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ffects of Anesthetic Protocols on Normal Canine Brain Uptake of 18Fluorine-Fluorodeoxyglucose Assessed by PET/CT

        이민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four anesthetic protocols on normal canine brain uptake of 2-Deoxy-2-[18F]fluoro-D-glucose (FDG) using PET/CT. Five clinically normal beagle dogs were anesthetized with (1) propofol/isoflurane, (2) medetomidine/pentobarbital, (3) xylazine/ketamine and (4) medetomidine/tiletamine-zolazepam in a randomized crossover design. The standard uptake value (SUV) of FDG was obtained in the frontal, parietal, temporal and occipital lobes, cerebellum, brainstem and whole brain, and compared within and between anesthetic protocols using the Friedman test with significance set at p<0.05.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Vs were observed in various part of the brain associated with each anesthetic protocol. The SUV for the frontal and occipital lob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brainstem in all dogs. Dogs receiving medetomidine/tiletamine-zolazepam also had significantly higher whole brain SUVs than the propofol/isoflurane group. We concluded that each anesthetic protocol exerted a different regional brain glucose uptake pattern. As a result, when comparing brain glucose uptake using PET-CT, one should consider the effects of anesthetic protocols on different regions of the glucose uptake in the dog's brain.

      • 수직반규관 자극에 대한 하올리브 β핵 뉴론의 반응

        이민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뇌의 전정가능조절에 관한 '편엽조절설'에서 Purkinje 세포로의 정보유입경로로서 태상섬유만 인정된 이후 등반섬유를 통한 신호전달로는 등한시 되어 왔다. 근래 등반섬유의 유일한 근원인 하올리브핵(inferior olive nuclei, ION)으로도 전정기능과 관련된 정보가 유입된다는 보고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신경조직학적연구들에서 전정핵으로부터 투사섬유를 받는다고 인정되어 있는 하올리브 β핵 (IOβ) 뉴론들을 대상으로 전정성 자극에 대한 IOβ 뉴론들의 반응양태를 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Urethane 마취한 고양이에서 체위변동 및 반규관 신경의 전기자극을 시행하면서 세포외 단일뉴론 기록방법으로 IOβ 뉴론들의 흥분성 변화를 기록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IOβ 뉴론들은 주로 수직성 체위변동 및 수직반규관 신경흥분에 반응하였다. 2. 일부 IOβ 뉴론들은 정적 경사반응에도 반응하여 이석기관에서도 구심정보를 받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3. IOβ 뉴론들은 체위변동에 대한 반응에서 선택적인 최적반응면(optimal response plane, ORP)을 지니고 있었다. 4. IOβ 뉴론들의 반응에서 반응위상이 사라지는 무반응면(null response plane, NRA)은 ORP와 직각을 이루고 있었다. 5. IOβ 뉴론들은 동측 수직반규관이 흥분하는 자극위상에서 억제반응을 보였다. 6. NRA와 ORA를 기준으로 판단하였을 때 전반규관과 관련되어 반응하는 뉴론들은 IOβ 두측부위에서, 그리고 후반규관과 관련되어 반응하는 뉴론들은 IOβ의 미측부위에서 검색되었다. 7. IOβ 뉴론들은 반대측 수직반규관 전기자극에 의하여 흥분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기능대를 이루는 수직반규관의 전기자극시에는 억제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은 IOβ 뉴론들이 동측 수직반규관 흥분에 의하여 억제성 반응을 보이며, 해부학적 분포에서 반규관별 대응을 이루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 流通經路關係者의 權力關係에 관한 硏究

        이민수 檀國大學校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istribution channel is defined that it is composed of a series of organizations which carry out the whole essential activities transfering the products and their rights of possessions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The products which are produced by the manufacturer are not distributed directly to the final consumers. In distribution channel, distributors are deeply related to it. Such a deep relation of distributor migh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ufacturers end consumers. In order to get competitive advantages, it is necessary for each participant in the distribution channel to mediate and control the strategies of distribution channel. In fact, the control and mediation in the strategies of ditribution channel strategies are accomplished by the manufacturer, distributor and consumer power. Until now, a lot of papers have been researched on the power of industrial products in distribution structures. Therefore, this study was analyse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manufacturer, distributor and consumer power concentrated on the consumer products. To do an empirical study, the questio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l53 home appliance agencies arounnd Seoul and Incheon in Korea. 128 questionaires out, of 153 were selected for the goal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demonstrate that the power of distributor is related negatively to significent manufacturer power, consumer power and their interaction. Moreover it is related partly to positive consumer power. This negative relationships among manufacturer, distributor and consumer power indicate tbat the power of distributor is low when; - switching costs of consumers are low, - consumers have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 the manufacturer does not thinks that competition is important, - the product of the manufacturer is important in the management activity of distributor, - the manufacturer ha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 distributors are not an important customer on the manufacturer, - there are no substitutive products of the manufacturer. On the other hand, the power of distributor in channel is high when; - switching costs of consumers are high, - competition is severely between the manufacturers, - the distributor is an important customer of the manufacturer, - there are substitutive products of the manufacturer, - the product royalty of consumer is high. As a result, the distributor power is influenced by the consumer power, the manufacturer power and their interaction. Therefore, using the appropriate control and mediation of their power, the participant in the distribution channel are able to design the effective or efficient decision-making and distribution strategies.

      • 충돌시간 및 타이어 마찰특성을 고려하여 안전성과 승차감을 모두 만족시키는 자율제동 알고리즘 개발

        이민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자율 주행 자동차가 이슈가 되면서 능동 안전 시스템 (Active Safety System)과 같은 차량 안전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나아가 탑승자의 안락함 또한 차량 제조 업체의 주요 연구과제로서 다루어져 왔다. 향후 자율 주행 차량의 보급이 증가한다면 차량의 안전을 고려하면서 탑승자의 승차감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의 연구가 주요 과제로 떠오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의 안전과 편안한 승차감을 만족시키는 자율 제동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제동 알고리즘은 충돌 시간 (TTC, Time To Collision)의 값에 따라 두 종류의 제동 전략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는 일반적인 제동 상황에서 차간 거리 유지 기능뿐만 아니라 좋은 승차감을 제공하는 Partial Braking 전략이며, 두 번째 단계는 긴급 상황에서 전진 충돌을 피하기 위한 Full Braking 전략이다. 이때 Partial Braking 알고리즘은 Recovery Zone과 Release Zone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충돌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제동을 수행하는 영역인 반면, 후자는 인가되고 있었던 제동 압력을 탑승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위해 천천히 해제하는 영역이다. Recovery Zone에서의 제동 압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타이어 마찰의 비선형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또한 선행 차량 거동의 예측을 기반으로 후행 차량의 요구 거동을 계산하였다. CarSim과 MATLAB/Simulink를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CarSim으로 시뮬레이션에 사용될 동역학적 차량 모델과 운전 상황을 설정하였으며, 제안된 제동 알고리즘은 MATLAB/Simulink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차량의 안전과 승차감 모두를 성공적으로 만족시키는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획득하였다. As autonomous vehicles become an issue in recent years, studies on vehicle safety systems such as ASS(Active Safety System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If autonomous vehicles are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research on control systems for improving the comfort of passengers as well as safety systems will be more interest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utonomous braking algorithm to satisfy both safety and ride comfort of a vehicle.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osed of two-step brak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value of time-to-collision. The first step is a partial braking strategy to provide not only deceleration but also good ride comfort in a normal braking situation, and the second step is a full braking strategy to avoid forward collisions in an emergency braking situation. Further, the partial braking is divided into a recovery and a release zones. The former is to apply braking pressures for the safe deceleration, whereas the latter is to release the braking pressure smoothly for good ride comfort. To determine the partial braking pressures,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the tire friction is considered and the linear momentum of a preceding vehic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extrapolation of its motion. Computer simulations using CarSim were executed combined with MATLAB/Simulink to implement the driving situations, and finally we obtained successful performances satisfying ride comfort as well as safety of the vehicle.

      • 전착법에 의한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용 Fe-Ni 합금기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민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에 적용하기 위한 금속 기판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해야 하며, 태양전지 제조 공정온도에서 적층되는 박막 cell 소재와 유사한 열팽창 거동을 가져야한다. 박막 태양전지에 기판재로 적용된 금속기판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판과 셀을 구성하는 반도체 층의 열팽창 거동과의 차이에 의한 열 변형이 태양전지의 공정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실리콘 박막이 증착된 기판이 고온공정으로부터 상온으로 냉각 될 때, 실리콘 박막과 기판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잔류 열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응력은 재료들의 계면에서 복잡한 응력상태를 야기하고 박막 구조에 파손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로 인하여 기판과 적층된 재료사이의 박리 현상으로 효율저하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셀을 구성하는 반도체 층과 열팽창 거동이 유사하고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금속기판의 적용이 필요하다. 상용되고 있는 압연공정으로 제작된 Stainless Steel 기판의 경우 열팽창 특성 제어가 불가능하고, 광폭 박판형으로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용 기판재를 전주법으로 제작하였다. 전주법(Electroforming)은 전기도금과 비슷하나 표면 코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금속 제품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법으로 제작된 Fe-Ni 합금은 Ni 함량에 따라 자기적 특성, 열팽창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등 여러 물리적 특성들의 조절이 가능하여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전용 금속 기판으로 적용을 위하여 실리콘 박막 층과 열팽창 거동이 유사한 Fe-42wt%Ni 합금을 전주법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전주법으로 제작된 이 합금이 안정적인 열․기계적 특성을 위하여 전착된 시편을 열처리 온도를 변수로 사용하여 이에 따른 결정립 성장이 기계적 특성과 열팽창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전착된 상태의 Fe-42wt%Ni 합금의 결정립 크기는 약 20 nm인 것으로 나타났고, 경도는 472 Hv, 인장강도는 1230 MPa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나타났고, 열팽창계수 평균 4×10-6/℃ 이었지만 특정온도에서 급격한 열팽창의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500℃ 이상으로 열처리한 경우 열팽창계수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나타났고, 기계적 강도도 일반적인 벌크재료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전착된 상태에서 나노 결정질을 가지는 Fe-42wt%Ni 합금이 열처리에 따라서 수 마이크로 사이즈의 결정립으로 성장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착된 상태의 Fe-42wt%Ni 합금은 350 ~ 400 ℃ 사이의 열처리 온도에서 나노 결정립이 서브 마이크로 결정립으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 하지만 이후 열처리 온도가 800 ℃까지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결정립은 성장하고 평균 5 ㎛까지 성장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 시편의 경도는 온도에 따라 비례하여 감소하였으며 400 ℃ 이상으로 열처리한 경우의 결정립 크기에 따른 경도 변화는 Hall-Petch 방정식과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전주법으로 제작된 Fe-42wt%Ni 합금 기판이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에 적용되었을 때 기판으로 인한 효율 증가를 위하여 기판의 반사특성 연구와 잔류응력 유한요소해석을 하였다.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전주법을 응용하여 다양한 접촉각을 가진 Pyramid형과 V-shape형의 기판을 제작하였고, 반사율을 측정해본 결과 접촉각이 높아질수록 태양전지내의 광경로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lgor(Autodesk Co.)를 사용하여 가상의 Si 박막 태양전지를 모델링하고 실제 셀이 증착되는 고온의 공정조건과 동일한 환경에서 잔류응력을 분석한 결과 Fe-42wt%Ni 합금기판이 상용 Stainless steel 기판대비 잔류응력과 변형량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tallic substrate for the silicon thin film solar cell requires superior mechanical strength and appropriate thermal expansion behavior which are compared to that of the materials for thin film cell at the temperature in solar cell manufacturing process. Because the thermal deformation caused from the difference of thermal behavior between the semiconducting material and the substrate can affect the process reliability. When a substrate on which silicon is deposited is cooled down to room temperature from the high process temperature, a residual thermal stress is caused due to the 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difference between them. This residual stress results in film structure failure because of complex stress state at the interface. Consequently, the efficiency of solar cell might be degraded due to peeling of the thin film. Moreover, current stainless steel substrate fabricated by rolling work process is under hard circumstance in terms of controllability of thermal expansion and has difficulty in producing broad width and ultrathin substrate. Therefore a metallic substrate which thermal expansion behavior is similar to that of semiconducting layer and superior mechanical property is needed. In this study, metallic substrate for silicon thin film solar cell was fabricated by electroforming method to deal with these problems mentioned above. Electroforming can be defined as a process that employs technology similar to that used for electroplating but which is used for manufacturing metallic articles, rather than as a means of producing surface coatings. The Fe-Ni alloys have been widely considered for both scientific and practical applications due to their properties such as low thermal expansion, high magnetic, permeability, excellent structural-quality and their mechanical properties. Therefore, it is actively applied with the development of field of application including the flexible solar cells, magnetic memory, optical recording apparatus, micro-sensor, MEMS, and LIGA. Fe-42wt%Ne alloy which thermal expansion is similar to that of silicon thin film is fabricated by electroforming to apply to the substrate for silicon thin film solar cell. In addition, the effect of grain growth on the mechanical property and thermal expansion behavior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enhance stabl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y of this alloy. The grain size, hardness and tensile strength of the alloy fabricated is ~ 20 nm, 472 Hv and 1230 MPa, respectively. Though its CTE is 4⨉10-6/℃ the thermal expansion is changed abruptly at specific temperature. However, the CTE is stable at high temperature in case of the sample heat-treated over 500℃ and the mechanical strength is higher than that of normal bulk materials. It seems to indicate that the electroformed grain of nano crystalline Fe-42wt%Ni grows up to sub-micron sizes as temperature is varied. The grain of the electroformed alloy is dramatically changed into sub-micron size under the temperature between 350 ℃ and 400 ℃. However, the grain becomes bigger constantly up to 5 ㎛, generally, as the temperature is elevated to 800 ℃. Under this circumstance, the hardness of the sample decreases linearly versus temperature, the hardness tendency corresponds well to the Hall-Petch equation for the sample heat-treated at more than 400 ℃. Additionally, the reflection property and the residual stress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electroformed substrate on the cell efficiency. Especially, FEA(Finite Element Analysis) is adapted to study the residual stress. Pyramid type and V-shape type of substrates with various contact angle were fabricated by electroforming for higher cell efficiency. As a result, light path is increased as the contact angle is bigger. Furthermore, the alloy substrate shows lower residual stress and less deformation comparing to currently used stainless steel substrate. These results were obtained by modeling a virtual Si thin film solar cell under the same process condition using Algor(Autodesk Co.).

      • 고속철도 NATM 터널의 횡배수관 폐색과 이에 따른 변상패턴 분석

        이민수 동양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터널에서의 배수기능은 콘크리트 라이닝 배면에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수함으로써 라이닝에 작용할 수 있는 수압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터널의 장기적인 안전성 확보와 기능유지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다만, 실제 운용중인 터널의 유지관리 사례를 살펴볼 때 당초 설계 개념에서의 배수기능과는 다르게 침전물에 의한 배수 막힘 현상이 다수 보고되어 있으며, 이와 함께 터널에 나타나는 변상발생으로 기능회복과 내구성 증진을 위한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유지관리 측면에서 배수기능 확보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주요시설인 고속철도 NATM 터널을 대상으로 배수기능 저하 현상 중 유지관리가 가능한 횡배수관 폐색에 대하여 발생양상과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나타나는 라이닝 변상패턴을 파악하여 관련기준에 대한 합리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고속철도 NATM 터널 12개소, 총 연장 약 64.3km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를 수집하여 횡배수관 폐색 현상과 지보패턴, 숏크리트, 록볼트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지보패턴과 숏크리트 두께, 록볼트 설치수량이 증가할수록 횡배수관 폐색이 심화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횡배수관 폐색에 대한 경년변화 분석결과 공용기간 증가에 따른 급격한 진행여부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내부 침전물에 대한 성분분석결과 시멘트 계열의 성분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횡배수관 폐색과 라이닝에 나타나는 변상패턴에 대한 분석결과 누수 및 백태의 발생과 상호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폐색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변상의 정도가 더 심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는 횡배수관에 대한 설치기준 정립이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횡배수관 설치기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유지관리 단계에서는 배수상태에 대한 성능평가 가중치 상향과 보수․보강 시 배수계통 정비의 선행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관련규정 개선에 대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는 실험적 검증을 통해 횡배수관 설치기준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요구되며, 시설물 특성을 반영한 합리적 평가방안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다. Drainage system in tunnels works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water pressure on linings by draining underground water smoothly at the backside of concrete linings and ultimately functions as an important factor to secure long-term safety of a tunnel and maintain its functionality. That said, looking at the examples of maintenance in actually operating tunnels, lots of drainage clogging due to sediments were reported unlike the function of drainage under the concept of the initial design. Along the way, the damages done in the tunnels cause the increase of social expenses to recover the functionality and improve durability. Under the circumstances, the importance of securing the function of drainage in terms of maintenance is on the rise indeed. Thus,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n the state of occurrences and causes of clogging at transverse drain pipes available for maintenance from the circumstances of lowered function of drainage among high-speed railroad NATM tunnels, key national facility, and grasped damage patterns of linings. In doing so, the study sought to suggest reasonable methods to improve related standard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llected the result of field survey on total length of about 64.3km in 12 high-speed railroad NATM tunnels in the country and analyzed correlationships between clogging of transverse drain pipes and support patterns, shotcrete, rock bolts. As a result, it found there was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clogging at transverse drain pipes and support patterns, shotcrete thickness, the number of equipped rock bolts. And the analysis result on elapsed time change of clogging at transverse drain pipes couldn't observe an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used period. While, as a result of component analysis on inside sediments, component in the category of cements had a large propor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n clogging at transverse drain pipes and damage patterns appearing at linings, they had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occurrence of leak and efflorescence and the extent of damages deteriorated depending on the extent of clogging. Building on these findings, there is a need for the firm establishment of installation standard for transverse drain pipes in the stage of design and construction and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as to the standards of transverse drain pipe installation. Along the way, the stage of maintenance was assessed to require establishment of higher weighting scheme in performance evaluation, appropriate management of drainage system during maintenance and supplementation as a prerequisi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groundwork for the improvement of relevant regulations. Research in the future needs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installation standards for transverse drain pipes through verification using experiments as well as study on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reflecting the features of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