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소현의 작품 연구 : 플루트 독주를 위한 『감정에 관한 단상』(2019), 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오해 (Twisted)』(2018), 현악 사중주를 위한 『화이트아웃 (Whiteout)』(2018), 플루트, B♭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43

        This thesis is a study of four works included on the Master’s degree recital of Lee So-hyun on April 25, 2019 at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usic Recital Hall. The works include: Fragmentary Thoughts on Emotion for flute solo (2019), Twisted for B♭clarinet, cello and piano (2018), Whiteout for string quartet (2018), and The Empire of Light for flute, B♭clarinet, bassoon, violin, viola and cello (2017). This research aims to describe the background and theme of each work, the composer’s intentions, and to examine how the musical language, including tone material, chord progressions, and musical form, were applied to each work. Fragmentary Thoughts on Emotion (2019) for flute solo, in three movements, expresses momentary emotional thoughts of the composer. The first movement describes ‘boredom’ in our busy daily routine. It utilizes melodic expansion and multiphonics to portray two contradictory images of contemporary society: ‘boredom’ and ‘complexity‘. The second movement depicts ‘nervousness.’ This is expressed through unidentified and vague tension caused by unexpected situations and extended playing techniques, such as key clicks, jet whistle, tongue ram, etc. The third movement-using the theme of ‘unpredictability’ and in addition, referencing ‘boredom’ and ‘nervousness’-embodies the confusion of various unpredictable emotions such as joy, sorrow and fear, which come in short bursts. In order to express the many complicated and subtle emotions in this third movement, many new performing techniques are added within musical elements from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The second work of the repertory, Twisted (2018) for B♭clarinet, cello and piano-consisting of two movements-describes ‘misunderstandings’ of emotions and words between people, as well as the situations and emotions resulting from this misunderstanding. The first movement, titled “Inextricable misunderstanding”, characterizes each instrument by expressing the stifling situation of impossible communication in time and space, while the second movement expresses the stifling emotions from ‘Insolvable, repetitive misunderstandings.’ In this first movement, the piano plays chords of long duration, portraying insolvable problems, while the clarinet and cello gradually expand a three-measure motivic progression to represent two people facing incommunicability. In the second movement, the piano symbolizes transpiring time, being perceived intermittently in part A, and then limitation, when reaching the end in part B.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contrast elements, such as note duration or tempo, in order to represent two distinct sensations created in the same situation. The third work, Whiteout (2018) for string quartet, represents being without foresight in an unexpected moment, via a variety of string techniques. To exhibit the crisis of the protagonist-a change in psychological aspect and the state of ‘Whiteout’-this work follows an A-B-C structure. The sustained sound and ricochet technique in part A embody a disconcerting feeling, like snow piling up, with harmonics and glissando in the part B representing an invisible foggy state; finally, with eventually a partial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short rhythm motives in part C, it achieves the ultimate ‘Whiteout’ state. The fourth and the last work, The Empire of Light (2017) for flute, B♭ clarinet, bassoon, violin, viola and cello, is inspired by the painting, The Empire of Light (L'empire des lumières) (1954), of the Belgian surrealist René Magritte (1898-1967.) It depicts the contradictory pictorial sensation of a house lit with only one street light, symbolizing ‘the Light’ in darkness that contrasts the clear sky. The main melody, which is the ‘Light’ theme, appears continuously in succession, with the structure of the entire work being in development of the this melody’s elements. In summary, both the atmosphere of these works, as well as the various intentions of composer Lee Sohyu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fining the music. Such ideas, like translating a subjective feeling melodically, reflecting a virtual situation or symbolizing a protagonist are essential elements. This research is devoted to examining the genesis of the composer’s idea and to demonstrate how this message is represented through various aspects of her musical language. 본 논문은 이소현의 석사 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 작품인 플루트 독주를 위한『감정에 관한 단상』(2019), 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오해 (Twisted)』(2018), 현악 사중주를 위한 『화이트아웃 (Whiteout)』(2018), 플루트, B♭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위한『빛의 제국 (The Empire of Light)』(2017)에 대한 고찰이다. 이 연구에서는 작품별로 곡의 배경, 주제 및 작곡 의도 등을 밝히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선택한 음의 소재, 화성 진행, 음악 형식 등의 음악적 어법이 작품에서 어떻게 구체화 되었는지 알아본다. 플루트 독주를 위한 『감정에 관한 단상』(2019)은 작곡자가 느끼는 순간의 감정들에 관한 단상을 세 개의 악장으로 표현한 것이다. 제 1악장은 바쁜 일상 속에서 느끼는‘지루함’을 나타낸다. 현대사회의 복잡함과 지루함이란 상충되는 두 개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해 선율의 확장, 멀티포닉스(Multiphonics) 등을 사용하였다. 제 2악장은 ‘긴장감’을 표현한 악장으로, 알 수 없는 막연한 긴장감과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한 긴장 등 다양한 긴장감의 형태를 키클릭(Key clicks), 젯휘슬(Jet whistle), 텅램(Tongue ram) 등 여러 현대 플루트 주법을 이용하여 색채적으로 나타내었다. 제 3악장의 주제는 ‘예측 불가함’으로 앞 두 악장에서 표현한 긴장과 지루함을 비롯해 기쁨과 슬픔, 두려움 등 짧은 시간동안 찾아오는 다양하고 예측 불가한 감정들의 혼란을 형상화하였는데, 복잡하고 섬세한 여러 감정의 표현을 위해 1악장과 2악장의 음악적 요소들과 더불어 새로운 주법들을 함께 사용했음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작품 B♭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오해 (Twisted)』(2018)는 총 2악장으로 구성된 것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주고받는 감정과 말 사이에 생긴 오해, 그 오해로 인한 상황, 감정 등을 표현한 곡이다. 제 1악장은 ‘풀리지 않는 오해’로‘시간과 공간 내에서의 소통되지 않는 답답한 상황’을, 제 2악장은 ‘해결되지 않는 반복되는 오해’와 그로 인한 답답한 감정을 각각의 악기로 캐릭터화(Characterization) 하였다. 1악장의 긴 음가 화음의 피아노는 풀리지 않는 문제를, 3마디의 동기의 점차적인 확대 진행을 보여주는 클라리넷과 첼로는 소통되지 않는 두 사람을 표현한 것이다. 2악장에서의 피아노는 흘러가는 시간을 뜻하는데 A부분에서는 간헐적으로 인지되는 시간, B부분에서는 끝에 다다른 제한된 시간을 나타낸다. 1악장과 2악장은 같은 상황에서의 다른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음가나 빠르기 등의 요소가 대조적으로 구성되어있다. 세 번째 작품인 현악 사중주를 위한 『화이트아웃 (Whiteout)』(2018)은 다양한 현악기의 주법들을 통해 예상치 못하는 순간에 맞닥뜨리는, 한치 앞도 알 수 없는 상태를 표현한 작품이다. 점점 변화하는 상황에서 가상의 주인공이 맞닥뜨리는 쌓여가는 위기와 그로 인해 고조되는 심리의 변화, 그리고 ‘화이트아웃’ 상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A-B-C‘의 형식을 택하였다. A부분의 지속음과 리코쳇(Ricochet) 등은 점점 쌓여가는 눈 혹은 당황스러운 상황을, B부분의 하모닉스와 글리산도로 앞이 보이지 않는 뿌연 상태를 형상화했으며, 마지막 C부분의 짧은 리듬으로 이루어진 동기의 부분적 발전과 확대를 통해 결국 맞닥뜨리는 ‘화이트아웃‘ 상태를 표현하며 곡이 마무리 된다. 마지막 네 번째 작품인 플루트, B♭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위한 『빛의 제국 (The Empire of Light)』(2017)은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 (René Magritte, 1898-1967)의 작품 『빛의 제국 (L'empiredes lumières)』(1954)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된 곡으로, 맑은 하늘과 그 아래 반대되는 까만 어둠 속에 홀연히 가로등만 켜져 있는 집의 모순적인 회화적 느낌을 표현한 곡이다. 전체 형식은 ‘A-B-C-A’로 빛의 주제라 할 수 있는 주요 선율이 지속적으로 꼬리를 물고 등장하여 진행되며 각 부분에서 주제의 요소가 축소, 확대, 발전, 변주됨으로서 곡이 구성된다. 본 연구는 네 작품의 연구를 통해 작곡가의 작곡 의도를 밝히고 또한 작품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다양한 음악적 어법의 적용하여 어떻게 음으로 구체화 하였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 다양한 형태 초점 교수법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소유한정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

        이소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it comes to language acquisition, it is important to know the forms of a language; it is said that knowing a language is equated with knowing about its forms. A number of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s of Focus on Form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owever, there is no definite conclusion as to which types of Focus on Form instruction are more effective as compared to others. This is due to learners' personalities and target language forms which can act as influential variables in the research of language acquisi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 wide range of teaching methods influences elementary English learners' acquisition of the possessive determiners. An experimental lesson was conducted targeting three classes of 71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n Cheongju, Korea. Of the three classes, two were assigned as the experiment groups, while the other as a comparative group. One of the experiment groups featured recast, a relatively implicit way of feedback, and the other featured the technique of explicit rule presentation. Meanwhile, the comparative group received the same content as both experimental groups, but recast and explicit rule presentation were not utilized. Subsequently, an oral and grammar comprehension test ensued in order to see how successfully the learners acquired possessive determiners. The purpose of the oral test was to analyze the learners’ application ability of the grammatical forms in speaking, while the grammar comprehension test was used as an analysis of their grammatical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ammar test bu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oral test. It is evident that the distinction in instruction types affected learners’ application of the linguistic feature in speaking. The analysis of the groups' performance result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cas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recast is more effective in helping elementary English learners use possessive determiners in speaking. In the meantime, the inquiry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oral and grammar test performance, while the comparative group did not. This study reconfirmed that Focus on Form instruction would be effectiv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cast, the immediate and implicit way of teaching, is also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when integrated with other communicative activities.

      •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아동의 사교육 경험,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

        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주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스트레스를 통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K구에 위치한 S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230명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안지영(2000)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아동의 사교육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교육 실태와 관련된 연구들(김보림, 2007; 김수민, 2004; 박수진, 2001; 박지연, 2004)에 근거하여 아동이 일주일 동안 사교육을 받는 총 시간을 조사하였다. 아동의 스트레스는 한미현과 유안진(1995)의 척도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박병기와 송정화(2007)가 축소, 보완하여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이 스트레스를 덜 경험한다고 지각할수록,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높았다. 둘째, 아동의 사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아동은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은 사교육을 덜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신념,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이와 동시에 어머니가 이러한 양육신념을 가질 때 아동은 사교육을 덜 경험하였고, 이러한 사교육 경험은 아동에게 스트레스를 덜 느끼게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아동은 보다 높은 주관적 안녕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아동의 사교육 경험은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아동의 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were 2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5 boys and 105 girl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four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ere rated by mothers, and children's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were rated by children themselves.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and stress was lower,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was higher. Second, whe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higher, children's stress was higher. Third,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Finally, results from analyses of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children's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Parental beliefs also it influenced indirectly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In other words,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Agai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children's stress was lower. So,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ultimately was higher through the path. This study found that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in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hildren's stress.

      •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및 요구

        이소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여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남과 대전,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지도교수님과의 협의를 거쳐 설문지를 작성한 후 어린이집 원장 3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설문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고, t검증과 ANOVA검증 등을 실시하였으며,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ce)를 방법을 이용해서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은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대해서 어린이집 원장의 중요성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었다. 영유아의 발달과 교육적인 부분에서는 일반영유아와 장애 영유아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어린이집 운영과 학급 운영 등에서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부분에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은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경제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교사 지원에 대한 요구, 물리적 환경에 대한 요구, 학급당 원아수 개선에 대한 순서로 요구가 높았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기초배경에 따른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의 인식과 요구에서는 이 둘 모두 어린이집의 유형과 재직 중 통합교육 관련 연수경험의 유무 등의 부분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장애 영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해서 어린이집 원장은 기초배경에 따라 서로 다른 인식과 요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어린이집의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한정된 재원으로 어린이집 통합교육을 지원해야 할 경우 일괄적으로 똑같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기초배경에 따라 서로 다른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선택적인 지원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방식과 휴대폰 중독 및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이소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방식과 휴대폰 중독 및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탐색하여 청소년들이 휴대폰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위한 학부모 교육자료 근거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청소년들의 건강한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상담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 휴대폰 중독,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휴대폰 중독,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휴대폰 중독과 심리적 안녕감, 우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인과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M중학교와 M여중학교 남, 여학생 각 300여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을 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중 응답이 부실한 것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561명(남자 279명, 여자 282명)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지수를 산출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조사대상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부모양육방식 지각과 휴대폰 중독 및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이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한 결과, 부 양육방식의 하위요인 중 아버지의 자율-통제를 제외한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양육방식에 대해서 여자가 남자보다 부모가 애정, 자율, 성취, 합리의 긍정적 양육방식을 많이 가진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휴대폰 중독과 심리적 안녕감은 성별 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고 우울은 남자가 여자보다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도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적응정도가 더 높았고 하위요인 중 교사 · 학교환경, 학업관계, 교우관계요인에서도 여자가 남자보다 적응을 잘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둘째, 부모양육방식, 휴대폰 중독,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모 양육방식은 부 양육방식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었고 우울, 휴대폰 중독과는 부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 양육방식도 학교생활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인 상관을 우울, 휴대폰 중독과는 부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부모의 양육방식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학생이 학교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이 높고, 우울과 휴대폰 중독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부모양육방식, 휴대폰 중독, 심리적 안녕감, 우울,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부모양육방식이 휴대폰 중독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대해서는 직접적 효과 및 휴대폰 중독을 매개로한 간접적 효과를 같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에 대해서도 부모의 양육방식은 직접적 효과 및 휴대폰 중독과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을 매개로 한 간접적 효과를 같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중독은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에는 유의한 직접 효과와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을 매개로한 간접적 효과를 같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직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ir cell-phone addi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in an effort to provide educational information on parent education geared toward helping adolescents break away from cell-phone addiction. And it's also meant to provide counseling data for the sou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0 boys and 300 girls who were respectively selected from M middle school and M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C, South Gyeongsa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re would be any gender gaps between the boys and the girls in perceived parental attitude, cell-phone addi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was analyzed. A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gaps in all the subfactors of paternal attitude except paternal autonomy-control. The girls considered their parents to take a more positive parental attitude than the boys such as parental affection, parental autonomy, parental achievement orientation and parental rationality. No significant gender gaps were found in cell-phone addi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boys scored higher in depression than the girls. The girls were better than the boys at school adjustment, and the former could be said to adapt themselves better than the latter to teacher/school environments, studies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parental attitude, cell-phone addi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it's found that maternal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paternal attitude. Maternal at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school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negatively to depression and cell-phone addiction. Paternal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school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depression and cell-phone addiction as well. In a word, the students who perceived parental attitude in a more positive way were better at school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uffered less depression and were less addicted to cell phones. Thir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itude, cell-phone addi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parental attitude was found to affect cell-phone addiction in a significant way. Parental attitude had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and had indirect effects on the two variables through cell-phone addiction at the same time. Also, parental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that through cell-phone addi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Cell-phone addiction exerted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a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that through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t the same time.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 디지털 시대의 참여적 박물관 구현을 위한 박물관 모바일 러닝 모형 개발

        이소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모바일 기술, 디지털 환경은 우리사회의 중요한 키워드가 되었다. 스마트 폰 등 모바일 기기를 가지고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업무를 하고, 다양한 정보들을 찾고 공유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또한 급속하게 발달하는 정보 통신과 모바일 기기의 변화는 사회, 경제 분야는 물론이고 교육 분야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공교육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스마트 교육을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과학관·박물관 등과 같은 비형식교육 기관에서도 모바일,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여러 가지 모바일 러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러닝은 모바일 기술 및 기기 활용을 전제로 이동성, 개별성, 상호작용성, 맥락성의 특징을 가진다. 한편 박물관에서는 전시에 모바일 기술을 접목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모바일 기술에 교육적 전략 또는 페다고지를 통합한 박물관 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박물관 교육에서 모바일 기술을 도입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은 ‘박물관 모바일 러닝’이라고 칭하면서 모바일 기기와 여러 가지 앱, 증강현실, 인터렉티브 기술, 소셜미디어와 SNS, 가상박물관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박물관은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서 관람객과 참여자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 가상전시, 체험, 감상 그리고 새로운 학습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렇듯 모바일 기기와 모바일 기술이 접목된 박물관 교육은 기존의 물리적 박물관 안에서 한시적으로 이루어지던 박물관 교육이 지닌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전시물과 방문자,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 및 참여적 활동을 더욱 확장시켜서, 다양한 창의적, 체험적, 협력적 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기술이 교육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중요해 짐에 따라 여러 연구자들이 교육적 활용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모바일 러닝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모바일 러닝의 모형은 박물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바일 러닝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고, 박물관 모바일 러닝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또한 지금까지 박물관의 모바일 기술 도입과 활용에 대한 연구는 주로 마케팅, 기술 및 미디어 활성화 방안을 위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고, 교육분야에서 연구는 아직 박물관 모바일 러닝의 현황, 모바일 러닝의 사례 연구, 개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에 대한 연구들로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박물관의 모바일 러닝의 모습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준거틀로서의 박물관 모바일 러닝의 모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대에 참여적 박물관의 모습을 구현하는 방법의 하나로써, 박물관 모바일 러닝의 현황 및 특징과 박물관 환경 특성을 토대로 박물관모바일 러닝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박물관 모바일 러닝 모형은 크게 박물관 모바일 러닝의 개념틀과 체크리스트를 포함한 것으로, 개념틀은 박물관 모바일 러닝의 특성을 기술적 측면과 페다고지적 측면의 두가지 측면으로 구성되어 박물관 모바일 러닝의 이론적 이해의 틀을 제공하는 한편,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러닝을 실천하거나 앞으로 계획을 하고 있는 박물관에서 자신들의 현 위치, 방향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점검 및 평가도구로써 박물관 모바일 러닝 체크리스트를 포함하게 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먼저 기존의 모바일 러닝 모형 및 박물관의 모바일 러닝 관련 문헌연구와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이를 기반으로 박물관 모바일 러닝의 개념틀 초안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통해 이를 수정, 보완하여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이후 박물관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박물관 교육담당자들의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박물관 모바일 러닝을 실시하거나 계획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박물관 모바일 러닝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으며, 이 또한 전문가 타당도 검토 과정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체크리스트를 기존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형성평가를 통해 체크리스트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박물관 모바일 러닝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및 학교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박물관 모바일 러닝 모형은 모바일 러닝의 특징, 박물관 모바일 러닝의 현황 및 특성, 이를 바탕으로 한 박물관 모바일 러닝의 개념틀을 구축하고, 박물관 현장에서 모바일 러닝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박물관 모바일 러닝에 대한 준거틀과 평가도구를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결과로서 박물관 모바일 러닝 개념틀은 크게 모바일, 디지털 기술의 적용과 활용과 관련된 기술적 측면과 페다고지적 측면으로 구성되고, 기술적 측면에서 ‘모바일 기기와 앱’, ‘멀티미디어’, ‘e-포트폴리오’, ‘전시물 관련 기술’, ‘가상박물관’의 5개 요소와, 페다고지적 측면에서 ‘상시적 학습’,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둠 학습’, ‘개별맞춤형 학습’, ‘전시물 기반 학습’의 5개 요소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개발된 개념틀이 박물관 현장에서 교육담당자가 모바일 프로그램 운영과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박물관 모바일 러닝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체크리스트는 2단계 총 28문항으로, 1단계 환경분석과 2단계 박물관 모바일 러닝 프로그램의 기술적 측면과 페다고지적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 환경분석은 박물관에서 모바일 러닝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써 교육환경 및 운영과 관련된 영역으로 8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2단계 박물관 모바일 러닝 프로그램에서는 기술적 측면과 관련된 10개 문항, 페다고지적 측면과 관련된 10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박물관의 참여를 위한 노력은 이제 모바일 기술이 접목되어, 개방, 공유, 협력의 정신까지 덧붙여질 수 있는 상황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와 함께 박물관에서 모바일 러닝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는 학교와 박물관의 협력적 연계를 좀 더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활용하는 문제이다. 박물관 모바일 러닝에서 이루어지는 특성(BYOD, 가상박물관, 전시물)을 바탕으로 학교에서 적극 수용,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모바일 러닝, 곧‘학교-박물관 연계 모바일 러닝’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둘째는 박물관 교육담당자들에게 모바일 러닝 실행에 있어 기술과 페다고지의 통합적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는 박물관 운영자에게 요구되는 바로서, 모바일 러닝은 앞으로 더욱 강화될 추세라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박물관의 물리적 환경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박물관 모바일 러닝은 이미 기술적인 면에서는 매우 혁신적으로, 그리고 페다고지적 측면에서는 현 사회가 요구하는 학습환경으로서의 모습을 갖추어 실천되고 있다. 앞으로 박물관의 모바일 러닝에 대한 다양한 학습유형과 모범적 사례가 많이 제시되어, 디지털 시대에 참여적 박물관의 모습이 구현되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이 더욱 확고하게 인식될 수 있는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Nowadays, mobile technology and digital environment have become an essential keyword in our society. The rapid change and development of IT and mobile devices have influenced not only society and economy but also education. Formal education like public schools, has pushed forward a policy to carry out textbooks and Smart Education, and informal education such as museums has executed several mobile learning programs by applying digital technologies actively. On the assumption to use mobile technologies and devices as tools for learning, such mobile learning has some specific features like mobility, individuality, interactivity, and contextuality, In particular, museums are employing various efforts, ranging from the integration of mobile technology into exhibitions to museum education that integrates mobile technology with educational strategies or pedagogy. In museum education, this kind of education that utilizes mobile technology is called ‘museum mobile learning,’ and is implemented in myriad ways including using mobile devices and apps,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technology,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ing sites (SNS), and virtual museums. Additionally, museums provide virtual displays and experiences and new learning methods through online platforms to elicit the continuou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visitors and in the new digital environment. Thus, by overcoming constraints in time and space of traditional museum education run temporarily in a physical environment, interaction and participatory activities among the exhibits, visitors and participants get extended more, and museum education with mobile devices and technologies enables various creative, experiential, and collaborative learning. As mobile technologies become more important in an education field, many scholars suggest a mobile learning model as a theoretical basis for educational application. However, there is a limit to explain mobile learning in museums with an existing mobile learning model, and there are rare studies that analyze mobile learning programs in museums systematically. So far, the researches in terms of adopting mobile technologies in museums usually discuss the ways to invigorate the marketing strategies, technologies and medias. Some researches are accomplished in an education area but those focus only on the current situation, case studies, program designs, and their effectiveness of mobile learning in museums. For these reasons, the necessity of the museum mobile learning model is brought up as the framework that makes possible to describe methodically how museum mobile learning occurs and how to design learning progra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eum mobile learning model based on the present condition, features, and environment of mobile learning in a museum in order to realize active engagement of participants in the digital era. The model of museum mobile learning includes the theoretical framework, which consists of technological and pedagogical aspects, and the checklist to examine museums in the situations of practicing or planning mobile learning so that they can reflect where they are at now or where they are heading for.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began with literature review and analyzing cases of previous studies about mobile learning and museum mobile learning. Then, based on what were researched, the draft of the framework was drew and it was revised and finalized by expert review. After that, the checklist of museum mobile learning was developed from what interviewed with museum educator in order to make the framework apply practically in the field when the museum executes mobile learning or has a plan for it. The checklist was reviewed by experts as well. Last, formative evaluation was implemented on the existing museum learning program for attaining reliability. At the end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were given for how museum mobile learning can vitalize in the future and how museum learning can connect with school learning. The model of museum mobile learning, developed in this study, has some merits that propose comprehensively the framework and the evaluation tool for museum mobile learning by constructing the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multilateral analysis of mobile learning in and out of museums and suggesting checklist that can be used in running mobile learning program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ramework of the museum mobile learning consists of largely two parts, technological and pedagogical sides and each has 5 factors. The technological aspect related to applying and utilizing mobile and digital technologies in composed of ‘mobile devices and apps’, ‘multimedia’, ‘e-portfolio’, ‘technologies relating objects’, and ‘virtual museums’ and the pedagogical aspect is made up of ‘on-off blended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personalized learning’, and ‘OBL(object-based learning). To make the developed framework be practical in the field when museum educators embark on mobile learning programs and attempt to develop new ones, the checklist of mobile learning in museums was formed. It is comprised of 2 stages, environment analysis and technological and pedagogical aspects in museum mobile learning with 28 questions. In the first stage, environment analysis, as the preliminary stage before initiating mobile learning programs in museums, there are 8 questions related to environment and operation for museum education. In the second stage, there are 10 questions each about technological and pedagogical aspects of the programs. The effort for engagement in museums is augmented to the mind of openness, sharing, and collaborations by combining with mobile technologies. Along with this phenomenon, regarding promoting mobile learning in museums, this study suggests next 3 implications. Frist, it is about how to build collaborative connection systematically between the school and the museum and how to make it function efficiently. For this, the school needs to adopt actively the distinct features of museum mobile learning like BYOD, the virtual museum, and exhibits and to construct a new form of mobile learning, ‘school-museum connected mobile learning’ and to practice it. Second, the continuous training needs to be offered for museum educators so that integrated approach of technological and pedagogical aspects of museum mobile learning can be enabled. Third ones, requested to administrators of museums, are awareness that mobile learning will be strengthen as the main stream in education and rearrang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in the museum. Mobile learning in the museum has been already undertaken as innovative technologies and pedagogical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mptly meets the needs of the society. What is hoped that participatory museums in the digital era are achieved by showing various learning styles and good examples of museum mobile learning and the role of the museum as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is recognized firmly in the near future based on what found in this study.

      • 도로의 입체적 활용에 따른 지상부 오픈스페이스 계획지표 분석 : 서울시 영동대로 광역환승복합센터 지상 공간을 대상으로

        이소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세계의 많은 도시들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 저성장, 도시기후변화, 인프라 쇠퇴 등 다양한 차원에서 산업화시대의 도시개발 문제와는 다른 새로운 차원의 도시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정보화혁명 이후 직면하고 있는 오늘날의 도시재생 시대에는 과거 공간과 기능간의 분리와 단절을 넘어 혼성과 융합의 패러다임으로 어떻게 도시공간을 연결하고 매개할 것인지, 또 쇠퇴된 도시공간을 어떻게 재생시킬 것인지, 특히 인공의 인프라로 점유된 도시공간에 어떻게 자연을 공급할 것인지 등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새로운 기법의 하나로 도로 공간의 입체적 활용이 주목 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7년 도로 공간의 입체적 활용에 관한 법률 제정을 추진하며, 개발할 수 있는 토지가 부족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여 그 지역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도시 도로 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도시 도로 공간의 입체화는 도로 공간 위에 새로운 건축물을 도입하거나 도로 지하에 새로운 건축공간을 입체적으로 설치하는 등 주로 도시개발 차원에서 주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도시 열섬현상, 도시 게릴라 홍수, 미세먼지 등과 관련된 지구기후변화 시대의 도래, 제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며 자율 주행 자동차 등의 등장으로 인한 도로, 주차장 다이어트 등 현상의 발생 기대, AI, 로봇 등 사물인터넷 등으로 인한 여가 시간의 증대가 기대되는 등 새로운 사회 구조에서는 기존 산업사회에서와 같은 밀도 높은 도시개발적 차원보다는 도시에 어떻게 자연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인지 즉, 도시재자연화 차원에서 도로에 대한 입체적 활용 접근이 보다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도로 공간의 입체화, 특히 도로 지하화를 통해 기존의 지상부 도로 인프라 공간을 어떤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한 것인지, 즉 오픈 스페이스로의 도로 공간 활용 계획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강남의 ‘영동대로 광역복합환승센터’ 개발계획에서 영동대로 지상부에 마련되는 광장(오픈스페이스)을 대상으로 하였고, 선행연구 및 선진 사례 등 문헌연구와 국제초청공모 1∙2∙3등 안을 기반으로, 상위요소로는 경제∙사회∙문화∙환경∙교통 등 크게 5가지, 세부 항목으로는 20개의 하위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대분류 계획지표로는 환경, 문화, 경제, 교통, 사회 순, 세부 계획지표로는 그린 네트워크, 유희, 경관∙조경 요소가 높은 가중치를 받은 지표로 나타났다. 그러나 응답자의 전공 여부에 따른 계획지표에 대한 선호도는 다소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시 전공의 경우 대분류는 문화, 환경, 경제, 사회, 교통 순으로 도출 되었으며, 세부 계획지표로는 유희, 교양, 그린 네트워크 요소가 높은 가중치를 받은 지표로 나타났다. 건축 전공의 경우 대분류는 경제, 환경, 문화, 교통, 사회 순으로 도출되었으며, 세부 계획지표로는 관광, 주거, 교육 요소가 높은 가중치를 받은 지표로 나타났다. 조경 전공의 경우 대분류는 환경, 문화, 교통, 경제, 사회 순으로 도출 되었으며, 세부 계획지표로는 그린 네트워크, 경관∙조경, 보행자 위주 도로 요소가 높은 가중치를 받은 지표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 사례지역에 대한 문헌 연구 결과는 환경과 문화의 도입을 통하여 대상지와 인접지역의 직접적인 도시환경 개선과 경제적 활성화 효과를 가지고 올 수 있으며, 이러한 파급효과와 개선을 통해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도시민들 또한 간접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향은 단순히 기존 경제적 개발을 중점으로 두지 않아도 도시를 전체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계획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연구는 동시대 도로의 입체적 활용에 따른 지상부 오픈스페이스를 환경, 문화 등과 같은 비도시개발적 지표를 기준으로 하는 새로운 녹색 환경∙문화 컨텐츠 도입을 통해 도시재생 및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이 실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데서 학술적 및 실천적 의의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도로 공간의 입체화 활용에 대한 이론, 해외 사례, 전문가의 인식에 기반 하여 계획 지표를 도출한 것에 머물고 있는 한계가 있다. 즉, 이러한 계획 지표를 기반에서 구체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환경, 문화 등과 관련하여 어떤 구체적 세부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하는지 규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와 관련한 향후 연구과제로는 도로 공간의 입체적 활용의 실천을 위한 보다 세부적인 프로그램 항목 분석이 후속되어야 할 것이며, 이 경우에는 전문가보다는 실제 공간에서의 사용자가 되는 시민의 의식 및 선호도에 대한 분석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