알려져 있는 청회색의 암석은 모두 소성변형에 의한 압쇄대리암(mylonitic marble)이다. 암석 내 신장된 방해석 입자들은 동력재결정작용을 받은 기질 입자(5-40μm)와 변형 쌍정을 가진 잔류입자들(80-120μm)로 구성되며, 압쇄엽리면에 평행 또는 사교하는 형태선택엽리 (shape-preferred foliation)를 보인다. 이들 입자는 전위포행(dislocation creep)에 의해 신장되었으며, 동력입자경계이동(dynamic grain boundary migration)의 특징도 발견된다. 또한 행매층으로 알려져 있는 암석은 비룡동 전단대의 압쇄암질 대리암(mylonitic marble)으로, 소성변형과 파쇄작용을 반복적으로 겪은 변형이 집중된 전단대이다. 압쇄 엽리의 주향은 인접한 정선 및 회동리 대리암의 엽리와 유사하다. 노두 규모 및 미구조 규모에서 모두 직소퍼즐구조 (Jigsaw-puzzle texture)가 나타나면서도 내부에 포함된 암편, 및 반상쇄정은 신장된 형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구성성분인 방해석 및 백운석 입자들도 신장되어 있다. 기질에 존재하는 백운석 입자 내부에는 소탕파동소광 (sweeping undulose extinction)이 발달하는 경우가 많으며, 석영 입자에서는 변형띠 (deformation band)가 발달하기도 한다. 기존 부정합으로 해석되던 비룡동 전단대와 회동리 대리암 사이의 경계는 아문 단층각력암대(healed fault breccia zone)이다. 또한, 이 지역에는 광범위한 습곡구조가 발달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정선형 조선누층군에 대한 전통적인 층서 구분은 무의미하다. Part 2. 광물의 동력재결정작용(dynamic recrystallization)은 암석의 미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상부 지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탄산염암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화석 기원의 탄산염질 구성 광물들은 낮은 유동강도(flow strength) 및 상대적으로 낮은 재결정온도(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때문에 소성변형시 잘 보존되기가 쉽지 않아 암석 변형시의 미구조 발달 연구에 있어 간과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태백산 분지 고생대 조선누층군 내 소위 회동리층에서 발견된 방해석질 화석이 비교적 잘 보존된 암석을 이용하여 변형도가 각기 다른 암석 내에서 화석들의 변형/재결정 상태가 다른 것을 확인하고, 화석이 재결정화되는 점진적인 과정과 그 기작에 대해 보고한다. 산출되는 화석은 해백합(crinoid), 복족류(gastropod) 등으로 다양한데, 그 중 특히 방해석 단결정으로 이루어진 해백합 화석을 미구조 관찰 및 EBSD(Electron backscattered diffraction) 기기를 이용하여 결정격자방향맵핑(lattice orientation mapping)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더 높은 수준의 동력재결정작용을 겪을수록 원래의 큰 입자가 재결정화되어 작아지며, 변형 및 재결정이 이루어진 화석의 입자 내에는 변형쌍정 (deformation twin)이 발달하는 경우가 많다. 동력재결정작용을 겪으면서 주로 입자경계 및 쌍정경계에 새로운 입자들이 형성(nucleate) 된다. 새롭게 형성된 재결정입자들은 인접한 원래의 화석입자 격자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방향이탈각(misorientation angle)이 크게 나타난다. 동력재결정작용이 진행될수록 점차 방향이탈각분포의 임의도 (randomness)가 증가하며, 동시에 결정격자선호방향(Lattice preferred orientation)이 점점 약해지게 된다. 재결정작용의 기작은 크게 두 가지로 복합작용하는데, 하나는 입자간(intergranular) 작용에 의해 시작되는 입자경계이동(grain boundary migration) 및 아입자회전(subgrain rotation)이다. 다른 하나는 입자내(intragranular) 작용으로, 격자뒤틀림(lattice distortion) 및 열에 의한 회복작용(recovery process)에 의해 일어나는 아입자벽형성(subgrain wall formation) 이다. 여러 증거들은 재결정작용이 고온에서 발생한것으로 지시한다. 완전히 재결정화된 암석 내에서는 방해석 화석을 인지하기가 어렵다고 판단되며 그 이유는 재결정화된 화석의 미구조 및 결정격자방향의 임의도가 기질(matrix)의 그것과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