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흥미유형별 전문직종사자의 지각된 성공요인 분석

        이순임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는 Holland의 직업흥미이론을 바탕으로 전문직종사자(professionals)의 흥미유형(interest types)을 6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유형을 흥미정도에 따라 높음, 보통, 낮음의 3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전문직종사자가 직업생활에서 성공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흥미유형과 성공요인간의 관계를 밝히고 직업상담 장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는 직업생활에서 정체감을 잃고 직업의 가치 상실로 힘들어하는 직업인들에게 자신의 적성과 흥미의 중요성은 물론, 성공기준을 새롭게 모색하고 찾아가도록 하는데 필요한 실증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을 비롯한 경기․대구․부산지역에 거주하고 은행, 중․고등학교, 대학교, 지방자치단체, 의회, 병원, 항공사, 방송국, 기업체, 관공서 등에 근무하고 있는 재직자 중 해당직무와 관련하여 면허나 자격증을 소지하였거나, 해당분야에 10년 이상 종사한 사람들을 전문직종사자로 제한하였다. 2008. 10. 28.~11. 21.까지 3주간에 걸쳐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 총 531(88.7%)명이 조사되었다. 그 중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무응답으로 처리한 59부를 제외한 472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등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직종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흥미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전문직종사자 중 여성은 예술형, 사회형, 관습형 등에서 높은 흥미를 보였으나, 남성의 경우 현실형, 탐구형의 흥미가 높았다. 고졸에 비해 대학원졸은 사회형, 탐구형, 진취형 등의 흥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자신이 종사하는 직업분야에 높은 흥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흥미차이는 예술형에서,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는 탐구형에서 나타났을 뿐, 그 외 흥미유형에서의 차이는 기각되었다. 자격유무에 따른 흥미차이는 사회형, 진취형, 관습형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문직종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성공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남성에 비해 여성이 전문성과 심리적 만족을 성공요인으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5~45세 미만 연령에서 45세 이상 연령보다 경제 및 위신을 성공요인으로 높게 지각하였고, 35~45세 미만이 35세 이하 연령보다 사회공헌을 성공요인으로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성공요인으로 전문성과 심리적 만족을 경제 및 위신과 사회공헌보다 더 높게 지각하였으며, 안정성을 제외한 나머지 성공요인에서 학력별 차이가 나타났다. 직업분야에 따른 성공요인 차이는 경제 및 위신을 제외한 모든 성공요인에서 직업가치와 유사하거나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련자격증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에 전문성, 심리적 만족, 사회공헌을 성공요인으로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문직종사자의 개인흥미유형에 따라 성공요인의 차이는 현실형, 탐구형 등의 흥미가 높은 경우 전문성에서, 예술형 흥미가 높은 집단에서는 전문성, 심리적 만족, 사회공헌 등에서, 사회형과 진취형의 경우 경제 및 위신, 안정성, 전문성, 심리적 만족, 사회공헌 등 모든 성공요인에서, 관습형의 경우 경제 및 위신, 안정성, 전문성, 심리적 만족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결과 전문직종사자의 경우 자신의 직업분야에 따라 흥미유형이 일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각 유형별로 지각하는 성공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것은 적성과 흥미를 직업분야에 일치시키고 적용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로 해석되며, 직업흥미와 성공요인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개인의 흥미 특성이 직업생활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는 물론, 성공기준을 설정하는데 상당 부분 반영된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직업선택시 흥미와 적성의 중요성을 고려하고 자신의 직업가치에 맞는 성공기준을 세우며 직업생활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준비하고 노력할 때 직업인으로서의 정체감과 삶의 만족을 동시에 얻게 된다.

      •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합지표 및 참여과정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이순임 강릉원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integrated indicators and participation processes of the 3rd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Detailed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to achieve this purpose we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integrated indicators and participation processes of the 3rd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1-1 What are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fitness of the integrated indicators of the 3rd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1-2 What are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need for the integrated indicators of the 3rd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and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1-3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demand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 integrated indicators of the 3rd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participation processes of the 3rd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2-1 What are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participation processes of the 3rd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and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2-2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demand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participation processes of the 3rd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that all indicators constituting the 3rd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were overall appropriate for the criteria for assessment. The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indicators constituting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were appropriate;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 level and the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on in the accreditation. Thus, in conducting the education of the assessment system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the education of the indicators and support the on-site consulting, considering the education level and the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on in the accreditation. In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the assessment items,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quota of the childcare center. In other words, unlike the previous assessments appl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quota of the childcare center, in the integrated indicators, all childcare center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same criteria for assessment. However, childcare teachers strongly ask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differentiated assessment indicators considering the personal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childcare center. In the future, in the assessment system implemented with the entire childcare centers, differential application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should be made through in-depth discussions of the integration and reduction of the indicator items based on the demand of the childcare field. In addition, the teacher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space composition, childcare journal preparati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Especially, since th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is very important for supporting the children’s individual developmen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assessment system, to support this, breaking from theory-centered education of indicators, it would be necessary to support substantive education reflecting the demand of the childcare field, such as video materials and case sharing. Second, the childcare teachers had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3rd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and asked for improvement plans. As a result of a survey, the childcare teachers highly perceived difficulties in preparing documents and the class for the assessment in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asked for the simplification of the preparation of documents and the adjustment of the time of the on-sit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hildcare center. The childcare teachers strongly ask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measures for the on-site observer’s objectivity, expertise and document maintenance, the support for expert consulting customized for childcare centers, finan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accredit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on-site assessment week and assessment time. In addition, in the in-depth interviews, they highly evaluated that the quality of childcare improv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accreditation, they got reward and pride and had a chance to be harmonized with fellow teachers. Meanwhile, they had fatigue due to leaving the office late, difficulty in preparing class activities, difficulty in preparing fund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difficulty in observing the infants’ class, and psychological burden for the selection of the observation class. Especially, they had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infants’ unpredicted behaviors appearing in the process of the observation of the infants’ class and the selection of the observation class itself. Thus, in the execution of the assessment system,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apply the more developmental application of the assessment system, sufficiently gathering difficulties and demands of the childcare field, e.g. Assigning the time of the on-site observation, considering the children’s age and improving the system so that autonomy is provided, like letting the childcare center select the observation class itself.

      • 생엽과 덖음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이순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fresh and roasted leaves of Thea sinensis L. were extracted by SD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using the mixture of n-pentane and diethyl ether (1:1, v/v) as an extract solvent. The volatile extracts were analyzed by GC-FID and GC/MS. Identification of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as mostly based on the RI of GC and mass spectrum of GC/MS. The total number of 83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fresh leaves, and (E)-2-hexenal characterized as green note was the predominantly abundant component. Also, monoterpene alcohols such as linalool and geraniol etc. were identified as major compounds. Major functional group was alcohols including C6-alcohols and monoterpene alcohols accounting for 63%, and aldehydes followed by second functional groups. They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compounds contributing fresh leaves like flavor. But unlike roasted leaves, theaspirans which is identified in Osmanthus fragrance were detected in fresh leaves. They are used in cosmetics and foods.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73 were identified in roasted leaves of T. sinensis L., and the contents was 87.40 mg/kg. 4-Vinyl phenol and 1-ethyl- 1H-pyrrole-2-carbaldehyde were detected as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accounting for 6.8 and 6.5%, respectively. Appreciable amounts of benzyl alcohol, (E)-nerolidol, indole, ethyl acetate were detected in roasted leaves. The major functional group was alcohols almost consisting of terpene alcohols. Leaf aldehyde such as (E)-2-hexenal and leaf alcohol such as hexanol detected in fresh leav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roasted leaves. Esters, ketones, and N-containing compounds produced during heating in roasting process were detected higher than in fresh leaves. As a result, these compounds such as caramel and Maillard reaction products produced by heat could be used for establishment of roasting process to make a green tea having high quality.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presentation of scientific data about special quality of various tea products for accurate food choice of customers.

      • 부양자가 피부양자에게 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를 이용하게 할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순임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부양자와 잠재적 노인부양자를 대상으로 노인부양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치관요인, 부양부담정도와 부양대상자의 특성인 자원요인, 욕구요인에 따라 피부양자에게 장기요양보호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지원방안을 모색하여 노인부양자의 부양부담을 덜어주고 부양자와 부양대상자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모형은 국·내외 연구에서 이론적 분석구조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Andersen 행동모델인 개인적 특성요인, 자원요인, 욕구요인과 한국의 전통적인 가족문화와 노인부양에 대한 국민의식을 고려한 가치관요인, 부양대상자의 부양부담정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피부양자에게 장기요양보호서비스를 이용하게 할 의사를 종속변수로 하여 노인부양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변수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를 판단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의사결정요인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자원요인은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제도인지여부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욕구요인은 건강상태, 일상생활장애(ADL), 수단적 일상생활장애(IADL), 인지장애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가치관요인은 부양책임, 부양가치관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부양부담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의사결정요인을 살펴보면, 제도인지와 부양가치관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도인지가 높을수록, 평소에 노인부양에 대해 부담이 된다는 가치관을 많이 가질수록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노인부양자의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수발이 필요한 노인과 부양대상자가 장기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받아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들의 어려움을 정부차원에서 지원하는 사회보험제도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다양한 정보제공과 실질적인 이용의사를 높일 수 있는 홍보와 지원확대, 지속적인 교육정책을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끝으로,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 군산, 익산시 대상으로 만20세 이상인 실지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노인부양자와 잠재적 노인부양자를 대상으로 부양대상자와의 동거여부에 관계없이 설문 조사하였고 전체의 84%인 252명이 응답한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 설문지에 포함되지 않은 요인들은 검토하지 못한 것이 본연구의 제한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부양부담정도 여부가 선행연구 되었던 개인적 특성요인, 자원요인, 욕구요인과 가치관요인에 구분되는 점이며 부양부담정도가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종합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이 중요한 의의라 하겠다. This study, on the target at aged person caregivers and latent caregivers living in Jeollabuk-do, aims at analyzing determination factors for caregivers to make care-given persons utilize long-term aged person care services, according to demo-social traits, value factors, and care giving burden, and care giving objects’ traits such as resource factors and desire factors, at easing off care givers’ burden by finding support methods of long-term care giving services, and at offering basic materials to enhance living quality of caregivers as well as that of objects. Anderson Behavior Model utilized as a theoretical structure widely in our country as well as in foreign countries was selected for this study. So, this study analyzed questionnaire survey investigations on the target at aged person caregivers by setting independent factors such as individual trait factors, resource factors, and desire factors, and value factors with national recognition considered such as traditional family culture and aged person caregiving, and caregiving burdens against objects and also by setting dependent variables such as determination for objects to make care-given persons utilize long-term aged person care services As a method of analysis, this study performed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measure variable level and hierarchical Multi-regression Analysis to judg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is as followings. The resource factors which had a meaningful difference in determination factors for investigation objects to make care-given persons utilize long-term aged person care had a meaningful difference in if it’s a long-term caregiving services or not. The result is as followings. Desire factors had a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of health status,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 y Living(ADL), disability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disability in cognition, and value factors in caregiving responsibilities and caregiving value. Caregiving burden had a meaningful difference, too. As for the factor on the determination for service givers to make care-given objects utilize long-term aged person care services through multi-regression analysis, cognition of institution and value on caregiving had a positive effect. The higher the cognition of institution, the more values on feeling burdensome due to aged person caregiving, the more effects objects had on determination factors for caregivers to make care-given persons utilize long-term aged person care services As a result, this study lead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organizations concerned has to grasp major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caregivers’ making care-given persons utilize long-term aged person care services, to solve problems, to offer aged persons and other care objects long-term care services, to offer various caregiving services information about long-term aged person caregiving insurance institution, social insurance institution the government support for the families who have a difficulty in giving cares of aged persons, and to publicize for actual determination to utilize the institution, and to expand gradual education. In the end, this study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out regard to living together with care giving objects, on the target at aged person caregivers and latent aged person caregivers, older than 20 years, living in Jeonju, Gunsan, and Iksan-si, Jeollabuk-do, who actually giving cares of aged persons This study utilized the questionnaires of 252 objects, 84% of the whole, and could not check the factor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s of the effects that have an effect on determination factors for caregivers to make care-given persons utilize long-term aged person care services. They are limitation in this study. But, this study studied if burden was separate from individual trait factors, resource factors, and desire factor in advance and verified the effect on determination factors for caregivers to make care-given persons utilize long-term aged person care services comprehensively. They are meaningful in this study very much.

      • 도시형생활주택의 원룸형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강북구지역을 중심으로

        이순임 광운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우리나라는 미혼 기간의 증가와 출산 기피 현상 등으로 인해 전통적인 가족 구조였던 4인 가족의 비율이 급감하고, 1~2인 가구의 분화가 촉진되고 있어, 오늘 날의 주택 정책에 많은 변화가 필요한 배경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강북구에 위치한 원룸형 도시형 주택의 실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원룸형 도시형 주택 건설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주거만족도를 경제적 요인, 서비스 요인, 안정성 요인, 물리적 요인의 4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원룸 거주자에 대한 경제적 요인 중 주거 만족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주거부담비용, 유지관리 비용, 적정관리 비용, 원룸 건물의 저당 및 압류 여부 순이었다. 둘째, 서비스 요인 중 주거 만족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불만접수에 대한 처리, 건물의 유지관리 상태와 건물주 혹은 관리인의 태도나 인상이었다. 셋째, 안전성 요인 중 주거 만족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각종 범죄로부터의 안전성, 건물의 노후 정도, 재해(화재, 가스)로부터의 안전성, 주변 시설 안전, 벽이나 천정의 금이 생긴 정도 순이었다. 넷째, 가설을 검정한 결과, 원룸 거주자에 대한 물리적 요인 중 주거 만족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충분한 원룸 주변의 근린환경, 소음(층간 소음 및 인접 공간 소음), 조명의 밝기 및 디자인, 건물 외관의 형태 및 디자인, 충분한 주차장 구비, 교통의 편리성 순이었다. 연구 결과 강북구 내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는 다양한 요인에서 매우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이뤄진다면, 이를 통해 도시형 생활주택의 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Recently, the prolongation of the unmarried period and avoidance from marriage reduced the portion of the family type consisting of four people, and they are becoming the member of the home which consists of 1 or 2 members, so nowadays, the phenomenon became the cause of change in the housing poli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residents of one-room type urban houses in Gangbuk-gu, 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factors which ha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ce, and to suggest basic data of the construction of one-room type urban house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residence. To this purpose, the satisfaction of residence is categorized into four subgroups of the economic factor, service factor, stability factor, and physical factor. Above all, among economic factors of one-room residents, the cost of the housing, maintenance cost, arrangement cost, and mortgage or attachment of the housing, in the condescending order, were the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ce. Second, among service factors, addressing of the complaints, condition of the housing, and attitude and facial expression of the owner or manager of the housing were the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f residence. Third, among stability factors, safety from various crimes, fractions of the housing, safety from calamity(fire, gas), safety of nearby facilities, fraction of the walls or roof, in the condescending order, were the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f residence. Fourth, among physical factors of one-room residents, enough nearby amusement environment, noise(between floors or nearby spaces), brightness of illumination or design, form of the housing or design, enough space for parking, convenience of traffic, in the condescending order, were the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f residence. As the result the research, the satisfaction of residence of one-room type urban houses in Gangbuk-gu showed different results in various factors. When further studies on satisfaction of residence of one-room type urban houses are don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ctivation of urban houses can be promoted.

      • 자기성장프로그램이 고립아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순임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는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 고립아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양읍에 소재한 C초등학교의 6학년 4개 학급 136명을 4종류의 선별과정을 거쳐 공통적으로 포함된 12명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무선으로 각각 6명씩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의 학생들에게는 자기성장프로그램을 4주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의 학생들에게는 통상적인 교육 이외에 특별한 처치를 투입하지 않았다. 교우관계 사전 검사를 통하여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사후검사 점수 차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험처치가 끝난 1주일 후에 사전 검사에 실시했던 동일한 검사 도구로 교우관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우관계 하위요인인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민감성, 이해성 등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친근감, 개방성의 영역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 볼 때 자기성장프로그램이 교우관계의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민감성, 이해성의 향상에는 효과가 있지만 친근감, 개방성의 향상에는 효과가 없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프로그램을 통하여 초등학교 6학년 고립아의 교우관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자기성장프로그램을 통해 친구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초등학교의 고립학생에게 자기성장프로그램을 투입하여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선행 연구가 없고, 또한 측정 도구가 달라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도현숙, 1997; 박종근, 2002; 양기찬, 2001; 이경애, 1999). 그리고 초등학생에게 확대 적용하였을 때에도 자아개념에 심리적인 변화가 생겨, 삶의 여러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김명희, 2002)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성장프로그램을 통해 교우간의 역동을 이해함으로써 적절하고 적극적인 교우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자기성장프로그램을 통한 고립아의 교우관계 하위영역인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민감성, 이해성의 교우관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통해 고립아들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친구관계에서도 어울림의 중요성을 수용하고 자신의 행동에 적극성을 가지고 나갈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성장프로그램이 고립아의 교우관계 하위영역인 친근감과 개방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우관계에서 힘있고, 강한 톤에 공격적으로 상대를 제압하듯 감정을 표출하는 행동이 단기간에 변화하지 않은 결과라고 보아지며 또한 남에게 좌우되는 것을 싫어하는 행동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그러나 중장기간의 결과를 고려해 볼 필요는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자기성장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립아들로 하여금 자신을 바로 이해하고 전달하며 수용하게 됨으로써 친구와의 관계 개선 및 이해함으로써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수용하게 하며 원만한 교우관계 발달에 중요한 바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자기성장프로그램을 통해 고립되어 어울리지 못하는 초등학생들에게 그들이 가지고 있는 약점을 장점으로 이끌어내어 더 자신감 있고 행복하게 살도록 도와줄 수 있다는 것이며, 중장기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친근감과 개방성의 교우관계에 대한 결과를 제외하고는 모두 의미 있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즉 자기성장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립아의 교우관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사회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서로의 특성을 이해하고 수용하게 하는 자기성장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한편, 이 연구의 결과는 자기성장프로그램 실시 일주일 후에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으므로 단기 효과를 반영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단기간에 변화하지 않은 결과는 기간이 연장되어야 나타날 수 있으며, 단기 효과들은 장기 효과로까지 지속되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차 장기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구가 필요하며 단기 효과와 장기 효과를 결합하여 검증할 수 있는 초등학생에게 알맞은 종합적이고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thes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Self-Growth Counseling Program given to isolated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 on improving Children's Friendships. In order to attain this aim, the following research subjects were considered : First, Is the Self_Growth (Counseling)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the isolated children's Friendship? Second, if it is effective, how does it affect specifically the sub-areas of the isolated children's Friendship, such as the general self-esteem, communication, self-trust, close friendship, self-sensibility, self-openness, self-understanding. For this study, twelve students that showing isolated children were selected through three the observation (survey) of the teacher, the dignose test of the social ability measurement given to 136 sixth grade students of C elementary school at the eup of CheongYang in ChungNam Province. The six students out of the twelve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tudents to the comparing group. The Friendship Scale in this study was modified and developed to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korea by KoreaYouthCounseling(1998), It consists of twenty-five questions to measuring eight sub-areas. The Analysis of the data processing in this study was analyzed with a statistics program SPSS/PC+.The t-verification was execu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 Self_Growth(Counseling)Program between the self growth counseling group and the comparing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it verifi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ingful level of p<.05. Through the above procedures, this thesis(study) was conclude as follows : First, the self-growth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isolated children's Friendshi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isolated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whose took the self-growth(Counseling) program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areas of Friendships. As a result, the self-growth (Counseling) program brings the awareness, understand and acceptance of oneself and helps recognize that he or she is a worthy being. As a conclusion, the Self_Growth Counseling Program improves the Friendship of isolated children, brings the genuine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as well as among the student and helps the school life and adaption of isolated students in the field of Friendships.

      • 소재의 특성과 감성을 중심으로 한 한산모시 특성화 연구

        이순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이미지 지각과 인상형성 이론을 중심으로 1) 문양에 의한 모시 소재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하고 2)모시의복의 문양이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3)모시에 대한 태도, 모시의 문양 선호와 색상 선호와의 관계와 부가적으로 4)자극물의 차이가 이미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현장연구와 준 실험연구로서 피험자 간 설계를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총44장의 자극물과 7점 등간 척도로 구성된 의미미분 척도, 자유응답으로 구성된 설문지, 1:1의 인터뷰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피험자는 대전 및 서천에 거주하는 10대에서 60대까지의 성인 남.녀 1549명으로 편의 표집 되었으며 자료 수집은 2004년 9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이루어졌다. 측정도구와 자극물에 대한 타당성은 전문가 집단과의 토의를 거쳤고 신뢰도는 Cronbach'⍺의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소재의 이미지 차원과 착용자의 인상차원, 지각자의 내적 특질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독립변인에 따른 소재이미지와 인상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과 던컨의 다중범위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극물의 차이에 따른 이미지 지각차이를 위해서는 T-검증을, 모시태도와 선호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양이 있는 모시 소재는 매력성, 촉감성, 품위성, 중량감의 4가지 소재 이미지 차원으로 분류되었고 각 문양은 모든 차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매력성에서는 번 아웃의 포도문양이, 촉감성에서는 자수기법의 포도문양과 평직을 가장 부드럽게, 품위성에서는 번 아웃의 포도문양만 낮게 지각하였고 중량감에서는 평직의 민무늬를 가장 가볍게 지각하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소재의 품위요인을 높게 지각하였다. 2. 문양이 있는 모시옷 착용자의 인상은 평가성, 현시성, 역능성, 사교성의 4가지 차원으로 분류되었고 문양에 따른 인상효과는 사교성 차원에서 평직의 민무늬와 체크문양과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은 모든 차원에 영향을 주었고 흰색은 평가성과 역능성에, 하늘색은 현시성과 역능성, 사교성에, 분홍색은 평가성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하늘색이 인상 차원에서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문양과 색상의 상호작용효과는 모든 차원에서 유의하였으며 평가성에서는 분홍색의 자수문양이, 역능성과 현시성에서는 하늘색의 체크문양이, 사교성에서는 하늘색의 번 아웃 포도문양이 가장 긍정적으로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지각자의 심미적 특질에 따른 소재 이미지 지각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심미성 추구 욕구가 높은 집단에서는 촉감과 중량감에 대한 지각에 있어 좀 더 부드럽고 가볍게 지각하였으나, 이익추구 욕구가 높은 집단에서는 품위성과 중량감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타나 소재를 더 품위가 있으며 가볍게 지각하였다. 5. CAD자극물과 실물자극물의 이미지 지각의 차이는 실물자극물이 더 매력 있고 가벼우며 질감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같은 문양일지라도 실물의상에 적용되었을 때와 소재에 적용되었을 때 촉감성과 중량감에서 차이를 보여 실물에서 더 가볍고 곱게 지각하였다. 6. 모시에 대한 태도와 소재의 문양 선호는 상호 연관이 없었으며 소재의 문양은 번 아웃의 포도문양이 가장 선호되었는데 나이에 따라 차이를 보여 30,40대는 평직의 민무늬를 1,20대와 5,60대는 번 아웃의 포도문양을 가장 선호하였다. 성별로는 여성은 평직의 민무늬, 남성은 번 아웃의 포도문양을 선호하였다. 7. 모시옷의 문양선호조사는 자수문양, 체크문양, 평직의 민무늬 3가지로 실험되었고 이중에서 자수문양의 포도문양 가장 선호되었다. 8. 색상의 선호는 모시태도와 상호 연관이 있어 천연염색한 모시를 더 좋아하는 그룹은 따뜻한 계열의 연한색상인 분홍, 연노랑, 연파랑, 흰색, 연녹색, 연보라의 순서를 보였고 천연염색한 모시를 좋아하지 않는 그룹은 파랑색, 흰색, 녹색, 연노랑, 연보라, 빨강의 순서로 차가운 계열과 짙은 색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소비자들의 모시에 대한 정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계승 발전시켜야 하며 디자인 개발과 대량생산 할 필요와 단점으로 가장 크게 부각된 가격과 구김성을 보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현재 한산의 모시생산과 판매의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모시산업을 활성화 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첫째, 모시고유의 브랜드를 만들고 브랜드 이미지를 높혀 브랜드 자산 가치를 높혀야 한다. 둘째, 현대 패션산업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패션의 감성적 욕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디자인의 소재 및 의상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후진 양성을 위하여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 다. 넷째,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 방식을 도입하여 가격을 낮추고 다양한 의복 아이템을 개발하여야 한다. 다섯째, 한산모시의 우수성을 널리 홍보하며 중국모시와 구별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한산모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디자인의 개발이 핵심적 요소이며 소재의 문양에 따른 이미지 지각의 효과를 보기위해 실시된 실험의 결과들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소재의 디자인 개발 차원에서 문양과 색상은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기본적인 요소인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감성 이미지 언어들은 객관적인 디자인 척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