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연주의에 관한 예술표현 연구 : 이사도라 던컨 춤 중심으로

        이미연 우석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63

        <국문초록> 자연주의에 관한 예술표현 연구 -이사도라 던컨 춤 중심으로- 이미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무용이란 신체를 수단으로 안무자, 무용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전달하는 것이다. 무용의 여러 장르 중 특히 현대무용은 클래식 발레의 인위적인 모습을 탈피하고 인간의 내부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나, 입시위주의 경쟁 속에서 이런 전달은 무용수의 테크닉적 기량에 의해 한정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무용은 예술의 큰 뿌리를 두고 있다. 그 예술에는 보여 지는 테크닉이라는 아름다움도 포함되지만, 그 보다 더 깊은 무언가에 대한 메시지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중요한 의미를 간과하고, 단지 보여 지는 부분의 중요성만 부여한다면 무용의 예술적 가치는 상실되어 버릴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무용의 창시자인 이사도라 던컨의 자연주의 춤 사상을 통한 무용의 진정한 예술성을 고찰했으며, 또한 타 예술의 자연주의를 통한 예술적 표현을 분석했다. 이러한 이론의 체계화는 무용예술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목표라 생각하며, 또 예술이 발전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한다. 이 이론의 중요성과 현대무용의 이념을 이사도라 던컨의 춤 사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교육과 학습을 통해 무용교육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Abstract> A Study on Artistic Expression of Naturalism -Focus on Isadora Duncan dancing- Lee Mi-Youn Major in Dance Dept.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 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Yang, soon hee Dance is a mean of delivery of what a choreographer or a dancer wants to say using the body. Modern Dance among various genres of dance started to escape from artificial aspects of Classic Dance and express internal feeling of human beings naturally. In Korea, the spirit of Modern Dance is limited by technical capabilities of a dance due to severe competition caused by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Dance is a major part of art. Dance delivers a deep inside message for a certain thing, as well as containing technical beauty presented by performance. Artistic value of dance can be disappeared if only visual part is emphasized without considering importance of such invisible value.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s authentic artistic value of dance by considering naturalism of dance philosophy of Isadora Duncan, who was a creator of Modern Dance and analyzes artistic expression of other arts in the naturalism point of view. It is considered that systemization of such theory is a goal sought by dance art education and a way to develop arts. This study presents importance of the theory and philosophy of Modern Dance through dance philosophy of Isadora Duncan. It is believed that dance education can be promoted by teaching and learning such philosophy.

      • 중국어 수준별 평가 유형에 관한 연구

        이미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중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어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점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은 외국어 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국어의 특징을 고려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의 수준별 평가유형을 개발하고 분석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을 쓰려는 목적을 밝히고, 현재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본고가 연구해야 할 방법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외국어 평가에 대한 이론들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으며, 현재 주목 받고 있는 이론은 어떤 것인지를 밝히며 본 논문의 평가유형의 기준을 세웠다. 또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인󰡐대외한어󰡑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현재의 위치를 살펴보며 논문의 전개를 위한 중국어 수준의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고, 평가문항의 개발 및 분석에 앞서 기능별 평가 영역별 세부적인 분류기준을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명확히 하였다. 본 연구는 분리식 평가방식과 통합식 평가방식을 통해 평가문항을 작성하였으며, 각 평가방식 모두 초급과 중급의 실력과, 언어기능별인 말하기․듣기․읽기․쓰기로 세분화 하여 개발 및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분리식 평가방식을 통해 분류를 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통합식 평가방식을 통해 분류를 하였다. 제3장과 제4장에서의 평가문항의 개발 및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분리식 평가는 평가의 목적에 부합하는 맞춤형 평가를 하는데 적합하며, 통합식 평가는 한 문항으로서 두 가지의 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있다. 하지만 분리식 평가는 한 가지 영역의 평가를 위해 다른 평가영역이 문제제시 과정에서 배제되어야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문항이 단조롭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통합식 평가방법은 분리식 평가보다 문항에 비해 복잡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문항을 어렵다고 느낄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어 학습에서 평가의 중요성을 이해케 하고, 교수자가 학습자의 학습 목적에 부합하는 알맞은 평가방법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아울러 평가문항의 작성 시에 분리식 평가방법과 통합식 평가방법의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이해케 하고 보완하여, 효율적인 평가문항 작성에 도움이 되기 위한 분석과 방안을 제시하여, 더욱 발전적인 중국어 교육의 일면을 보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영화의상에 나타난 미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 영화‘왕의남자’와 영화‘음란서생’을 중심으로

        이미연 韓京大學校 産業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Movie costume are important means that express and pass person's personality and psychology, atmosphere of drama indirectly, and are strong medium that can recognize lif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ose days. We will appreciate movies 'King And The Clown' and 'Eumranseosaeng' that reflect period life image well that can see through period piece, and analyze about aesthetic symbolism of movie costume that appeared in two works, and search expression method of dress and its ornament of costume in historical drama and meaning and costume expression method of movie costume. As a result, we could know that movie costume is acted as important element that help story progress and is expressed sensuously imposing designer's creation with historical investigation to heighten meaning and effect of movie. Costume seen in period piece in movies are reappearing beauty of Korean tradition that upper garment is short and skirt is broad, but it reinterprets and displays person's mind into modern style through practical use of bold color and various material development. Therefore, period piece should be harmonized properly modern sense based on historic analysis, specially designer's creation.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적 과제

        이미연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은 1990년대 중반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2018년 9월 기준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총 32,147명에 이른다.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을 위해 1997년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통일부가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현재 북한이탈주민은 대한민국 국민과 동일한 법적 권리를 갖고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과 관련된 법과 제도는 이들에게 일반 국민 내 취약 계층, 다른 소수자 그룹을 상회하는 광범위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지원예산에 비해 제도 운영에 대한 결과가 미미하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초기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정책은 지원·보호 위주로 이루어졌으나 자립·자활을 목적으로 하도록 정책목표가 바뀌었다. 그러나 지원정책의 목표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정책은 북한이탈주민의 자립 역량을 키우기보다는 보호적 조치에 치중하고 있는 면이 있고 지금보다 효과적인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와 관련법(2장), 북한이탈주민의 거주 및 사회적응 현황(3장), 정착지원제도의 운영과 문제점(4장) 등을 짚어본 후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정착지원법과 제도를 비교법적으로 살펴본 후 현행 제도의 개선책(5장)을 다루고자 한다. 2장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와 관련법을 다루며 북한이탈주민이 헌법상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국제법상은 북한 공민이라는 이중적 지위를 갖고 있다는 것과 제3국에 존재하는 북한이탈주민을 대한민국 국민으로 보호하기에는 실제적 한계가 있다는 것을 살펴본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국적 문제와 별개로 이들이 국제사회에서 국제법상 난민 인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다룬다. 국내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에 관한 관련 법 연혁을 살펴본다. 3장의 북한이탈주민의 거주 및 사회적응 현황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거주현황에 대해 입국현황, 출신지역별 현황, 성별 및 연령대별 분포, 재북 직업 현황과 재북 학력별 현황을 살펴보고 사회적응현황에 대해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생계급여 수급 비율과 초중고등학교 중단 비율, 탈북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휴학 및 중도탈락 현황, 경제활동 참가율, 고용률, 실업율, 북한이탈주민 수용자 현황 등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정착 현황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살펴본다. 대한민국 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과 거주지역에 대한 만족도, 차별 무시당한 경험 유무와 그 이유, 준법의식 등에 대한 주관적 지표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다룬다. 4장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제도 현황에 대해 살펴본다. 그간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법이 어떻게 개정되었는지와 그에 따른 보호 및 정착지원제도의 변화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정착지원제도의 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북한이탈주민의 정착보호과정 전반과 사회적응교육, 정착지원에 대해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본다. 5장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적 과제에 대해 다룬다.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정착지원법과 제도를 비교법적 고찰을 위해 살펴본 후 현행 제도의 개선책을 위한 교육과 사회문화 적응, 사회통합에 관한 필요성과,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지원에 대한 개선책에 대해 고찰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legal issues of North Korean Refugees for social integration in South Korea. The paper deals with legal status and related law of North Korean Refugees(chapter 2), residential and soci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Refugees(chapter 3), operations and problems of settlement support system for North Korean Refugees(chapter 4) and comparative study of law and system for east german refugees in germany and discussion for improvement of current settlement support system for North Korean Refugees(chpater 5). Since the North Korea's great famine in the 1990s, North Korean defectors have been growing fast. And the number of refugees from North Korea have been increasing in South Korea. As of the end of September 2018,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to South Korea stood at 32,147. North Korean refugees are citizens of South Korea under the South Korea constitution. But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egal definition North Korean refugees are North Koreans. They are dual status. So South Korea government have practical limit to exercise national sovereignty for protect North Korean refugees who escaped North Korea in China and Russia. Nevertheless South Korea government provided diplomatic protection, settlement support and approved citizenship of South Korea to North Korea Refugees who want to be protected from South Korea. In 1997, South Korea Government enacted NORTH KOREAN REFUGEES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ACT. South Korea's Unification Ministry provided for matters relating to protection and support as are necessary to help North Korean Refugees. North Korean Refugees have the same rights as citizens of South Korea. Related Law and institu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settlement support offered broad support to north korean refugees more than other minor group in South Korea. But there are the questions that continue to surround the support systems. Because support system for North Korean refugees had attained inefficient result. In its primal stage, settlement support system for North Korean Refugees consisted largely of supporting, preserving policy. Since 2005 Ministry of Unification emphasizing reaching the goal of having North Korean refugees achieve self-support and economic self-sufficiency. However, despite the change in the objectives of the settlement support policy for North Korean Refugees, government provided cash based support and short-term protect. Settlement support policy for North Korean refugees should support that North Korea refugees improve their capabilities and their capacity. Support policy should be more effective.

      • 함께 읽기 영어 동화 수업이 7세 유아들의 어휘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이미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함께 읽기(Shared Reading) 활동 중심의 영어 동화 수업이 7세의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어 교육적 효과를 영어 어휘력 및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어 동화 함께 읽기 활동은 7세 유아들의 어휘 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영어 동화 함께 읽기 활동이 7세 유아의 정의적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를 위해 15명의 7세 아동으로 구성된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4주간 총 8 차시의 영어동화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아동들의 어휘력 및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 수업 전, 후에 사전, 사후 어휘력 테스트와 정의적 영역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 평가를 보완하며 함께 읽기 활동 중심의 영어 동화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과 생각을 깊이 있게 들어보기 위해 실험 수업 후에 상, 중, 하 수준별 그룹으로 나누어 학생들과 인터뷰를 실시하여 녹음한 내용을 녹취한 후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이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함께 읽기 중심의 영어 동화 수업 후에 전체 학생의 어휘력 평균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수준별로 학생들의 어휘력 변화를 보았을 때, 중위 및 하위 수준 학생들의 평균 점수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상위 수준 학생의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정의적 영역을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세 영역의 사후 평균 점수는 모두 증가하였으나 중위 그룹의 흥미도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것은 함께 읽기 영어 동화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 및 영어 동화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생각 된다. 셋째, 수준별 그룹의 학생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동화책의 그림과 적절한 크기가 수업에 흥미를 주었으며, 교사와 혹은 학생 그룹별로 천천히 함께 읽는 활동이 재미있고 쉽게 다가왔다. 또한 동화 읽기 중 교사가 던지는 질문이나 읽기 활동 후에 연계된 동화 노래 부르기나 활동적인 게임도 동화 수업에 흥미를 갖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그림과 내용의 동화책 선정 뿐 아니라 함께 읽기 활동 뿐 아니라 동화 수업에 연계적으로 적용되는 다양한 활동들이 유아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기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see the effects of shared reading activity of English storybook class on English vocabulary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toward English learning of 7-year-old students. With this aim, this study tries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ims to prove what effects shared reading activity of English storybook has on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ability of 7-year-old students. The second question aim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hared reading activity of English storybook on the emotional aspects toward English learning of 7-year-old students. To verify this research questions, the action research of eight hours’ of experimental class using English storybooks was conducted in S kindergarten class consisted of fifteen students of 7-year-old children for four weeks. Before the experimental class begins,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each student was examined through the interview with parents regarding the extent of the exposure to English other than the English class at kindergarten. To collect the data, the pre-test and affective domain questionnaire was performed before the first experimental class and the post-test and affective domain questionnaire after the last experimental class. In addition, to support the data from the affective domain questionnaire and to gain in-depth thoughts and feelings of students toward the English storybook class, the interview with four groups of students by levels; low, intermediate, and advanced, each of which consisted of two students was performed after the last experimental class. All the process of interview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vocabulary test has improved statistically after English storybook class based on shared reading activity. Seeing the change of vocabulary ability by levels of students, the intermediate and low level of students has improved statistically, while that of the advanced level of students has not shown any significant change statistically. Second,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affective domain questionnaire in three aspects; interest, participation, confidence, showed that English storybook class based on shared reading activity affected positively on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toward English showing the increased average score of affective domain questionnaire, however only the interest of students in the intermediate level made a significant improvement statistically. Third, the interview with students in leveled groups revealed the importance of the pictures and the size of English storybooks in the effective shared reading activity, besides the appropriate speed of reading aloud with a teacher or in peer groups. In addition, other activities such as teacher's questioning while reading storybooks, singing and games also influenced the interest of students toward English class. Therefore, not only selecting storybooks with pictures and content considering the level and interest of students but also varied activities are to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for the effective shared reading activity of English storybook class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toward English of 7-year-old children.

      • Anti-fibrotic effects of new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type I receptor kinase(ALK5) inhibitors on hepatic fibrosis and pulmonary fibrosis

        이미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TGF-β1) regulates diverse biological activities and is believed to be a key mediator of tissue fibrosis as a consequence of extracelluar matrix accumulation. This cytokine was related to induction of a variety of human fibrotic diseases including liver cirrhosis, lung fibrosis, and diabetic nephropathy. Thus, there is a great interest in development of specific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TGF-β1 signaling to control the pathological states, however, therapeutic agents for fibrosis are still at an experimental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ti-fibrotic effects of newly developed small molecule inhibitors (IN-1139 and IN-1130βHCl) of TGF-β1 type I receptor serine/threonine kinase known as an activin-like kinase (ALK) 5 in in vivoanimal models of hepatic and pulmonary fibrosis. SB-431542 and SB-505124 which have recently been reported as selective ALK5 inhibitors were also tested to compare their anti-fibrotic effects to those of IN-1139 and IN-1130·HCl. We induced liver fibrosis by bile duct ligation (BDL) of rats, and pulmonary fibrosis by intratracheal injection of bleomycin to ICR mice. The survival rate of BDL rats and bleomycin injected mice were decreased to 64% and 72%, respectively, whereas all of sham operated animals survived at 4 week after surgery. The degrees of fibrosis were examined by examining organ morphology and detecting hydroxyproline or β-smooth muscle actin (β-SMA) levels. In surviving BDL rats after 8 weeks of BDL surgery, liver fibrosis was represented by the entire granular texture of the liver, a characteristic of micronodular cirrhosi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s of hydroxylproline and β-SMA expression, indicatives of collagen accumulation and hepatic stellate cell (HSC) activation. Also, in surviving bleomycin injected mice after 4 weeks of surgery, varying degrees of interstitial fibrotic morphology in lung tissue were examined, and the expression of β-SMA, a representative index of lung fibroblast activ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lung homogenates. Next, the effects of new anti-fibrotic agents were investigated in these in vivo hepatic and lung fibrosis animal models. Drugs were administrated to animals three times per week for next 4 weeks after 4 weeks of BDL surgery or bleomycin treatment. Treatment of IN-1139 showed an improved survival rate of BDL rats during 3 weeks after drug treatment, but produceda similar survival rate at 4 weeks after drug treatment compared with that in vehicle treated BDL rats. Treatment of either IN-1139 or SB-431542 for 4 weeks in surviving BDL rats similarly decreased the levels of liver hydroxyproline and β-SMA expression, representing reduced collagen deposition and HSC activation. In a pulmonary fibrosis model, the survival rate was increased up to 67% in IN-1139 (20 mg/kg) treated bleomycin injected mice compared with that of vehicle treated mice (55%). The levels of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 mRNA and β-SMA protein enhanced by bleomycin injection were dose-dependently decreased by treatment with IN-1139. Unlike IN-1139 and SB-431542, both IN-1130 and SB-505124 could form salts with an acid, and IN-1130·HCl and SB-505124·HCl are highly soluble in an agents solution (>100 mg/kg). Treatment of IN-1130·HCl (30 mg/kg) improved the survival rate of these rats to 60% compared with 48% in vehicle-treated BDL rats. On the other hand, same molar concentration of SB-505124·HCl (12 and 24 mg/kg) markedly reduced the survival rate to 37% and 19%, respectively. The hydroxylproline level increased by BDL surgery 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of IN-1130·HCl. The increased levels of CTGF mRNA and β-SMA protein expression induced by BDL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of IN-1130βHCl. Treatment of IN-1130βHCl can effectively inhibit the liver fibrosis induced by BDL, as further evidenced by improved histological outstanding findings by hematoxyline and eosin staining and β-SMA immunostaining. A proliferation cell nuclear antigen (PCNA) expression was increased by BDL surgery, and it was inhibited by treatment of either SB-505124βHCl or IN-1130βHCl. Treatment of IN-1130·HCl (15 and 30 mg/kg) also improved the survival rate of bleomycin induced lung fibrosis mice model to 83% compared with the vehicle treated control bleomycin injected mice (66%). On the other hand, SB-505124·HCl markedly reduced the survival rate to 50%, which was similar in sham operated control mice group. The levels CTGF and fibronectin mRNA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of IN-1130·HCl. However, no obvious histological changes between drug treated and vehicle treated bleomycin injected mice were observed in hematoxyline and eosin staining and β-SMA immunostain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IN-1130·HCl and SB-505124·HCl produce effective anti-fibrotic effects in BDL induced liver fibrosis and less effective effects in lung fibrosis. A novel ALK5 inhibitor IN-1130·HCl appears to be a much safer and effective therapeutic agent than SB-505124·HCl, and has a high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 new anti-fibrotic agent.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TGF-β1) 는 다양한 생물학적 활동을 조절하는 cytokine으로 세포 외 기질의 축적으로 발생되는 조직 경화증의 주요 조절인자로 알려져 있다. 경화증은 간, 폐, 신장 등에서 수십 년에 걸쳐 진행, 유발된다. 따라서 병적인 상태에서 나타나는 TGF-β1의 과잉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이 시급하나 실제로 아직까지 실험 단계에 놓여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TGF-β1의 type I 수용체인 ALK5를 억제하는 기전으로 경화증을 치료하는 새롭게 합성된 IN-1139과 IN-1130·HCl의 효과를 간과 폐 경화 동물 모델에서 테스트 하였다. 또한 최근에 같은 기전으로 경화증을 치료한다고 보고된 SB-431542와 SB-505124·HCl를 비교약물로 사용하였다. 우선, 간 경화증을 동물 모델에서 유발시키기 위해 담관결찰술을 수컷 rats에 시행하고, 폐 경화증을 동물 모델에서 유발시키기 위해 블레오마이신을 수컷 mice의 기관지에 삽입하는 시술을 시행하였다. Sham-operated 동물은 수술 후 4주 후에 모두 생존하였으나, 경화증을 유발시킨 rats과 mice의 생존율은 각각 64%와 72%로 감소하였다. 경화증의 정도 (degree) 는 hydroxyproline와 β-smooth muscle actin (β-SMA)를 지표로 하여 측정하였다. 담관결찰술이 시행된 뒤 8주 후에 얻어진 rats의 간에서는 외관상 micronodular cirrhosis의 특징이 관찰되었고, hydroxyproline와 β-smooth muscle actin (β-SMA) 발현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블레오마이신을 기관지에 삽입하는 시술을 시행한 뒤 8주 후에 얻어진 mouse의 폐에서는 외관상 interstitial fibrosis의 특징이 관찰되었고, 폐 fibroblast activation의 지표인 β-SMA 발현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새로 개발된 IN-1139와 IN-1130·HCl의 효과를 간과 폐 경화증 동물 모델에서 테스트 하였다. 담관결찰술을시행하고 블레오마이신을 삽입하여 만들어진 동물 모델에서 4주간 경화증을 유발시킨 후, 다음 4주간 일주일에 3번씩 약물을 투여하였다. 간 경화증 동물 모델에 IN-1139를 투여하였더니 생존율이 약물 투여 후 3주째 까지는 개선되었으나, 4주째에는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간 경화증 동물 모델과 비슷해졌다. IN-1139와 SB-431542를 4주간 투여한 간 경화증 모델 rats의 hydroxyproline와 β-SMA 발현은 비슷하게 감소되었고, 이는 이 두 약물이 콜라겐의 생성과 hepatic stellate cell (HSC) 의 활성화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폐 경화증 동물 모델에서는 IN-1139 (20 mg/kg)를 투여하였더니 생존율은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폐 경화증 동물 모델과 비교해 보았을 때 (55%), 67%로 증가하였다.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 mRNA와 β-SMA 단백질 발현 정도는 투여된 약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개선되었다. IN-1130·HCl과 SB-505124·HCl는 IN-1139와 SB-431542와는 달리 수용성이 높은 약물이다. 간 경화증 모델에서 IN-1130·HCl (30 mg/kg)를 4주간 투여한 rats의 생존율은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간 경화증 모델의 생존율인 48%와 비교하여 60%로 증가하였고, 같은 몰 농도인 SB-505124·HCl 를 12, 24 mg/kg로 4주간 투여한 그룹의 생존율은 각각 37%와 19%에 그쳤다. 담관결찰술에 의해 증가된 hydroxyproline 발현은 IN-1130·HCl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담관결찰술에 의해 증가된 CTGF mRNA 와 β-SMA 발현도 역시 IN-1130·HCl (30 mg/kg) 투여에 의해 감소되었다. Hematoxyline and eosin (H&E) 염색과 β-SMA를 이용한 면역 염색 실험법으로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IN-1130·HCl 투여는 콜라겐의 축적과 β-SMA positive area를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간 경화증 동물 모델에 비하여 감소시켰다. 담관결찰술에 의해 증가된 proliferation cell nuclear antigen (PCNA)의 발현도 IN-1130·HCl과 SB-505124·HCl 투여에 의해 억제되었다. 폐 경화증 동물 모델에서 IN-1130·HCl (15, 30 mg/kg)를 4주간 투여한 mice의 생존율은 83%로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폐 경화증 동물 모델의 생존율인 66%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반면 SB-505124·HCl를 4주간 투여한 폐 경화증 동물 모델의 생존율은 50%였고, sham operated mice의 생존율도 50%였다. 폐 경화증 유발로 인해 증가된 CTGF와 fibronectin mRNA 발현은 IN-1130·HCl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그러나 H&E 염색과 β-SMA를 이용한 면역 염색의 실험법에 의해서는 IN-1130·HCl을 투여한 폐 경화증 동물 모델과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폐 경화증 동물 모델에서의 조직학적인 변화가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ALK5 저해제로 새롭게 합성된 IN-1130·HCl과 대조 약물로 사용된 SB-505124·HCl는 본 연구에서 이용된 약물농도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IN-1130·HCl은 최근에 알려진 치료 후보 약물인 SB-505124·HCl보다 더 안전한 것으로 보이므로 조직 경화증 치료에 임상적인 약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교육연극을 활용한 <흥부전>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이미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판소리계 소설 교육이 판소리와 무관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판소리가 지닌 문학성, 음악성, 연극성을 총체적으로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교육연극이며, 학습자의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텍스트 내면화에 효과적인 방법이 교육연극이다. 즉, 학습 방법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함으로써 판소리계 소설의 판소리와의 관련성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고, 학습 내용을 교육연극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의 작품에 대한 재해석이 가능해져 더 깊이 있는 내용 이해를 가져올 수 있다. 여러 판소리계 소설 중 <흥부전>이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판소리계 소설을 교육할 때 가장 적합한 제재라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흥부전>을 형제간의 우애를 다룬 옛날이야기로 많이 들어 왔으며, 조선 후기 사회 모습과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이 녹아 있어 문학 교육이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인간 삶의 총체적인 이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흥부전>은 여러 이본이 존재하는데 그 가운데 김연수 창본이 사설 내용이 풍부하고 비극적 요소와 해학적 요소가 잘 어우러져 있어 <흥부전>을 대표하는 이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김연수 창본을 중학교 1학년에게 그대로 적용하면 학습자들이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를 쉽게 풀어쓴 <이 박을 타거들랑 밥 한 통만 나오너라>를 교재로 삼는다. <흥부전>의 학습 내용으로는 서사 구조, 인물 유형, 사회․문화적 배경, 해학적 표현으로 선정하였다. <이 박을 타거들랑 밥 한 통만 나오너라>는 12개의 소제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소제목을 중심으로 서사 구조 파악이 가능하다. 흥부와 놀부를 중심으로 등장인물의 선악과 신분에 대한 학습, 작품에 반영된 조선 후기 사회 모습과 판소리의 표현상 특징인 해학성을 학습한다.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교육연극을 활용한 <흥부전>의 교수․학습 모형으로 인지단계→준비 단계→공연 단계→정리 단계의 4단계를 설정한다. 인지 단계는 간단한 몸동작을 이용한 연극놀이를 통해 허용적인 분위기를 만들고, 학습 목표를 인식한다. 준비 단계는 각 차시별 학습 목표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연극 공연을 준비하며, 공연 단계에서는 모둠별 토의를 통해 합의된 연극을 실연한다. 정리 단계는 본시 학습 내용을 정리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이 모형을 바탕으로 각 차시별 <흥부전>의 학습 내용에 따라 교육연극 기법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한다. <흥부전>의 서사 구조 파악에는 판소리의 구성 요소 중 너름새(발림)와 관련성이 큰 해설이 있는 마임극을 활용하며, 인물 학습을 위해 인터뷰극을 활용한다. 인터뷰극은 판소리의 구성 요소 중 아니리와 관련성이 높은 교육연극 기법이다. <흥부전>에 반영된 사회․문화적 배경 학습을 위해서는 노래극을 활용하는데 다양한 사회 모습을 노래 형식을 빌려 표현함으로써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노래극은 판소리의 구성 요소 중 창과 관련된 교육연극 기법이다. 해학성은 현대적으로 각색하기 활동을 한다. <흥부전>에 반영된 해학성을 바탕으로 이를 현대적으로 각색하여 희곡으로 표현하는 활동이다. 이처럼 다양한 교육연극 기법 활용을 통해 학습자들은 작품에 대한 재해석과 창작 활동을 동시에 하게 된다. 교육연극 기법은 문학 교육에서 추구하는 문학적 상상력과 창작력의 신장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인 것이다. 특히 판소리계 소설 학습에 교육연극을 적용함으로써 판소리와의 관련성을 유지한 채 판소리계 소설을 교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드라마 캐릭터 추구이미지에 따른 헤어스타일의 조형성 분석

        이미연 건신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서 TV 미디어는 가장 영향력이 큰 보편적인 문화도구로 유행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TV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미디어를 접하는 시간이 확대됨에 따라 시청자들에게 더 많은 의복스타일과 헤어스타일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 특히 드라마 캐릭터 이미지는 직업, 상황, 외모, 성격 등에 맞게 설정된 이미지로 대인지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며 그 시대, 그 사회, 그 문화,신념까지 대변해준다.의복과 헤어스타일을 통해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것은 젊고 건강하게보일뿐더러 자신감, 착한이미지, 성공이미지 등으로 자신만의 이미지를 추구함으로써 자신감을 높일 수 있고 현대사회의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드라마의 캐릭터에 따른 헤어스타일을 유형화 시키고 헤어스타일의 조형성을 분석하는 틀을 제공함으로써 헤어디자이너의 디자인개발과 헤어산업현장의 마케팅전략에 도움을 주고자하여 드라마 7작품을 선정하여 분류한 사진자료는 총475장이었으며, 그중 순수한 이미지는 130장, 성공이미지는 90장,도시적 이미지는 80장, 섹시이미지는 25장, 개성이미지는 150장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작품 중 대표적인 사진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드라마 캐릭터 추구이미지에 따른 헤어스타일의 조형성을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추구이미지에 따른 드라마 캐릭터의 유형을 알아본 결과 추구이미지는 개인과 타인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로 자아이미지와 함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추구하는 드라마 캐릭터에 따라 의복스타일과 헤어스타일은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드라마 캐릭터 유형별 의복스타일과 헤어스타일의 이미지를 알아본 결과 의복스타일 이미지와 헤어스타일 이미지는 같은 맥락이었다. 의복은 의복의 조형적 특성인 형태, 색상, 질감, 문양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헤어스타일은 형태, 색상, 질감에 따라 다른 이미지를 형성하며, 헤어스타일과 의복스타일은 서로 보완해 주는 관계임을 알 수 있 었다.셋째, 추구이미지에 따른 헤어스타일을 다섯 가지로 유형화하였다.이는 선행연구와 드라마캐릭터 이미지를 분류한 결과 유형을 순수한이미지, 도시적 이미지, 성공이미지, 섹시이미지, 개성이미지로 분류하여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드라마 캐릭터 유형에 따른 헤어스타일의 조형성을 분석한 결과 헤어스타일의 순수 이미지는 형태에 따라서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남성의 경우 앞머리를 내려서 어려보이고 순수해 보이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질감에 따라서 여성의 매끄러운 질감을 들 수 있었으며 컬러는 부드러운 이미지 연출에 도움을 주었다. 도시적인 이미지 의 형태는 짧은 헤어스타일에 매끄러운 질감이었으며, 성공적인 이미지는 남성의 클래식한 헤어스타일이 대표적인 형태였다. 또한 여성과 남 성 모두 앞머리를 올리는 것이 신뢰감을 주는 스타일로 앞머리를 올려 성공적인 이미지를 연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섹시스타일은 형태보다 질감이 가장 큰 영향으로 웨이브 진 헤어스타일이 섹시스타일로 많이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개성이미지는 형태 색상, 질감에도 약간의 변화가 있었지만 헤어스타일보다는 의복스타일에 더 큰 비중을 두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드라마 캐릭터에 따라 추구하는 이미지가 있어서 의복이나 헤어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며, 순수이미지, 도시이미지, 성공이미지,섹시이미지, 개성이미지 등에 따라 이미지가 구축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용 산업 현상에서 추구하는 이미지 유형에 맞게 디자인을 제시하고 활용하는 것은 마케팅 전략에 유용하리라 사료되며, 미용교육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 Words : 드라마 캐릭터, 추구이미지, 조형성, 헤어스타일

      • 연주기법을 중심으로 한 쇼팽 발라드 분석 : 발라드 Op.23 No.1과 Op.47 No.3

        이미연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쇼팽은 피아노 음악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작곡가이다. 이 연구는 쇼팽의 작품 중 발라드 Op.23 No.1과 Op.47 No.3을 통해 곡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과 쇼팽의 연주기법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고 연주법을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이 곡을 연주하고 공부하는 연주자들의 해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낭만주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고, 쇼팽 피아노 음악의 특징 중 쇼팽 시대의 피아노, 쇼팽의 피아노 작품들, 그리고 연주법적 특징들을 운지법, 페달링, 프레이징, 장식음, 템포 루바토 등 5가지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연구한 쇼팽 발라드 Op.23 No.1과 Op.47 No.3의 곡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들과 연주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쇼팽은 각 손가락의 개성과 특성을 살려 용이한 운지법을 만들었고, 연주를 할 때에는 손목만을 사용하지 말고 유연함을 위해서 어깨부터 손가락 끝까지의 완벽한 움직임을 사용하여 연주한다. 둘째, 두 곡에 나타난 프레이징은 오른손과 왼손 둘 중 어느 한 손이 물음을 하면 다른 한 손은 대답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나의 프레이즈는 한 숨으로 짧게 나누어 연주하지 않도록 하고 말할 때 잠시 쉬어 가는 느낌처럼 한다. 셋째, 두 곡은 페달 사용의 표시가 자세히 나타나고 있는데 Damper 페달, Una Coda 페달 사용 등은 새로운 음향효과와 색채감, 셈여림 등을 극대화시킨다. 쇼팽의 페달링은 악보상의 흐름을 깨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연주하며 연주자의 감정을 배제하고 악보를 객관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곡에 나타난 템포 루바토의 특징은 일정한 박자 안에서 음악적 흐름에 따라 신중하고 균형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장식음의 사용으로 인해 곡의 화려함과 서정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내주고 있다. 두 곡에서 쇼팽은 주 멜로디를 변화시키기 위해 장식음을 자주 사용하는데, 시작하는 첫 장식음을 첫 박과 동시에 연주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리듬에 있어서 붓점 리듬, 쉼표와 당김음, 액센트, 옥타브 유니즌 등을 사용하여 곡에 생동감과 긴장감이 나타나며 액센트 연주시에는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발라드 Op.23 No.1과 Op.47 No.3의 곡에 나타난 특징들과 연주기법은 쇼팽의 독특한 음악 양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연주법적 분석을 통해 발라드를 좀 더 쉽게 접근하게 될 것이다. Chopin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the 19c Romantic period contributed to piano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how the Chopin’s performance techniques were expressed through analyzing the ballad Op.23 No.1 and Op.47 No.3 of his works and suggest the performance techniques, and then to help the performers playing and studying the piano works. This study researched the features of Romanticism, the piano of Chopin period, Chopin’s piano works, and the performance techniques among various Chopin piano music features are classified into five areas such as the Fingerings, Pedaling, Phrasing, Ornament, Tempo rubato. The music features and performance techniques exposed in Chopin’s ballad, Op.23 No.1 and Op.47 No.3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Chopin made the Fingering which is easy, featuring the characteristics and traits of fingers and played works not by wrist but by flexible movement from the tips of fingers to shoulders. Second, the phrasing on both works is like one hand’s answering to the other hand whether right or left. One phrase should be played with the feeling like taking a rest for a while when speaking and not with brief divided breaths. Third, both works have marks for using pedals. The use of Damper pedal and Una coda pedal and so on maximize new sound effect, colors, and dynamic marks and so on. Chopin’s pedaling can be played within the range without disturbing the flow of music in many ways and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music notes objectively with performer’s emotions excluded. Fourth, the feature of rubato appeared in works should be realized carefully and balanced with the flow of music. Fifth, the splendid and lyrical beauty of his works is exposed by using ornament. In both works, Chopin often used ornaments in order to change the main melody and the first ornament should be played to the beat at the same time. Finally, as for rhythm, the live feeling and tension are expressed in his works by using dotted rhythm, rest, syncopation, accent, octave unison and so on and when playing accents it is better not to stress them too much. The features and performance techniques in the ballad, Op.23 No.1 and Op.47 No.3 reveal the Chopin’s unique music style and through analyzing these performance techniques, it will be possible to approach his ballad eas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