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차구조 변화에 따른 저밀도 폴리에틸렌 박막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수원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분자 절연재료는 우수한 절연성, 광범위한 가공성 등의 이유로 소형 전자기기의 절연재료에서 전력 및 통신 케이블의 절연재료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적 특성은 고분자 특유의 복잡한 고체 구조와 제조 공정에서 혼입되는 불순물과 사용 중의 열화 및 열 이력 등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아직도 불명확한 점이 많다. 열가소성 수지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가공성과 연신 특성이 우수하여 박막화가 용이하고,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우수한 유전특성을 갖기 때문에 전기, 전자,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기절연재료는 주위 긴 가압 시간에서 사용하면, 초기의 전기적 제 특성이 저하한다. 고분자 절연재료는 특유의 복잡한 고체 구조나 제조시 혼합되는 불순물, 여러 종류의 첨가제와 산화 및 열 이력으로부터 고차구조의 변형 등으로 전기적 특성을 해석할 때 아직도 해결하고 개선되어야 할 과제들이 많이 남아 있는 실정이다. 폴리에틸렌의 전기전도나 절연파괴는 시료의 산화나 여러 종류의 첨가제 첨가, 고체구조의 변화에 의해서 크게 변화하고, 공간전하 특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결정성 고분자는 서냉하면 결정화도가 변하고, 구정이나 trans-crystal이 형성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정성 고분자 재료인 두께 30μm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온도 100℃, 점도 100cSt 실리콘유 내에서 1시간 후, 열처리 속도를 서냉, 수냉, 급냉 순서로 시료를 제작하고, 냉각속도에 따른 시료의 고차구조 변화가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의 물성 분석, 직류 전압과 임펄스 전압을 이용한 절연파괴 실험과 ramp 전압을 이용한 전기전도 실험 및 최근 정량적 측정방법의 한 종류인 레이저 유기 압력파(LIPP)법으로 공간전하 분포를 측정하고 검토하여 다음을 확인하였다.

      • 철 전극을 이용한 과황산염(S2O82-) 활성화 및 페놀, TPH 제거 효율 평가

        이수원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In Korea, soil contamination by organic compounds has been issued as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A various oxidants such as hydrogen peroxide, permanganate, ozone, and persulfate have been used to treat the contaminated soils. Among them, recently, persulfate has been used to treat soils contaminated with diesel. Persulfate should be activated to generate sulfate radical, one of strong oxidants, and the activation could be achieved by transition metals, increasing temperature or solution pH. Ferrous could activate persulfate to sulfate radical, and the chemical should be added continuously.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inert anode oxidizes water molecules and generates hydrogen ion. However, reactive anode like iron could be oxidized and generate ferrous ions. In this study, ferrous was generated by electrochemical reaction of iron anode, and used to activate persulfate. The production rate of ferrous highly depends on electrical energy supplied to the system.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electrochemical enhanced persulfate oxidation to treat phenolic compounds in aqueous phase. The electrochemically enhanced persulfate oxidation showed similar removal of phenol with the system of ferrous addition. The removal rate of phenol depends significantly on applied current and molar ration of persulfate to phenol. Applied to batch soil washing provide the not addition of ferrous to Tatal Petroleum Hydrocarbon(TPH) contaminated soil. And then, TPH was removed more than 50% for 2hours. As a result, to activation of persulfate and oxidation of TPH/organic matter as a transition metals in soil. Another electrorekinetic mediation was TPH removed about 73~90% without and/or with iron anode. This method was supplied ferrous and moved that considered specific TPH/organic matter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The results indicate that electrochemically enhanced persulfate oxidation could be a promising technique to mineralize TPH/organic compounds in soil and groundwater.

      •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 직무 스트레스 : Job Stress

        이수원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사람들은 가정 생활과 과중한 재무시간등 복잡한 일상생활에서 받는 압력으로부터 각종 스트레스에 직면해 있으며 일반 기업조직에 있어서도 조기원의 이러한 스트레스는 동료간의 불화, 동기결여, 불량률 증가 등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일반 기업 조직이나 군조직이나 조직활동에 있어서 나타나는 직무스트레스가 발생하여 그 원인이 조직체계 내의 리더와 리더십 형태에 따라 조직원이 느끼는 직무스트레스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한다. 군조직은 조직원 구성의 다양성과 동일 연령층 및 단기적 순환성 등 일반 사회조직과는 여러 가지에서 차이점이 있다. 특히 군조직은 주요 생활범위가 10-70명의 소규모 조직인 중, 소대로 소부대 지휘자의 리더십은 사병의 직무스트레스 발생의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이런점에서 중, 소대급의 소부대 지휘자가 어떤 형태의 리더십을 지니는가에 따라 군이 추구하는 전략의 극대화도 이어진다. 따라서 소부대 지휘자가 어떤 리더십의 형태를 지니는가에 따라 사병들의 스트레스가 증가되며 동기유발의 감소로 직무만족도 저하되며 이는 각종 군기사고 및 환자중대등 비전투력 비율이 증가된다. 본연구에서는 소부대급 지휘자(리더)의 리더십에 따른 병사들의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연구하였으며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구분하였으며 병사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설문지를 통한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에서의 직무스트레스는 정의 상관계를 보였으며 거래적 리더십에서의 스트레스는 높은 부의 상관계를 보였다. 결국 리더의 개인적 관심, 지적자극등 병사들의 의식변화를 통하여 병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수 있다는 것이다.

      • 한반도 군비통제의 쟁점과 해결방안

        이수원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반도에서 군사문제가 해결된다는 것은 남·북간의 긴장감이 사라지고 전쟁의 가능성이 줄어들어 통일로 가는 발판이 마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군비통제는 이러한 의미를 지닌 한반도 군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현재 남과 북은 상당한 양의 군사력을 양성하며 서로로부터 자신들의 체제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남과 북 모두를 언제 전쟁이 터질지 모른다는 불안감 속에서 살아가게 하고 있다. 그리고 방대한 양의 군대를 유지하려고 상당한 수준의 군비를 지출하며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고 있고 상대방의 얼굴이 확인되는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의 공격에 대비하고 있다. 자그마한 실수가 커다란 충돌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위험성을 줄이고 우발적인 상황으로도 일어날 수 있는 전쟁과 그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며 양측의 신뢰 구축과 정치·군사적 부담감 경감, 그리고 통일 후의 한국의 안보를 위해 군비통제는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사안이다. 현재 군비통제의 세계적 흐름은 개별 국가의 군비를 줄이고 그 대신 국가나 국제 기구간의 연합을 강화하고 있고 이를 통해 대량 살상 무기를 포함한 각종 무기류의 확산을 저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북한의 핵과 대량 살상무기를 혼자선 감당할 수 없는 한국에게는 고무적인 흐름이 되겠다. 그러나 동북아시아의 군비경쟁과 군비통제에 대한 관심이 적고 오히려 군사력을 이용해 체제를 유지하려는 북한의 상황은 한반도 군비통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반도 군비통제에 대해 한국은 북한 핵 문제의 완전한 해결을 전제로 한 후 점진적·단계적으로 추진하고 국제 사회와의 공조를 강화하며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반면에 북한은 주한 미군 철수를 전제 조건으로 군비 축소를 완료하는 기간을 3〜4년으로 하는 등 정치·군사 문제를 우선으로 일괄 타결을 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남과 북의 상반된 태도는 한반도 군비통제의 진행에 상당한 지장을 주고 있다. 특히, 상대방이 들어줄 수 없는 전제 조건은 이를 더욱 힘들게 하는 원인이다. 한반도 군비통제의 주요 쟁점은 핵 문제와 주한 미군 문제, 수도권의 안전 확보 문제, 전력의 불균형 문제이다. 이것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대화를 통한 해결이라는 기본 전제 하에 남·북 기본 합의서 준수, 미국과의 협조, 대량 살상무기 제거, 진행 속도의 탄력적 조절, 점진적·단계적 시행, 통일 한국군 구성을 원칙으로 하여 북한의 핵과 주한 미군을 다른 문제와 연계해 해결하는 포괄적 방법이나 위의 문제들을 하나 하나 해결해 나가는 개별적 방안을 활용하면 될 것이다 또한 상호 신뢰 구축과 안정된 군비통제의 진행을 위해 남과 북 당사자는 물론 6자회담 참가국이나 UN과 같은 국제기구의 도움을 받아 투명성이 확보될 수 있게 검증해야 하며 이때는 상호간의 성실한 자세가 필요하며 불이행했을 때를 대비한 제재 방안이 마련된다면 검증의 실제적인 실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확인 했듯이 한반도의 군비통제는 상당히 까다롭다. 한반도에서 벌어지는 일임에도 결코 한반도 내부만의 문제가 아니며 한반도 내에서도 대화를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다. 이렇게 복잡한 문제는 최대한 단순화 시켜서 하나씩 해결하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 우선 6자 회담을 통해 핵 문제부터 해결하고 이를 계기로 군비통제를 본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대화를 시작하면 좋을 것이다. 6자 회담을 아예 지역 안보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국제기관으로 만들어 한반도에서의 군비통제의 실행을 중재하고 실행 시 검증을 담당하게 하거나 핵 문제를 다룰 때 다른 회원국들의 협조를 얻어 한반도의 다른 군사 현안에 대해서도 대화를 할 수 있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는 당연히 국제 공조가 필수적이며 또한 끈기도 중요하다. 상대방이 자신의 요구 조건을 들어 주지 않는다고 해서 북한처럼 로켓을 발사하고 핵 실험 강행과 플루토늄 추출로 위협 하는 식의 강경책을 쓰면 상황만 악화시킬 뿐이다. 군비통제를 시작할 수 있는 동인이 부족한 상황을 6자 회담을 통한 국제 공조를 통해 해결하고 대화의 끈기 있는 시도를 통해 군비통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자는 것이다.

      • 단체장을 모델로 하는 기초자치단체 광고의 설득 효과에 관한 연구

        이수원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dvertisements (ads) for local governments are so active that 123 TV commercials have been executed from 2005 to early 2009. It is more likely that those local governments focus on the ads as active marketing means in order to survive from the low financial independency, however, there are concerns that the local government head uses those ads for his/her political purpose. In particular, as the local government head him/herself appears in ads as an advertising model,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on the effect when the advertisement uses the local government head as a model for the future development in the local government advertising. In this study, the analysis on the 123 TV commercials mentioned above has been carried out, considering the inadequate data about the basic analysis on the present ads condition of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each local government has different target products depending on its area scale, however, the local government ads as the main target for this study, were emphasized more on the tourisms and regional specialties relatively. In addition, the local government heads were exposed in ads as an advertising model at higher rate and for longer time. Therefore,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local government heads have higher wants to be exposed to the public. Also it apparently exhibits that there are more MSP (multiple selling propositions) types than USP as an express concept. As an experimental result by reflecting the review and analysis of the precedent studies, the local government head as a model generally shows higher attitude toward model in the local government ads than the expert models. Especially, in the ads for the regional specialties, model preference with local government head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xpert models. The model reliability has also higher tendency for the local government head as a model although it is not that significant in statistics. In the regional specialty ads like agricultural products, it is interpreted that the attitude toward model is higher for the local government heads because of their credibility based on the responsibility and trustworthiness they guarantee the products. But it was not able to improve the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Aad). In the ads for tourism, there was no special difference in model types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model and advertisement. The Aad was higher in the expert models, but not significantly. Since the products are carefully chosen by researching minutely and taking many opinions, it is assumed to reflect those product characteristics with credibility based on the expertise. The regional specialty-MSP concept significantly showed higher model reliability with the local government head than the expert models. Although the interaction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ree variables, the model reliability reached closed to the significant level. The local government head as a model showed higher model reliability for USP concept in the tourism ads, while higher for MSP concept in the regional specialty ad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expert model in tourism ads, and higher model reliability for USP concept in regional specialty ads. In general,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local government head as a model showed higher attitude toward model than the expert models, and higher scores in the regional specialty especially for the MSP concept. However, it did not obtain any significant result for the Aad. This result exhibits that the local government head as a model has an effect to increase the preference and reliability toward the local government head, but no effect to increase the preference of the advertisement itself. Although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discussions and studies, to some degree, this study proved the concerns that the local governments have spent so many budgets for the ads appearing the local government heads as a model for the political purpose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themselves. However, the professional models have higher Aad for the USP concept in the tourism ads, showing the possibility of high ads effects when the model is proper to the product type.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persuasive effect of the local government head as a model through the experiments with TV commercials. Hopefully, beyond the limits of this study, more useful studies are achieved in the future. 2005년부터 2009년 상반기까지 집행된 TV광고가 123건에 달할 정도로 지방자치단체 광고가 활성화되고 있다. 낮은 재정자립도로 인해 생존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마케팅의 수단으로 광고에 주목하는 면도 있지만 단체장의 정치적 의도가 개입되어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특히 단체장이 직접 광고 모델로 출연하는 경우가 많아 향후 지방자치단체 광고 발전을 위해서도 단체장 모델 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방자치단체 광고 현황에 대한 기초적인 분석 자료가 미비한 상황임을 감안하여, 상기한 TV광고 123건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자치단체 규모에 따라 광고 대상 제품이 달라 본 연구의 대상인 기초자치단체 광고에서는 관광과 특산품에 상대적으로 중점을 두는 것을 확인하였고, 단체장의 모델 출연 비율이 높고 노출시간까지 길어 단체장의 노출 욕구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표현 컨셉에 있어 USP 컨셉 유형보다 MSP 컨셉 유형이 뚜렷이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 고찰과 내용분석 결과를 구성에 반영하여 실시한 실험 연구 결과, 단체장 모델은 기초자치단체 광고에서 전반적으로 전문가 모델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모델 태도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산품 광고에서는 단체장 모델의 모델 선호도가 전문가 모델 선호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모델 신뢰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단체장 모델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농산물 중심의 특산품 광고에서, 제품을 보증하는 단체장의 책임감과 진실성에 기반한 신뢰성 속성 때문에 단체장 모델에 대한 모델 태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광고 태도까지 높이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 광고에서는 모델 태도와 광고 태도 모두 모델 유형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광고 태도에서는 전문가 모델이 더 높게 나왔다. 비교적 치밀하게 탐색하고 주변의 의견을 많이 참고하여 신중하게 결정하는 제품 특성상, 전문성에 기반한 신뢰성이 상당히 중요한 제품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산품-MSP 컨셉에서는 단체장 모델의 모델 신뢰도가 전문가 모델 대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변인 간 상호작용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지만 모델 신뢰도에서 유의수준에 근접하게 나타났다. 단체장 모델의 경우 관광 광고에서는 USP 컨셉에서 모델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산품 광고에서는 MSP 컨셉에서 모델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가 모델의 경우 관광 광고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특산품 광고에서는 USP 컨셉에서 모델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단체장 모델은 전문가 모델 대비 모델 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특산품, 그 중에서도 MSP 컨셉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광고 태도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체장 모델의 출연은 단체장에 대한 선호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데는 효과가 있지만 정작 광고 자체에 대한 선호를 높이는 데에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좀 더 깊은 논의 및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단체장 모델 광고가 기초자치단체의 많은 예산을 들여 단체장 본인에 대한 지명도와 평가를 높이려는 정치적인 목적 달성의 수단으로써 활용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그 동안의 우려를 입증하는 결과라고 볼 수도 있다. 반면 전문가 모델은 관광 광고, 특히 USP 컨셉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광고 태도를 보여, 적합한 제품유형에 기용될 경우에는 광고 효과가 높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TV광고를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단체장 모델 광고의 설득 효과를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보다 유용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원자력발전소 중대사고시 격납건물 조기손상의 현상학적 불확실성 평가

        이수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대사고 현상은 광범위한 조건으로 인해 매우 큰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사고조건이 고온, 고압이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증명, 검증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국내 원전에 대한 고유의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동안 국내외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국내 원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참고자료는 1980년대 미국에서 행해진 연구결과이며, 확률론적 안전성평가 등의 안전성분석에는 최신의 방법론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2단계 확률론적 안전성평가에서 격납건물 파손확률을 도출하기 위해서 열수력 분석의 결과로써 단일값 형태의 격납건물 압력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격납건물 조기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사고 현상에 대한 불확실성 분석체계를 확립하고 MELCOR 전산코드를 사용하여 국내 고유 원전에 적용한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불확실성 분석 결과로써 격납건물 압력분포를 제시하는데 주요 착안점을 두었다. 격납건물의 다양한 손상유형 중 격납건물 조기손상(Early Containment Failure, ECF)을 선정한 이유는 원전의사결정의 대표적인 기준으로 사용되는 대량조기 방사선물질 방출빈도(Large Early Release Frequency, LERF)의 주요인자가 격납건물 조기손상이기 때문이다. 선행연구결과를 검토하여 중대사고 시 조기 격납건물 손상의 주요 현상을 파악하고 불확실성 분석을 위한 7단계의 분석방법론을 확립하였다. 자연순환유로 등의 선행연구결과가 반영된 MELCOR 입력을 작성하였고 격납건물 조기손상의 대표 사고경위인 발전소정전사건에 대한 사고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초기사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조기 격납건물 손상의 주요 현상과 관련된 MELCOR 내부모델 및 상관식을 파악하여 불확실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선정하고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불확실성 인자를 최종 선별하였다. 선별된 인자에 대해 Wilks 공식에 따라 신뢰성있는 크기의 표본을 추출하여 불확실성을 분석하였고 통계처리를 통해 사고시 격납건물 첨두압력의 분포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불확실성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여 도출한 격납건물 압력 분포는 2단계 PSA의 격납건물 조기손상 확률에 내재된 불확실성을 저감하고 2단계 PSA의 품질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국내 원전 고유의 위험도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안전성 보장을 위한 높은 여유도를 줄임으로써 비용 및 안전에 대한 개선이 예상된다.

      • 한국의 재래시장에서 번영회장의 리더십이 상인들의 리더십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수원 韓國外國語大學校 經營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재래시장은 먼 옛날부터 유통부문 담당의 중요 기능을 수행하며 발전해왔다. 그러나 1996년 유통시장 전면개방으로 인한 외국 대형 유통 기업의 국내진입, 정보화 사회로의 변모에 의한 인터넷 판매 증가등 여러 악재가 겹쳐 깊은 난관에 봉착해 있는 상태이다. 재래시장은 단순한 시장 기능이외도 사회적, 종교적, 정서적 측면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자본주의의 경쟁원리에서만 접근할 수 없는 일이다. 이에 관련 학계에서는 재래시장의 재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방면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재래시장 관련 연구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재래시장을 이끌어 나갈 리더십을 가진 지도자의 부재함과 시장 상인들의 변화를 통해 위기를 타개하고자 하는 의욕이 부진함을 자주 지적하고 있으나 특정 지역별 재래시장 연구, 외국 사례 연구, 대형마트와의 비교 등 시장 리더의 리더십과 시장 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래시장의 재활성화를 위해 최종적으로 필요한 것은 시장 구성원들의 혁신 행동이라 판단하고 이를 활성화 하기 위해 시장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그리고 시장 구성원의 셀프 리더십과 혁신행동 네 가지 변수가 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실증분석을 병행하여 이루어 졌으며 실증 분석을 위한 설문은 대전에 위치한 S사와 전국 각지의 대리점을 통해 서울, 부산, 광주 등 전국 7개 지역 40여 곳의 재래시장 상인 5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AMOS 4.0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각 변수의 모델 적합도 검사를 통해 적합한 것으로 판정을 받은 변수들만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해보면 변혁적 리더십이 셀프 리더십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은 기각되었으며, 거래적 리더십이 셀프 리더십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는 채택 되었다. 셀프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고,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고 설정한 가설 4와 가설 5 역시 기각 되었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 행동 사이에서 셀프 리더십이 매개작용을 할 것이라 설정한 가설 6은 기각되었으나, 거래적 리더십과 혁신 행동 사이에서 셀프 리더십이 매개작용을 할 것이라 설정한 가설 7은 채택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통상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종속변수에 더 큰 정(+)의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는 달리 재래시장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거래적 리더십이 오히려 더 큰 정(+)의 효과를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셀프 리더십 역시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 행동 사이를 매개하지는 못하여도 거래적 리더십과 혁신 행동 사이를 매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래시장의 특성을 알기위해 되도록 연구지역을 넓혔으나 전체 재래시장의 일부에 지나지 않아 표본집단이 모집단의 특성을 대표한다고 보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둘째, 설문지역이 전국 각지의 재래시장이기 때문에 연구자가 직접 설문에 대해 설명하지 못하였고, 이에 설문자가 성의있게 답을 하였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발생하였다. 셋째, 재래시장 내에서 거래적 리더십이 셀프 리더십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나 거래적 리더십은 수많은 리더십 중 하나에 지나지 않으며 더 큰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는 리더십에 대한 추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통상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에 비해 큰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주장되나 본 연구에서는 거래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에 비해 더 큰 효과를 내었으며 이에 대한 원인 규명 역시 명확하지 못하였다.

      • 자기부상열차 분기기의 해저드 분석에 관한 연구

        이수원 경상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a hazard analysis of turnout system for maglev railroad system is performed from the view point of RAMS assessment procedures. Hazard is defined as a condition that can lead to a potential failure or an accident. The effects of hazard are increased for whole system life cycle and must be maintained according to maglev acceptance level. The hazards confirmed “tolerable” or “negligible” are accepted to the maglev system, while “intolerable” or “undesirable” hazards are not, and adequate provisions has made for reducing the risk level. This study shows method for identifying and verifying the hazards and checking system acceptance possibility. Starting by studying research backgrounds and purpose of RAMS, methods and considerations of RAMS management are reviewed. Next, basic concept of railroad system and management of RAMS are reviewed, and management methodology of hazard analysis is presented. Also, Maglev turnout system for the hazard analysis is investigated, analyzed and verified by RAMS safety requirements. Total 71 hazard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frequency and severity aspects. Initially 11 hazards were identified as 'not accepted' and risk reduction procedure for this hazard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