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래공정충직절기> 연구

        이민정 고려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설중환 교수 지도 문학 석사 학위논문초록 논문제목 : <寇萊公貞忠直節記> 硏究 성명 : 이민정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전공 <구래공정충직절기>는 작자와 창작연대를 알 수 없는 국문 장편소설이다. 北宋初의 실존인물 寇準을 차용한 이 소설은 실존 인물 구준과 작자가 창조해낸 허구의 인물 구경린이 중심인물이 되어 서사를 이끌어나간다. 먼저 구준은 가문 외적 영역에서 활약하며 ‘治國’의 능력을 드러내는 인물이며 아들 구경린은 주로 가문 내적 문제 해결에서 활약하며 ‘齊家’의 능력을 부각하는 인물이다. 이들 중심인물의 곁에는 이들의 능력을 부각하거나 보완해주는 인물군이 중심인물의 특성을 강조해준다. 이같은 인물의 대조적 구성의 목적을 주제의식의 강화로 보고 이를 가문의 창달에서 확립으로 시선을 이동하려는 작자의 문제의식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또 은거하는 처사에 대한 긍정을 통해 작자층을 명철보신에 따라 은거하는 인물로 추정하였다. 인물형상과 함께 살펴본 것은 갈등양상이다. 반복·확대되는 처처갈등은 중심갈등으로서 이에 대처하는 남성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는 곧 가정을 국가의 소모델로서의 제시하려는 작자의 의도에서 비롯한다고 보았다. 단순한 가문내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으로 치환될 수 있는 소모델로서 충·간갈등과 치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살펴본 바를 토대로 작자층을 조선후기 벌열정치가 행해진 이후 권력의 중심에서 물러나 은거하는 노론계열의 인물로 추정하였다. 살펴본 바, <구래공>은 국가와 가문의 문제를 ‘齊家’와 ‘治國’의 차원으로 치환시킴으로써 가문과 국가적 차원의 질서를 논하려는 작자의 의식지향이 나타나는 작품이다.

      • 대물림된 애착외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민정 인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대물림된 애착외상 경험의 자문화기술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이민정 지도교수 김명찬 본 연구는 애착외상을 경험한 연구자의 개인적인 경험을 가족구성원의 관점에서 기술하며, 한국사회의 문화적 배경과 특수한 시대적 배경에서 기인한 가족붕괴와 그로인한 외상이 세대 간 전이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애착외상 경험자인 연구자의 주관적 경험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양육자와의 반복된 상호작용경험을 통해 형성된 대상관계가 이후 인간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Bowlby의 애착이론과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바탕으로 대물림된 애착외상의 경험과 그 회복과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정서적으로 친밀하고 의존도 높은 관계에서 발생하는 애착외상은 아동기의 즉각적 영향뿐만 아니라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쳐 개인의 부적응적인 기능과 증상에 이르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동기에 형성된 애착외상은 고착되는 것이 아니라 이후 삶의 중요한사건 그리고 사회적 지지경험을 통해 변화가능하다는 것이다. 어머니의 상실과 부재가 애착외상의 원인이라 생각했던 연구자는 연구과정에서 아버지의 심리적 부재와 그에 대한 분열되었던 기억이 통합되는 경험을 할 수 있었고,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애착외상대상자 이해의 기초자료와 변화 가능성의 단서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수퍼비전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민정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Supervision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LEE, MIN JUNG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e and function of supervision 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supervision and the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to suggest ideas to improv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161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from 45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performance state of supervision at the surveyed centers: - Regularity : No - Frequency : once or more a week - Required time : under 15 minutes - Type of form : individual - Time : when sign, report or ordering by supervisor - Difficulties : the pressure that both supervisors and supervisees get from overwork Second, administrative supervision was an average of 2.55(out of 5.00) which can be regarded as lower and among 5 categories of organiza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supervision function of the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was an average of 2.76 which is the highest and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centers' supervision function was 2.38 which is the lowest. Third, the recognition lev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was an average of 2.55(out of 5.00) which can be regarded as low and among 5 categories of organiza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rehabilitation centers shows the recognition level 2.64 which is the highest and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s' recognition level was 2.47 which is the lowest.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centers are performing the most appropriate supervision implemented among 5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but they are providing services to limited clients, which resulted in restricted linkage to other establishments. So it causes the weakness of linkage function of supervision and this led to the general effect to low supervision function. 국문초록 수퍼비전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담복지 전공 이민정 指 導 敎 授 정무성 본 연구는 직업재활업무에 종사하는 직업재활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각 소속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퍼비전의 실태 및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이것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직업재활종사자의 수퍼비전 기능 강화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업재활종사기관을 장애인복지관, 보호작업시설, 근로작업시설,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 공공기관 등 5개 유형으로 구분을 하였으며, 45개 기관에서 임의 표집한 직업재활종사기관에 재직중인 직업재활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종사 기관 전체의 수퍼비전 실태 현황은 형태는 ‘비정기적’, 횟수는 ‘1주에 1회 이상’, 소요시간은 ‘15분 미만’, 형태에서는 ‘개별적’, 실시 시기는 ‘결재, 보고 등 업무지시를 할 때’ 등에 가장 높은 비율의 응답자가 응답하였으며, 수퍼비전 실시에 있어 장애요인으로 수퍼바이저 및 종사자의 업무과다가 53.4%로 나타났다. 둘째, 수퍼비전 기능수행정도는 평균 2.55로 보통수준보다 낮았으며,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장애인복지관의 수퍼비전 기능 평균이 2.76으로 가장 높고,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의 수퍼비전 기능이 2.38로 가장 낮았다. 셋째, 전문직업적 정체성 인식은 평균 2.55로 보통수준보다 낮았으며,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장애인복지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수준의 평균 2.64로 가장 높고,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의 정체성 수준이 2.47로 가장 낮았다.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사회복귀시설에서는 가장 적극적인 형태의 수퍼비전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의 경우 특정 장애유형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 타 기관과의 연계성에 있어 제한적이어서 이는 수퍼비전 기능 중 연결기능의 약화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수퍼비전의 전반적인 기능수행이 낮게 측정된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수퍼비전 기능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업무, 경력, 종사자수, 시기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행정과 서비스 업무를 구분하지 않고 수행할수록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낮았으며, 경력이 오래되고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수퍼비전을 받을수록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의 3가지 기능(통합, 서비스전달, 연결) 중 연결기능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향상과 수퍼비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수퍼바이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수퍼비전을 실시하며, 직업재활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수퍼비전의 연결기능의 강화 및 업무를 세분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국내 파티문화 유형에 따른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 연구

        이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 파티문화는 차와 음료를 즐기는 사교의 한 형식으로 과거 귀족들의 살롱문화에서 시작 되었으며, 대중매체와 인터넷을 통하여 국내의 문화코드와 융합되어 사교 파티문화로 일반화되었다. 파티문화는 동일한 생활 목표, 가치관, 생활방식을 가진 사람들끼리의 생활범주를 만들어 간다는 점에서 대중들의 일상에서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잡았다. 남들과 다른 독특하고 차별화된 삶에 대한 관심, 그리고 특별한 공간에서 최상의 대우를 받기를 원하는 현대인들의 경향은 고급문화로 인식되었던 파티의 대중화를 이끌어낸 배경이 되었다. 이렇듯 각종 파티문화가 성행함에 따라 파티패션이 주목되었고 파티드레스 디자인의 감성적 측면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또한 파티드레스는 스타일과 품위를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파티문화의 대중화는 파티드레스의 디자인 측면을 세분화하고 차별화 시키고 있다. 특히 파티문화가 사교파티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파티드레스에 대한 수요 및 창의적인 디자인에 대한 요구 또한 계속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소비트렌드와 다변화된 파티문화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하는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산업의 발달과 함께 파티문화가 대중화되고 파티드레스의 수요와 시장의 규모도 확대되어감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하여 고급스러움과 실용성이 강화된 파티드레스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살롱문화와 국내 파티문화의 개념과 발생 배경 및 특성을 살펴 본 후 살롱문화와 파티문화의 상관성을 도출한다. 둘째, 국내 파티문화의 대중화로 인해 다양해진 파티의 유형 및 특성들을 분류하고 국내 파티웨어 현황을 분석한다. 셋째, 분류된 파티유형에 따라 국내 파티문화와 파티드레스 스타일의 실태를 실제 소비자인 일반 소비자 그룹과 패션 전문가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넷째,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일반 소비자 그룹을 중심으로 전문가 그룹의 전문성과 학문적 적합성을 보완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교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 및 제작한다. 따라서 파티드레스의 실질적인 사례분석을 통하여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파티패션산업을 활성화시키고 파티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높이는 촉매로서의 역할을 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티와 살롱문화는 고대 그리스의 향연과 스포츠 문화공간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살롱문화는 궁중 문화에서부터 시작되어 17세기에는 서민층에까지 성행하게 되었으며, 여성을 중심으로 한 평등한 사교ㆍ문화의 공간으로서, 귀족들의 성이나 저택에서 열리기 시작하여 독서, 발표, 연주회, 파티 등의 여러 유형으로 발달되었다. 살롱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첫째, 여성이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여성문화 속에서의 살롱, 둘째, 교양과 지식의 습득 대화나 예술적, 문학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사교문화에서의 살롱, 마지막으로 절대주의와 계몽사상을 중심으로 한 지적 엘리트들의 모임으로 이루어진 엘리트문화에서의 살롱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유형이 독자적인 성격을 띠며 발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 파티문화는 해외 유학생이나 기업들에 의해 외국의 파티문화가 유입되면서 시작되었다. 인터넷과 광고 매체들을 통해 파티문화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파티가 사치스러운 상류층만의 놀이문화가 아닌 좀 더 보편적인 사교문화로 자리 잡았고, 현재는 인적 네트워크의 수단으로 여러 곳에서 다양한 파티문화가 성행하고 있었다. 국내 파티문화의 유형을 보면 여성문화의 고급화, 사교문화의 파티화, 엘리트문화의 대중화로 나타나고 있으며, 과거의 살롱문화에서 볼 수 있었던 여성문화의 살롱문화, 사교문화의 살롱문화, 엘리트문화의 살롱문화와 비슷한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여성적 감성문화의 고급화, 정보교환과 사교문화, 상류문화의 대중화로 두 문화 간의 상관성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셋째, 국내 파티문화의 유형과 종류를 T.P.O.에 따라 격식중심, 시즌중심, 장소중심, 음료중심, 음악중심의 파티로 재분류 할 수 있었다. 국내 파티웨어 산업 현황 분석을 통하여 파티웨어의 구입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디자인과 만족도는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파티드레스에 대한 수요증가는 파티웨어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예측 및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파티플랜 및 컨설팅 전문 업체를 선정하여 파티드레스 스타일 사진을 1022여장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파티 동호회 회원 및 파티 참여 경험이 있는 일반 소비자 그룹과 패션 업계, 의류학 교수 및 박사과정 이상으로 구성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파티에서 드레스에 대한 선호도 및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파티드레스 현황 분석에 앞서 파티 참여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격식, 시즌, 음악중심으로 파티문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그룹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일반 소비자 그룹은 각각의 파티 유형별로 엘레강스, 로맨틱, 시크 스타일 등을 다양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인 디자인 요소에 대한 분석 결과, 실루엣은 스트레이트와 아워글래스 실루엣, 소재는 새틴, 시폰, 레이스 소재, 컬러는 무채색 계열과 파스텔 톤의 컬러, 디테일은 셔링, 개더, 리본, 비즈 디테일로 선호도 면에서 다소 한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는 일반 소비자 그룹이 파티유형이나 형식을 생각하기보다는 평소 선호하는 스타일을 위주로 선택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파티 유형별 드레스에 대한 전문적 지식보다는 패션 트렌드를 의식하여 선택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문가 그룹에서도 실루엣은 스트레이트, 아워글래스가 일반소비자 그룹에서와 동일하게 가장 높은 선호를 보였고, 소재, 컬러, 디테일 부분에서도 일반 소비자 그룹과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지만 소재면에서는 벨벳과 울 소재, 컬러는 네이비 컬러, 디테일은 드레이프, 핀터킹 디테일 등 폭넓은 선호를 보임으로써 일반 소비자 그룹과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패션디자이너와 의류학과 교수 등 전문가 그룹이 일반 소비자보다 패션에 대한 보다 많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패션 트렌드나 디자인 요소의 효과에 대한 지식 및 디자인 감각을 지니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일반 소비자 그룹과 전문가 그룹의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파티드레스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드레스 디자인 개발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선호도 분석을 토대로 엘레강스 스타일에 소녀적 이미지의 로맨틱과 세련된 시크를 가미한 파티드레스 스타일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자신을 위한 투자에 과감한 커리어우먼 층의 스타일을 반영하여 ‘Fascinating delicacy for lady’로 컨셉을 설정하여, 우아하고 여성적이며 품위있는 이미지와 현대적이며 세련된 도시적 이미지로 'Grace with delicacy', 'Beauty with delicacy', 'Chic with delicacy'의 3가지 테마를 구성하여 총 10벌의 파티드레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1. 'Grace with delicacy' 테마에서는 ‘엘레강스 & 엘레강스’ 스타일로 여유로우면서 품격을 갖춘 우아한 여성적 스타일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실루엣은 일반소비자와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반영하여 스트레이트와 아워글래스 실루엣을 응용하였으며, 컬러으로는 블랙을 중심으로 그레이와 화이트 컬러를 사용하였다. 디테일은 셔링과 개더를 사용하였고, 여성적인 부드러움과 우아한 느낌을 부각시키기 위해 드레스의 길이를 무릎 아래로 길게 하거나 비즈, 스팽글, 보석 장식을 포인트로 사용함으로써, 고급성을 가미한 격식중심의 사교 파티드레스가 되도록 디자인 개발하였다. 2. 'Beauty with delicacy' 테마에서는 ‘엘레강스 & 로맨틱’ 스타일로 시대적 감성을 바탕으로 여성스럽고 부드러운 느낌을 가미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실루엣은 아워글래스 실루엣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머메이드, 프린세스, 피티드 라인을 사용하였다. 색상으로는 파스텔 톤의 핑크와 블루계열의 컬러로 화사한 느낌을 부각시켰고, 소재는 주로 시폰, 레이스, 새틴을 사용하였으며, 디테일은 셔링, 개더를 사용하였다. 여성스러운 로맨틱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플라운스, 자수, 비즈를 디자인 포인트로 사용하여, 심미성을 가미한 시즌중심의 파티드레스로 디자인 개발하였다. 3. 'Chic with delicacy' 테마에서는 ‘엘레강스 & 시크’ 스타일로 도시적 세련미를 바탕으로 무게있고 정제된 느낌을 가미하여 모던하게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실루엣은 스트레이트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엠파이어, 에이치ㆍ아이 라인을 비중 있게 활용하였다. 소재로는 투톤의 세련된 색감을 가지고 있는 타프타, 우아한 광택이 흐르는 새틴, 레이스 등을 사용하였다. 색상으로는 설문 결과를 반영하여 무채색 계열의 컬러에 보색이나 색감이 강한 컬러로 포인트를 주었으며, 디테일로는 턱과 셔링 디테일을 사용하였다. 격식과 품위가 느껴지는 시크한 감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광택있는 소재위에 레이스를 겹치거나 모던한 턱 디테일을 디자인 포인트로 사용하여, 심미성과 실용성을 가미한 음악중심의 파티드레스로 디자인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의 파티문화에 있어서 살롱문화와 파티문화 간의 상관관계를 학문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살롱문화와 파티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파티문화의 대중화에 따른 파티 참여 양상의 변화 및 T.P.O.에 따른 격식, 시즌, 음악, 장소, 음료에 대한 유형별 파티 분류는 늘어나고 있는 새로운 형식의 파티문화에 대한 분류하는 방법과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파티어들에게 유형별 드레스 선택에 있어 체계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T.P.O.에 따른 파티 유형 분류는 앞으로 더욱 변화 하는 파티웨어 산업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파티문화의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파티드레스 스타일별 디자인 요소의 분석결과는 향후 파티웨어 시장에서 드레스 제작의 디자인 근거 자료로 활용 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될 뿐 아니라, 본 연구에서 시도한 파티드레스의 실물제작을 통해 파티드레스 디자인의 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는 근거와 소비자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시장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파티유형별 파티드레스 스타일에 대한 이해와 파티드레스 시장의 발전에 있어 데이터베이스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Modern Party culture came from Salon culture of the nobility as a pattern of the social gathering, and it became "PARTY" mixed with the Internal culture code through media and internet. Party culture got to be a life style of people for those who has similarities in their goals, values, life patterns. Interest in their own specific life style and tendency to be served as special ones in an extraordinary place have popularized party which was considered high class culture. Party culture became very popular and people took more interest in party fashion. And now party dress got to need sensibilities in design. Party dress is considered that it helps people outstanding in style and dignifies their character, and the popularization of party culture stimulates party dress in design to be detail and specific. What is more, the growth of party dress in industry makes enormous demands on party dress and its creative design. Therefore we are to survey the consumer's need and the contemporary party culture, and design party dress according to them. Now I believe we agree that party dress needs to have dignity and practical use satisfying the customers' need, because the demand of party dress and its market in size have been increasing as party culture got to be popularized. And what I am aiming in my study is below. First, I am going to look into what they, the salon culture and the party culture in Korea, really are, where they are from and what their characteristics are. Then I will find out how they are related. Second, I am going to classify the type of party, varied by popularization,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how the party wear in Korea goes. Third, I am going to get hold of the actual state of the party culture in Korea and the party dress style according to classified party types. Then I will analyze them in groups of two, the ordinary consumers and the fashion designers. Forth, I am going to complement each other and to apply the result to develop the design of party dress. The followings are what I study and what I got. First, the party and the salon culture originated in ancient Greek festivals and sports. The salon culture was an impartial social and cultural gathering for women, that started from the palace and became very popular among an ordinary people in the 17th century. In the beginning a gathering was held at the castle and soon it appeared in various ways, such as literature, performance, concert, etc. We can divide the salons into three types; First, the salons in the feminine culture, mostly led by women. Second, the salons for social gathering of art, literature activities. Third, the salons of the elite of the Absolutism and the Enlightenment. The salons had their own styles and they grew in them. Second, the party culture in Korea started with the students studied abroad and the companies expanded the outreach overseas. The party culture has spread rapidly due to internet and media. It is no longer only for the rich. Nowadays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party culture. The types of party culture in Korea are the following; improved women culture, social fellowship to the party, the elite popularized, women's salon as the old days, social fellowship to the salon culture, the elite to the salon culture, etc. We find out here that the salon culture and the party culture are related; feminine sensibility and improved women culture, exchanging information and the social fellowship, the higher classes popularized. Third, according to T.P.O. the party type in Korea is classified into some; formal party, seasonal party, drinks party, music party, etc. It is quite many. The problem is that demand for the party wear increases, whereas the design and satisfaction decrease. However it gives us positive aspects of the market for party dress and of necessity of design development. Forth, I collected 1,022 pictures of the party dress style to develop the party dress design. I surveyed two groups whether they like their dress and if it is proper; one is the ordinary consumers, who belonged to a party association or had been to a party, and the other is the professionals, who involved in fashion. And I found that the recent party culture is connected with form, season and music. Fifth, what I got from what I study is the following. In the formal party dress, the ordinary and the professional both took the elegant style as No.1. They took straight and hourglass style for silhouette, satin and chiffon for material, black, white and grey for color, sharing, flounce and drape for detail. In the seasonal party dress, both took the romantic style as No.1. Hourglass for silhouette, satin, taffeta and chiffon for material, pastel pink, pastel blue and beige for color, ribbon, gather, sharing for detail. They preferred lovely style. In the music party dress, two groups took the different styles. The ordinary choose chic style, and the professional elegant style. In the ordinary group, they wanted hourglass for silhouette, satin, lace and beads/spangles for material, achromatic colors and complementary colors for color, tuck, sharing and ribbon for detail. In the professional group, they also wanted hourglass for silhouette, but satin, lace and velvet for material, peach, indi-pink and grey for color, drape, flounce and sharing for detail. I concluded in this study that the chic style is good for the music party as I focused on the ordinary's choice more than the professional's. And I designed the dresses based on it. Sixth, I made a concept of design, that is ‘fascinating delicacy for lady’. I took 'Grace with delicacy', 'Beauty with delicacy', 'Chic with delicacy' as a theme and made 10 designs of the party dress. In 'Grace with delicacy', I worked in the formal style showing noble and elegant mood.(Elegant & Elegant) In 'Beauty with delicacy', I worked in the seasonal style showing sweet and lovely mood.(Elegant & Romantic) In 'Chic with delicacy', I worked in the music style showing urban and practical mood.(Elegant & Chic) This study is able to be used for understanding the salon culture and the party culture as it shows how they are related each other in the modern party culture. The change in the party type people join in and the classification into the type of form, season, music, etc gives the standard about how to classify the party types to come. And it can be used for the partiers to choose the proper dress style in a situation. Party dress designs in different style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not only for the source to make the party dress in the party wear market to come, but also for the marketing research to satisfy the consumers' need. Furthermore they can be used for the motive to raise the competitive power and for the database to be applied in the party dress market.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we should study to design for more age groups including '40s, '50s as most of ages need the party dress due to popularization of the party culture.

      • 부모-교사 협력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민정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교사 협력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가정에서 실시한 부모-교사 협력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둘째, 가정에서 실시한 부모-교사 협력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하여 변화된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수준이 유지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모가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가정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의 경험이 없는 발달장애 아동 2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가정에서의 부모-교사 협력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이다. 또한 중재전략은 부모가 실시하는 선행사건 중재, 부모와 교사가 동일한 대체행동교수, 후속결과 중재, 생활방식 중재를 실시하는 4가지 형태의 중재지원을 가지며 종속변인은 대상아동이 가정에서 나타내는 문제행동이다. 동일한 상황 및 표적행동을 보이는 여러 명의 연구대상에게 유사한 행동변화에 대한 중재전략의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실험처치는 기초선-중재-유지의 순으로 시행하였다. 한편, 가정에서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참여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대상자와 관련된 부모와 교사를 아동 환경의 중재지원자로 동일하게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부모와 교사를 긍정적 행동지원 지원팀으로 구성하여 기능평가와 중재에 참여하게 되었고 실제 가정에서 동일한 중재전략을 적용하였다. 각 대상아동들에게는 긍정적 행동지원 지원팀의 협의를 통해 수립된 중재전략을 실행하였다. 부모지원을 위한 도구로 가정에서의 행동지원 목록표, 시각적 지원표 등을 사용하였으며, 교사지원을 위해 수업전략수정, 타이머, 강화물제공 등을 사용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먼저 가정에서 실시한 부모-교사 협력 긍정적 행동지원은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켰으며, 문제행동 감소의 수준이 유지되었다. 즉,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하여 가정에서의 수업시간에 나타나는 공격행동과 자리이탈 행동이 감소되었고 감소된 문제행동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발달장애아동의 행동중재가 교사나 치료사만이 아닌 부모가 아동의 보호자로서 가장 가까운 전문가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중재는 아동 주변의 전문가들과 부모의 협력이 필수적으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teacher partnership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problematic behavior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develop- mental disabilities. Its specific purpose is firs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 teacher partnership positive behavior support conducted in family to reduced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 mental disabilities, and second, to apprehend if the changed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parent-teacher partnership positive behavior support is maintained. For this, the study selected tw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no experience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family with parents who have difficulty related to problematic behavior.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parent-teacher partnership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family. Also, the intervention strategy has 4 types of intervention support such as intervention of antecedents by parent, alternative behavior instruction, follow-up result intervention, life style intervention by both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problematic behavior of the child at home. The study applied multiple probe design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similar behavioral changes to several study subjects who shows same situation and target behavior,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of baseline-intervention-maintenance. Meanwhile,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parental participation on problematic behavior at home, the study saw the parent and teacher related to subject equally as the intervention supporter of child's environment. Based on this, the study composed parent and teacher as positive behavior support team to participate in functional evaluation and intervention, and applied same strategy at home. The study implemented intervention strategy established through the negotia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eam to each child. The study used behavior support list, visual support table at home for parental support tool, and used class strategy modification, timer, and reinforcer provision for teacher support. The study result confirmed that the parent-teacher partnership positive behavior support conducted at home decreased the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 mental disabilities, and maintained the level of decreased behavior. In other words,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reduced aggressive behavior and out-of-seat behavior during class time and maintained the reduced problematic behavior stably. The study result indicated that the behavioral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various problematic behavior can be conducted by not just teacher or therapist but also the parents as the protector of child. The intervention of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 mental disabilities must be based on partnership of parents and experts around the child.

      • 편지쓰기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민정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편지쓰기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편지쓰기활동의 교육 효과를 밝히며,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편지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1-1. 편지활동이 유아의 인지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편지활동이 유아의 감정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공주시에 소재한 H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2명으로, 같은 유치원의 일과운영시간이 다른 2개 학급으로 선정 하였다. 실험집단 만 5세 유아 21명(남아 10명, 여아 11명)이며, 통제집단은 만 5세 유아 21명(남아 12명, 여아 9명)이며 평균 연령은 5년 4개월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인지조망수용능력과 감정조망수용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인지조망수용능력과 감정조망수용능력 모두 Kurdek과 Rodgon(1975)의 연구를 기초로 김융희(1995)가 사용한 그림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6년 8월 23일부터 9월 29일까지 총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조망수용능력의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지쓰기 활동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때, 편지쓰기 활동은 유아의 인지 조망수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지쓰기 활동은 유아의 감정 조망수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이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recovering cl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CABG.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102 CABG clients from 1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Appraisal of Uncertainty Scale and SF-36 version 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2.0 program. The actual number,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tak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uncertainty was 60.85±8.62. Danger appraisal and opportunity appraisal were 15.87±6.36 and 16.14±5.88. The mean score of physical component score and mental component score were 39.09±6.36 and 42.42±7.89.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uncertainty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al status, financial status; in danger appraisal according to educational status; in opportunity appraisal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3.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uncertainty according to postoperative periods, length of stay; in opportunity appraisal according to postoperative periods, comorbidit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isease and treatment related characteristics. 4.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uncertainty and an appraisal of danger,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uncertainty and an appraisal of opportunity. The cor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uncertainty of CABG clients was hig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low.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higher uncertainty was, however, the higher danger appraisal was, while opportunity appraisal was lower. Thus, nurses need to identify, monitor and assist clients undergone CABG at risk for uncertainty and an appraisal of danger. Efficient and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관상동맥질환은 심각한 건강문제로 우리나라에서 급증하고 있으며, 2006년 신생물 사망률에 이어 순환기계 사망률이 2위를 차지하고 있고, 관상동맥질환의 외과적 중재술인 관상동맥우회술의 증례는 증가하고 있다.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대상자는, 질병의 진단에서 치료과정까지 여러 가지 친숙하지 못한 사건들을 경험하게 되고, 증상이나 수술 후의 예후에 대한 불확실성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질병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은 질병과 관련하여 무력한 반응을 나타나게 하고,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우회술 후 대상자가 회복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불확실성과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삶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상호 연관성을 규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소재 1개 종합병원의 흉부외과 외래 대상자 102명이며, 자료수집은 2008년 10월 6일에서 11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7문항, 질병 및 치료 관련 특성 4문항, 불확실성 23문항,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15문항과 건강 관련 삶의 질 36문항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각의 사항에 대해서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평균 60.85±8.62점으로 높게 나타났고,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에서 위험평가는 평균 15.87±6.36점, 기회평가는 평균 16.14±5.88점으로 낮았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평균 39.09±6.36점, 정신적 건강은 평균 42.42±7.89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2. 불확실성은 성별(t=-.3.235, p=.002), 연령(F=2.957, p=.036), 교육 정도(F=6.921, p=.000), 경제 상태(F=4.175, p=.00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중 위험 평가는 교육 정도(F=2.606, p=.040), 기회 평가는 성별(t=2.193, p=.03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성별, 연령, 교육 정도, 배우자 유무, 경제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신적 건강 또한 성별, 연령, 교육정도, 배우자 유무, 경제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불확실성은 수술 후 경과기간(F=3.528, p=.018), 재원일수(F=3.768, p=.02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중 기회 평가는 수술 후 경과기간(F=2.933, p=.037), 기저질환(F=2.809, p=.04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수술 후 경과기간, 기저질환, 재원일수, 합병증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신적 건강 또한 수술 후 경과기간, 기저질환, 재원일수, 합병증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불확실성은 불확실성의 위험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r=.297, p=.002),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위험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회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r=-.293, p=.003),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기회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후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높고, 건강 관련 삶의 질은 낮게 나타났다. 불확실성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불확실성은 만성 질환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평가되어 졌기 때문에, 대상자의 수를 확대하고, 반복연구를 시행하여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후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하겠다.

      • 캐릭터개발 및 파생사업에 관한 연구

        이민정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캐릭터는 다양한 이미지로 형성된다. 본 연구는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잠재력과 현대산업에 미치는 역할을 연구하고 개발하였으며, 스마트폰시대가 열리면서 캐릭터 산업의 급성장으로 인해 확장성이 무궁무진한 사업임을 언급하였다. 또한, 캐릭터는 어떠한 다양한 이미지로 형상화되고, 기업이 캐릭터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으며, 아르누보, 바우하우스, 팝아트, 앤디워홀, 캐릭터디자인의 역사적 배경을 분석하여 현대 캐릭터 디자인과의 연관성과 앞으로 나가야 할 활용방법을 연구하였다. 급격히 변화하는 미디어 시대에 소셜 메신저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문화적 패러다임이 생겨났으며, 표현과 의사소통의 기회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토대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 개발, 캐릭터 디자인 및 마케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 디자인의 사례 분석을 통해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특성과 적용방식, 활용방식을 분석하고, 기업의 캐릭터를 개발하여 파생상품의 종류, 상품화 가능성, 콜레버래이션(협업)을 통한 시장창출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브랜드 “Semosina”(세상의 모든 시작, 나) BI 개발 및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였습니다. Characters are formed with various images. This study researched and developed the potential for character design and its role in the modern industry, and mentioned that the expansion of the character industry was infinite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character industry with the opening of the smartphone era. In addition, we conducted a study to analyze how characters are shaped into various images and how companies use them and by analyzing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Art Nouveau, Bauhaus, Pop Art, Andy War Hall, and character design, we studied the connection with modern character design and the ways to apply it. The emergence of social messengers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ra has given rise to a new cultural paradigm and expanded opportunities for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is found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of brand development, character design and marketing. In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methods of characters through case analysis of character design, and developed the company's character to create market through derivative type, commercialization possibility, and collabo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ducted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brand “Semosina” (It's me, beginning of the world) BI development and character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