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소현의 작품 연구 : 플루트 독주를 위한 『감정에 관한 단상』(2019), 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오해 (Twisted)』(2018), 현악 사중주를 위한 『화이트아웃 (Whiteout)』(2018), 플루트, B♭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43

        This thesis is a study of four works included on the Master’s degree recital of Lee So-hyun on April 25, 2019 at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usic Recital Hall. The works include: Fragmentary Thoughts on Emotion for flute solo (2019), Twisted for B♭clarinet, cello and piano (2018), Whiteout for string quartet (2018), and The Empire of Light for flute, B♭clarinet, bassoon, violin, viola and cello (2017). This research aims to describe the background and theme of each work, the composer’s intentions, and to examine how the musical language, including tone material, chord progressions, and musical form, were applied to each work. Fragmentary Thoughts on Emotion (2019) for flute solo, in three movements, expresses momentary emotional thoughts of the composer. The first movement describes ‘boredom’ in our busy daily routine. It utilizes melodic expansion and multiphonics to portray two contradictory images of contemporary society: ‘boredom’ and ‘complexity‘. The second movement depicts ‘nervousness.’ This is expressed through unidentified and vague tension caused by unexpected situations and extended playing techniques, such as key clicks, jet whistle, tongue ram, etc. The third movement-using the theme of ‘unpredictability’ and in addition, referencing ‘boredom’ and ‘nervousness’-embodies the confusion of various unpredictable emotions such as joy, sorrow and fear, which come in short bursts. In order to express the many complicated and subtle emotions in this third movement, many new performing techniques are added within musical elements from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The second work of the repertory, Twisted (2018) for B♭clarinet, cello and piano-consisting of two movements-describes ‘misunderstandings’ of emotions and words between people, as well as the situations and emotions resulting from this misunderstanding. The first movement, titled “Inextricable misunderstanding”, characterizes each instrument by expressing the stifling situation of impossible communication in time and space, while the second movement expresses the stifling emotions from ‘Insolvable, repetitive misunderstandings.’ In this first movement, the piano plays chords of long duration, portraying insolvable problems, while the clarinet and cello gradually expand a three-measure motivic progression to represent two people facing incommunicability. In the second movement, the piano symbolizes transpiring time, being perceived intermittently in part A, and then limitation, when reaching the end in part B.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contrast elements, such as note duration or tempo, in order to represent two distinct sensations created in the same situation. The third work, Whiteout (2018) for string quartet, represents being without foresight in an unexpected moment, via a variety of string techniques. To exhibit the crisis of the protagonist-a change in psychological aspect and the state of ‘Whiteout’-this work follows an A-B-C structure. The sustained sound and ricochet technique in part A embody a disconcerting feeling, like snow piling up, with harmonics and glissando in the part B representing an invisible foggy state; finally, with eventually a partial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short rhythm motives in part C, it achieves the ultimate ‘Whiteout’ state. The fourth and the last work, The Empire of Light (2017) for flute, B♭ clarinet, bassoon, violin, viola and cello, is inspired by the painting, The Empire of Light (L'empire des lumières) (1954), of the Belgian surrealist René Magritte (1898-1967.) It depicts the contradictory pictorial sensation of a house lit with only one street light, symbolizing ‘the Light’ in darkness that contrasts the clear sky. The main melody, which is the ‘Light’ theme, appears continuously in succession, with the structure of the entire work being in development of the this melody’s elements. In summary, both the atmosphere of these works, as well as the various intentions of composer Lee Sohyu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fining the music. Such ideas, like translating a subjective feeling melodically, reflecting a virtual situation or symbolizing a protagonist are essential elements. This research is devoted to examining the genesis of the composer’s idea and to demonstrate how this message is represented through various aspects of her musical language. 본 논문은 이소현의 석사 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 작품인 플루트 독주를 위한『감정에 관한 단상』(2019), 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오해 (Twisted)』(2018), 현악 사중주를 위한 『화이트아웃 (Whiteout)』(2018), 플루트, B♭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위한『빛의 제국 (The Empire of Light)』(2017)에 대한 고찰이다. 이 연구에서는 작품별로 곡의 배경, 주제 및 작곡 의도 등을 밝히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선택한 음의 소재, 화성 진행, 음악 형식 등의 음악적 어법이 작품에서 어떻게 구체화 되었는지 알아본다. 플루트 독주를 위한 『감정에 관한 단상』(2019)은 작곡자가 느끼는 순간의 감정들에 관한 단상을 세 개의 악장으로 표현한 것이다. 제 1악장은 바쁜 일상 속에서 느끼는‘지루함’을 나타낸다. 현대사회의 복잡함과 지루함이란 상충되는 두 개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해 선율의 확장, 멀티포닉스(Multiphonics) 등을 사용하였다. 제 2악장은 ‘긴장감’을 표현한 악장으로, 알 수 없는 막연한 긴장감과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한 긴장 등 다양한 긴장감의 형태를 키클릭(Key clicks), 젯휘슬(Jet whistle), 텅램(Tongue ram) 등 여러 현대 플루트 주법을 이용하여 색채적으로 나타내었다. 제 3악장의 주제는 ‘예측 불가함’으로 앞 두 악장에서 표현한 긴장과 지루함을 비롯해 기쁨과 슬픔, 두려움 등 짧은 시간동안 찾아오는 다양하고 예측 불가한 감정들의 혼란을 형상화하였는데, 복잡하고 섬세한 여러 감정의 표현을 위해 1악장과 2악장의 음악적 요소들과 더불어 새로운 주법들을 함께 사용했음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작품 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오해 (Twisted)』(2018)는 총 2악장으로 구성된 것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주고받는 감정과 말 사이에 생긴 오해, 그 오해로 인한 상황, 감정 등을 표현한 곡이다. 제 1악장은 ‘풀리지 않는 오해’로‘시간과 공간 내에서의 소통되지 않는 답답한 상황’을, 제 2악장은 ‘해결되지 않는 반복되는 오해’와 그로 인한 답답한 감정을 각각의 악기로 캐릭터화(Characterization) 하였다. 1악장의 긴 음가 화음의 피아노는 풀리지 않는 문제를, 3마디의 동기의 점차적인 확대 진행을 보여주는 클라리넷과 첼로는 소통되지 않는 두 사람을 표현한 것이다. 2악장에서의 피아노는 흘러가는 시간을 뜻하는데 A부분에서는 간헐적으로 인지되는 시간, B부분에서는 끝에 다다른 제한된 시간을 나타낸다. 1악장과 2악장은 같은 상황에서의 다른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음가나 빠르기 등의 요소가 대조적으로 구성되어있다. 세 번째 작품인 현악 사중주를 위한 『화이트아웃 (Whiteout)』(2018)은 다양한 현악기의 주법들을 통해 예상치 못하는 순간에 맞닥뜨리는, 한치 앞도 알 수 없는 상태를 표현한 작품이다. 점점 변화하는 상황에서 가상의 주인공이 맞닥뜨리는 쌓여가는 위기와 그로 인해 고조되는 심리의 변화, 그리고 ‘화이트아웃’ 상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A-B-C‘의 형식을 택하였다. A부분의 지속음과 리코쳇(Ricochet) 등은 점점 쌓여가는 눈 혹은 당황스러운 상황을, B부분의 하모닉스와 글리산도로 앞이 보이지 않는 뿌연 상태를 형상화했으며, 마지막 C부분의 짧은 리듬으로 이루어진 동기의 부분적 발전과 확대를 통해 결국 맞닥뜨리는 ‘화이트아웃‘ 상태를 표현하며 곡이 마무리 된다. 마지막 네 번째 작품인 플루트, B♭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위한 『빛의 제국 (The Empire of Light)』(2017)은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 (René Magritte, 1898-1967)의 작품 『빛의 제국 (L'empiredes lumières)』(1954)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된 곡으로, 맑은 하늘과 그 아래 반대되는 까만 어둠 속에 홀연히 가로등만 켜져 있는 집의 모순적인 회화적 느낌을 표현한 곡이다. 전체 형식은 ‘A-B-C-A’로 빛의 주제라 할 수 있는 주요 선율이 지속적으로 꼬리를 물고 등장하여 진행되며 각 부분에서 주제의 요소가 축소, 확대, 발전, 변주됨으로서 곡이 구성된다. 본 연구는 네 작품의 연구를 통해 작곡가의 작곡 의도를 밝히고 또한 작품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다양한 음악적 어법의 적용하여 어떻게 음으로 구체화 하였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 한국 중장년층의 건강행태와 식생활 및 식품섭취에 따른 정신건강상태 : 제5, 6,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12-2016)

        이소현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신건강문제는 개인에 따라 신체적, 유전적, 사회환경격 요인이 복합적인 양상을 띄는 질환이다. 중년기는 사회적, 신체적으로 큰 변화가 나타나 정신건강문제가 대두되는 시기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며, 정신건강상태는 건강행태와 식생활, 식품섭취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건강행태, 식생활 및 식품섭취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자살 생각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를 비교하여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대상자들의 올바른 건강행태와 식생활 관리 및 식품섭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제5, 6,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2-2016)에 참여한 만 40-46세의 중장년층 9,349명을 성별로 나누어 남성 3,549명, 여성 5,800명을 분석을 하였으며 정신건강 상태의 판단 기준은 설문 중 스트레스 인지 여부, 2주간 우울 경험, 자살 생각을 이용하여 각 ST군, DP군, SC군으로 정의하였다. 건강설문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 자료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영양조사 자료는 112개의 음식항목으로 구성된 식품섭취빈도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0.0 ver을 사용하였으며, 차이와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T-test 또는 Chi-square test를 통하여 Mean±SD 또는 Numbers(percentage)을 확인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05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한국 중장년층은 ST군, DP군, SC군 순으로 건강행태가 점점 더 나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여성은 비만인 경우 정신건강문제가 많이 나타나는 반면 남성은 반대 양상을 보였다. 식생활에서는 정신건강문제가 있는 경우 외식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표시를 인지조차 하지 않는 경우의 비율이 높았으며, 경제적인 이유로 식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식품선택에 있어서 성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공통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 식품군으로는 채소류였으며, 정신건강문제가 있는 경우 섭취가 적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채소 섭취가 정신건강을 위한 중요한 식품류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중장년층의 건강행태와 식생활 및 식품섭취가 정신건강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신건강을 위해 올바른 식생활과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와 식품 선택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Mental health problems are disorders in which physical, genetic,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re complex. Middle-aged generations is a time when major social and physical changes occur and mental health problems emerge,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are reported to be closely related to health behavior, diet and food intake. This study is conducted for the middle aged generation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helpful for the subjects with mental health problem to have proper health behavior and dietary management and food intake by compare mental health problem such as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health behavior, dietary life, and food intake. It is analyzed 3,549 male and 5,800 female by dividing 9,349 people’s gender who aged 40-64 and participated in the 5th, 6th,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nd evaluation standard for determining status of mental health was defined as ST group, DP group, and SC group by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for 2 week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survey.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data of the health survey,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And the nutrition survey were used food intake frequency survey data composed of 112 food item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20.0 ver and checked Mean±SD or Numbers(percentage) through T-test or Chi-square test for the association with differences.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based on P<0.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iddle-aged Koreans saw their health behavior increasingly bad in the order of ST, DP, and SC. While women showed many mental health problems when they were obese, while men showed the opposite side. In dietary life, it was found that people eat out less if they have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 proportion of cases where they do not even recognize nutrition indications was high, and meals were not well done for economic reasons. In food selection, it was different by gender. The common food group was vegetables. In the case of mental health problems, vegetables appear to be an important food item for mental health because consumption is low.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a proper diet, balanced nutrient intake and food selection are necessary for mental health because middle-aged people’s health behavior,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 can affect their mental health.

      • 초등교사의 문학 수업 성찰 연구

        이소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문학 수업 성찰을 위해 구체적인 절차와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여 그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문학 수업에서 교사는 자신과 학생, 그리고 텍스트 사이의 상호작용을 민감하게 알아차려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학 수업의 여러 요소들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먼저 수업 성찰의 개념과 원리를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수업 성찰이 교사의 교수행위 전반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문학 영역 내용교수지식을 성찰의 요소로 삼고 문학 영역 내용표상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 성찰의 절차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생각을 주요 연구 자료로 삼아 사회 문화적인 현상을 탐구하는 자문화기술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력 4년차 교사 1명을 연구 참여교사로 선정하여 총 4번의 수업 성찰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교사는 매 수업 전에 사전 질문지를 작성하며 문학 영역 내용표상을 작성하며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의 의도와 고민을 성찰하였다. 수업 후에 연구 참여교사는 자기 수업 영상을 보며 자기 수업 관찰 기록표를 작성하였다. 자기 수업 관찰 이후에 연구자와 연구 참여교사 간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4번의 수업 성찰을 마치고 연구 참여교사는 자신의 성찰 과정을 돌아보며 반성적 글쓰기를 하였다. 연구 참여교사의 수업 성찰 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초등 국어과 문학 영역 내용교수지식의 다섯 가지 요소에 대한 성찰 내용과 연구 참여교사의 변화로 제시하였다. 문학 영역 내용교수지식의 다섯 가지 요소에 대한 성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에서 특징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어과 수업에 대한 지향에 대한 성찰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수업 성찰이 진행될수록 연구 참여교사의 지향점이 구체적으로 발전하였다. 국어과 내용에 대한 지식의 성찰은 대부분 텍스트 수용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지식과 관련해서 연구 참여교사는 주로 학생들의 문학 지식보다 문학 경험에 대하여 성찰하였다. 국어과 수업을 위한 교수전략과 표상에 대한 지식의 성찰은 텍스트 수용을 위해 교사가 표상한 구체적 전략과 관련하여 이루어졌다. 국어과 학습 평가에 대한 지식의 성찰은 상대적으로 미비하게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문학 수업 성찰을 통하여 연구 참여교사가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교사는 수업 성찰을 통해 학생들을 폭 넓게 이해하고 신뢰하는 태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텍스트 수용 공간의 확대와 내용 준거 사이의 균형을 탐색하고자 노력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교사가 학생의 텍스트 이해 활동을 이전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밝힌 문학 수업 성찰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수업 성찰을 통해 문학 수업의 의미와 가치를 깨달을 수 있다. 둘째, 수업 성찰은 문학 수업의 질을 높여준다. 셋째, 수업 성찰은 교사의 자발적 변화와 성장을 가져온다. 넷째, 수업 성찰은 교사와 학생 간 관계를 성장시킨다. 본 연구에서 밝힌 문학 수업 성찰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수업 성찰을 통해 문학 수업의 의미와 가치를 깨달을 수 있다. 둘째, 수업 성찰은 문학 수업의 질을 높여준다. 셋째, 수업 성찰은 교사의 자발적 변화와 성장을 가져온다. 넷째, 수업 성찰은 교사와 학생 간 관계를 성장시킨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한 후속 연구를 위하여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 수업 성찰에서 텍스트의 생산, 구조, 반영에 대한 성찰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수업 성찰을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셋째, 더 많은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 성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피고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교사가 주체적으로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고 개선하는 연구가 초등 교육 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이 MZ세대의 소비 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소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such as influencer expertise, integrity, and reliability, and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interact with MZ generation in consumption selection, such as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is surve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00 MZ households using social networks from September 29 to October 1, 2021, and a total of 300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 ver statistical program. The contents of statistical analysis were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Seco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verage of each variable, such as expertise, integrity, reliability,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influencer. Third,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such as influencer expertise, integrity, reliability,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influencer on consumption selection of MZ gener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n through thes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e to two hours of daily social media use was the most common, and influencer's most interested product among recommended products turned out to be beauty products. Second, influencer expertise was high in the order of 3.56 (based on 5 points), 3.27 truthfulness, and 3.26 reliability, followed by 3.57 purchase intention and 3.03 repurchase intention. Third, variables such as expertise, integrity,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influenc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major variable, influencer's expertise, integrity, and reliability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in particular, influencer's expertise was closely related to MZ generation's consumption choice. Fifth, it was found that influencer expertise and relia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n other words, influencer's expertise in information provision and marketing had a great influence on MZ generation's consumption choi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erception and reliability of influencer can be found based on the fact that it affects consumers who currently use social network media and the current MZ generation. Each brand should be targeted during promotions so that authenticity and reliable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by advocating similarities such as influencer. In addition, products promoted by influencer should be marketed to permeate the influencer lifestyle regardless of gender, and influencers with expertise in men should be able to select and deliver only factual information to ensure that male consumers of Generation MZ have a positive attitude. 본 연구의 목적은 인플루언서의 특성인 인플루언서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를 파악하고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MZ세대에 구매 의도 및 재구매 의도 등 소비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상호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MZ세대 300명 대상으로 2021년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0부가 회수되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 ver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내용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둘째, 인플루언서의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 구매 의도, 재구매 의도 등 각 변수들의 평균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플루언서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와 구매 의도 및 재구매 의도 등 각 변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주요변수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다섯째,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이 MZ세대의 소비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통계분석결과를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시간은 1-2시간이 가장 많았고, 인플루언서가 추천제품 중 가장 관심 있는 상품은 뷰티제품으로 드러났다. 둘째 인플루언서 전문성 3.56(5점 기준), 진실성 3.27, 신뢰도 3.26 순으로 인플루언서 전문성이 높게 나왔으며, 구매 의도 3.57, 재구매 의도 3.03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인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와 구매 의도 등의 변수는 성별 간 유의미한 차를 보였다. 넷째 각 주요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플루언서의 전문성, 진실성, 신뢰도는 구매 의도 및 재구매 의도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인플루언서의 전문성은 MZ세대의 소비선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플루언서 전문성과 신뢰도는 구매 의도와 재구매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플루언서의 정보제공 및 마케팅에 관한 전문성은 MZ세대의 소비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인플루언서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는 현재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현재 MZ세대를 중점으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각 브랜드는 홍보 진행 시 타겟으로 하여 인플루언서와 같은 유사성을 내세우며 진정성과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인플루언서가 홍보하는 제품이 성별과 관계없이 인플루언서 라이프 스타일에 스며드는 마케팅하여야 하며 인플루언서를 통한 제품 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MZ세대의 남성 소비자들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남성을 대상으로 한 전문성을 가진 인플루언서들은 선별하고 사실에 입각하는 정보만 전달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Oboe Reed Making이 G. Ph. Telemann Fantasien No.5의 연주에 미치는 영향

        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보에(Oboe)는 두 겹의 리드(Reed)로 만들어진 발성체를 가진 악기로서 아주 오랜 옛날 유럽과 아시아에서 유래되었다. 특수악기로 알려져 온 Oboe는 현재 독주악기로서 뿐만 아니라 중주, 합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악기로 성장되었다. 연주자가 훌륭한 연주를 하기 위해서는 악기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특성을 파악하고 고도의 테크닉을 구사하기 위한 정교한 악기를 소유하는 것이 필수적일 것이다. 특히, Oboe는 좋은 악기와 더불어 좋은 Reed가 필수적인데 앞에 열거한 조건들이 다 갖추어져 있다 할지라도 좋은 Reed가 갖추어져 있지 않다면 훌륭한 연주를 기대할 수 없다. 그런데, Reed는 한번 만들어서 영구적이지 못하고 계절과 기후, 연주자의 신체조건, 입모양, 호흡, 연주하는 장소의 울림상태 등에 따라 Reed의 상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수시로 Reed 제작을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필자가 그동안 연주활동을 통해 얻은 연주경험과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 출판된 서적을 통해 Reed Making에 관해 논리적으로 정립시키고 Oboe작품 중, G. Ph. Telemann의 Zwlf Fantasien No.5를 분석, 고찰하여 Reed Making과의 관련을 연구하고자 한다. As Oboe is on instrument with sound producer made in double reed it originates from Europe and Asia along time ago. The Oboe, which has been known as a special instrument, is currently developed as an important instrument for duet and ensemble as well as solo. In order to play instrument in excellent regardless of any instrument,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eatures and properties of instrument and arrange excellent instrument together with high technique. Especially, in case of oboe, excellent reed together with excellent instrument is essential, thus cannot expect wonderful play if don't have excellent reed although all above mentioned conditions are arranged. Reed is not permanent and its shape or thicknes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season, weather, performent's physical condition, embouchure, and breathing, etc., accordingly shall make reed frequently. Therefore, this study is to theorize logically on reed making based on my experiences related with performance up to now and literatures published from not only home but also overseas, and to research a relation of reed making with Zwlf Fantasien No. 5 by G. Ph. Telemann among many oboe music by analyzing and considering the music.

      • 호텔 이용 고객이 나타내는 불평 반응•불만 사항이 서비스 직원의 부정적 직무감정에 미치는 영향

        이소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이 서비스 기대 불일치가 일어났을 때, 즉 고객만족을 하지 못하여 불평을 나타내는 반응이나 그들의 불만 사항 원인에 따라서 호텔종사원이 느끼는 부정적 직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근무하는 부서별 서비스 접점과 연령, 성별, 직무경력인 개인적 특성이 종사원의 부정적 직무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하고자 하는 변수들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고찰하였고 도출된 개념을 토대로 하는 본 연구의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호텔 이용 고객의 불평 행동을 경험한 표본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고객의 불평 반응과 불만 사항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고객의 불평 반응과 불만 사항에 따른 결과로서의 직원의 부정적 직무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변수의 추출은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조사는 전국의 모든 호텔 종사원의 모집단의 표본을 선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성별, 연령과 상관없이 국내 특 1급(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신라, 롯데, 조선, 메리어트, 리츠 칼튼, 서울 플라자, 임페리얼 팰리스)에 종사하는 직무 경력 1년 이상이며 고객의 불평 반응․불만사항 경험이 있는 직원을 대상으로 표본 추출을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기간은 2007년 4월 4일부터 4월 30일 까지로 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가 320부이다. 이 중 응답 내용이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불성실한 설문지 30부를 제외한 290부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사항과 서비스 접촉 정도에 따른 서비스 접점 부서에 대한 빈도 분석과 고객의 불평 반응․불만사항의 속성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화된 사항은 신뢰도 분석을 통한 내적 타당성 검증을 하였다. 또한 종사원이 느끼는 부정적 감정인 직무 스트레스의 속성도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요인화하였다. 가설 검정을 하기위한 방법으로 고객의 불평 반응․불만 사항과 직무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종사원의 성별, 연령, 직무 경력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가설에서 제시된 고객의 불평 반응․불만 사항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및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델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AMOS 5.0을 사용하였다. 빈도 분석에 의한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특징은 본 연구의 응답자가 성별은 거의 비슷하나 연령이 거의 20대에 치중되어 경력이 1년 이상에서 5년 미만인 직접적 접점 부서인 객실부와 식․음료부에 종사하는 사원급을 대상으로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접촉정도에 따른 서비스 접점부서가 종사원의 부정적 직무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본 연구에서 제외, 종사원의 성별․연령․직무경력에 따른 직원의 부정적 직무감정에 미치는 영항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고객의 불평반응과 불만사항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호텔의 여성종사원들이 남성종사원들보다 더욱 직무스트레스를 받으면, 이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호텔업무가 육체적으로 힘들고 집중력을 요구하는 업무 이외에 고객으로부터 받는 업무적 능력에 대한 무시나 고객의 반어체 사용을 통한 무례한 행동을 겪을 때, 가장 힘들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여성종사원들의 경우, 업무 전 고객으로부터 받는 비슷한 사례 등을 사전 교육을 시켜 실제 그러한 일을 맞닥뜨렸을 때, 당황하거나 감정을 상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여 이직갈등을 줄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실제로 워커힐 호텔의 식․음료부서에서는 업무 전 회의시간에 음담패설에 관한 노출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을 시켜 여성 신입사원들의 충격을 줄여주고 감정부조화를 겪지 않을 수 있게 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식․음료부서의 경우, 주류담당의 바텐더나 남성고객들이 많은 곳의 서비스제공을 하는 경우나 객실부서의 경우 특히 야근근무 시, 이러한 직무스트레스가 쉽게 발생 될 수 있는 시간대의 스케줄을 남성종사원으로 편성․배치하여 근무 하는 등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최대한 줄이는 것도 하나의 방안으로 사료된다. 연령에 따른 분석에서는 대체로 연령이 많으면 많을수록 감정부조화는 크게 겪지만, 이직의도는 떨어지고 어린 호텔 종사원들은 이직의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호텔 종사원들은 고객으로부터 받은 무시하는 태도나 자신의 서비스 태도에 관한 불만사항을 지적받을 때 가장 힘들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대가 변하면서 호텔리어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나 인식이 계속적으로 좋아지고 있는 것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국내 특1급 호텔의 종사원들의 학력이 놓아지고 진취적인 사고방식을 지닌 어린 종사원들이 자신의 호텔업무가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믿고 있으며 자신의 서비스 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을 반영한다. 따라서 나이가 많은 호텔종사원을 나이가 어린 호텔종사원과 같은 근무시간대에 배치하여, 어린 호텔종사자들에게 자신의 경험이나 실제적 지식(know-how), 기술, 정보, 요령, 처세술 등을 알려주어 빨리 호텔 업무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근무기간에 따른 분석은 대체적으로 호텔종사원의 재직기간이 길면 길수록 고객의 불평반응․불만사항으로부터 감정부조화를 겪고 있으나 이직성향은 이직의도는 떨어지고 신입 종사원들의 이직의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연령과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예전과는 달리 호텔에 대한 인식변화 및 호텔리어들의 사회적 위치가 좋아지고 있는 것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에는 신입사원들의 해외연수 등을 통한 국제화에 거부감 없이 적응한 인재들이 종사하고 있으며, 이들이 직무스트레스를 받으면 한창 의욕적으로 일할 나이에 다른 직종으로 이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장기근속자들에게 포상여행 등의 현시대의 흐름에 맞는 혜택을 제공하는 등 좋은 인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할 것이다. 반면 장기근속자들의 감정부조화를 통한 스트레스 또한 예전과는 달리 호텔의 인식이 고객들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겪게 되는 일종의 문화적 충격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장기근속자들과 신입사원들의 만남의 기회를 자주 마련하여 그들 간에도 나타날 수 있는 세대적 격차를 줄여 나감으로서 고객으로부터 받게 되는 무례하거나 무시하는 태도로부터 받는 스트레스 요인을 줄여나가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사료된다. 고용형태에 따른 분석에서는 불평반응․불만사항이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일반적으로 정규직 사원에 비해 비정규직 사원의 이직의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정규직 사원의 경우 현대사회의 특징 중의 하나인 고용의 불안정성 자체가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으로 이직으로의 고려를 심각하게 만드는 요소 중의 하나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정규직 사원에 비해 자율적으로 호텔 업무를 처리하려고 하는 성향이 낮으며, 자신의 호텔 업무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증가는 곧 이직 등의 일탈현상이 증대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비정규직 종사원들에게 전환의 기회를 통한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직급에 따른 분석은 사원과 간부급 모두의 직무스트레스와 유의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사원급의 종사원들의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의 연령, 근무기간 등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사원급의 직원은 그들의 업무 처리 능력에 관한 전문성에 관한 스트레스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고객과의 일련의 과정에 있는 직원들에게 어느 정도의 업무적 권한(empowerment)를 위양함으로써 업무상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하겠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고객들의 불평반응․불만사항이 호텔종사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별, 연령, 근무경력에 따라 감정적부조화 및 이직의도에는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든 종사원들이 겪는 감정적부조화의 가장 커다란 요소는 고객으로부터 받는 무시하는 태도로 이는 고객이 기대한 서비스에 대한 불만족 시 발생할 수밖에 없는 필수불가별한 요인으로 그로 인해 겪게 되는 감정부조화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사전교육을 통한 예방 등의 방안이 필요하겠다. 또한 모든 종사원들의 가장 큰 이직의도 요인은 고객과의 의사소통간의 언어능력으로 이는 여러 고객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채 업무의 비율이 증가됨으로써 스트레스의 증가를 가져오고 이는 결국 이직 등의 이탈현상 증대로 해석된다. 특히 시대가 국제화 되어감에 따라 세계 공용어인 영어의 필요성은 말할 것도 없고, 가까운 나라 일본, 중국 등의 많은 관광객들은 물론 나아가 동남아시아, 중동, 유럽 등의 국가와의 정치적 종교적 협의 등을 통한 고객의 다양화에 발맞추어 그들의 언어적 장벽을 벗어나 문화적 충격에서 오는 제 3국의 고객들이 느낄 수 있는 서비스 차별화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호텔기업에서는 다양한 고객층과의 접촉으로 일선의 종사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을 살펴보고, 평소의 인적서비스에 대한 관리를 위한 외국어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체계 및 해외 연수프로그램이나 산학 협동을 통한 관리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호텔기업은 종사원들의 직무환경과 개인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호텔종사원 관리기법을 통하여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호텔기업의 목표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SNS 이용자들의 지속적 이용의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셜마케팅 관점

        이소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세계적으로 SNS는 놀라운 성장세를 기록 중이며,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대중화가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SNS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주요 비즈니스 영역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기업들이 SNS를 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SNS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한 충분한 분석과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231개의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SNS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통해 사용자들의 지속적 이용의도와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SNS 이용수단을 PC와 모바일 기기로 분리하여 각 요인들의 특성과 이용수단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SN특성들과 지속적 이용의도간의 관계가 유의하였고, 지속적 이용의도와 구매의도간 관계 또한 유의미하였다. 반면에 사용도구에 따른 차이점은 유의하지 않았다. SNS 사용도구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나타내지 못한 것은 각 SNS 사용도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징을 반영한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SNS 사용도구에 따른 지속적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에는 SNS 사용기구에 따른 고유의 이용목적을 반영한 특성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n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ho have experienced miscarriage.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adopted.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67 women who miscarried their babies within the last 2 years through online web site.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coping strategies were measured by Brief Coping Orientation to the Problems Experienced (Brief COPE),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measured by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social support among participants was 3.98±0.44 (out of 5 points). The mean score of coping strategies was 2.66±0.32 (out of 4 points). Looking at the subscale, ‘acceptance’ was the highest (3.26±0.58), and ‘substance use’ was the lowest (1.94±0.94). And the mean score of post-traumatic growth was 53.53±10.74 (out of 80 points). 2. The social support of participants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maternal age (t=2.88, p=0.034), occupational status (t=2.68, p=.008), and time since last miscarriage (F=4.04, p=.019). As for coping strategies, acceptance (t=2.74, p=.007), planning (t=2.46, p=.015), behavioral disengagement (t=-3.04, p=.003) and substance use (t=-3.22, p=.002) coping of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children or not. The degree of post-traumatic growth among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religion (t=2.09, p=.039), with or without children (t=2.28, p=.024), and time since last miscarriage (F=4.39, p=.014). 3. Post-traumatic grow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r=.486, p<.001), positive reframing (r=.374, p<.001), acceptance (r=.358, p<.001), active coping (r=.352, p<.001), use of emotional support (r=.266, p<.001) and planning (r=.263, p<.001). 4.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in predicting PTG. These explained 38.8% of PTG, social support (β=.327, p<.001) that appear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PTG, acceptance (β=.248, p=.001), with or without children (β=.220, p=.002), and positive reframing (β=.202, p=.011).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social support, ‘positive reframing’, ‘acceptance’ coping strategies and with or without children appeared to influence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pregnancy loss. Especially,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ost-traumatic growth, and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such as a self-help group. In addition,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writing gratitude journal and meditation therapy should be provided so that women who have experienced miscarriage can use coping strategies such as acceptance and positive reframing. These will improve the mental health and growth of women after miscarriage. 본 연구는 유산을 경험한 여성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온라인 커뮤니티 및 온라인 자조모임에 참여 중인 최근 2년 이내 유산을 경험한 여성 167명이며, 2022년 8월 1일부터 8월 14일까지 온라인상에서 편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회적 지지는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하였고, 대처전략은 Brief Coping Orientation to the Problems Experienced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하였다. 외상 후 성장은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점수는 평균 3.98±0.44점 (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대처전략 점수는 전체 평균이 2.66±0.32점 (4점 만점)으로 하위 척도를 살펴보면 수용(3.26±0.58)이 가장 높았고, 약물 사용(1.94±0.94)이 가장 낮았다. 외상 후 성장 점수는 평균 53.53±10.74점 (80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유산 시 연령(t=2.88, p=.034), 직업유무(t=2.68, p=.008), 유산 후 경과시간(F=4.04,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대처전략은 자녀가 있는 그룹이 없는 그룹에 비해 수용(t=2.74, p=.007), 계획(t=2.46, p=.015)이 유의하게 높았고, 행동철회(t=-3.04, p=.003), 약물사용(t=-3.22, p=.002)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은 종교 유무(t=2.09, p=.039), 자녀 유무(t=2.28, p=.024), 유산 후 경과시간(F=4.39, p=.01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외상 후 성장 정도는 사회적 지지(r=.486, p<.001), 대처전략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재해석(r=.374, p<.001), 수용(r=.358, p<.001), 능동적 대처(r=.352, p<.001), 감정적 지지 추구(r=.266, p<.001), 계획(r=.26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최종 모형의 설명력은 38.8% (F=7.589, p<.001)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사회적 지지(β=.327, p<.001), 수용(β=.248, p=.001), 자녀 유무(β=.220, p=.002), 긍정적 재해석(β=.202, p=.01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적 지지와 수용(acceptance), 긍정적 재해석(positive reframing) 대처전략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간호사는 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간호 중재 과정에서 비슷한 경험 집단으로 구성된 자조 모임을 함께 제공하여 충분한 사회적 지지와 공감을 얻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산을 경험한 여성이 수용(acceptance)과 긍정적 재해석(positive reframing) 대처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감사일기쓰기 및 명상요법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유산 경험 이전 개인이 원래 갖고 있던 적응 수준을 넘어서는 성장을 경험하도록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 이는 장기적으로 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정신적 건강과 성장에 도움을 주어 사회적 측면에서의 정신질환 관련 의료비용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마르크 샤갈의 회화표현 구성 요소를 활용한 아트 메이크업 작품 제작 : 색채와 주제 중심으로

        이소현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s society is becoming entangled in an age of great change and diversity tied to respect for individual personali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possibility for unlimited free expression which does not conform to established form and traditions, and the rise in the esthetic standard of modern society stressing the personality of each individual, is reflected in makeup as well, and this has given rise to a new genre of creativity in art makeup. Art makeup, a form of artistry that pursues creative sensitivity, displays its beauty through various forms of creative work executed on people’s faces or other parts of the body, could be described as a branch of the spacial arts, and is a form that uses free and individualistic expression, combining materials from a variety of areas, and incorporating elements drawn from fine art, architecture, fashion and other fields. Marc Chagall, an artist who lived during 20th century, a time marked by rapid change, even today is still considered a painter of great influence, together with Picasso, and the unlimited imagination of his works has served as the inspiration for many exhibitions and works of art. Chagall’s works do not fall into any one particular style among the diverse styles of the 20th century, but make up his own individual world of creations, artworks utilizing his unique interpretation of color, which earned him the title ‘The Magician of Color’, and his treatment of universal subjects in everyday situations, reborn through his fantasy compositions, has maintained his reputation right up until today. His own world of emotion that he created by combining elements in his diverse imagery remains an object of respect to many, and when we take note of his ability to evoke sympathy, we realize without a doubt that the body of his work provides a substantial clue into the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art. In addition, mutually grafting to these artists from a former age, brings meaning to those living in the present age, by raising the value of the spacial ar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diverse methods of creative expression in art makeup, show how the colors and subjects that are essential elements used by the Magician of Color, Marc Chagall, in his signature imagery, can be transplanted into art makeup, and to show how, as works of art, these kinds of images can be developed as a resource for artistic expression. The research method us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began by establishing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e examina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books, previously published dissertations and internet searches and analyzed the use of color and subjects as elements of the works and pictorial expression of Marc Chagall (1887-1995) and then creating art makeup works by utilizing these elements as artistic resources of creative expression. Works I ? IV used the element of color from among Chagall’s pictorial expression, creating one work using each of four of his most representative colors, red, yellow, green and blue. Work I, employs the color red and recreates a motive from Chagall’s “At the Circus,” the figure of a dancer, with a focus on strong vivid color, while Work II draws a motive from Shakespeare’s “A Midsummer Nights Dream,” combined with the yellow of Chagall’s work and was created with the love between the fairy and donkey as the background. Work III examines “The Poet, or Half-past Three” using many clear colors with a focus on the color green, and in order to employ a cubist expression was executed on the base of a collage of photographs, while Work IV, following the feeling of “Bride with a Fan,” creates an atmosphere of sorrow with the color blue. Moving on to works V ? VIII, four subjects from Chagall’s works, “Scent and Longing for the Origin of Man,” “Dream and Longing,” “Love and Romance,” and “Joy and Sorrow” were chosen as themes, and one work was made for each of these themes. Work V, portrays Chagall’s love for Paris as portrayed in “Paris Through the Window,” which he painted soon after moving to Paris from his native Russia, combined with his longing for Russia, portrayed in two faces freely melting into each other. Work VI, through the two faces of the bride in “Bride with Two Faces” portrays the painful heart of the bride before the wedding and the hope for a good life after the wedding. Work VII draws from “My Fiance with Black Gloves,” a work portraying Chagall’s lover, Bella, who exerted great influence on his work. Like the original painting, it is executed primarily in black and white, recreating the portrayal of the elegant and charismatic Bella. The final in the series, Work VIII, takes a motive from “Time has No Limit,” a painting in surrealist style, recreating the figure of an angel, pleading for peace from within the sorrow of World War II. This research, by combining art makeup with artistic works by basing art makeup designs on elements from the work of Marc Chagall, has made it possible for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some of his works of art a little more easily and also made it possible to create original new works utilizing some of the unlimited subject matter and design elements that are available for art makeup.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inue to add artistic and scholarly value in the future regarding ongoing work to produce creative original art makeup works making use not only of the works of Chagall, but also the work of a variety of contemporary artists. 현대 사회는 다변화 · 다양성의 시대로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며 서로가 유기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돌아가고 있다. 형식이나 전통에 구애 받지 않는 자유분방한 표현을 무제한적으로 허용하여 개개인의 개성을 중시하는 현대인들의 미적 수준을 끌어올리고, 이를 메이크업에도 반영하여 창의성을 추구하는 아트 메이크업 장르를 형성하였다. 아트 메이크업은 창의적인 감성을 통해 예술성을 추구하는 메이크업으로 사람의 얼굴이나 신체의 한 부위에 다양한 방식의 창작활동을 통해 미를 나타내고자 하는 조형예술의 한 분야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아트메이크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소재를 가져 오고 있으며, 특히 미술양식이나 건축, 패션 등의 조형적인 요소를 응용하여 자유롭고 개성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미술사 중 격변의 20세기를 살아 온 마르크 샤갈은 피카소와 더불어 영향력 있는 화가로 지금까지 회자되고 있으며 많은 전시회 및 예술 작품에 그의 작품은 무한한 상상력을 불어넣고 있다. 샤갈의 작품은 20세기 다양한 화풍 중 특정 화풍에 속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만들었는데, ‘색채 마술사’라고도 불리는 그의 작품은 다양한 색채로 그 만의 해석을 가지며, 현실 속 보편적인 주제를 환상적인 구성으로 새롭게 탄생시키면서 그의 명성을 현대에까지 떨치고 있다. 그의 다양한 회화표현 구성요소의 결합을 통해 그 만의 정서로 창조된 세계가 수많은 사람들의 경의의 대상이 되고 공감을 얻을 수 있음을 상기 해 볼 때, 분명 그의 작품 세계가 예술의 본질에 대해 시사 하는바가 크다 할 수 있겠다. 또한, 앞선 이들을 서로 접목하여 조형예술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것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의미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트 메이크업의 다양한 창작 표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색채 마술사라 불리는 마르크 샤갈의 대표적 회화표현 구성요소인 색채와 주제를 아트 메이크업에 접목하여 하나의 작품으로서의 이미지를 표현한 예술적 차원의 개성 있고 창조적인 작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단행본과 선행 논문 고찰 및 인터넷 검색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였고, 마르크 샤갈(Marc Chagall, 1887~1985)의 작품 및 회화 표현의 구성요소 중 주제와 색채를 분석하여, 예술적 차원의 창작 표현 방법을 접목한 아트 메이크업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Ⅰ- Ⅳ는 샤갈 회화표현의 구성요소 중 색채 부분을 응용한 작품으로, 그의 작품의 대표적 색채인 빨강, 노랑, 초록, 파랑의 색채로 각 1작품씩 4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Ⅰ는 샤갈의 ‘서커스에서’라는 작품을 모티브로 빨강의 컬러를 무희에게 접목하여 강렬하고 화려한 색채감이 돋보이도록 재해석 하였고, 작품 Ⅱ는 셰익스피어의 ‘한 여름 밤의 꿈’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샤갈의 작품을 노랑의 색채로 요정과 당나귀의 사랑이란 주제를 바탕으로 제작하였다. 작품 Ⅲ은 ‘3시 반 또는 시인’이란 작품을 초록색을 중심으로 다양한 원색의 컬러들을 활용하였으며, 큐비즘적 표현을 위해 사진을 찢어 콜라주 기법으로 제작하였고, 작품 Ⅳ는 ‘부채를 든 신부’의 느낌을 파랑의 컬러로 우울하며 음침한 분위기로 재해석 하였다. 그리고 작품 Ⅴ - Ⅷ은 샤갈 작품의 대표적 주제인 ‘인간의 원초적 향수와 동경’, ‘꿈과 그리움’, ‘사랑과 낭만’, ‘환희와 슬픔’ 4가지 주제를 활용하여 각 1작품씩 4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Ⅴ는 샤갈이 그의 고향 러시아를 떠나 파리로 갔을 때 제작한 ‘창가에서 본 파리’라는 작품으로 파리를 동경하는 모습과 그의 고향 러시아를 그리워하는 모습을 주제로 두 얼굴을 제작하여 작품에 자연스럽게 녹아들도록 표현하였다. 작품 Ⅵ은 ‘두 얼굴의 신부’로 신부의 두 얼굴을 통해, 신부가 가진 결혼 전의 아픔과 결혼으로 인한 희망적 삶을 주제로 제작하였다. 작품 Ⅶ은 샤갈의 작품에 가장 영향을 준 그의 연인 벨라를 주제로 한 ‘검은 장갑을 낀 피앙세’이다. 원작의 검정과 흰 컬러를 주조색으로 우아하고 카리스마적인 현대판 벨라로 재탄생시켰다. 마지막으로 작품 Ⅷ에서는 ‘제한 없는 시간’을 모티브로 하여, 세계 2차 대전에서의 슬픔을 가진 초현실적인물상을 만들어 전쟁 속에 평화를 간절히 기원하는 전사의 이미지로 재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제작에 있어 마르크 샤갈 작품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미술 작품과 아트 메이크업의 결합으로, 대중들이 미술 작품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아트 메이크업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예술적 소재와 디자인으로 독창적인 작품으로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추후 샤갈의 작품 뿐 아니라 다양한 현대예술작가들의 작품을 응용하여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아트 메이크업의 제작이 끊임없이 시도되어 예술적 · 학문적으로 가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