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랜덤 포레스트와 부스티드 트리 모델을 적용한 서울의 홍수와 산사태 취약성 분석

        이선민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홍수와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수리수문학 및 지형, 토양, 임상학적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홍수와 산사태 발생원인의 예측 중요도 값을 계산하여, 이를 통해 각각의 연구지역에 대해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최근 여름철 폭우로 인한 홍수와 산사태 피해가 발생한 지역인 서울특별시이며, 홍수 취약성 분석은 서울특별시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고, 산사태 취약성 분석은 2011년 산사태로 큰 피해가 발생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산 일대를 연구지역으로 하였다. 홍수 취약성 분석을 위해 현장조사를 통해 취득된 2010년과 2011년 홍수 침수 피해지역 데이터를 취득하였고, 1:5000 지형도, 1:25000 토지이용도, 1:25000 토양도, 1:25000 지질도를 통해 홍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해서는 산사태 발생위치 정보를 산사태 이후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서 취득하였으며, 1:5000 지형도, 1:25000 토지이용도, 1:25000 토양도, 1:25000 지질도 및 1:25000 임상도를 통해 관련 요인을 추출하고 마찬가지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산사태와 홍수 발생위치 및 홍수 발생요인 공간데이터베이스를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와 부스티드 트리(Boosted tree) 모델 및 산사태 각각의 발생요인 공간데이터베이스를 부스티드 트리 모델에 적용하여 분류분석과 회귀분석을 각각 수행하였다. 이 단계에서 각 모델마다의 각각의 발생요인에 대한 예측 중요도 값을 각각 계산하였으며, 홍수와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산된 홍수와 산사태 취약성 지수가 기존의 홍수와 산사태 발생을 설명할 수 있는지 정량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ROC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곡선을 작성하여 각 취약성도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각각의 모델에 해당하는 검증 결과, 서울 지역에서의 홍수 취약성 예측 지도를 검증하기 위해 ROC 곡선 작성 및 AUC를 계산하였다. 각각에 대해 AUC를 계산한 결과 랜덤 포레스트 모델은 회귀 분석에서는 78.78 % (0.7878)의 정확도를 보인 반면, 분류 분석에서는 79.18 % (0.7918)의 정확도를 보였다. 부스티드 트리 모델의 경우에는 회귀 분석에서 77.55 % (0.7755)의 정확도를 보인 반면, 분류 분석에서는 77.26 % (0.7726)의 정확도를 보였다. 마찬가지로 부스티드 트리 모델을 이용한 우면산 지역의 산사태 취약성 예측 값을 검증하기 위해 ROC 곡선 작성하고 AUC를 계산하였다. 분류 분석과 회귀 분석 결과 각각의 ROC 곡선에 대해 AUC를 계산한 결과 회귀 분석에서 83.50% (0.8350)의 정확도를 보인 반면, 분류 분석에서는 83.18% (0.8318)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국가 기반으로 구축된 기존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의 수도인 서울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여 수행하였으며, 추후에는 국내의 다른 도심지 및 기타 지역에의 적용으로 전국적으로 취약성도를 제작하여 홍수 및 산사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국가적으로 홍수방어대책, 방재사업, 토지이용계획 등의 수립을 위한 정량적 자료로써 적용 및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natural hazard frequency increases with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the damage that is emphasized on risk maps is based on actual data; therefore, flood-susceptibility maps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which random-forest and boosted-tree models and landslide-susceptibility maps for the Mt. Umyeon area, for which boosted-tree model are used i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environment, are created for this study. For the flood-susceptibility mapping, flooded-area, topography, geology, soil, and land-use data were collected and topography, soil, forestry data for the landslide-susceptibility were collected and entered into a spatial database. From the database, respectively 12 and 21 factors were calculated and extracted as the input data for the models. The flooded area of 2010 was used to train the model, and the flooded area of 2011 was used for the validation. For the landslide-susceptibility, 2011 landslide data in Mt. Umyeon was used for both training and validation.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of the susceptibility maps were calculated, and lastly, the maps were validated. As a result, for the flood-susceptibility, the distance from the river, geology, and DEM showed a high importance among the factors. The Random forest and Boosted tree models showed validation accuracies of 78.78% and 79.18% and 77.55% and 77.26%, respectively, for the regression and classification algorithms, respectively. For the landslide-susceptibility, by using Boosted tree model, SLF, standard height, timber type, slope showed a high importance and boosted-tree model showd validation accuracies of 83.50% and 83.18%, respectively, for the regression and classification algorithms, respectively. The susceptibility maps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decision-makers regarding the identification of priority areas for natural hazard mitigation management.

      • 건물영상에서 추출한 SIFT 클러스터의 Relaxational Matching

        이선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Thesis, we propose a relaxation-based matching of SIFT keypoints between buildings. When building have repetitive structure, keypoints extracted from a building region are so similar that matchings between keypoints are highly prone to error. This problem can be alleviated by matching clusters of similar keypoints, instead of matching individual keypoints. Further improvement of matching is obtained by relaxation of matching such that structural consistency among matched clusters is preserved in either image. We tested the proposed scheme on several images of building of the University of Seoul and achiev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matching. Keyword: relaxational matching, SIFT cluster, building matching 본 논문에서는 건물의 영상에서 추출한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특징점들의 정합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relaxation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건물이 반복적 구조를 가질 때에는 추출되는 특징점들의 유사성이 높아 오정합이 많이 발생한다. 정합의 기본 단위로 SIFT 특징점들을 사용하는 대신에 유사한 특징점들을 모은 클러스터 단위로 정합을 하면 오정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합된 클러스터들이 각각의 영상에서 구조적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relaxation 기법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간의 정합 성능을 더욱 개선하였다. 서울시립대학교의 여러 건물에서 촬영한 건물에 대해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 정합 성능이 현저히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 relaxational matching, SIFT cluster, building matching

      • 국내 창작뮤지컬 지원사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 창작인력양성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이선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aims to search mid-term and long-term development program by analyzing present situation of supporting business for domestic original musical. Having grown steadily since ‘Phantom of the Opera’ in 2001, the domestic musical market stagnated in the middle of 2010s’. Several causes lie under this stagnation, but the largest problem is the degraded quality of original work caused by excessive pursuit of license musical. Although public institutions like ARKO & KOCCA are respectively operating relevant supporting businesses such as ‘Cradle of Creation’ and ‘Story Writer Debut Program’, long-term performance is difficult because the program goals are focused on short-term success. Thus, this study analyzes ‘Stage Up’ of CJ Culture Foundation and ‘Wooran Yisang’ of Wooran Culture Foundation, private support programs. The merit and demerit of each business is compared. As additional cases, I examine the video game industry and the film industry which have received long time support, and ‘NEA’ in the US and ‘ACE’ in the UK. To reflect the actual responses in the field, the following 4 questions for study were asked to 21 experts. 1. What is the present situation of supporting programs for original musicals? 2. What is the present situation and result of supporting business that cultivates creative manpower? 3. Are the goal and operation of supporting business that cultivate manpower feasible now? 4. What are detailed ways to improve supporting programs to cultivate manpower? This study largely draws 5 improvement methods. First, as supporting programs is directed towards creators, it should be specifically programs enhancing expertise of the mentoring system. Second, supporting programs which concentrate on cultivating new creators should expand their target to include semi-established creators. Third, although it is important for creators to develop scripts, the role of 2nd creators who create work on the basis of those scripts is also important in order to make more better performances. Thus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m. Fourth, the length of supporting programs needs to be flexibly adjusted for work scale instead of uniform standard of 1 year. Fifth, it is necessary to consolidate vertically operated institutions & businesses and to establish a dedicated institu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diverse cases besides musical genre and it is distinct from preceding studies, which concentrate on case study or literature studies through interviews with many experts directly/indirectly connected to musical supporting business. However, some data and interviewees cannot be directly quoted or are not easily accessible, due to confidentiality of public institutions and related know-how of private institutions. Since this is one of the factors which impede mid-term and long-term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quantitative study also needs to be implemented with constant update through integrated EDPS network. 본 논문은 국내 창작뮤지컬 지원사업의 현황을 분석하여 중장기적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내 뮤지컬 시장은 2001년 ‘오페라의 유령’ 이후, 지속적 성장을 거듭하다가 2010년대 중반기에 이르러 정체를 겪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원인이 있으나 가장 큰 문제점은 라이선스 뮤지컬의 시장 점유로 인한 창작 작품의 질 저하를 들 수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콘텐츠진흥원 등 공공기관에서는 각각 ‘창작산실’과 ‘스토리 작가 데뷔 프로그램’ 등 관련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나 사업의 목표가 성공적인 무대화에 맞춰져 있어 지속적인 공연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원사업 및 선정된 위탁 사례와 더불어 민간기관인 CJ문화재단의 ‘스테이지업’과 우란문화재단의 ‘우란 이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사업의 장단점을 비교하였으며 여기에 참조할 만한 추가적 사례로 미국의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NEA)', 영국의 'Arts Council England(ACE)' 지원 프로그램과 국내 문화콘텐츠 산업 중 지원기간이 오래되었거나 체계가 세분화되어 있는 게임과 영화산업의 작품 및 인력지원 프로그램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문헌연구에 그치지 않고 현장의 실질적 내용을 담기 위해 21명의 전문가에게 총 4개의 연구질문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 응답을 받았다. 1. 현재 창작뮤지컬 지원 사업의 현황은 어떠한가? 2. 창작인력 양성 지원사업의 현황과 성과는 무엇인가? 3. 현재 인력양성 지원사업의 목표 및 운영은 타당한가? 4. 인력양성 지원사업의 세부 수정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크게 다섯 가지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창작자를 양성하는 지원사업인 만큼 멘토링 시스템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맞춤형으로 운영해야 한다. 둘째, 신인 창작자 양성에만 치중되어 있는 지원사업을 준 기성 창작자까지로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창작뮤지컬의 특성상 창작자가 대본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내실 있게 무대화되기 위해서 대본을 토대로 작품을 만들어가는 2차 창작자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하므로 이들과 연계하고 지원해야한다. 넷째, 지원사업의 기간을 1년이라는 일관적인 기준보다는 작품의 규모에 맞추어 유연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수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기관 및 사업들을 통폐합하고 전담 기관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뮤지컬 장르 외에 참조할 만한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고, 뮤지컬 지원사업과 직간접으로 연결된 다수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사례연구나 문헌연구에 그치고 있는 기존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다만, 일부 자료와 인터뷰 대상자는 공공기관의 대외비 성격을 띠고 있거나 민간기관의 노하우와 관련된 부분으로 직접적인 인용 및 접근이 어려웠다. 이 또한 공연예술의 중장기적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 중 하나로써 향후 공연통합전산망을 통한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시장 현황 등의 통계 자료 공유를 통해 정량적인 연구 역시 함께 이뤄지기를 기대해본다.

      •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 내담자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선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청소년들의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참여 이후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중학교 3학년 위기청소년으로 2014년 7월 이후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을 처음 이용하였으며, 의뢰구분에 따라 가족, 본인, 학교로 분류하여 세 명의 위기청소년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그들의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연구방법이다. 내러티브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 참여경험에서 5개의 영역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연구 텍스트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5개의 영역은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 신청동기의 경험, 청소년동반자와의 관계 경험 중 청소년동반자의 외모에 대한 청소년내담자의 느낌,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의 참여 과정의 경험, 종결에 대한 경험, 종결 이후 청소년내담자의 삶의 경험에 대한 것이다. 논의에서는 내러티브 분석 결과에 따라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과 청소년상담자에게 주는 함의와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 종결이후 후속상담과 가족상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t-risk adolescent's experiences with Youth Companion Program and their psychosocial experiences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Research participants were at-risk adolescents who were 9th graders. In this study, three at-risk adolesc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 addition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Narrative inquiry is an effective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based deeply on their stories. As a result of narrative analysis, five domains of research were drawn from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participation in Youth Companion Program and research texts were created based on these. These five domains were following; 1) the experience on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d in Youth Companion Program, 2) the impression on the appearance of the counselor, 3) the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the program, 4) the experience of the program termination, and 5) the experience after the terminat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Youth Companion Program and adolescent client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가상공간 속에서 확장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한 가상객체의 조작

        이선민 梨花女子大學校 科學技術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용자가 가상 공간 밖에서 모니터나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해서 가상현실을 체험 하도록 해주는 비/반몰입형 가상환경은 복잡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가상공간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광범위하게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비/반몰입형 가상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언어로써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은 웹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비교적 쉽게 가상객체를 모델링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인터랙션을 가능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VRML을 이용하여 구축한 가상환경 안에서는 마우스/키보드 위주의 단순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랙션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하고 현실감 있는 가상환경을 제작하기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 인터넷을 통한 다중 사용자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VRML을 기반으로 하는 비/반몰입형 가상환경속에서, 확장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한 가상객체의 조작에 대하여 구현하였다. 비/반몰입형 가상공간 내에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랙션 중에서 본 논문에서 시도한 것은 자동차의 움직임을 조작하기 위한 핸들/패달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마우스/키보드를 통하여 자동차의 움직임을 조작할 때 보다 더 현실감 있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기존의 자동차 운전을 위한 반몰입형 가상환경에서는 자동차의 움직임을 모델링하기 위하여 보간자 노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택했기 때문에 객체의 움직임에 대하여 사용자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될 수 없었다. 반면 본 논문에서 구현한 자동차의 움직임은 핸들/패달 장치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택했기 때문에 보다 더 현실감 있고 사용자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는 가상공간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Non/semi immersive virtual reality technology has been widely studied since it enables user to experience a virtual environment with inexpensive device such as monitor or rear projector. VRML, the language for constructing non/semi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has been extensively used because it works on the web through the network and offers a way to modeling a virtual object with ease and a user interaction. However, not only does the VRML have these merits but also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construct a various and realistic virtual environment since the user interaction that it offers is restricted only with mouse and keyboard. To overcome these weakness and make multiuser to participate in the virtual environment through the internet, this paper attempts to implement manipulation of virtual object with the extended user interaction with VRML in the virtual reality. Among the user interaction which can be extended in the non/semi immersive virtual reality, This paper attempts to use a Wheel/Pedal device for user interaction. By using Wheel/Pedal device, it can be possible to construct a virtual environment which enables user to make a more realistic interaction compared with that using only with mouse and keyboard. In the existing non/semi immersive virtual reality driving simulation, it is difficult to reflect user's intention enough since it uses the interpolation node for modeling a movement of the car. Meanwhile, in this paper, the movement of the car is represen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law with the wheel/pedal device, and so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virtual environment which is more realistic and make user to reflect their intention to it sufficiently.

      • 일반아동과 언어연령이 동일한 언어발달지체아동 간의 말명료도와 언어능력 비교

        이선민 부산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언어연령이 동일한 언어발달지체아동의 평정자 집단에 따른 말명료도와 언어능력(음운능력, 어휘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아동의 언어능력과 말명료도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4세 일반아동 10명, 언어연령이 4세에 해당하는 언어발달지체아동 10명과 부산 시내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인 평정자 20명, 현재 부산 시내의 언어치료실에서 재직 중인 언어치료사 평정자 20명으로 하였다. 또한 아동용 발음평가검사(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 APAC, 김민정 등, 2007)의 연결발화 검사의 그림카드를 4세 아동의 발화수준을 고려하여 3어구정도의 발화로 재제작하여 말명료도와, 기초학습기능평가-초기문해검사(Basic Academic Skill Assessment: Early Literacy; BASA-EL, 김동일 등, 2011)로 음운능력과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ceptive; REVT-R, 김영태 등, 2009)로 어휘능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통계처리는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평정자 집단에 따라 말명료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wo-way ANOVA를 실시하였고, 대상자 집단에 따라 언어능력과 말명료도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0.0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아동과 언어연령이 동일한 언어발달지체아동의 말명료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평정자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일반아동과 언어연령이 동일한 언어발달지체아동 간의 언어능력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언어능력과 말명료도 간의 상관관계가 없었다. 넷째, 일반아동의 언어능력(음운인식능력)과 말명료도 간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일반아동 중에 말명료도가 낮다면 상위음운능력에 대한 평가와 확인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말명료도가 낮은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조음음운장애 아동들을 중재할 때 조음음운뿐만 아니라 총체적 언어접근이 필요한 지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무용작품에 나타난 음악적 특성 연구 : Mark Morris의 「Falling Down Stairs와 Trisha Brown」의 「MㆍO」를 중심으로

        이선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지 오늘날 무용은 다양한 예술과 접목하여 끊임없이 연구하고, 새로운 개념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 중 무용작품에서 표현하고자하는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음악은 표현, 전달의 매개체로서 사상과 감정을 언어가 아닌 음으로 표현 할 수 있고, 그 사회나 시대의 사상과 흐름, 예술적 사고 등을 대변하므로 무용작품을 창작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예술분야라 할 수 있다. 무용과 음악은 중요한 예술적 동반자로서 서로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며, 무용과 음악은 발생학적 의미에서 보면 그 뿌리를 같이 하고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예술이라는 공통적 특성 때문에 내면적으로는 긴밀한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으며, 서로 다양한 방식으로 조화를 이루며 공존한다. 이처럼 무용작품에 나타난 음악은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며, 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시각음악의 형태는 작곡된 음악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부분을 분석하여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이며, 대부분의 안무과정은 악보의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무음악의 형태는 음악이 없는 상태에서 무용이 시도된 것이며, 무음악의 진정한 가치는 집중력을 단일화 시키는 것이다. 또한 무관계 음악의 형태는 무용과 음악의 분석적관계로 이해 될 수 있으며, 구체음악의 형태는 생활에서의 모든 소리가 음악이 될 수 있다. 마크 모리스(Mark Morris)는 시각음악 형태를 주로 사용하는 안무가로 춤의 구조는 그가 사용하는 음악의 구조에서 유래한다. 그는 춤을 음악의 시각화 과정으로 인식하였으며, 음악에 나타나는 리듬을 느끼며 작품을 만들었다. 또한 트리샤 브라운(Trisha Brown)은 1990년대에 들어 그녀의 안무 스타일 중 가장 큰 변화로 고전음악을 사용한 것이며, 무용과 음악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새롭게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크 모리스의 작품「계단에서 떨어지다(Falling Down Stairs)」와 트리샤 브라운의 작품「MㆍO」에서 나타난 음악적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무용작품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데 있어 음악이 어떠한 역할을 하며, 창작 작업에서의 촉매제 역할과 더불어 무용과 음악의 예술 활동이 좀 더 새롭고 폭넓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악의 적절한 활용이 무용작품의 창조성과 표현성을 높이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음악은 동작이 갖는 정서를 향상시키고 안무자에게 새로운 실험성을 부여함으로써 무용작품을 한 층 더 돋보이게 한다. 그러므로 마크 모리스의「Falling Down Stairs」와 트리샤 브라운의「MㆍO」를 통해 무용과 음악이 필연적 관계임을 재인식하고, 창작 작업에 있어서 다양한 음악적 시도는 새로운 움직임을 창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단독주택 표현 특성 연구

        이선민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C. Norberg-schulz said "When constructing a house, human begins to reside. A building as a substance brings residential landscape closely to human so that they may experience their own being as a significant subject". We have to be accustomed to the environment in order to set up a real base. Residents in desert have to be familiar with endless desert and broiling sun, while residents in Northern European forest have to be familiar with fog, snow and cold wind. Such "familiarity" indicates environment is experienced as a "significant thing", and the fundamental solutions of today's progressive design for energy saving, low carbon emission, resource recycle can be found in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change from the 1960s up to now in the characteristics of detached house that varied depending on climate, natural conditions and life style, focusing on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after post-modernism;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our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approach focussing on the relation between architectural space theory, design trend and detached house from various viewpoints on design principle and background rather than superficial description on phenomenon; and study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detached house and i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morphological, spatial and environmental analysis on architectures of domestic and foreign architects. In addition, the investigation on the trend of detached house, which overcame the natural limit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combined with natural conditions and life style, and the result of the morphological, spatial and environmental analysi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that allow pursuing more satisfactory dwelling Residential space is made by human behaviors and social needs of their times. Therefore, even in case it appeared all of sudden, it is deemed to come to perfection always through conflicts, compromises and mutual complements against conventional residential space. Consequently, it would be significant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detached house from the 1960s up to now and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 For the selection range of subject houses, 138 houses were selected after investigating the detached houses completed by the architects who designed many houses, those listed as the 20th century's masterpieces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those introduced repeatedly on architectural magazines such as The Plan and DOMUS and those listed as domestic cases on Korean academic journals for past 3 years including the foreign cases focusing on the detached houses of the winners of RIBA Royal Gold Medal and Pritzker Architectural Prize. In order to study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detached house in the world from the 1960s after post-modernism, cases were collected mainly in five continents - Asia, Europe, Africa, Oceania and America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However, it was difficult to make practically balanced selection of detached houses in the world. The analysis on the list of detached houses selected showed that Asia was too much biased toward Japan and America was toward The United States while there was no house selected in Africa, and the detached houses in the Netherlands, Portugal and Spain were selected as the main cases in Europe. For domestic cases, the cases of detached houses introduced repeatedly in the domestic architectural magazines were selected focussing on the cases of detached houses of Korean architectural associations and the winners of Korean Architectural Culture Prize. The study was conducted in following process; First, a theoretical exploration in the environmental aspect was made within the limitation to investigate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selected countries together with the control of light and wind and the change of external materials. In the spatial aspect, it was made on detailed items such as conceptional space, floor plan type, formal space and private space, and in the morphological aspect, it was mae on detailed items such as design trend, mass and roof type. Since the range of study in the environmental aspect was too broad, it was scaled down to a specific area in this study and further analyses after the theoretical analysis were made in order of form, space and environment. Second,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countries limited to the United States for America, Japan for Asia, the Netherlands, Portugal and Swiss for Europe, where the detached houses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were intensively located, were investigated. After selecting 8 architects in each area including American architects Richard Meier and Frank O. Gehry, Japanese architects Ando Tadao and Toyo Ito, Portuguese architect Alvaro Siza, Swiss architect Herzog & de Meuron, Dutch architect Rem Koolhass and UN studio who leads the trend of digital nonlinear, the study was made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logical, spatial and environmental expression shown in 48 detached houses. Third, in most cases, 8 architects selected for each area who won both RIBA Royal Gold Medal and Pritzker Architectural Prize had the representativeness, but since the projects of detached houses were conducted intensively in a specific period,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ir detached houses but not enough to summarize the trend of overall change after post-modernism. Therefore, in Chapter 4, more architects were selected for each period and analysis was made on 60 detached houses. At the unit of 10 years from 1960, 60 houses of foreign cases and 30 houses of domestic cases were analyzed for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in the morphological, spat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Through the above study,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노베르그 슐츠(C. Norberg-schulz)는 ‘집을 지을 때 인간은 거주한다. 사물로서 건물은 인간이 의미 있는 것으로서 자신의 존재를 경험하도록 주거 풍경을 인간에게 가깝게 가져온다.’고 하였다. 우리는 실제의 터전을 얻기 위해 환경과 ‘친숙’해져야 한다. 사막의 거주자들은 끝없이 펼쳐진 사막과 타는 듯한 태양과 친숙해져야하는 반면에, 북유럽 숲 속의 거주자들은 안개, 눈, 찬바람에 익숙해야한다. 그런 ‘친숙함’은 환경이 ‘의미 있는’ 것으로 경험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에너지 절감, 저탄소발생, 자원 재활용등의 현대의 진보적인 디자인의 근본적인 해결을 이제는 환경에서 찾아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기후와 자연조건, 삶의 방식에 따라 나타나는 단독 주택의 표현 특성이 1960년대 이후 현대로 오면서 어떻게 변화 되었는지 알아보고, 현상에 대한 표피적인 서술 보다는 디자인의 원리와 배경을 다양한 관점에서 건축 공간론 및 디자인 사조와 단독 주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접근하여, 우리의 주거 공간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위치를 재인식하고, 국내·외 건축가 주택 작품의 형태적, 공간적, 환경적 분석을 통해 단독 주택의 발전과정과 특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연 조건과 삶의 방식이 결합되어 문명의 발전과 더불어 자연의 제약을 극복해 가는 단독 주택 표현 특성의 형태적, 공간적, 환경적 분석의 결과는 보다 만족스러운 주거를 꿈꿀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주거공간은 인간의 행위와 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의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아무리 그것이 급작스럽게 나타 난 것이라 할지라도 늘 보수적인 기존 주거와의5 갈등과 절충, 상호 보완을 겪으면서 완성된 것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196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단독 주택 표현 특성을 살펴보아 주거 공간의 발전 과정을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 한다. 사례 주택의 선정 범위는 국외 사례는 영국왕립건축가협회 RIBA Royal Gold Medal 수상자 및 Pritzker Architectural Prize 수상자의 단독 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다수의 주택설계를 진행한 건축가들의 준공 완료된 단독주택, 한국주거학회 20세기 명품 건축에 수록된 단독주택, THE PLAN, DOMUS 등 건축 전문지에 반복적으로 소개된 단독주택 및 최근 3년가 국내 학술지에 사례로 수록된 단독주택 등을 조사하여 138채를 선정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1960년대부터 단독주택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선정 기준에 따라 오대주-아시아 주, 유럽 주, 아프리카 주, 오세아니아 주,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사례를 수집하였다. 그렇지만, 전 세계의 단독 주택을 사례로 삼는 것은 현실적으로 균형 있게 선정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선정된 단독주택의 목록을 분석하여 본 결과 아시아는 일본, 아메리카는 미국에 지나치게 편향되어 있었으며, 아프리카에는 선정된 주택이 없었고, 유럽의 국가들 중에서는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의 단독주택이 주된 사례로 선정되었다. 국내 사례는 국내 건축전문단체 및 한국건축문화대상 수상자의 단독 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국내 건축 전문지에 반복적으로 소개된 단독 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첫째, 환경적 측면의 이론적 고찰은 빛과 바람의 조절, 외부 재료의 변화와 함께 선정된 국가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살펴보는 것으로 한정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공간적 측면은 세부적 항목을 개념공간, 평면유형,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 형태적 측면의 세부적 항목은 디자인 사조, mass와 지붕형태로 진행하였다. 환경적 측면에 대한 연구의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특정 부분으로 축소하여 진행하면서 이론적 고찰 이후의 분석의 순서는 형태적, 공간적, 환경적으로 진행하였다. 둘째,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단독 주택이 집중된 아메리카의 미국, 아시아의 일본, 유럽의 네덜란드와 포르투갈, 스위스로 한정하여 선정된 국가의 사회 문화적 특징을 고찰하고, 아메리카 미국 지역의 건축가 리차드마이어(Richard Meier)와 프랭크게리(Frank O. Gehry), 아시아 일본 지역의 건축가 안도다다오(Ando Tadao)와 도요이토(Toyo Ito), 유럽 지역의 포르투갈 건축가 알바로시자(Alvaro Siza), 스위스의 건축가 헤르조그 드 뮤런(Herzog & de Meuron), 네덜란드의 건축가 램쿨하스(Rem Koolhass)와 최근의 디지털 비선형 경향의 흐름을 주도하는 유엔스튜디오(UN studio)를 포함하여 지역별 건축가들을 8명을 선정하여 단독주택 48채에서 나타나는 형태적, 공간적, 환경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를 3장에서 진행하였다. 셋째, 대부분 RIBA Royal Gold Medal과 Pritzker Architectural Prize을 모두 수상한 지역별로 선정된 건축가 8인의 사례가 대표성은 있지만, 일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단독주택 프로젝트가 진행되어 그들의 단독주택에 나타난 표현 특성에 대해서는 살펴볼 수 있지만,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전반적인 변화의 흐름을 정리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4장에서는 60채의 단독 주택에 대한 시대별로 건축가를 더 많이 선정

      • 내부고객만족과 고객지향성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선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increase of national income would improve and be enrich our quality of life. When they buy goods or make decision, Many people doesn't consider only prices or distinction of commodities, but are highly interested in the service quality that can be accepted. Enterprises are making a constant effort improve the service quality that corresponds to customers' this desire. This study focused on enterprise' effort for customer satisfaction to look for ways that can satisfy customers, and it drew a decision that employee's satisfaction is a prerequisite of customer satisfaction. Because the service is delivered through an interaction with customer and employee, and customers judge the service quality on actions and attitudes of service encounter employees in a moment of touch with them.. In addition, enterprises had an understanding of their employees as new customer, not simple employees, to apply a concept of internal customers to them. They made an effort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raised as new customer, and had an understanding of importance of internal service qu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hat making an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of internal service quality can provide for employees to inquire the relation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the effect of employee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n service quality. For this, it surveied with employees of three wedding firms, two medical firms and four financial firms, and customers who is provided the service from these firms. The determinant factors of service quality was on the basis of PZB's SERVQUAL and Zeithaml(1990)'s INTSERVQUAL. The questionnaire had 37 and 10 questions for employee and customer, respectively. To analysis hypothesis, It collected 142 copies of questionnaire for employee and make use of 130 copies, except 12 copies including insincere response. And it collected 197 copies of questionnaire for employee to make an analysis of 180 copies, except 17 copies including insincere response. It test a hypothesis by using a statistical package 12.0. It made an analysis of frequency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sample and group. And it made an analysis of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o confirm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variable. In addition, it made a hypothesis testing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ade inquiries of the difference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and variable through ANOVA. The results of four hypothesis test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internal service of high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ee satisfaction. Second, the employee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recognized by customers. Third, the employee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 orientation. Fourth, the high employee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recognized by customers. Consequently, the customer satisfaction will be a prerequisite for the employee satisfaction. For this, enterprises will have to make an effort to satisfy employees by understanding them as internal customers.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서비스사회라 일컬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서비스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발전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는 서비스 산업에만 국한되어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전반에 걸친 모든 분야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며 발전하고 있다. 우리는 무한 경쟁시대에 살고 있다. 후기 산업사회로 들어오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많은 기업들이 경쟁우위를 차지하여 기업을 지속적으로 성장․발전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기업들은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원가우위 전략, 차별화 전략, 집중화 전략 등을 수립하여 경쟁하며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21세기에 살고 있는 우리들은 가격, 차별성 등외에도 우리가 받고 있는 서비스품질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보다 나은 서비스품질을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서비스품질을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어야할 핵심능력으로 인식하고 고객이 만족 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서비스품질을 갖추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자본주의사회에서 모든 기업들은 이윤을 추구하기 위하여 많은 활동들을 하고 있으며, 오늘날의 많은 기업들은 고객만족 경영을 통하여 이윤을 추구하고자 한다. 고객만족 경영은 고객의 입장에서 고객의 요구나 기대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고객이 만족 할 수 있는 경영정책을 경영과정에 반영해 나가는 것이다.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품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고객을 만족시키고, 고객만족을 통하여 성장․발전하며 더 나아가 기업의 목표인 이윤을 달성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고객만족 경영은 기업의 최고경영자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니다. 종업원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한다. 기업이 고객만족경영을 통해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내부고객인 종업원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하며, 종업원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을 만족시켜야 할 것이다. 기업의 내부고객인 종업원이 기업의 내부서비스품질에 만족을 하게 된다면 고객들에게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고 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고객은 만족 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하여 기업은 고객을 만족시켜 고객만족경영을 달성하게 될 것이다. 삼성 에버랜드는 ‘ 테마파크/ 골프장/ 전문급식 등 연간 이용객이 1천만명에 달하는 국내 최대 종합 서비스 기업이며, 고객만족경영의 대표기업이다. 한국 산업별 고객만족도 10년 연속 1위, 대한민국 서비스품질 지수 1위 기업 선정 등 각종 고객만족 서비스 대상 수상이 이를 입증해주고 있다. 에버랜드가 고객만족의 대표 기업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기업의 내부고객인 종업원에게 ’ 주 5일제 ‘ 확대 시행, 직원 복지상품인 ’ 에버랜드 클럽(ELC)' 등 수준 높은 내부서비스품질을 제공하였다. 내부고객 만족이 외부고객 만족으로 이어져 이와 같은 좋은 결과가 나타나게 되었다.(출처 : www.samsungeverland.com) 이처럼 고객 만족을 달성 시켜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종업원인 내부고객을 만족 시켜야 할 것이다.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는 1984년 Gronroos에 의하여 서비스품질의 개념이 정립되고, 1985년 Parasuraman, Zeithaml and Berry(이하 PZB)의 서비스품질 측정 도구들이 개발되면서부터 서비스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졌으며, 그 후로도 1991년 Chase와 1993년 Collier등에 의해서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진 연구나 기업들은 외부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품질에 주의를 집중하고 내부고객에게 제공되는 내부서비스품질에는 큰 관심을 두고 있지 않았다. 내부서비스품질에 대한 개념적인 연구는 Zeithaml, Parasuraman and Berry(1990), Berry and Parasuraman(1991)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Chaston(1995), Edvardeeon (1997)은 SERVQUAL을 이용하여 내부서비스품질의 실증적인 규명을 시도 하였다.(강기두외, 1999) 내부서비스품질을 규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연구는 많이 있어 왔지만 내부서비스품질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내부고객에게 제공되는 내부서비스품질에 초점을 맞추어, 내부서비스품질에 의한 내부고객만족이 자신의 고객지향성과 외부고객이 인지하는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종업원인 내부고객에게 제공되는 내부서비스품질의 개념을 알아보고, 수준 높은 내부서비스를 제공받은 내부 고객의 만족이 자신의 서비스 지향성과 외부고객이 인지하는 서비스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기 위함이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구체적인 연구 과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서비스품질과 내부서비스품질의 포괄적인 개념과 정의, 측정방법들을 정립 한다. 둘째, 내부고객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서비스품질의 요인을 조사한다. 셋째, 내부고객만족과 내부고객의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조사한다. 넷째, 수준 높은 내부서비스품질이 내부 고객을 만족시킴으로써 외부고객이 인지하는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마지막으로, 내부고객의 고객지향성과 외부고객이 인지하는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할 것이다.

      •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기술 개선 방안 연구 : 경무국 공문서를 중심으로

        이선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for improving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These documents reflect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its function, and the result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contain valuable evidence to settle the legal issues of investigating the truth and compens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For this reason, it should be classified by the organization's function and described including its content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information of the records to give information service to researcher and user.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police bureau which was one department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re worth as a historical source and convenient to analyze. However they are dispersed and preserved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respectively. Besides each institute has a differ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description element. Therefore, this study revised th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performed reclassifi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dditional description elements for improving its descripti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organization structure and each division's function between 1926 and 1938. 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revise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police bureau and the 413 records were reclassified on the basis of its func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records management process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based on the rules regarding the official documen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cause the contents of record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related to its access, preservation appear at the process of records management. The examined characteristics are the name of individuals responsible for the approval of draft, script, drafting paper form, supplements and preservation period when the record was created. The archival description rule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re applied to them and they were proposed for improving description element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classify the records of the police bureau consistently in accordance with its function and describe them in detail. Although the objec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a specific organization, it will be able to propose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information service to user and researcher who want to use these documents. Furthermore, the theoretical study between archival and historical studies should progress more studies and the institutions that preserve the office documents of Chosun Government-General have to collaborate with each other in the future. 조선총독부는 효과적인 식민통치를 수행하기 위해 식민지 조선의 기록을 생산했고, 통치의 증거자료라는 측면에 중점을 두고 기록을 관리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생산된 조선총독부 공문서에는 일제 강점기의 통치기구, 조직과 업무, 식민통치 결과가 그대로 반영되었다. 따라서 조선총독부 공문서는 일제 강점기의 과거사 정리와 관련해 국가에서부터 개인에 이르는 많은 법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확실한 효력을 발휘하는 증거자료로 사용되고, 식민지 시대를 연구하는 데 사료로도 그 가치가 높다. 그러나 오늘날 남아있는 조선총독부 공문서는 국가기록원을 비롯한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분류체계나 기술수준 또한 기관별로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가치를 알리는 한편, 일반이용자 및 연구자를 위한 정보서비스의 개선을 위해서 다양한 기관이 적용할 수 있는 분류체계와 보다 상세하고 일관성 있는 기술요소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 기술의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에 앞서 연구범위는 소장기관간의 사례를 분석하기 용이하고 대상의 내용적 측면에서 연구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하여 조선총독부 조직 중 경무국의 공문서철 413권으로 제한하였다. 또한 기록물의 분류와 기술 제안의 타당성을 위한 기본원칙을 검토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정의, 기록관리체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조선총독부 경무국 공문서의 분류의 현황은 조선총독부 경무국 공문서를 소장하고 있는 국가기록원과 국사편찬위원회의 목록집 및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가기록원의 경우 기록물 분류의 기본원칙에 따라 기능에 근거한 분류를 하고 있었으나 특정 분류항목에 기록물이 집중되어 있거나 기록물이 분류되지 않은 항목이 존재하였으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경우 생산기관의 조직, 기능이 아닌 기록물의 형태, 주제를 중심으로 분류를 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무국 조직이 안정되었던 1926-1938년 조선총독부 사무분장을 통해 조직의 기능을 분석하여, 기간 내에 계속 유지되었던 기능을 주요기능어, 그 외의 것을 추가기능어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기능어를 남아있는 413권의 경무국 공문서의 분류에 실제 적용하고 수정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경무국 공문서를 재분류하였다. 한편 조선총독부 공문서 기술의 개선점을 제안하기 위해 국제기록물 기술표준규칙 ISAD(G)와 국가기록원의 영구기록물 기술규칙의 기술영역과 요소를 검토하였고, 분류현황 분석과 마찬가지로 목록집과 데이터베이스의 기술현황을 분석해 식별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기술이 미흡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술은 기록물 자체의 내용뿐만 아니라 기록물이 작성, 처리되는 과정에 관한 정보도 담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조선총독부공문서규정 및 처무규정,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조선총독부 공문서가 작성, 처리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술요소가 될 특징들을 정리하여 공문서철과 건 계층에 기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건 계층에는 기록물의 생산일자, 기록물의 유형, 생산자명, 언어, 물리적인 특성 및 추가설명에 기술사항을 제시하였고, 철 계층에는 기록물의 이력, 평가/폐기/처리일정 정보, 물리적 특성과 추가설명에 기술사항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경무국 공문서의 사례를 들어 철, 건 계층의 기술을 수행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조선총독부 경무국 공문서를 재분류하고 이 분류계층을 중심으로 철, 건별 기술의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범위가 특정 조직에 제한되어 있고 공문서의 기술적인 측면에서만 대상을 분석했다는 한계가 있지만 향후 분류, 기술 개선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기관 간, 학제 간 협력을 통해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통일된 분류체계를 개발하고, 상세한 기술을 제공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