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토 두개관에서 골결손부에 Allomatrix의 공기노출 시간에 따른 골형성 효과 비교

        이성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bone formation when Allomatrix, putty type allograft material, is applied at bone defects formed at rabbit’s calvarium when varying air exposure time. Materials and Methods: We divided by 4 sectors about 4cm diameter area at calvarium of 6 rabbits and the bone defect area of 8mm diameter and 2mm depth were formed. nothing was appplied at left upper side. each, 3day exposed graft material at right upper side, 1day exposed graft material at right lower side and 1hour exposed graft material at left lower side was applied and set these 8 week group. after 4 weeeks, another 6 rabbits were experimented by same method and set these 4 week group. and rabbits were sacrificed and we made specimens by resin blocks and after, we made specimen sliceds. Results: Degree of bone formation was evaluated by new bone formation area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each groups by one way ANOVA and p value was 0.75 at 4week group and 0.696 at 8 weeks group. Conclusions: The degree of bone formation by Putty type allograft material “Allomatrix” exposed to air pollution for various time did show any difference. Key words: Allograft, Bone graft, Bone regeneration

      • 부동산PR의 특성연구 : 송도국제업무단지 신규분양을 중심으로

        이성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동산PR은 부동산 상품구매와 관련된 제반 유용한 정보전달을 통하여 고객에게 부동산을 구매하기 전에 그 부동산에 대한 가치를 인식시키는 과정으로써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설득적 메시지 및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이용되는 커뮤니케이션이며, 부동산 상품에 대한 정보제공, 수요창조, 상품의 차별화, 상품가치의 증진 및 판매안정으로써 그 결과는 목표고객의 구매태도와 구매행동을 변화시키거나 강화하는 것으로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오늘날 부동산 기업이 아무리 좋은 제품을 개발, 생산하고 매력적인 가격을 제시한다고 해도 그것이 곧 판매되는 것은 아니다. 부동산은 특히 위치의 고정성이 있어서 상품의 제시가 어려우므로 부동산PR을 적절히 하지 않고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무수히 많이 건설되어지고, 분양되어지는 상품들, 전국적으로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부동산을 어떤 매체에 의한 정보의 습득 없이는 적정하게 구입하기가 어렵다. 공급이 부족하고 차별화되지 않았던 시기에는 부동산PR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지만, 요즈음과 같이 부동산 상품을 어떻게 수요자에게 알리고 인식시키느냐에 따라 부동산 사업의 성패가 좌우되는 경우에는 부동산PR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부동산 기사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위한 방법으로 부동산 기사속에 내포되어 있는 기사의 유형을 분석, 조사해 보았다. 부동산 기사의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연구문제 1> 부동산 입지를 다루는 기사의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부동산 제품을 공급하는 시기적 문제를 다루는 기사는 그 특성이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부동산 제품의 종류(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ㆍㆍㆍ)에 대한 기사는 그 특성이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아파트 청약률을 다루는 기사의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5> 부동산 캘린더를 다루는 기사의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6> 부동산 제품의 특장점을 다루는 기사의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7> 아파트 모델하우스 오픈에 관하여 다루는 기사의 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위 7개의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방법으로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방법은 20세기 초에 사용되기 시작하여 1930년대 중반과 1950년대 중반사이, 즉 세계 1,2차 대전을 전후해서, 선전물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 때문에 과학적인 연구방법으로 크게 발전해 왔다. 내용분석방법은 문헌적 연구의 대표적 유형으로서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내용 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으로 기사 검색기간은 2006년 5월부터 2007년 7월까지로 하고, 기사검색은 ‘송도 신도시 포스코 더샵 센트럴파크1’을 검색어로 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일간지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국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국민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서울신문, 내일신문 등 11개지와 매일경제, 한국경제, 서울경제, 헤럴드경제, 파이낸셜신문, 머니투데이 등 6개 경제신문, 연합뉴스, 뉴시스 프라임경제, 노컷뉴스 등 4개 인터넷 신문, 한경와우, MBN 등 케이블 TV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 지면은 부동산면으로 대상 기사는 총161개를 확보해 이중에 29개 기사를 표본삼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각 신문에 나온 송도 신도시 포스코 ‘더샵 센트럴파크1’에 대한 기사를 기사 제목에 나타난 의미를 통해 기사유형별로 <연구문제 1> 부동산 입지를 다루는 기사 <연구문제 2>부동산 제품을 공급하는 시기별 기사 <연구문제 3>부동산 제품의 종류별 기사 <연구문제 4>아파트 청약경쟁률 기사 <연구문제 5>부동산 캘린더 기사 <연구문제 6>부동산 제품의 특장점을 다루는 기사 <연구문제 7>모델하우스 오픈 탐방기사 등 7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기사 유형에서 부동산 입지를 다루는 기사는 총54개 기사의 헤드를 나열해 그 가운데서 공통적인 특성을 발견하고 그 특성에 맞는 주요기사 7개를 본문까지 예시해 어떤 내용으로 이루졌는지 집중 연구 하였다. 부동산 제품을 공급하는 시기별 기사에서는 총44개의 기사의 헤드에서 시기별 특성을 찾으려 하였고, 주요기사 9개를 집중 분석하였다. 부동산 제품의 종류별 기사는 총 19개의 기사의 헤드에서 공통된 특성을 찾아보았고, 주요기사는 2개를 살펴보았다. 아파트 청약경쟁률 기사는 총6개의 기사 중에 1개의 주요기사를 거론하였고, 부동산 캘린더 기사는 총7개의 기사 중에 2개를 주요기사로 예를 들었다. 부동산 제품의 특장점을 다루는 기사는 총29개의 기사를 통해 특성을 뽑아내었고 그 중에 6개 기사를 주요기사로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델하우스 탐방기사는 2개 신문 중에 1개 Study of the Features of Real Estate PR The real estate PR is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values of the real estate for the buyer through conveyance of various useful information prior to acquisition of it, the communication used for exchanging persuasive message & information between buyer & seller. Also, it i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real estate product, creation of demand, differentiation of product, creasing value of real estate, and stabilization of selling, and the results of which are to change, or strengthen the buying attitudes & behavior of target client and to enhance the synergy effects in th end. Even though the estate corporation develop, produce and provide meritful price whatever good product, they are not sold automatically. Particularly, since, real estate has the features of fixing location, and difficulty of proving product, the desired target can not be achieved without proper PR of the real estate. Also, for the consumer aspect, it is difficult to buy real estate properly without gaining information through any media, because so many real estates products are constructed and lot sold, scattered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During the age when supply was shortfall and was not differentiated, The PR of real estate was not so important, but nowadays, when the success is dependent on how to let the demander know and acknowledge the real estate product, there is no way but, the role of real estate PR has become more important. So, in this article, I have surveyed and analyzed the types of contents of descriptions included in the statement of real estate statement in order to help that consumer can understand the contents of descriptions more easily. The following study items were suggested by the types of real estate article. <Study Item 1>What was the features of article handling location of real estate. <Study Item 2> What was the features of article handling the time of providing real estate. <Study Item 3>What was the features of article handling the kinds of real estate( apartment, studio apartment, commercial-apartment compound, etc.) officielle. <Study Item 4>What was the features of article handling apartment application ratio. <Study Item 5>What was the features of article handling calender of real estate. <Study Item 6>What was the features of article handling the features & merits of real estate. <Study Item 7>What was the features of article handling opening model house of apartment.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s study method in this study of 7 items above. The study method was used starting in early 20th century, and developed greatly as a scientific study method during the mid 1930 & 1950, in other words, before & after WWI & II, because of the necessity of the analysis of promotion.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s used much in communication field as representative type of the philological study. The searching term for collecting material was from May, 2006 through July, 2007 and the searching words were for article searching was ''Song-do new city the shop central park'' the daily news paper used for analysis were 11 daily news, including Chosun Daily News, Jungang Daily News, Donga Daily News, Hangook Daily News, Hangeyre Daily News, Gookmin Daily News, Moonhwa Daily News, Seagye Daily News, Seoul Daily News, Maeil Daily News, and 6 business news, including Maeil Business News, Hangook Business News, Seoul Business News, Herald Business News, Financial News, Money Today News, and 4 internet news, including Yonhap News, News Prime Economic News, Nocut News, and cable TV, including HankyungWawoo, MBN. The target Page was real estate page, and collected total of 161 articles, and selected 29 articles as sample for focused study. As the analysis method, I classified the type of article base on the meaning identified on the title of article about ''Song-do new city ‘the # central park'' into <Study Item 1> article handling location of real es

      • 기독교 윤리로 보는 동거문화와 교회의 역할 : 동거문화를 중심으로

        이성규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주제를 “개혁주의 신학으로 본 동거문화와 대책”으로 정한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이다. 평소에 기독교윤리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졸업논문으로 이 주제로 하려고 생각해보지 않았다. 그러나 결혼을 전제조건으로 ‘동거생활’을 하던 한 쌍의 남녀가 심한 다툼으로 헤어진 후 다른 이성들과 동거생활을 시작하는 모습에서 충격을 받고 이 주제를 졸업논문주제로 정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우리 사회에서 동거는 경제적인 부담이나 부모의 반대 등의 어떤 이유로 인한 결혼을 미룬 ‘미혼 동거’가 주류였다면, 최근 대학가에서는 객지 생활의 외로움, 생활비 절약, 성적 호기심과 욕구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한 동거의 형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제는 연인들끼리 동거한다는 개념이 점점 희박해져가고 있는 상황에서 동거사이트와 동거카페들이 생겨나 동거할 파트너들을 구하고 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동거에 대한 젊은이들의 인식이 과거에 비해 얼마만큼 달라졌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경남정보대학이 2008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혼전동거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콤이 운영하는 인터넷통신 천리안(www.chollian.net)은 결혼시즌을 맞아 1만3천887명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혼전동거'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87%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2008년 10월 17일 밝혔다고 한다. 2010년을 살아가는 젊은 세대에게 ‘동거’는 더 이상 은밀한 소재가 아니다. 쉬쉬하고 감추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공개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 달라진 세태를 반영한다. 동거가 단지 거주형태를 규정하는 단어에 그치지 않고, 현재 젊은이들의 사고와 행동, 생활 문화 등을 상징하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사회의 여러 계층이 모여드는 교회는 어떤가? 교회 안에도 알게 모르게 동거하고 있는 청년 대학생들과 장년층 교인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동거에 대하여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죄라고 생각하는 개념들이 사라져 가고 있다. 그리고 이혼과 함께 동거하다 서로 헤어질 때 생기는 교인들의 윤리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하나님 나라의 부흥이 가로막히고 있다. 그러므로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동거를 살펴보는 것과 윤리적인 문제인 동거문화에 대처하는 교회의 역할을 연구하는 것은 시급한 문제이다. 따라서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서 동거문화가 과연 무엇인지, 즉 용어 정의에서 시작해서 동거문화의 문제점들을 기독교윤리학의 기본전제들을 토대로 들여다 보고 한계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 난이도에 따른 단계별 지도가 수학학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이성규 忠南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pplied teaching materials to our school students with deep individual differences to increase scholastic ability in mathematics. The students had no a good knowledge of mathematics, which turned out in examinations and teaching process. The first stage teaching was repeatedly done by preliminary learning, the second stage teaching by applying questions and the third stage teaching centered around deep learning.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is study (thesis) was helpful to the expansion of basic ability because the teacher filled up the deficiency of preliminary learning for the students. 2. This study was useful to adjustment of teaching level, the promotion of learning desire, and correction of learning attitude. 3 . This study was helpful to the formation of positive self-conception and to raising interests for mathematics because the motive of achievement was stimulated as the result of a basic ability improvement. 4. If the teacher put to the evaluation test for the chapters as he classify chapters according to the stage, the teacher's work will increase but the teaching time for the high rank students will decrease. So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take a supplementary lesson or to have personal test papers. Suggestion;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in the special research institute because the teacher is apt to make mistake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m. If the teacher make the most of teaching in class, it is very useful to students in many ways, I am sure.

      • 웹GIS 환경을 위한 지리공간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개발 : Development of Geospatial Simulation Framework for WebGIS Environment

        이성규 부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공간자료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전통적인 지리정보 분야를 포함한 환경분야, 도시분야, 자연과학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해 공간자료를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공간자료를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료 수집을 시작으로 원자료의 다양한 파일 포맷 분석, 단일 포맷으로 변경하기 위한 리포맷팅, 지리공간 자료의 지도투영 변환, 그리고 연구지역 내 자료 추출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한 번의 작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수회에 걸친 반복된 작업을 통해서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간자료의 특성으로 인해 지리정보 분야에 전문지식이 없는 연구자, 과학자 그리고 통계학자 등은 공간자료를 처리하고 연구에 활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2004년 O'Reilly의 부사장인 데일 도허티(Dale Dougherty)에 의해 처음 제안된 Web 2.0의 등장으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웹 기반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웹 기반의 시스템 개발방법으로는 공간자료를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다루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공간정보 분야에 전문지식이 없는 비전문가들이 공간자료의 포맷 변환, 지도투영 변환 등 공간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높은 기술 숙련도가 요구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통적인 컴퓨터공학 분야뿐만 아니라 공간정보 분야에서도 생산성 향상과 균일화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며, 현업에서도 반드시 도입해야 되는 중요한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자료의 효율적인 자료처리, 모듈 간 느슨한 결합, 다양한 플랫폼 지원, 통계 분석 지원, GIS 분석 지원 등을 고려하여 웹GIS 기반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지리공간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지리공간 데이터세트, 모델, 프로세싱, 그래픽, 분석, 웹 맵핑 서비스로 구성하였다. 각 모듈의 구성요소는 오픈소스 기반의 라이브러리와 소프트웨어 및 본 연구에서 개발한 라이브러리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프레임워크의 평가를 위해 도시계획분야의 도시성장을 대상으로 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존 프레임워크와의 비교 평가하였다. 프레임워크 평가 항목으로 유지보수성, 재사용성, 개발환경, 확장성, 개발비용, 기술 종속성을 선정하고 각 평가항목별로 기존 프레임워크와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존 프레임워크는 개발환경, 개발비용, 유지보수성을 제외한 재사용성, 확장성, 기술 종속성 평가항목에서 우수 평가를 받았다. 반면,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확장성을 제외한 유지보수성, 재사용성, 개발환경, 개발비용, 기술 종속성 평가항목에서 우수 평가를 받았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라이브러리와 소프트웨어를 선택하고,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불필요한 요소의 제거함으로써 기존 프레임워크에 비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개발된 시스템은 많은 연구자에게 데스크톱 기반의 어플리케이션보다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연구지역 선정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스템 사용자는 과학적인 분석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에 보다 더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폴리(아크릴산-b-비닐아민) 양쪽성 블록공중합체의 합성과 pH 및 블록 길이가 자기조립 거동에 미치는 영향

        이성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폴리(아크릴산-b-비닐아민) 양쪽성 블록공중합체를 전자 이동에 의한 활성제 재생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ARGET ATRP)과 가역 첨가 분열 사슬 이동 라디칼 중합(RAFT)의 두 가지 가역 비활성 라디칼 중합(reversible deactivation radical polymerization, RDRP) 방법을 조합하여 합성하였고, 합성된 양쪽성 블록공중합체의 pH 변화에 따른 미셀 또는 역미셀 상에서의 제타 전위와 크기 변화를 측정하였다. 두 가지 RDRP를 사용한 것은 단량체인 t-부틸아크릴레이트(t-butyl acrylate, tBA)와 N-비닐포름아미드(N-vinyl amine, NVF)의 반응성 차이 때문이다. NVF의 중합은 ATRP로 비효율적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 중합 조절이 가능한 잔테이트를 CTA로 하는 RAFT 중합은 tBA를 조절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ARGET ATRP로 tBA를 중합하고 말단 치환 반응을 통해 싸이오에스터기를 도입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NVF를 RAFT 중합하였다. 그 후 가수분해를 하여 폴리(아크릴산-b-비닐아민)를 합성하였다. 폴리(아크릴산-b-비닐아민)는 수용액 상에서 양쪽성 블록공중합체의 특징적인 미셀 거동, 제타 전위의 역전 및 pH에 따른 미셀 크기 변화를 보여주었다. 등전점은 제타 전위와 크기 측정에서 일치하였고 계산된 값과 측정된 값이 잘 일치하였다. 또한 폴리아크릴산과 폴리비닐아민의 블록 비율 변화에 따라 pH 4.95부터 10.57까지의 등전점 변화를 확인하였다. Poly(acrylic acid-b-vinyl amine) copolymers were synthesized using a combination of two reversible deactivation radical polymerization (RDRP) techniques, activator regenerated by electron transfer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RGET ATRP) and 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RAFT) polymerization, and measured the change of Zeta potential and size on micelle or reverse micelle with pH and block length change of the synthesized amphoteric block copolymer. The two different polymerization methods are adapted due to the disparity in reactivity of the two monomers, t-butyl acrylate(tBA) and N-vinyl formamide(NVF). ATRP of NVF is known to be not effective in preparing polymers with controlled architectures. In addition, RAFT agents that can control the polymerization of NVF typically do not provide enough control in the polymerization of tBA. Thus, ARGET ATRP was performed to make PtBA containing a bromine end groups which was subsequently substituted with xanthate moieties for the RAFT of NVF. With subsequent hydrolysis, we could synthesize amphoteric block copolymers of poly(acrylic acid-b-vinyl amine). The aqueous solution of the PAA-b-PVAm block copolymer showed the characteristic micellar behaviors of amphoteric block copolymers, inversion of Zeta potential and changes of micelle diameter in terms of pH. The isoelectric point(IEP) of the prepared block copolymer was determined using the Zeta potential inversion and matched well with the theoretical value calculated with the each block lengths. Also the IEP was changed from pH value of 4.45 to 10.55 by changing the ratio of each PAA/PVAm block lengths

      • 물체 인식을 위한 새로운 영상 분할 알고리듬과 퍼지 함수를 이용한 유사도 측정

        이성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that can segment an object region in the image efficiently. There are many algorithms for image segmentation and many studies for the edge dectection or threshold value decision. But most of studies can not be adapted in environmental changes or noises, because they use only either spatial or nonspatial information, so that they can not derive the object region in the imge efficiently. Accordingly, we establish a new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for deriving the obfect region in the image using the region-growing algorithm and the k-means clustering method. Firstly, region-growing algorithm separates the image to many smaill regions that have similar intesity under neighbor conditions. And it merges a region with neighbor region using edge strength and homogenity until converging. The result of region-growing algorithm is pretty good but it surely doesn't deem too excellent for the objiect recognition. For solving this, we adopt the traditional k-means clustering method known to be an efficient method for the clustering problem. We choose the k-means clustering method by histograms of the image. As a result, we can segment object regions and background region. but we still have some tasks for selcting object regions and 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show those through the experiments. In the experiment, we presented the various results and used similarity concept. We calculated the similarity by fuzzy function whose input was region's compactness and shift. Also, we compared our algorithm with another simple algorithm known widely. We coticed the robustness and the capability to recognize an object or to track an object. Consequently, we verified that the capability of the algorithm in this paper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algorithms for the object recognition prpblem.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Mechanical Design Engineering in February 2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