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내 검정법을 이용한 국내 과수 화상병 방제제 선발 연구

        이민수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Enterobacteriaceae에 속하는 Erwinia amylovora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식물세균병인 화상병은 2015년 이전에는 국내에서 발병이 보고되지 않았고 금지병해충으로 지정되어있다. E. amylovora는 장미과 식물을 기주로 삼으며 사과, 배 등 과수에 큰 피해를 주며 보통 감염된 기주는 5년 내에 나무 전체가 고사하게 된다. 국내에서는 2015년 천안, 안성의 사과 과수원에서 최초로 발생하였다. 2015년 발병 이후 농촌진흥청에서는 감염의심 나무는 즉시 매몰하고 감염 확진 시 과수원 전체와 감염 된 나무의 반경 100m이내 기주식물 매몰, 발견지점 반경 2km 이내 약제살포, 발견지점 반경 5km 이내 주기적 예찰을 실시한다. 예방 방법으로는 배나무는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 사과는 4월 상순에 동제 화합물 살포를 하고 병 발생 지역은 개화기에 항생제를 살포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발병된 적이 없었던 병이므로 사전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적절한 방제약제 선정 및 방제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외국의 경우 화상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항생제인 streptomycin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저항성을 가지는 화상병원세균 균주가 발생함에 따라 대체 항생제와 생물학적 제제를 이용한 방제를 많이 이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방제 방법과 다른 식물세균병에 대하여 등록되어있는 살세균제와 생물학적 제제를 활용하여 국내 화상병에 적용하기에 적절한지 검증하고 외국의 사례와 같이 streptomycin과 대체 항생제에 대해 저항성 유전자 또는 저항성 획득이 가능한지 검정하였다. 먼저 화상병 방제 후보 방제제들의 최소억제농도(MIC)를 통하여 oxytetracycline, streptomycin, sxytetracycline+streptomycin, kasugamycin, oxolinic acid와 동제 화합물인 tribasic copper sulfate와 생물학적 제제인 Bye-mycin®, Blossom protect®와 신규 길항미생물 DF49, DF52를 효과적인 화상병방제 후보 방제제로 선별되었다. in planta 실험에서는 화상병원세균의 기주인 사과의 꽃, 신초, 유과를 이용하여 각 후보 방제제들의 화상병 억제 효과와 적절한 처리시기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꽃에서는 항생제와 copper hydroxide가 효과가 좋았고 Blossom protect®는 효과가 있지만 항생제나 copper hydroxide보다는 효과가 떨어졌고 신초와 유과에서는 항생제와 tribasic copper sulfate가 효과적이고 생물학적 제제의 경우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미국의 화상병원세균과 같이 항생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Streptomycin에 대한 저항성의 경우 streptomycin을 불활성화 시키며 접합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strA-strB라는 저항성 유전자와 streptomycin의 작용부위인 ribosome의 구성성분인 12s protein을 암호화 하고 있는 rpsL에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 저항성을 가지게 되는데 두 유전자를 검정한 결과 국내 화상병원세균은 strA-strB를 가지지 않고 rpsL에 돌연변이는 발생하지 않아 streptomycin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지 않았다. 화상병원세균과 동일 서식처를 가지는 부생균이 strA-strB를 가질 경우 접합에 의해 화상병원세균이 streptomycin에 대하여 저항성을 획득 할 수 있으므로 사과 신초에서 분리된 부생균에 대하여 strA-strB를 검정하였고 그 결과 strA-strB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매개충에 의해 화상병이 전반 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확인 결과 매개충들의 표면에는 발병 가능한 정도의 화상병원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항생제와 동제 화합물이 화분 매개충에 대하여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 검정하였다. 접촉독성, 경구독성 및 활동성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Fire blight, caused by the enterobacterial pathogen Erwinia amylovora, is a major disease of rosaceous plants include apple and pear. Fire blight has been not reported in Korea until 2015 but apple orchard in Anseong and Cheonan was occurred fire blight in early May 2015. Because fire blight was not exist in Korea, suitable control agent and control system was not established.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the suspect tree is buried immediately and when suspected tree confirmed fire blight the entire orchard and host plant within 100 m are buried, sprayed within 2 ㎞ radius of disease occur site, and periodically monitored within 5 ㎞ radius of disease occur site. RDA proposes to treat copper compounds in late March to early April on apple, early April on pear and antibiotics in blossoming season on orchard which confirmed to fire blight. In other countries where streptomycin resistant E. amylovora occur, alternative antibiotics and biological agent are uesd to contro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whether Korea control system is suitable for Korea fire blight and to confirm whether E. amylovora has a resistance gene for streptomycin or other antibiotics. MIC was tested to screen oxytetracycline, steptomycin, oxytetracycline+streptomycin, kasugamycin, oxolinic acid, tribasic copper sulfate, Bye-mycin®, Blossom protect™, DF49 and DF52 as effective fire blight control agent, and in planta test have suggested appropriate application period for each agents. Antibiotics and tribasic copper sulfate were effective in controlling fire blight from so we confirmed same gene in E. amylovora which isolated in Korea. Epiphyte bacteria which isolated on apple shoots has no transposable resistance gene. Surface of the insect vectors was no detectable E. amylovora Finally, effective control agents were not have side effects on pollinators.

      •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반응양식과 애착안정성과의 관계

        이민수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이 애착 안정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기질과 아동의 애착 안정성은 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과 아동의 애착 안정성은 관계가 있는가? 3.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이 아동의 애착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N 초등학교 6학년 남녀 학생 133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 척도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IPPA-R), 개정판 기질 차원 척도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 DOTS-R),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 척도 (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 PACES)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4K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기질 차원별 요소가 아동의 애착 안정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부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이 아동의 애착 안정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부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이 아동의 애착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아동의 기질 차원 중에서는 융통성 기질 차원이,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 중에서는 아동의 부적절한 호기심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양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즉, 아동의 부적절한 호기심 정서표현에 대해 어머니가 적절히 통제할수록 아동의 애착 안정성이 높아지고, 아동의 융통성 기질이 낮을수록 아동의 애착 안정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과 아동의 기질은 아동의 애착 안정성의 11.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이 아동의 애착 안정성 형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앞으로 어머니들에게 아동의 전 생애에 걸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애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re related to attachment securit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ollowing topics : 1. How is children's temperament related to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2. How is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related to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3. How are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eren's emotional expression exert influence o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s, the school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133 students of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nd their mothers.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 IPPA-R,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 DOTS-R, 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 PACES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4K. The survey results were highlighted as follows: 1st, according to a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to see how the dimensions of children's temperament are related to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it is partly meaningful. 2nd, based on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 it is proved to be in part significant 3rd, Multiple Regression has been conducted to see how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exert influence o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he statistics shows that flexibility among the dimension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inappropriate emotional expression about curiosity among the dimensions of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re related to attachment security. That is to say, the more mothers tolerate children's inappropriate emotional expression about curiosity, the less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gets. The lower children's flexibility temperament gets, the higher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gets.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children's temperament account for 11.3% of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attachment security have meaningfully related. This study can be used as a preliminary data in educating mothers with the efficient ways to enhance the attachment security, which is greatly to influence the whole life of children.

      • KC1 단결정 내에서 F_(2)와 F_(2)^(+) center에 관한 연구

        이민수 숭전대학교 대학원 198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orption spectra from F_(2) and F^(+)_(2) KCI with divalent impurity have been measurrd, and the results compared with theoretical calculation using H^(+)_(2) model immersed in dielectric mediu.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d from 4.5x10^(16)cm^(-3)(pure KCL) to 1.71x10^(17)cm^(-3)(pure KCl + CaCl_(2) mole fraction 1.6x10^(-4)). We observed the growth of F_(2) and F^(+)_(2) center with F-band bleaching at room temperature.

      • 휜 형상 및 유량에 따른 휜-관 현열 열교환기의 전열 성능에 관한 연구

        이민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거용 건물의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약 1/4을 차지하는 냉방용 공기조화기의 고효율화는 에너지 절감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최근 들어 지역 냉방 또는 열병합 발전소 등과 같은 집단에너지 공급시설에서 공급되는 친환경 현열 냉매인 냉수로 주거용 공간을 집단으로 냉방할 경우 개별 에어컨 시스템 대비 소비전력과 같은 에너지 절감 효과가 커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현열 냉매를 사용하게 되면 현열 열교환의 비율이 높아지며 또한 냉매의 잠열 열교환을 크게 이용하는 열교환기와는 다르게 냉수의 유량변화에 따라 열교환기의 성능이 달라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냉수의 유량변화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작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공기가 휜-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1열과 2열 열전달 성능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본 연구에서는 실제 FCU의 주요 구성품인 열교환기의 휜 형상 및 휜 분리 효과와 각 열별 냉수유량제어에 따른 공기측 열전달 및 압력강하 특성, 그리고 각 열별 전열 성능 기여도, 현열비를 분석하여 최적 운전 조건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 루버휜을 사용하고 휜 매수가 많을수록 압력강하량과 열전달계수가 높았다. 이것은 불연속적인 형상이 심한 루버휜의 특성으로 인해 공기측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반면에 복잡한 휜 형상과 많은 휜 매수로 공기유동마찰력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각 열별 휜의 연결 유무에 따른 압력강하량의 비교분석 결과 각 열별 휜이 분리된 열교환기가 휜이 연결된 열교환기 보다 약 11% 높은 압력강하량을 나타내었다. 휜이 분리된 열교환기는 1열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분리된 2열 휜에 들어가므로 추가적인 유동저항을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열전달계수의 경우 휜이 연결된 열교환기가 휜이 분리된 열교환기 보다 약 15% 높은 열전달계수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각 열별 휜이 연결되어 휜 간의 열전도효과로 인해 휜 전체에 열전달이 고루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2) 휜-관 열교환기의 마찰특성과 열전달특성을 나타내는 f인자와 j인자를 통하여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열교환기를 찾을 수 있었다. 각 열별 휜이 연결된 열교환기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Case#6 12FPI에 루버휜은 각 열별 휜이 분리된 Case#2 12FPI 루버휜에 비해서 전체 실험범위에서 약 10% 높은 f인자 값을 나타내지만 약 27% 높은 j인자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Case#6은 Case#2와 체적 goodness factor 비교에서 동일한 마찰소비력 =100[kW/m3]에서 약 23% 높은 단위체적당 단위온도차당 열전달성능인 값을 나타내어 동일한 체적을 갖는 열교환기에서 Case#6가 가장 우수한 열전달 성능을 가졌다.(3) 각 열별 독립적 냉수유량제어를 통하여 2열의 열전달 성능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루버휜이 코류게이트휜에 비해 후열에서 공기측 유동변화가 크기 때문에 2열의 열전달 기여도를 더 높일 수 있었다. 8개의 휜-관 열교환기 중에서 가장 우수한 열전달 성능을 나타내는 Case#6의 경우 최대 열전달량을 나타내는 냉수유량범위는 1열에 6LPM, 2열에 4LPM으로 나타났다.(4)휜 매수가 많으며 루버휜 형상을 가지는 열교환기가 공기유동혼합 효과가 코류게이트휜 열교환기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공기측 현열 열전달 성능이 우수하였다. 즉, 열전달 면적이 넓고 공기측 건구온도변화를 크게하는 열교환기는 Case#6로서 가장 우수한 현열 냉방능력을 나타내었다.

      • 전착법에 의한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용 Fe-Ni 합금기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민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에 적용하기 위한 금속 기판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해야 하며, 태양전지 제조 공정온도에서 적층되는 박막 cell 소재와 유사한 열팽창 거동을 가져야한다. 박막 태양전지에 기판재로 적용된 금속기판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판과 셀을 구성하는 반도체 층의 열팽창 거동과의 차이에 의한 열 변형이 태양전지의 공정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실리콘 박막이 증착된 기판이 고온공정으로부터 상온으로 냉각 될 때, 실리콘 박막과 기판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잔류 열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응력은 재료들의 계면에서 복잡한 응력상태를 야기하고 박막 구조에 파손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로 인하여 기판과 적층된 재료사이의 박리 현상으로 효율저하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셀을 구성하는 반도체 층과 열팽창 거동이 유사하고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금속기판의 적용이 필요하다. 상용되고 있는 압연공정으로 제작된 Stainless Steel 기판의 경우 열팽창 특성 제어가 불가능하고, 광폭 박판형으로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용 기판재를 전주법으로 제작하였다. 전주법(Electroforming)은 전기도금과 비슷하나 표면 코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금속 제품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법으로 제작된 Fe-Ni 합금은 Ni 함량에 따라 자기적 특성, 열팽창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등 여러 물리적 특성들의 조절이 가능하여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전용 금속 기판으로 적용을 위하여 실리콘 박막 층과 열팽창 거동이 유사한 Fe-42wt%Ni 합금을 전주법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전주법으로 제작된 이 합금이 안정적인 열․기계적 특성을 위하여 전착된 시편을 열처리 온도를 변수로 사용하여 이에 따른 결정립 성장이 기계적 특성과 열팽창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전착된 상태의 Fe-42wt%Ni 합금의 결정립 크기는 약 20 nm인 것으로 나타났고, 경도는 472 Hv, 인장강도는 1230 MPa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나타났고, 열팽창계수 평균 4×10-6/℃ 이었지만 특정온도에서 급격한 열팽창의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500℃ 이상으로 열처리한 경우 열팽창계수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나타났고, 기계적 강도도 일반적인 벌크재료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전착된 상태에서 나노 결정질을 가지는 Fe-42wt%Ni 합금이 열처리에 따라서 수 마이크로 사이즈의 결정립으로 성장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착된 상태의 Fe-42wt%Ni 합금은 350 ~ 400 ℃ 사이의 열처리 온도에서 나노 결정립이 서브 마이크로 결정립으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 하지만 이후 열처리 온도가 800 ℃까지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결정립은 성장하고 평균 5 ㎛까지 성장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 시편의 경도는 온도에 따라 비례하여 감소하였으며 400 ℃ 이상으로 열처리한 경우의 결정립 크기에 따른 경도 변화는 Hall-Petch 방정식과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전주법으로 제작된 Fe-42wt%Ni 합금 기판이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에 적용되었을 때 기판으로 인한 효율 증가를 위하여 기판의 반사특성 연구와 잔류응력 유한요소해석을 하였다.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전주법을 응용하여 다양한 접촉각을 가진 Pyramid형과 V-shape형의 기판을 제작하였고, 반사율을 측정해본 결과 접촉각이 높아질수록 태양전지내의 광경로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lgor(Autodesk Co.)를 사용하여 가상의 Si 박막 태양전지를 모델링하고 실제 셀이 증착되는 고온의 공정조건과 동일한 환경에서 잔류응력을 분석한 결과 Fe-42wt%Ni 합금기판이 상용 Stainless steel 기판대비 잔류응력과 변형량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tallic substrate for the silicon thin film solar cell requires superior mechanical strength and appropriate thermal expansion behavior which are compared to that of the materials for thin film cell at the temperature in solar cell manufacturing process. Because the thermal deformation caused from the difference of thermal behavior between the semiconducting material and the substrate can affect the process reliability. When a substrate on which silicon is deposited is cooled down to room temperature from the high process temperature, a residual thermal stress is caused due to the 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difference between them. This residual stress results in film structure failure because of complex stress state at the interface. Consequently, the efficiency of solar cell might be degraded due to peeling of the thin film. Moreover, current stainless steel substrate fabricated by rolling work process is under hard circumstance in terms of controllability of thermal expansion and has difficulty in producing broad width and ultrathin substrate. Therefore a metallic substrate which thermal expansion behavior is similar to that of semiconducting layer and superior mechanical property is needed. In this study, metallic substrate for silicon thin film solar cell was fabricated by electroforming method to deal with these problems mentioned above. Electroforming can be defined as a process that employs technology similar to that used for electroplating but which is used for manufacturing metallic articles, rather than as a means of producing surface coatings. The Fe-Ni alloys have been widely considered for both scientific and practical applications due to their properties such as low thermal expansion, high magnetic, permeability, excellent structural-quality and their mechanical properties. Therefore, it is actively applied with the development of field of application including the flexible solar cells, magnetic memory, optical recording apparatus, micro-sensor, MEMS, and LIGA. Fe-42wt%Ne alloy which thermal expansion is similar to that of silicon thin film is fabricated by electroforming to apply to the substrate for silicon thin film solar cell. In addition, the effect of grain growth on the mechanical property and thermal expansion behavior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enhance stabl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y of this alloy. The grain size, hardness and tensile strength of the alloy fabricated is ~ 20 nm, 472 Hv and 1230 MPa, respectively. Though its CTE is 4⨉10-6/℃ the thermal expansion is changed abruptly at specific temperature. However, the CTE is stable at high temperature in case of the sample heat-treated over 500℃ and the mechanical strength is higher than that of normal bulk materials. It seems to indicate that the electroformed grain of nano crystalline Fe-42wt%Ni grows up to sub-micron sizes as temperature is varied. The grain of the electroformed alloy is dramatically changed into sub-micron size under the temperature between 350 ℃ and 400 ℃. However, the grain becomes bigger constantly up to 5 ㎛, generally, as the temperature is elevated to 800 ℃. Under this circumstance, the hardness of the sample decreases linearly versus temperature, the hardness tendency corresponds well to the Hall-Petch equation for the sample heat-treated at more than 400 ℃. Additionally, the reflection property and the residual stress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electroformed substrate on the cell efficiency. Especially, FEA(Finite Element Analysis) is adapted to study the residual stress. Pyramid type and V-shape type of substrates with various contact angle were fabricated by electroforming for higher cell efficiency. As a result, light path is increased as the contact angle is bigger. Furthermore, the alloy substrate shows lower residual stress and less deformation comparing to currently used stainless steel substrate. These results were obtained by modeling a virtual Si thin film solar cell under the same process condition using Algor(Autodesk Co.).

      • Compressor에서 具現된 Audio Sound의 音響的 特性 硏究

        이민수 水原大學校 음악테크놀로지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간계 이펙터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다이나믹 프로세서인 컴프레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관련해서 현재에도 만들어지고 있다. 수많은 엔지니어 들이 사용하고는 있지만 방법에 대해 정확한 기술적 해석이나 학술적인 자료도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음향학적 연구도 그리 활발하지 않는 것 같다. 본 논문에서는 왜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도 없이 당연하다는 듯이 사용하는 컴프레서 기기에 과연 오디오의 출력 data는 어떠한 변형 형태로 나타나고 그 결과에 대해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를 연구해보기로 한다. 본 논문의 실험에 있어서 AVALON의 Vt 737 sp, T.C. electronic의 Triple C, AMEK의 System 9098 등의 기기와 Pro Tools의 TDM plug-in을 포함한 여러 가지 기기, 방법에 대해 주관적인 염려도 있었지만 최대한 객관성을 잃지 않기 위해 Pink Noise와 White Noise를 가지고도 각종 컴프레서가 지닌 파라미터를 동일한 형태로 조작하여 통과하게 한 후 Output data를 새롭게 얻어 이것을 원 소스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기기마다 서로 다른 레벨의 변화도 있고 음질의 느낌도 다소 다르게 느껴짐을 알 수 있었지만 염려했던 음색의 큰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큰 압축을 했을 때 주파수에 따른 레벨의 열화로 어둡게 느껴지기도 했다. 특별히 연구하는 과정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Output data가 관심을 끌기도 하였다. 그 중 특히 AMEK의 System 9098의 컴프레서는 다른 제품에 비해 활발한 compression이 일어났으며 동일 한 조건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디오 관련 프로그램에 있는 디지털 Plug in 들은 대부분 미약한 compression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점들이 많은 엔지니어들로 하여금 선입견을 갖게 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되어진다. Compressors, the most common dynamic processors along with space effectors, are being manufactured as analog and digital equipment. Many of engineers are using the machine but there are not many technological interpretations or academic research materials. In addition, acoustic researches look not so activ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audio output data in compressors, which people have been using them even without knowing why they are necessary, and to study how the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Although this experiment comprehended several kinds of machines including Vt 737 sp of AVALON, Triple C of T.C. electronic and System 9098 of AMEK as well as TDM plug-in of Pro Tools, so there was a risk of being subjective concerning machines and methods, we obtained output data by passing pink noise and white noise by manipulating the parameters of the various compressors in the same form in order to maintain objectivity and compared them with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vel of change was different among the machines and the quality of sound was somewhat different but there was little change in tone color. When sound was compressed, it felt dark due to the deterioration of level according to frequency. A particularly interesting point was the big difference between analog and digital output data as observed in the research process. Especially System 9098 of AMEK had active compression compared to other products but, although the same condition was applied, most of digital Plug ins in audio-related programs showed faint compression reaction. These points may be some of the reasons that many engineers have prejudices.

      • 빅데이터 기반 건설업 사고재해와 실외 열쾌적성의 상관관계 분석

        이민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제 목 : 빅데이터 기반 건설업 사고재해와 실외 열쾌적성의 상관관계분석 건설업은 실외에서 많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산업으로 건설 근로자는 작업당일의 기후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해당 연구 분야의 선행연구 분석 결과 폭염, 혹한 등의 특정 기후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 연구가 많았다. 폭염은 열사병, 탈진 등을 일으키며, 혹한은 피로, 요통, 긴장 등을 유발한다. 그러나 다른 기상조건도 사고 사망 및 부상재 해에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PET 지수 개념을 바탕으로 불확실성 분 석을 통해 건설업에서의 사고 사망 및 부상재해와 기상조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추가적으로 PET 요인 중 환경요인에 대해 인공신경망 분석을 실시하여 변수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 데이터 수집 및 분류, 2. 실외 열쾌적성 계산, 3. 열쾌적성기반 사고재해 불확실성 분석, 4. 열쾌적성 기반 건설업 사고재해 변수 중요도 분석 순서로 4단계로 진행되었다. 분석은 사고 사망재해 6,736건 및 사고 부상재해 데이터207,802건을 수집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떨어짐’재해가 총 74,660건으로 가장 많은 재해유형으로 분석되었으며 가을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떨어짐’재해의 불확실성 분석결과 PET 지수 비쾌적구간에서 사고 사망 및 부상재해가 발생할 확률은 각각 약 86%, 85%로 분석되었다. PET 지수 환경요인의 변수 중요도 평가결과 기온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주로 보건관리적측면에서 다루어지던 환경요인 및 열쾌적성의 영향이 건설 사고재해 발생에도 유의한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여점이 있으며 또한 날씨 조건을 고려한 안전관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accident and outdoor thermal comfort using big data Lee, Min Su (Supervisor Jeong, Jae Wook) Dept. of Safety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atal injury and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ccur under the influence of outdoor weather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in all four seasons. Previous research in this area has focused on hot and cold weather conditions: hot weather causes heat rash, heat cramps and heat fainting, while cold weather causes fatigue, lumbago, and cold finger sensations. However, other weather conditions are also associated with, and cause, fatal injury and accident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injury and fat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the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 (PET) as it pertains to thermal comfort using an uncertainty analysis. Furthermore, using a neural network, relative importance is analyzed considering injury and fatal accidents. This study is conducted in six steps: 1. Establishment of the database and classification of accident types, 2. Calculation of the thermal comfort, 3. Analysis of the fatal and injury accidents cased on thermal comfort, 4. Calculation on the relative importance based thermal comfort affecting fatal and injury accidents, 5. Analysis of Relative Frequency on accidents by PET index, 6.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nstruction accidents and PET index. Via the research process, 6,736 fatal accidents and 207,802 injuries are analyzed according to 18 accident types in all seasons. As a result, 'fall' category were analyzed as the most frequent disaster type with a total of 74,660 cases,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most occurred in the autumn. As a result of the uncertainty analysis of the 'fall' disaster, the probability of death and injury in the discomfort range of the PET index was analyzed to be 55% and 60%, respectively, As a result of evaluated the variabl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ET index, it was analyzed that temperature had the most influence. As a result of the Relative Frequency analysis from the cold range to the comfort range of the PET index, the Relative Frequency increased as the PET index decreased, a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 high negavice correlation between the PET index and the Relative Frequency was confirmed at –0.768.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in that it was confirm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rmal comfort effects, which were mainly deal with in terms of health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ccurrence of construction fatal and injury accidents, and can provide database data on safety management considering weather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