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연주의에 관한 예술표현 연구 : 이사도라 던컨 춤 중심으로

        이미연 우석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63

        <국문초록> 자연주의에 관한 예술표현 연구 -이사도라 던컨 춤 중심으로- 이미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무용이란 신체를 수단으로 안무자, 무용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전달하는 것이다. 무용의 여러 장르 중 특히 현대무용은 클래식 발레의 인위적인 모습을 탈피하고 인간의 내부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나, 입시위주의 경쟁 속에서 이런 전달은 무용수의 테크닉적 기량에 의해 한정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무용은 예술의 큰 뿌리를 두고 있다. 그 예술에는 보여 지는 테크닉이라는 아름다움도 포함되지만, 그 보다 더 깊은 무언가에 대한 메시지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중요한 의미를 간과하고, 단지 보여 지는 부분의 중요성만 부여한다면 무용의 예술적 가치는 상실되어 버릴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무용의 창시자인 이사도라 던컨의 자연주의 춤 사상을 통한 무용의 진정한 예술성을 고찰했으며, 또한 타 예술의 자연주의를 통한 예술적 표현을 분석했다. 이러한 이론의 체계화는 무용예술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목표라 생각하며, 또 예술이 발전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한다. 이 이론의 중요성과 현대무용의 이념을 이사도라 던컨의 춤 사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교육과 학습을 통해 무용교육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Abstract> A Study on Artistic Expression of Naturalism -Focus on Isadora Duncan dancing- Lee Mi-Youn Major in Dance Dept.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 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Yang, soon hee Dance is a mean of delivery of what a choreographer or a dancer wants to say using the body. Modern Dance among various genres of dance started to escape from artificial aspects of Classic Dance and express internal feeling of human beings naturally. In Korea, the spirit of Modern Dance is limited by technical capabilities of a dance due to severe competition caused by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Dance is a major part of art. Dance delivers a deep inside message for a certain thing, as well as containing technical beauty presented by performance. Artistic value of dance can be disappeared if only visual part is emphasized without considering importance of such invisible value.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s authentic artistic value of dance by considering naturalism of dance philosophy of Isadora Duncan, who was a creator of Modern Dance and analyzes artistic expression of other arts in the naturalism point of view. It is considered that systemization of such theory is a goal sought by dance art education and a way to develop arts. This study presents importance of the theory and philosophy of Modern Dance through dance philosophy of Isadora Duncan. It is believed that dance education can be promoted by teaching and learning such philosophy.

      • 중국어 수준별 평가 유형에 관한 연구

        이미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중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어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점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은 외국어 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국어의 특징을 고려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의 수준별 평가유형을 개발하고 분석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을 쓰려는 목적을 밝히고, 현재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본고가 연구해야 할 방법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외국어 평가에 대한 이론들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으며, 현재 주목 받고 있는 이론은 어떤 것인지를 밝히며 본 논문의 평가유형의 기준을 세웠다. 또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인󰡐대외한어󰡑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현재의 위치를 살펴보며 논문의 전개를 위한 중국어 수준의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고, 평가문항의 개발 및 분석에 앞서 기능별 평가 영역별 세부적인 분류기준을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명확히 하였다. 본 연구는 분리식 평가방식과 통합식 평가방식을 통해 평가문항을 작성하였으며, 각 평가방식 모두 초급과 중급의 실력과, 언어기능별인 말하기․듣기․읽기․쓰기로 세분화 하여 개발 및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분리식 평가방식을 통해 분류를 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통합식 평가방식을 통해 분류를 하였다. 제3장과 제4장에서의 평가문항의 개발 및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분리식 평가는 평가의 목적에 부합하는 맞춤형 평가를 하는데 적합하며, 통합식 평가는 한 문항으로서 두 가지의 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있다. 하지만 분리식 평가는 한 가지 영역의 평가를 위해 다른 평가영역이 문제제시 과정에서 배제되어야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문항이 단조롭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통합식 평가방법은 분리식 평가보다 문항에 비해 복잡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문항을 어렵다고 느낄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어 학습에서 평가의 중요성을 이해케 하고, 교수자가 학습자의 학습 목적에 부합하는 알맞은 평가방법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아울러 평가문항의 작성 시에 분리식 평가방법과 통합식 평가방법의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이해케 하고 보완하여, 효율적인 평가문항 작성에 도움이 되기 위한 분석과 방안을 제시하여, 더욱 발전적인 중국어 교육의 일면을 보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생태문해력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 연구

        이미연 전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태학적 담론을 통해서 교육에 있어서의 생태학적 관점은 무엇이고 이것을 국어교육에 적용한 생태문해력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수행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국어 교과는 생태문해력 함양 에 어느 정도 비중을 두고 있는가? 둘째, 생태문해력 증진을 위한 국어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셋째, 생태문해력 함양을 위한 국어수업의 실제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문해력’은 ‘나’와 ‘나’를 둘러싼 환경과의 상호성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소통하려는 자세와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의미한다. 이를 국어교육에서 재정의 하면 단순히 ‘읽고 쓰는 능력’을 넘어 ‘인간이 언어를 통해 자신을 포함한 환경과 원활히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다. 그리고 ‘총체적 인식론’과 ‘관계적 세계관’으로 대변되는 ‘생태주의’의 관점에 따라 국어교육에서도 ‘총체성’과 ‘관계성’을 바탕으로 교육 주체들 간의 ‘상생’이 증진되어야 한다. 이러한 ‘생태문해력’이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국어 교과에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경험이나 타인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능력, 배려하는 마음 등 생태학적 교육 목표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 내용을 언급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학교 폭력과 같은 학생들의 인성 문제로 일어나는 여러 사건의 여파로 인하여 교육계 전반에서 가장 중시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반영된 것이지 인간-언어-환경의 ‘관계성’을 조명하고 이를 ‘총체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교육 목표와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또한 생태적 국어교육의 가치가 영역 통합과 더불어 사회ㆍ문화 전반의 모습을 담고 있는 지향성이라면 담화와 글의 수용과 생산 역시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수렴되어야 하는데, 지금의 교육과정에는 확산적 목표 제시에 그치고 있다. 그러므로 현행 교육과정의 목표는 생태적 국어교육의 가치를 부분적으로만 담고 있을 뿐 충분히 함축하고 있지 못하다. 다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의 개념 풀이에서도 인간과 환경 그리고 자연이라는 전체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언어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라는 도구를 통해 위와 같은 역량을 기르고 그러한 역량을 함양하면 결국 더 나은 자질을 갖춘, 그래서 자신이 속한 환경과 자연을 지배하는 인간으로의 환원이 핵심역량의 개념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위한 핵심역량이 아닌 지나치게 과학주의적이고 인간의 지적인 능력 향상을 위한 역량으로 치우쳐 여전히 인간 중심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상생 구현의 역량이 부족하다. 국어교과 분석에서는 생태문학이나 생태학적 성격을 지닌 제재가 교과서에 얼마나 실려있느냐 하는 비중의 문제는 연구자가 어떤 기준을 선택하여 분류하였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비중의 문제도 중요하나, 이미 실린 재제가 얼마나 다양한 생태학적 교육의 가치를 고루 반영하고 있으며, 학습활동에 있어서도 다양한 관점의 생태문제를 지적하고 있느냐가 문제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미래엔(윤여탁) 출판사의 중학교 교과서 1~6권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교과서에 실린 텍스트 중 생태적 관점의 성취기준에 의해 선택된 단원들을 추려보고, 이 텍스트의 학습활동 및 심화 과정에서 생태학적 가치를 얼마나 반영하여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국어 교과에서도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 중 관계성과 총체성을 고려한 생태적인 국어교육의 가치가 뚜렷하게 드러난 성취기준이 적고 이러한 성취기준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의 분량도 충분하지 않다. 또한 학습활동의 전개에서도 이해, 적용, 심화 활동의 내용이 ‘인간-언어-환경’의 복합적인 관계성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총체적인 체계현상을 소통할 줄 아는 힘을 기르기 위한 생태학적 가치를 반영하여 구성되지 않은 활동이 많았다. 둘째, 생태문해력 증진을 위한 국어교육의 방향은 문법, 문학, 평가의 영역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생태적 관점의 문법교육에서는 ‘언어, 인간, 환경’이라는 문법교육의 작동 요소들이 갖는 이러한 관계적 특성을 바탕으로 문법교육에서의 ‘통합’ 방향을 탐색해 볼 수 있다. 소통이 녹아 있는 실제적인 언어 자료, 즉 ‘텍스트’를 중심으로 주체인 학습자들의 언어 수행 활동의 관계를 고려하며 ‘언어’의 요소를 바라보아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와 교사가 협력적인 소통을 이끄는 주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학습자와 교사,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인간’의 요소를 바라보아야 한다. 또한 ‘환경’의 요소는 문법교육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사와 학습자’를 둘러싼 다양한 상황과 사회․문화적인 맥락이 존재함은 물론이고, 문법교육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중요하게 제시될 ‘텍스트’ 역시 다양한 상황과 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 존재하므로 인간이 언어를 통해 소통하는 모든 과정에서 긴밀하게 작용하는 ‘맥락’으로서 ‘환경’의 요소를 바라보아야 한다. 다음으로 생태적 관점의 문학교육은 소설과 고전문학, 시(생태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생태소설의 독자는 문학을 통해 본인이 위치한 현실의 문제에 대해서 다시 느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위상을 점검, 인식을 재고하는 방식으로 사고의 전환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생태소설 읽기를 통해 독자(학습자)는 인간과 자연의 생태학적 관계를 성찰하고 모색함으로써 생태계의 전일성, 즉 인간과 자연의 유대관계에 대해서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고전문학에 담겨 있는 생태의식을 현대의 학습자들에게 전달하고 내면화시킴으로써, 생태위기를 극복하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국인의 정신세계를 구축해 온 전통사상에 담긴 생태의식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된 고전문학을 통해 우리 민족의 자연관을 이해할 수 있고, 고전문학에 나타난 생태의식을 내면화함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생태중심적인 사고로의 전환을 도모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시에서는 학습자로 하여금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살피고 그러한 현상의 원인에 대해 탐구함으로 비판적인 안목을 키워주며, 그러한 비판적 고찰이 공존이라는 문제해결 전략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실천적인 대안이라는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생태적 접근으로의 국어과 평가는 국어 능력은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과정으로 탈맥락적인 상황 속에서 단일한 측정 도구만으로는 학습자의 문해력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생태적 관점으로 문해력을 평가해야 한다. 그래서 생태적 평가에서는 평가 장면이 교수-학습 장면과 구분되는 별도의 과정이 아니라 평가가 교수학습 과정이 된다. 또한 평가 과정은 국어과 교실뿐만 아니라 국어과 교실 밖의 국어 사용의 생태성을 그대로 반영해야 한다. 생태적 평가의 원리로는 ‘실제성, 통합성, 협력성’을 들 수 있다. 생태적 평가는 실제적 텍스트를 적극 활용하여 실제 언어사용이 상황과 맥락이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므로, 평가 또한 다양한 언어 상황과 맥락 속에서 시행해야 한다. 그리고 실제적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데 기여하는 국어 활동의 영역 통합에 대해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학습자, 학습자-교사가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고 학습자는 지식 구성자로서 평가 과정에도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평가가 되어야 한다. 셋째, 생태문해력 함양을 위한 국어수업의 실제에서 교수-학습 과정은 3차시로 구성하였다. 먼저 1차시에는 수필을 읽고 글쓴이가 말하고자 했던 생태적인 삶의 태도에 대해 접근하기 위해 읽는 중 활동을 통해 글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글쓴이의 체험과 유사한 나의 경험을 떠올려 작품의 의도에 접근하도록 한다. 2차시에는 일상에서 놓치기 쉬운 삶의 소중한 가치를 노래한 시를 통해 1차시에 글쓴이가 비판한 삶과 대조적인 삶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그리고 각자의 삶에 의미 있는 대상을 선택하고 그것이 나의 삶에 주는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3차시에는 교과서에 실리지 않은 다른 텍스트를 통해 생태적인 삶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접근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그리고 ‘삶의 속도’에 관한 글을 쓰고 자신의 생각을 발표해 보고 모둠원들의 생각을 종합해 봄으로 생태적인 삶을 위해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를 확립한다. 이 수업은 교수-학습과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으며, 학습자들은 이 수업을 통해 생태에세이와 상호텍스트성에 의한 시와 수필 그리고 실제적인 학습자 생성 텍스트로 ‘인간이 언어를 통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원활히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인 ‘생태문해력’을 함양할 수 있다.

      • 조선후기 책거리 그림의 색채특성 분석을 통한 색채 및 배색팔레트 구축에 관한 연구

        이미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he dictionary definition, the tradition is a mode of thought, custom, behavior and so on, or the mental value system which is an essence of them. They have been transmitted from the previous periods, after they were already completed in one group. E. Shils(1992) not only regarded it as a past heritage but also believed that it would currently function to maintain our society. Hence, the tradition is not a simple past product limited by time, but has permanence through a catalyst, the time. At present, traditional colors are examined in many directions and modernized by creating database of them. However, it is true that studies of them are still biased toward a certain area. While they are actively investigated in architecture and cloths, paintings are not studied appropriately. Without specific establishment of a traditional painting, all pictures painted are currently called 'folk paining', and most of studied are limited to understanding only properties of surfaces. For the tru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fundamental understandings of subjects are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raditional colors based on some understandings of the periods when the scholars' accoutrement was drawn, which was a primary material of the traditional painting. The scholars' accoutrement, a kind of traditional painting originated from the palace, which has been long succeeded without losing its iconography. It was extended into folk houses via men of noble family, new wealthy class and middle class. Through this process, compositions, forms, viewpoints and colors were changes. Not only formative changes but also modifications in appearance frequency of objects and their meanings were shown. On the basis of these changes, representative color and color combination palettes of the objects are attempted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each class. The process an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of theory examines some formative features varying according to a wide spread of the scholars' accoutrement. Second, after the digital imaging process for 50 pieces of the scholars' accoutrement, CIE a*b* and L*C* tone graph are used to analyze entire color distribution of the scholars' accoutrement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primary 24 shapes of objects. Third, the color palettes for 24 shapes of objects are divided into three kinds of scholars' accoutrement: palace, middle class and folk house. And each representative color and color combination palettes are suggested through color categorization. The palettes are suggested with specific color values by using NCS color wheel and triangle, and the color properties are analyses by considering social·cultural aspects. The findings show that scholars' accoutrements in the palace were mainly composed of bookshelf type, and then for men of noble family, decentralization type excluding bookshelf appeared. As it is extended into middle classes and folk houses, its composition was changed into that of integrated scholars' accoutrement in which shapes of objects are accumulated. While the bookshelf type to which the line perspective is applied showed realistic depth perception, the integrated type exhibits multi-perspective, and therefore, the viewpoints are varied depending on a composition. The early scholars' accoutrement composed a scene with only books, whereas, the objects were gradually changed into precious fruits and luxury pottery. As it is spread, the shapes of objects shifted from those enjoyed by high class to those easily seen, and especially they were replaced with vegetables and fruits having the meaning of fecundity and great happiness. In addition, even the same shapes of objects were differed in their forms and meanings. The meanings of scholars' accoutrements seemed to be extended into appreciation and invoking a Gibok (invoking a blessing) beyond its original purpose, enhancement of scholarship, via changes of classes and ages. The distribution of color features of the scholars' accoutrement is entirely centered on Dark grayish·Soft tone, a color of Y·YR series, sub-features by class are varied according to its classification. Different from the scholars' accoutrements in the palace, which were mainly composed of middle brightness and chroma providing calm and gentle images, for those in middle class or folk houses, some colors with low brightness and chroma of Neutral appeared in many objects, and combinations of colors with large differences in color, brightness and chroma were exhibited. While the objects appearing in the scholars' accoutrements in the palace were realistically expressed, forma and colors of those in the scholars' accoutrements in middle classes and folk houses were modified through repeated copying of paintings, which were not directed drawn while seeing them. This means that the dye used and color expressions were varied according to class or creators of the scholars' accoutrements, and furthermore, these differences may be originated from opportunity differences among the classes. It can be found that compositions, forms and colors in the scholars' accoutrements were changed in many directions and spread, depending on opportunity to contact with shapes of objects and capabilities of classes and artists. This means that the dye used and color expressions were varied according to class or creators of the scholars' accoutrements, and furthermore, these differences may be originated from opportunity differences among the classes. It can be found that compositions, forms and colors in the scholars' accoutrements were changed in many directions and spread, depending on opportunity to contact with shapes of objects and capabilities of classes and artists. 전통이란 한 집단 내에서 지난 시기에 이미 이루어져 계통을 이루며 전하여 내려오는 사상·관습·행동 등의 양식이나 그것의 핵심을 이루는 정신적 가치 체계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에드워드 쉴즈(E. Shils, 1992)는 전통을 단지 과거의 유산만일 뿐 아니라 현재에도 기능을 하며 사회가 유지하는데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전통은 단순히 그 시대에 한정된 과거의 소산(所産)이 아닌, 시간이라는 촉매제를 통해 영속성을 가진다. 현재 다방면에서 전통색을 연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현대화하려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전통색의 연구가 어느 한 영역으로 치우쳐져 진행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건축, 의복에 관한 전통색 연구가 활발한 반면 전통색채의 기저를 보여줄 수 있는 회화작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현재 전통채색화의 정확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채색된 모든 그림을‘민화’라고 칭하고 있는 실정이며, 대부분의 연구가 대상의 표면적 특성만을 파악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진정한 전통 계승을 위해서는 연구 대상에 대한 근본적 이해가 전제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전통채색화의 주요 소재였던 책거리 그림을 대상으로, 그림이 그려진 시대의 이해가 바탕이 된 전통색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책거리 그림은 궁중으로부터 시작된 전통채색화의 한 종류로 오랜 기간 그 도상을 잃지 않고 계승된 그림이다. 책거리 그림은 궁중을 거쳐 사대부, 신흥 부유층 및 중인층을 거쳐 민가로 확대 되었는데, 이 과정을 거치며 구도 및 형태와 시점 그리고 색채가 변화한다. 조형적 변화뿐만 아니라 요소의 등장 빈도, 그 의미의 변화까지 나타나는데,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수용층별 등장 요소의 대표 색채 및 배색팔레트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론연구를 통해 책거리 그림의 저변화 과정과 이에 따라 변하는 조형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 책거리 그림 50작품을 대상으로 디지털 이미지화 작업을 거친 후, CIE a*b* 그래프와 L*C* tone그래프를 활용해 책거리 그림의 전반적 색채분포와 주요 물상 요소 24개의 색채정보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 24개 물상에 대한 색상팔레트들을 수용층에 따라 궁중 책거리, 중인 책거리, 민가 책거리 세 가지로 분류하고, 색채 범주화 과정을 거쳐 각 분류별 대표 색채 및 배색팔레트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팔레트는 NCS 색상환과 색 삼각형을 이용해 구체적인 색채 값과 함께 제시하고, 그 색채 특성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궁중 책거리에서는 책가가 포함된 책가형이 주를 이루다가 사대부 계층으로 넘어가며 책가가 사라진 분산형이 나타나며, 중인과 민가로 확대될수록 작아진 화폭으로 인해 물상들을 서로 쌓아올린 집적형의 책거리로 그 구도가 변하고 있었다. 책가형에서는 선 투시도법이 적용되어 사실적 원근감을 보였지만 집적형 책거리에서는 다시점이 나타나며 구도에 따라 시점의 변화도 함께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등장 요소 또한 초기 책거리 그림이 책가와 책만으로 화면을 구성한 것과 달리 점점 진귀한 과일과 고급스러운 중국의 도자들이 주가 되기 시작하였고, 단계를 거쳐 저변화 될수록 상류층에서 향유하던 물상들에서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상들로 바뀌어 가는데, 특히 다자다복(多子多福)의 의미를 가지는 채소과 과일들로 대체되고 있었다. 또한 같은 물상이라도 그 형태나 의미를 다르게 표현하기도 하였다. 책거리 그림은 시대와 수용층의 변화를 거치며 학문의 증진이라는 본래의 취지를 넘어 물상의 완상 그리고 기복의 의미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을 보인다. 책거리 그림의 전반적 색채특성은 Y·YR계열 색상의 Dark grayish·Soft tone에 주로 분포하는데, 수용층별로 보이는 세부 특성은 그 분류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차분하고 진중한 이미지를 주는 중명도 중채도의 색상들이 주를 이루는 궁중의 책거리와 달리 중인과 민가의 책거리 그림에는 먹으로 추정되는 Neutral의 저명도 저채도의 색상들이 많은 요소에 등장하였으며, 색상의 차 또는 명도와 채도의 차가 큰 배색이 나타났다. 궁중 책거리에 등장하는 요소들이 그 형태와 색채가 사실적으로 표현된 반면 중인과 민가의 책거리 속 요소들은 실물을 보고 그린 것이 아닌 그림의 모사를 여러 번 거치며 형태와 색이 변형되고 있었다. 이는 책거리 그림의 수용층 및 제작층에 따라 사용한 염료가 다르거나 색채표현이 달랐음을 의미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차이를 만든 것은 계층에 따른 기회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후기 책거리 그림은 수용층 및 제작층의 능력과 물상을 접할 기회에 따라 구도 및 형태, 색채가 다각도로 변형되며 저변화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화성원행을묘정리의궤 반차도 연구

        이미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선시대의 궁중 기록 유물은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고도로 치밀하고 독자적이며 객관적인 기록들을 수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당수의 도서들과 반차도가 전해지는데 의궤에 수록된 것들이 대다수다. 의궤로 남겨진 궁중기록화들은 왕실의 장례, 결혼, 잔치, 제사, 건축, 어진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그 기술내용이 상세하고, 정확하여 문화적 가치와 더불어 학술적 가치가 있다. 그러나 궁중의 기록화는 그동안 여러 문헌들에 수록된 부록 형식으로 인식되어온 탓에 회화로써의 가치와 기려(奇麗)함을 인정받지 못했다. 또한, 기록화에 대한 회화적 연구가 서지학적 연구나, 복식사 연구, 궁중음식연구, 건축학적 연구 등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의 내용을 회화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궁중기록화의 종류와 특징, 구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첫째로, 어진(御眞)에 대해 고찰하였다. 국왕의 초상화인 어진에 대한 내용은 조선시대 중심으로 서술하며, 어진의 정의와 제작방법, 그리고 형식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진은 국왕의 초상화를 일컫는 말로 조선시대에는 태조부터 순종에 이르기까지 상당수의 수준 높은 작품을 제작했다. 어진제작의 목적은 첫째, 영면하신 조상을 추모하며 사후 평안을 기리는 것과 둘째, 어진을 진전에 모시고 제를 올리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왕실의 권력을 강화시키는 정치적인 목적이다. 이 때문에 도화서의 화원중 가장 능력이 뛰어난 화원들을 시재를 거쳐 선발하고 이를 어용화사라고 명명한 뒤 어진을 제작하게 했는데, 제작 시 가장 중점을 두었던 부분은 바로 전신사조를 어진에 담아내는 것 이었다. Ⅱ장에서는 의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의궤란 문자기록과 현장 그림이 합쳐진 보고서 형식의 기록으로 조선의 독자적인 기록문화이다. 이 기록문화에 표현된 회화의 정밀도와 아름다움을 통해 의궤 편찬의 목적과 의궤의 특징, 의궤의 종류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현존하고 있는 의궤류 중 회화적으로 표현된 부분을 중점적으로 들여다보았고, 의궤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고증하였다. 그 결과 의궤의 종류로는 왕실의 잔치를 그린 연향 반차도(宴享 班次圖), 결혼식에 대한 세세한 정보를 남긴 가례 반차도(嘉禮 班次圖), 국장을 당했을 때의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국장 반차도(國葬 班次圖)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 궁중기록화의 한 분류로 볼 수 있는 궁궐도(宮闕圖)에 대해서는 현존하고 있는 의궤 등과 규모나 내용면에서 예술적 위용을 자랑하는 동궐도와 서궐도안을 통해 왕실 기록화로서의 기능과 회화적인 측면에서그 우수성이 나타나고 있다. 제 Ⅲ장에서는 본 연구자가 가장 중점을 두고 화성원행정리의궤반차도 (園幸乙卯整理儀軌班次圖)의 구성 및 제작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화성원행정리의궤에 수록된 반차도는 18세기 이전의 반차도들과 비교하여 시점의 변화 및, 해학적 표현 등 획기적으로 괄목할만한 발전과 변화가 있었고, 특히 여러 의궤들과 비교했을 때, 두드러지는 화성원행을묘정리의궤 반차도만의 독자적인 구성과 회화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반차도의 현대적인 회화로의 적용에 관한 연구를 본인의 작품과 관련하여 비교, 분석하며 반차도의 현대적 변용에 적합한 것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내용을 종합하면 반차도는 기록적 측면의 가치와 더불어 독자적인 회화로써의 가치와 중요성이 있으며, 이는 회화사적 연구가 이뤄져야 함과 동시에 현대한국화에 새롭게 적용하여 전통의 계승과 더불어 현대적인 변모를 꾀할 수 있는 중요한 회화적 사료라고 생각한다.

      • 한 · 일 食에 관한 의성어 · 의태어 고찰 : 『ラ一メン發見傳』과 그 번역본을 중심으로

        이미연 啓明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have been better developed in Japanese language than in other languages and their types and usage have been particularly varied. In this regard, it would be natural that those who learn Japanese as foreigners had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using Japanese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help one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especially in terms of eating shown in the two said languages, in which their development has been more prominent than other languages around the world. The study could figure out the following elements through the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as to eating shown in the cartoon ‘Ramen Hakkenden’ and its Korean translated book. First, in terms of the Japanese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concerning eating, their total and individual number amounted to 427 and 65, respectively, while speaking of the Korean counterparts, their total and individual number reached 402 and 91, respectively. With regards to the words given in a dictionary among individual words, there were 60 Japanese and 87 Korean words; as a result, it has been noted that the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as to eating had higher rate of being listed in a dictionary than others. Second, speaking of the features of form, it has been shown that 73.85% of Japanese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were four-beat words. Among the four-beat words, the repetitive pattern (XYXY Type) was the highest in its number by 29 among 65 individual words and it was followed by XtYr Type whose number was 14. Concerning the responding expressions in Korean, the study divided onomatopoeias & mimetic words into non-onomatopoeias & non-mimetic ones. The former was largely made up of repetitive patterns as shown in Japanese and 25 were classified as repetitive ones out of 35 Korean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In terms of parts of speech of non-onomatopoeias and non-mimetic words, 40.66% were occupied by adjectives, which were the largest portion. Third, regarding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one-to-one correspondence amounted to 12%, the ordinary-idiom correspondence 77%, the explanatory correspondence 5% and the omission 6%. There were quite a lot of cases where some of Japanese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were left out or mistranslated due to the difficulty in finding the corresponding Korean words. Fourth, the study categorized the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concerning eating as a sense of taste and of eating. In case of Japanese, the expression of taste was 10%, that of a sense of eating was 67% and 23% were others, whereas they were 16%, 53% and 31% in Korean, respectively. It has been apparent in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that Korean had many expressions of a sense of taste, while Japanese had many expressions of a sense of eating. Lastly,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in learning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as to eat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ir list for advanced Japanese learners and translators.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Japanese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as to eating have been translated into diverse Korean words with similar meaning. Even the same onomatopoeias and mimetic Japanese words could be translated into different Korean words depending on the subjects represented.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es on how the same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could be translated according to the subjects and what differences they could have. Furthermore, by using the list of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as to eating suggested he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methods of learning them effectively. Meanwhile, the study on what educational effects the said methods will have is left for future assignment. 일본어는 다른 언어보다도 의성어·의태어가 발달한 언어로 그 종류와 쓰임새가 아주 다양하다. 그러므로 외국어로써 일본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일본어의 의성어·의태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세계의 다른 언어보다 의성어·의태어가 발달했다고 할 수 있는 한일 양국의 食에 관한 의성어·의태어를 『ラーメン発見伝』과 그 번역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의 의성어·의태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다. 만화 『ラーメン発見伝』과 그 번역본에 나오는 食에 관한 의성어·의태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일본어의 食에 관한 의성어·의태어는 전체어수 427개, 개별어수 65개이고 한국어는 전체어수 402개, 개별어수 91개이다. 개별어 중 사전에 실린 것은 일본어가 60개, 한국어가 87개로 다른 의성어·의태어에 비해 食에 관한 의성어·의태어는 사전에 실린 비율이 높음을 알았다. 둘째, 형태적 특징에서 일본어 의성어·의태어는 4박어가 73.85%로 가장 많았다. 4박어 중에서도 반복형인 XYXY형이 개별어수 65개 중 29개로 가장 많았고 두 번째로 많은 것은 XtYr형으로 14개였다. 한국어 대응표현은 의성어·의태어와 비의성어·비의태어로 구분하였는데 의성어·의태어는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반복형이 많았는데 35개의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중 25개가 반복형이었다. 품사별로 나눈 비의성어·비의태어에서는 형용사가 40.6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셋째,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응 관계에서는 일대일 대응이 12%, 일반어 대응은 77%, 설명식 대응 5%, 생략 6%로 나타났다. 일본어의 의성어·의태어에 대응되는 적절한 한국어를 찾지 못해 생략하거나 오역한 수가 적지 않다. 넷째, 食에 관한 의성어·의태어를 미각과 식감으로 구분하여 보았는데, 일본어의 경우는 미각표현이 10%, 식감표현이 67%, 기타 23%이고 한국어는 미각표현 16%, 식감표현 53%, 기타 31%로 나타났다. 한국어에는 미각표현이, 일본어에는 식감표현이 많다고 하는 것이 의성어·의태어에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食에 관한 의성어·의태어를 학습하는데 곤란한 점이 많으므로 고급 수준의 일본어 학습자와 번역자를 위해 食에 관한 의성어·의태어 목록을 제안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일본어의 食에 관한 의성어·의태어가 한국어로 번역될 때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다양한 단어로 표현됨을 알 수 있었다. 같은 의성어·의태어라도 나타내는 대상에 따라 한국어로 다르게 번역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같은 의성어·의태어가 대상에 따라서 어떻게 번역되며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 본고에서 제안한 食에 관한 의성어·의태어 목록을 활용하여 의성어·의태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실제로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 만 12세 초등학생 딸과 어머니의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 예방접종의 영향요인

        이미연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a daughter's HPV vaccination among her 12-year-old daughters with her mother. Method: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64 daughters of hpv unvaccinated and mothers in GangWon Wonju.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19.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4.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χ²-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a daughter's HPV vaccination among her 12-year-old daughters with her mother. Method: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64 daughters of HPV unvaccinated and mothers in GangWon Wonju.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19.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4.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χ²-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 First, The intention of HPV vaccination is as follows. In case of daughter, a group that had the intentions of HPV vaccination is 57.8%, another group that did not have the intentions of HPV vaccination is 42.2%. In case of mother, a group that had the intentions of HPV vaccination is 62.5%, another group that did not have the intentions of HPV vaccination is 37.5%. Second, The total cervical cancer knowledge score of daughter and mother subjec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otal cervical cancer knowledge score of mother subjects than that of daughter subjects(t=-4.005, p=.000). The subreg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cervical cancer(t=-3.114, p=.003) and knowledge of HPV vaccination(t=-6.177, p=.000), but knowledge of HPV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t=-. 846, p=.401). HPV vaccination health belief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benefits(t=-2.393, p=.020) of subareas, but perceived sensitivity(t=-.158, p=.875), perceived severity(t=-.168, p=.867) and perceived disability(t=.258, p=.797)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n order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s of HPV vaccination of daughter subjects,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in the intentions of HPV vaccination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group that did not have the intentions of HPV vaccination and a group that had the intentions of HPV vaccination. In case of mother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χ²=4.796, p =.029), occupation(χ²=7.179, p=.007), HPV vaccination status(χ²=4.574, p=.032), HPV vaccination awareness(χ²=8.195, p=.004), HPV national vaccination program awareness(χ²=4.638, p=.031), cervical cancer knowledge(t=-3.971, p=.000), and perceived disability(t=-3.868), p=.000) among the unvaccinated groups. Fourth, in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daughter and mother’s HPV vaccination inten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e of daughter subjects between the group without intention to vaccinate and those with intention to vaccinate. In the case of mothe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ervical cancer knowledge and perceived disability between the group without intention to vaccinate and those with intention to vaccinate.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HPV vaccination rate, an educational programs will be needed to provide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 variety of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the perceived disability of HPV vaccination health beliefs.

      • 성장 모티프를 활용한 성장시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이미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학 작품 속에는 그 작품을 쓴 사람의 생각과 더불어 일반적인 사람들의 가치관이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글을 쓴 시대의 시대상이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문학 작품은 우리의 언어로 쓰여 있어서 작가들의 다양한 사상과 문화적 요소를 충분히 담고 있는 언어적 교재이다. 따라서 문학 작품을 통한 언어 수업은 언어 학습과 문화 학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으며 이들의 상호 작용으로 학습 효과는 더욱 뛰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언어를 배우며 해당국의 문화와 사고를 이해할 수 있는 매개체로 문학작품을 활용할 수 있으며, 문학 작품은 수업 시간에 활용할 만한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문학의 여러 장르 중에서도 시는 문장이 간결하면서 운율과 리듬이 풍부한 언어로서 강렬한 감정과 풍부한 예술적 형상을 사용하여, 고도로 집중적으로 사회생활을 반영하는 문학 체제이다. 시는 길이가 짧아서 교실에서 활용하기 좋고, 양적 부담이 적기 때문에 쉬운 시는 저학년 학습자에게서부터 교육이 가능하다. 이는 간결하고, 운율적이며,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아름다운 시적 언어로 표현되어 학습자의 정서 함양과 감수성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가 짧고 학습자가 이해 가능한 상징들로 이루어진 시는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학습할 수 있다. 시를 배운다는 것은 말하고 듣고 쓰고 읽는 활동이 기본이 되어 교사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의미하는 것이겠지만, 지금까지 시를 경험하게 되는 교실 현장에서는 아직도 교사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져 일방적인 교사의 발화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점에 학습자를 고려한 교육과정에 반성적인 의식을 가지고, 교수가 아닌 교수․학습의 강조와 함께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위치와 역할을 크게 확대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 실현을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전의 교육과정 및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강조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을 고려할 때 학습자의 참여 여지가 크고 학습동기가 높은 성장시의 학습만큼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르는 없을 것이다. 물론 주 4~5회의 국어교과 수업 중, 낮은 빈도 속에 성장시를 접하는 것과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의 영향으로 시 수업이 그 목표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이지만, 성장시 작품을 읽음으로써 우리나라의 역사나 문화에 대해서도 알 수 있고 시 작품 속에서의 화자의 생각과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고는, 학습자의 내면적 성장에 도움이 되는 작품들이 교실현장에서 중요한 가치성으로 활용되어야 하다는 전제 하에, 학습자의 내면적 성장을 위한 시 장르를 성장시로 규정하고, 그러한 작품들의 유형과 문학교육적 의미를 논하였다. 성장 결과로서의 성장시와 성장 과정으로서의 성장시로 두 가지의 유형이 있다고 보았으며 그것으로 성장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성장시는 유대감이 미흡하게 형성된 미성숙한 자아로 출발하여 헤아릴 만큼 성숙하지 못한 철없는 상태의 불안한 내면을 젊음과 고뇌를 통해 각성하고 깨달으며 내면적 성장을 경험하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즉 미성숙한 자아가 성숙과 각성의 순간을 느끼며 그것을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 성장시이다. 성장시는 무엇보다도 성장기를 거치고 있는 학습자와 심리적으로 비슷한 내면을 보여주고 있는 대상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성장시 안에서의 대상은 거울처럼 학습자의 내면을 투영하기 때문에 학습자는 성장시에 나오는 대상에 자신을 빗대어 형상화 해 볼 수 있고 그 대상의 심리를 학습자 자신의 것으로 심리적 공감을 하게 된다. 이러한 성장시는 문학교육 과정에서 시를 이해하는 데에 어려워하고 두려워하는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성장시를 통한 학습자의 내면적 성장에 중요한 가치성을 부여하는 효과적인 작품군이라 하겠다. Literary works are verbal teaching materials that carry enough various thought of writers and cultural elements because those written by our language, language study by literary works has it both ways that language and culture learning, and learning effectiveness could more surpass by their interaction. Poem among many literary genres is a literary system, its sentence is concise, is a language that has abundant beat and rhythm, uses strong feeling and artistic shape, is expressed a beautiful poetical language that has a symbolic meaning, and could help a learner's emotion cultivation and sensibility 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poem genre, that is a initiation Poem, for a learner's internal grown-up that immature ego feels a moment of maturity and awakening and forms it, on the assumption that works of help to a learner's internal grown-up have to be used a important value in classroom, the field. Because characteristic of the initiation poem has a object that shows similar inside with a learner who has been a growth period psychologically, this study considers initiation poem as growth result and process on type of works, and discusses literary-educational meaning on the initiation poem. For the object in a initiation poem projects a learner's inside like mirror, it can give to help sparking off a learner's interest who have scruples and fears about understanding a poem, it is a effective group of works that gives a important value to a learner's internal grown-up by a initiation po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