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국제공항 식재지반 구조특성 및 개선연구

        이승원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nalyze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and soil profile on planting ground in planting site for landscape tree located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IIA) which opened on 29th, March of 2001, with an aim to provide basic materials regarding tree management and planting ground improvement in the Reclaimed Seaside Area. In this study, IIA sites(excluding a 3.8㎢-large golf course from a total size of 55.35㎢) were divided into five areas including Main Terminal Building(MTB), International Business Complex, Airport Support Complex, Free Trade Zone(FTZ) and Access Road. In theses areas, tree and soil surveys were conducted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of 2010. The planting ground for landscape tree in IIA was developed based low reclamation method that reclaims the ground at a level lower than the highest high water level. Therefore, the installed drainage is shallow and the pipe conduit has small grade. Usually, ground water level remains stable. However, a combination of rising sea level and localized torrential rain leads to rise in the ground water level. When the ground water level goes up, it brings hazardous factors to tree growth including poor drainage, inundation of a low-lying planting ground, and salt increase in dredging soil. While the reclamation ground was being developed, maritime matters selectively excluding clay and organic matters were used in order to promote physical stability of the ground, which in turn caused many problems in soil environment of the planting ground, such as a shortage of content in organic matters, available phosphate and potassium and a low level of CEC. In particular, heterogeneous and poor materials of mounding soil, disturbance of dredging sand, high soil hardness by tread-pressure, and soil horizon of underground generated a wide range of effects ,such as worsening not only physical property but also chemical property of soil. Salt brought from outside by saline and windage ,which rise on the base soil layer, destroyed a base balance in planting ground and consequently generated ionic antagonism and synergistic action. As a result, this study drew unexpected correlations related to tree damages like pH-rise, disturbance of nutrition, defective absorption of micro-elements and furthermore covered very complicated and various aspect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lanting ground in IIA has a variety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Hardpan or heterogeneous soil horizon exists under the ground or poor mounding materials mixed with a considerable amount of rock, gravel and blasting rock were used. In addition, a landfill of waste aggregates, a horizon disturbed with dredging sand and mounding materials, and a horizon mainly composed of clay are found in this ground. Second, the soil horizon existing under the ground becomes a main reason of reduced effective depth of soil. Also, it causes disturbance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nd poor drainage in the soil and hinders nutrition and gas circulation, thus putting a negative effect on plant growth. And, it is inferred the soil horizon changes chemical property of soil in a diverse manner. Third, the planting ground in IIA has soil hardness to the extent that root growth is affected by tread-pressure. The mounding layer in the planting ground is slightly acid while the dredging soil becomes alkaline due to accumulation of leached salt and remaining salt. The soil has a low level of organic and available phosphate contents. And the soil's EC is at a low level enough not to affect growth of landscape trees. But, in comparition to dredging soil or deep soil area, occasionally, surface soil area has a higher level of EC. Thus, it is inferred that some areas has salt accumulation on bed soil due to salts increase from the base soil to mounding soil or poor drainage. Fourth, it is concluded that calcium(Ca) accumulation and pH-rise are resulted from decomposition of shellfish residue mixed during dredging process. Contrary to the general concerns about the Reclaimed Seaside Areas, excessive accumulation of calcium(Ca) does not occur and rather, many places are found to have an insufficient level of calcium(Ca), which is below the ideal base balance. In the case of Mg, when being evaluated based on standard content in soil, it's level is disclosed as ‘appropriate’ or ‘insufficient’ but, when evaluated based on base saturation percentage(BSP), many places are found to have ‘excessive’ amount. On the other hand, most places are in shortage of K. it is analyzed the base-imbalance of positive ion is largely responsible for worsening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disturbance of nutrition related to ionic antagonism and synergistic action. Fifth, it is required to ease the high soil hardness, destroy the soil horizon, use efficiently dredging soil, supply insufficient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hosphate and manage fertilizer for base balance in order to improve planting ground of the Reclaimed Seaside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evaluation concept on soil environments of the Reclaimed Seaside Areas from a different angle , in order to practically reflect specialty and reality of the Reclaimed Seaside Areas. Key Word: Soil Horizon, Base Balance, Magnesium(Mg++) Accumulation, Antagonism, pH-Rise Mechanism 본 연구는 2001년 3월 29일 개항한 인천국제공항 조경수 식재지에서 식재지반의 토양단면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분석을 실시하여 앞으로 임해매립지의 수목관리 및 식재지반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인천국제공항 역내(55.35km2 중 골프장 면적 3.8km2제외)를 여객터미널, 국제업무단지, 공항지원단지, 자유무역지역, 진입도로의 5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2010년 10월∼11월에 걸쳐 수목조사 및 토양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의 조경수목 식재지반은 고극조위보다 낮게 매립하는 저매립공법을 채택하여 조성되었기 때문에 가설된 배수시설의 깊이가 얕고, 관로의 경사구배가 작았다. 평시에는 지하수위가 비교적 안정된 위치에 있으나 해수면이 상승하는 시기와 집중호우가 중첩될 때에는 지하수위가 상승하는 사례가 있으며, 이러한 시기에는 배수불량, 저지대 식재지반의 침수, 준설토의 염류상승 등과 같은 수목생장의 위해요소가 내재되어 있다. 매립기반 조성과정에서는 기반의 물리적인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점토와 유기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제한 해사(준설토사)를 사용함으로써 식재지반의 유기물함량 부족, 유효인산 부족, 칼륨부족, 낮은 CEC와 같은 식재지반의 토양환경에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었다. 특히 성토재료의 불균질과 불량, 준설토의 교란, 답압에 의한 높은 토양경도와 지중의 토양층위는 토양의 물리성 악화는 물론 토양의 화학성 악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기반토양층에서 상승하는 염류와 조풍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염분은 식재지반의 염기밸런스를 파괴하여 이온 상호간의 길항작용 및 상조작용을 유발하였다. 이로 인해 pH 상승, 영양장해, 미량원소의 흡수장애 등으로 수목피해와 관련된 의외의 상관성을 도출하는 등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국제공항 식재지반의 구조적 특성은 매우 다양하였다. 지중(地中)에 경토층 또는 이질적인 토양층위가 존재하거나 바위․자갈․발파암 등이 다량 혼입된 불량한 성토재료가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폐골재를 매립한 곳, 준설토와 성토재료가 교란되어 층위가 형성된 곳, 점토가 다량 함유되어 층위를 형성하고 있는 지역 등 이었다. 둘째, 지중에 존재하는 토양층위는 유효토심을 저감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토양중의 물 순환체계 교란 및 배수불량, 양료순환 및 기체순환을 저해함으로써 식물생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토양의 화학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유추되었다. 셋째, 인천국제공항 식재지반은 답압에 의해 뿌리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의 토양경도이었고, 식재지반 성토층의 평균산도는 약산성이었으나 준설토는 잔류염분, 용탈된 염류의 집적에 의해 알칼리성을 띠고 있었다. 토양의 유기물함량과 유효인산함량은 낮았으며, 전기전도도(EC)는 조경수목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로 낮았으나 간혹 기반토양인 준설토나 심토지역에 비해 표토지역의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나 기반토양에서 성토층으로의 염류상승이나 배수불량에 의해 상토부분에 염류가 집적되고 있는 것으로 유추되는 지역도 있었다. 넷째, 준설토의 칼슘(Ca)집적과 pH상승은 준설과정에서 혼입된 패류(貝類) 잔재물이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판단되었다. 임해매립지의 일반적인 우려와는 달리 칼슘(Ca)의 과도한 집적은 없었으며, 오히려 이상적인 염기밸런스 이하로 칼슘이 부족한 지역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Mg의 경우는 토양내의 함량기준으로 평가하면 ‘적합’하거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염기포화도(BSP)를 기준하여 평가하면 많은 지역이 ‘과잉’인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반면에 K는 대부분 부족한 상태이었다. 이와 같이 양이온의 염기밸런스 불균형은 이온 간의 길항작용, 상조작용 등에 따른 영양장해와 토양의 화학성 악화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임해매립지 식재지반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높은 토양경도의 완화와 토양층위의 파괴, 준설토의 효과적인 이용, 부족한 유기물 및 유효인산의 공급, 염기의 영양균형을 위한 시비관리 등이 필요하였고, 제도적 보완으로는 조경설계기준의 임해매립지 토양환경에 대한 평가개념을 일반토양과 다르게 접근하여 임해매립지의 특수성과 현실성을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띠장의 안정성 연구

        이승원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띠장은 기존의 H-Beam을 이용한 공법보다 공사여건 개선 및 공사비 절감에 효과적이어서 현재 다양한 곳에 적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다양한 효과와 장점에도 불구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띠장이 넓이 사용되고 있지 못한 이유는 여러 건의 현장 문제로 인해 안정성에 대한 신뢰성 문제 때문이다. 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띠장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고 이를 결과로 더욱 안정한 공법이 되기 위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연약지반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띠장의 안정성 검토를 시행하여 계측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계측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며 안정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또한 불균질한 지반을 설정하여 프리스트레스 띠장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가장 불리한 조건인 연약지반으로 가정한 경우의 해석이 불리한 조건으로 검토되어 불균질한 지반의 영향은 적은 것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강재의 변화에 따른 안정성 변화를 검토한 결과 강재보다 프리스트레스의 하중분담이 클수록 변형과 안정상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검토 되었다. 마지막으로 띠장의 길이 변화에 따른 안정성 변화를 검토한 결과 띠장의 길이가 일반적인 연약지반에서 10m이상인 경우 띠장의 안정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띠장의 안정성은 연약지반, 불균질한 지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기는 하지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강재의 하중분담률과 띠장의 길이가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토 되었다. 따라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띠장의 적용에 있어 적정 강재와 적정 길이를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판단되며 추후 이와 관련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일반적인 적용기준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Prestressed wale have been applied subsequently in various construction site because is excellent in constructability improvement and cost savings than a H-Beam wale. However, despite these various effects and benefits of prestressed wale could not be used due to a number of reasons for stability in several reliability proble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t least to present the guidelines that by prestressed wale research on the stability and as a result of this process to become more stable process. First, Applicability study prestressed wale in the soft soil by the measurement results compared to the results of stability review, the result is similar to the results of measurements was examined seems to be stable. In addition, by setting the inhomogeneous soil applicability studying the prestressed wale, assumes the interpretation of adverse soft soil conditions is safe. but the result of the study in stability changes due to changes in pre-stress of Share of the load are more effect than the steel. Finally, the stability changes due to changes in the length of wale reviewing wale length greater than 10m in a typical soft ground can cause problems on stable wale.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at least the introduction of prestressed wale stability of soft soil, the inhomogeneous soil affected to some extent, but the largest share of the load of steel to affect the length of the wale the biggest impact on the stability that was considered.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prestressed wale proper and appropriate to limit the length of steel. it is necessary to be determined through further in-depth research relating to the same general eff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riteria.

      • 기부 관련 소득세제에 관한 연구 : 계획기부 도입을 위한 세제효과를 중심으로

        이승원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오늘날 우리 사회의 기부에 대한 관심과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방식 또한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기부는 보통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고 장려할만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바,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세제혜택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과 제도를 통해 기부를 지원·장려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국가가 다양한 방식으로 기부를 지원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지원 대상의 범위·요건·지원방식·정도 등이 적절한지 살펴보고, 최근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기부 유형이나 기부 규모의 변화 등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제도를 보완해나가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기부의 기본적인 유형뿐만 아니라 주요 외국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계획기부의 유형들을 살펴보고, 이들 기부의 규모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그 추세 및 현황을 확인한 뒤, 우리나라와 외국의 기부 관련 조세 지원제도를 비교·검토함으로써, 앞으로 계획기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기부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상의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기부관련 소득세제는 민간에서 보이고 있는 다양한 기부의 욕구를 세제상으로 아직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계획기부 활성화 역시 일반적인 기부의 활성화 없이는 달성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현행 세제상 기부 관련 지원 제도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기부금 항목의 세제상 성격이나 정책적 목적 및 소득원천별 공평성 등을 감안하였을 때, 현행 세액공제 방식에서 종전 소득공제 방식으로 다시 전환하는 것이 현행 기부 관련 세제상 지원 제도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향후 우리나라 복지의 한 축을 담당하여야 할 기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행 제도의 세액공제율 상향 조정 등 세제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기부연금에 대한 세제상 지원 방안으로는 각 시점별로 구분하여, 과세상 처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자선잔여신탁에 대해 기부연금과 동일한 세제상 지원방안을 제시하되, 부동산이나 주식 등 금전 외의 자산에 의한 기부도 세제상 신탁을 통한 기부에 포함되도록 그 범위를 확대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기부연금이나 기부자선신탁 등과 같이 기부 이후에 연금이나 일정한 수익이나 이익을 지급하는 형태의 계획기부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16조 제3항의 규정의 개정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기부금, 기부금 소득공제, 기부금 세액공제, 기부금 필요경비 산입, 계획기부, 기부연금, 자선신탁. In these days, THE DONATION is more flourishing; the total amount is increasing and the forms of donation are diversifying. Generally, the donation is regarded desirable an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for the sake of the whole society. Accordingly, many counties, include South Korea, encourage the donation by providing many tax benefits to the donator. But even granting the tax benefits to the donator is justified as mentioned above, we should continuously check the tax benefit system; items, requirements, methodologies and level of benefits, whether it properly reflects the actual donation endowments. Firstly, this article covers the general form of donation and more importantly looks into the ‘Planned Giving’ which is widely mentioned in the western developed countries recently.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donation forms focusing on planned giving, this article will suggest the more desirable tax benefit system to invigorate the donation in South Korea. Currently the tax benefit system of donation in South Korea is insufficient to encourage and compensate the donator properly. So this article suggests five recommendations to invigorate the donation in South Korea and the planned giving also. First, recommend to roll back to the income deduction method than the tax credit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 policy and the fairness between the forms of donation. Second, heighten the level of tax benefit on the donation to encourage the donator so the donation takes a more important role in social welfare system from the private sector. Third, suggest new tax benefit system on the ‘Charitable Gift Annuity’ on each stages of time period. Fourth, suggest to give the same tax benefit on the “Charitable Remainder Trust’ with the charitable gift annuity and also enlarge the beneficiary items to the non-monetary assets; realty, stock and more. Fifth, suggest to revise the Article 16 (Non-Inclusion of Property Contributed to Public Service Corporation, etc. in Taxable Value of Inheritance)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This will help bringing in the Planned Giving; pay the definite level of money based on the income originated after the initial donation endowment. Key Words : Donation, Income Deduction of Donation. Tax Credit of Donation, Necessary Expense Deduction of Donation, Planned Giving, Charitable Gift Annuity, Charitable Trust.

      •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차세대 D램 커패시터의 높은 유전상수 값을 갖는 유전체에 대한 연구

        이승원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in two ways to improve the dielectric characteristics for next generation DRAM capacitor using atomic layer deposition. First, we researched HfZrO2 thin films characteristics by Al doping. When the Al concentration was doped at 2.4%, the permittivity of Al-doped HfZrO2 thin film increased about 2 times compared to undoped film. As revealed by the XRD result, it was caused by phase transition from monoclinic phase with low dielectric constant to tetragonal phase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through Al doping. In addition, the leakage current decreased more than 100 times compared with undoped HfZrO2. Second, we would like to introduce a 2-dimensional perovskite nanosheet. In previous reports, 2D perovskite thin films formed by electrophoretic deposition (EPD) or Langmuir-Blodgett method were reported that showed a remarkable dielectric constant (~200) regardless their thickness. However, this wet-based process does not suitable for application to device integration in CMOS industry. Therefore, we investigated, for the first time, the structur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2D perovskite oxide thin films deposited by atomic layer deposition. 본 연구에서는 원자층 증착법을 사용하여 차세대 D램 커패시터의 유전체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두 가지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HfZrO2 박막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Al 도핑을 시도하였다. Al 함량을 2.4 %까지 도핑하였을 때, 단일 HfO2나 ZrO2에 비해 높은 유전율을 갖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도핑을 통해 낮은 유전 상수 값을 갖는 monoclinic 상에서 높은 유전율을 갖는 tetragonal 상으로 상전이에 의해 초래되었다. 또한, 누설전류 값도 도핑 전과 비교하면 100배 이상 감소하였다. 두 번째는 2차원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산화물을 연구하였다. 전기영동 증착법 및 Langmuir-Blodgett 방식으로 형성된 2차원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은 두께와 관계없이 초고유전율을 갖는다고 보고되었다. 그렇지만, wet 기반의 공정은 높은 종횡비를 요구하는 CMOS 산업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우리는 처음으로 원자층 증착법을 사용하여 2차원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을 증착하고 구조적 및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조적채움벽이 있는 철근콘크리트골조의 지진취약도 함수 평가

        이승원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Masonry infilled walls have been used in reinforced concrete(RC) frame structures as interior and exterior partition walls. Since they are considered as nonstructural elements, they was only considered as additional mass. However, infilled walls tend to interact with the structure’s overall strength, rigidity, and energy dissipation. Infill walls have been analyzed by transposed as equivalent strut model. This study evaluated seismic performance of RC moment frame and with various equivalent strut models(Single strut model(SSM), Double strut model(DSM) and Multi-spring model by Crisafulli(CM)). This study also evaluated seismic fragility curves of each equivalent strut models by using an incremental dynamic analysis(IDA). The seismic fragility curves adopted by CM are similar to result of experimentation rather than SSM and DSM and are determined to be accurate earthquake damage estimation. 본 연구에서는 조적채움벽이 적용된 철근콘크리트모멘트골조를 대상으로 스트럿 모델(단일스트럿 모델, 이중스트럿 모델, Crisafulli 모델)에 따른 조적채움벽의 내진성능을 분석하고, 각 스트럿 모델별로 지진취약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조적채움벽의 파괴거동을 분류하고 파괴거동에 따른 강도 산정식을 파악하고, 조적채움벽을 등가스트럿으로 치환할 경우 스트럿 모델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고 각 스트럿 모델의 강도 및 강성을 산정하는 식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비선형 정적해석과 증분동적해석을 수행하여 세 가지의 스트럿 모델별로, Crisafulli 모델의 경우 전단스프링과 압축스트럿의 강성비에 따른 내진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일스트럿 모델과 이중스트럿 모델이 Crisafulli의 실험결과에 비해 에너지 소산능력 등을 과대하게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risafulli 모델이 단일스트럿 모델과 이중스트럿 모델에 비해 실제 조적채움벽의 거동에 유사하게 거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risafulli 모델의 경우 전단스프링과 압축스트럿의 강성비에 따라 선행되는 파괴거동이 달라지며 강성비가 증가함에 따라 채움벽골조의 전체적인 강도는 감소한다. 최종적으로 증분동적해석결과를 이용하여 지진취약도함수를 평가한 결과 단일 및 이중스트럿 모델이 적용된 해석모델에 비해 Crisafulli 모델이 적용된 해석모델의 지진취약도함수가 정확한 지진피해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그래핀옥사이드 또는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의 기계적 성질과 난연성

        이승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은 탄소와 수소로만 이뤄진 폴리올레핀계 (polyolefin) 반결정성(semi-crystalline) 고분자이다. 올레핀계 고분자 중에서 비교적 높은 결정성을 토대로 높은 기계적 성질과 내투과성, 내화학성 등의 장점을 가지며, 특히 플라스틱 중 가장 낮은 밀도를 바탕으로 소재의 경량화에 적합하다. 하지만 다른 범용 플라스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stiffness)과 불에 취약한 가연성을 보이기 때문에 높은 강성과 난연성(flame retardancy)을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데 제한이 따르며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성과 강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는 충전제를 이용한 복합재료 제작을 통해 PP의 강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는 강화(reinforcement)를 시도하였다. 충전제 표면에 난연제를 도입시키는 개질을 통해 기계적 성질과 난연성 향상을 동시에 유도하는 방법도 병행하였다. 또한 고분자 사출 성형물 표면에 거칠기를 도입하여 발수성과 코팅 접착력을 높이는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복합재료에 사용된 첫 번째 충전제는 철보다 단단하다고 알려져 있는 그래핀옥사이드(graphene oxide, GO)를 사용하였다. GO 표면엔 소량으로도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계 난연제를 도입하여 기계적 성질과 난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기지재와 충전제 사이의 상용성을 개선시키고자 무수말레인산이 수식된 폴리프로필렌(maleic anhydride grafted PP, MAPP)을 상용화제로 사용하였다. 개질하기 전 GO를 첨가했을 때에 비해 난연제를 도입한 GO를 첨가했을 때 난연성이 보다 향상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GO의 분산성을 높임으로써 한 단계 높은 난연성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성질에선 상용화제를 첨가하기 전보다 상용화제를 첨가했을 때 기지재와 충전제 사이의 계면 친화도를 높임으로써 강성과 강도가 모두 증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충전제로는 자연계 유기물로부터 추출되어 친환경적이며, 높은 결정성을 바탕으로 강한 강성을 보이는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cellulose nanocrystal, CNC)을 사용하였다. CNC는 표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기로 인해 소수성 고분자인 PP와 높은 극성차를 보이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자 MAPP를 상용화제로 사용하였다. CNC와 MAPP 사이의 반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CNC 표면에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을 이용하여 아민기를 도입하였다.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CNC입자가 개질과정을 거치고 상용화제를 첨가함에 따라 PP와의 계면 친화도가 증가하여 입자 크기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그에 따라 굴곡 탄성율과 강도가 모두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고분자 사출 성형물 표면에 미세 구조물을 형성하여 거칠기를 증가시켜 표면 발수성과 코팅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분자 표면에 거칠기를 도입하는 방법은 습식 식각을 통해 거칠어진 탄소강 형판의 표면을 열압착 방법으로 고분자 표면에 전사시켰다. 형판과 고분자 복제물 표면은 형태학과 평균거칠기를 통해 확인하였다. 고분자 복제물 표면의 발수성은 물방울을 이용해 접촉각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고, 코팅재와의 접착력을 확인하기 위해 아크릴계열 페인트를 코팅하여 스크래치 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거칠기가 발수성과 코팅재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Polypropylene (PP) is a polyolefin semi-crystalline polymer composed of carbon and hydrogen. It has the advantages of high mechanical properties, barrier property, and chemical resistance based on relatively high crystallinity among olefin polymers,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weight lightening of materials due to the lowest density among plastics. Despite these attractive properties, the rigidity and flame retardancy of PP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general-purpose plastics, and needs further improvement for use in wider applications. In this study, reinforcement to improve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PP was attempted through the preparation of composite using fillers known to have high stiffness. A method of simultaneously 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cy by introducing a flame retardant to the surface of the filler has also been carried out. A study was also conducted to increase the water repellency and adhesion strength with coating material by introducing roughness on the polymer surface The first filler used in the composite material was graphene oxide (GO), which is known to stiffer and stronger than steel. It was intended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cy at the same time by introducing a phosphorus-based flame retardant capable of improving flame retardancy even in a small amount on the GO surface.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matrix and the filler, maleic anhydride-g-polypropylene (MAPP) was used as a compatibilizer. When the modified GO with the flame retardants was added, it was observed that the flame retardancy was improved compared to when the pristine GO was added. The dispersion state of the filler was improved by adding a compatibilizer, and the flame retardancy was further increased. In mechanical properties, stiffness and strength were increased by adding a compatibilizer with improved the interfacial affinity between the matrix and filler. Eco-friendly cellulose nanocrystals (CNC) obtained from natural fibers by acid hydrolysis and exhibiting high stiffness due to high crystallinity were used as second attempt. Since CNC shows poor compatibility with the hydrophobic PP due to the hydroxy groups on the surface, MAPP was used as a compatibilizer. In order to improve the reaction efficiency between the CNC and the MAPP, an amine group was introduced using 3(aminopropyl) triethoxysilane (APTES) on the CNC surface. With the surface modification of CNC and the addition of compatibilizers, the particle size in the composite gradually decreased, and the flexural modulus and strength of the composite increased. Finally, a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urface water repellency and adhesion strength with the coating material by increas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olymer. The surface of the roughened carbon steel template via wet etching was transferred to the polymer surface by hot pressing. The water repellency of the polymer replica surface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contact angle using water droplets, and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polymer replica and coating material was investigated through a scratch test after coating with acrylic paint.

      • 코어 운동이 엘리트 축구 선수들의 혈중 피로물질과 스트레스지표에 미치는 영향

        이승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tudy subjects were 20 soccer players, 20 randomly assigned to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wice at 0 weeks and 12 weeks. For 12 weeks, the exercise group performed the core stabilization exercise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much as possible,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manage separately and measured only. For statistical methods, a correspondence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within each group and the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ing and the group. The statistical setting was α=.05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In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the percentage of body fat de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measurement time*group. Body mass index(BMI) in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only the measurement time*group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The change in blood fatigue material was de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it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nly at the time of measurement. Changes in α-amylase in the stress index de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trol group showed increased results,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in the measurement period and the measurement period*group. The change in total antioxidant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ime and the measurement time*group.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re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body composition factors, blood fatigue substances and stress indicators, α-amylase,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If the core stabilization period is prolonged and the intensity is gradually increased, I think we can expect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elite soccer pl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