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 실외놀이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이명덕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아교육기관인 유치원(92.4%)은 자체적인 실외놀이공간을 대부분이 갖추고 있었고, 이는 선행연구 김수경(2000), 황양선(2003)의 연구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어린이집에서(73.2%)는 자체적인 실외놀이공간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외놀이 공간이 없는 경우에라도 인근 공원이나 지역 놀이터를 이용하여 활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치원에 비해 어린집의 실외놀이 시설이 부족함을 보이고 있으며 이 에 따른 실외놀이 시설에 투자가 확대되어야 하겠다. 실외놀이 기구에 대한 안전점검은 유치원 71.4 % 어린이집 67.7%로 실시하고 있으나,유치원에서는 관리자(45.9%)가 어린이집에서는 교사(67.4%)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놀이 운영 실태에서 실외놀이시 교사대 유아 수는 유치원의 교사 1인당 유아의 수는 16~20명이 49.6%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어린이집의 경우 교사 1인당 유아의 수는 16~20명이 30.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외놀이 운영에 있어서의 어려움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모두 안전문제(74.4%)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는데 이는 김수경(2000), 황양선(200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이러한 어려운 점은 기관과 지역에 상관없이 공통적인 문제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대한 실외놀이 활성화를 위한 해결책으로는 안전점검에 대한 보완을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이다. 안전에 대한 관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실외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유치원은 중요하다(59.7%), 어린이집은 매우중요하다(52.0%)로 실외놀이에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현장에서는 유치원 주 3회 31.1%, 어린이집은 주 5회 33.9%로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실외놀이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에는 유아의 신체발달을 돕는다로 유치원과 어린이집 동일하게 높게 나타났다. 실외놀이를 통한 교사의 인식에서는 선행 연구 김수경(2000), 노인숙(2001), 황양선(200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실외놀이는 중요하다는 경향이 높은데 이는 실외놀이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놀이 영역구성이나 놀이활동의 종류에 따라 더 다양하고 폭넓은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교사들이 이를 염두해 두고 인식만 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실외놀이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들이 충분히 실외놀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외놀이가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실내에서의 활동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매일 매일의 활동속에 실외놀이가 포함되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실외놀이가 교육과정의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고 실제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아들의 흥미와 연령에 적합하면서도 안전한 놀이시설을 구비하고, 다양한 놀이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실외놀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실외놀이를 위한 다양한 활동지침이 개발되어져야 하며, 원장, 교사, 부모의 실외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유아교육기관에 종사하는 교원을 대상으로 실외놀이시설 안전점검과 관련된 훈련프로그램도 개발 되어야 함과 동시에 유아 및 교사들이 안전사고의 위험에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draw a comparison with types of earlychildhood institutions in ulsan city. How children's outdoor play management and teacher's cognitions was different, and to offer a basic study revitalize children's outdoor play management in the children's institutions. Research sampled kindergarten teacher 119(48.4%), and daycare center teacher 127(51.6%), total 24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lives in ulsan city. The quesationnaire method was used. survey period was from 2008 september 10 to october 15 2008. The result was analyzed with SPSS 12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were that we have outdoor space was 110(92.4%)kindergarten, and 93(73.2%)daycare center. both earlychildhood institutions had outdoor play implements, that was a slide>water play place>sand playground. About securiety check to institu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stinction between two institutions. but the question people who did securiety check was administrater in kindergarten, but teacher did in daycare center. Ratio of the teacher per children was 16-20 children at kindergarten 49.6%, 30.9% at daycare center. Frequency of the outdoor play per a week was 3 time per a week at kindergarten, but 5 time per a week at daycare center. Outdoor play activity time within 30-45 minuites per 1 session was 75.6%> within 30 minuites 12.6%> at kindergarten, but within 30-45 minuites 63.0%> within 60-90 minuites 19.7%> at daycare. Answer that a prefer time length for good outdoor play was anytime for children to play 50.4%> afternoon time 38.7%> ante meridiem(morning)5.9% at kindergarten, but daycare teacher an- swered that anytime for children to play 47.2%> afternoon 25.2%> ante meridi- em(morning)18.1%. How did teachers think about amount of outdoor play was common 52.9%>insufficiency 23.5%> sufficient 18.5% for kindergarten teachers, but sufficient 39.4%>common 35.4%> insufficiency 15.7 for daycare center. The method of teaching outdoor play was depends on children's choice 47.1%>both children's choice and a teaching plan 44.5%> in kindergarten, but depend on children's choice 41.7%>both children's choice and a teaching plan 36.2%> in daycare. Teacher's cognitions about outdoor play of the children between two institutions were thease: Appropriate outdoor play time per one session was 45-sixty minuites >within 45minuite>with sixty minuites> at kindergarten, also the same daycare center. How teacher thought the amount of outdoor play was common 52.9%>shortage23.5%>sufficient 18.5% in the kindergarten, but sufficient 39.4%>common 35.4%>insufficient 15.7% in daycare. Thi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two institutions. The reason did not thought sufficient outdoor play amount was limits of activity contents 47.1%>insufficient facility 26.5%> in the kindergarten, But limits of activity contents 43.8%>insufficient facility 24.2%> in the daycare center. Difficulty to management outdoor pla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problem was securiety check 73.1%>insufficient facility 11.8 differences between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and teacher in kindergarten 6.7%. Thease results were similar to daycare center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and teacher. Cognitions of outdoor play of the children between two institutions were important 59.7%>very important 37.8%>common 2.5% in kindergarten, but very important 53.0%>important 46.5%>common 1.6% in daycare center, So daycare teacher recognized outdoor play would very important than kindergarten teacher recognized. Outdoor play effect to children was important 55.5%>very important 37.8%>common 6.7% in kindergarten, but very important 49.6%> important 45.7%>common 4.7% in daycare. cognition of educational value for outdoor play was it had educational effects for sense experience and nature experience 52.2%>indoor interest domain expen and supplying to outdoor place 48.4%>facilitate various social relations than indoor play 48.3%>help children's body development 46.8% in kindergarten teacher, But daycare teacher answered outdoor play give a rest and emotional fun and joy 53.5%>help children's body development 53.2%>facilitate various social relations than indoor play 51.7%>have educational effects for sense of experience and nature experience 51.7% in daycare center. A method to activating outdoor play was thease: Various outdoor play program management 46.2%>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teacher, parent's cognition were importance to activating outdoor play 24.4%>wills and efforts of the both principal of a kindergarten and teacher 20.2%, but in daycare teacher various outdoor play program management 38.6%>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both teacher and parent's cognition of importance outdoor play 22.0%>will and effort of both principal of a kindergarten and teacher 19.7%, and financial support to outdoor facility 16.5% in daycare center. So throughout this study it was conclusioned that financial support to outdoor facility was the more important items in daycare than kindergarten. Finally, teacher answered that outdoor play which children's liking was a slide>big muscular movement>swing>the sand at the kindergarten. but in daycare, a slide, the sand>playhouse>a swing. Teacher recommened activity for children's outdoor play were a compound play equipment, playhouse, woodworking play, sand play, mould play for kindergarten teacher. but daycare teacher answered that a compound play equipment, mould play, animal farm, woodworking play, playhouse.

      • 『종군위안부』에 나타난 역사적 기억의 ‘소거’로서의 글쓰기

        이명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Nora Okja Keller's Comfort Woman is a novel that deals provocatively with the problem of comfort women conscripted for the Japanese war project, whose purpose was to comfort the sexual desire of the Japanese soldiers. Keller's narrative about the transformations of Soon-Hyo/Akiko41/Mrs. Bradley does not merely record her psychological trauma, but also tries to exorcise the collective memory of those women who were sacrificed for the male-oriented war ideology. Keller's writing about the life of a comfort woman "interpellated" as Akiko 41 engages in a war against the oppression of female voices, just like those of Akiko 41, whose strategy of survival in the military camps is to keep silent. Akiko's psychological trauma is still present even after she gets married to a missionary, who reinforces, or at least functions as a reminder of, her experience as a comfort woman. Akiko's survival strategy is to become a shaman, by identifying herself with Induk, her predecessor, Akiko 40, who was killed by the Japanese soldiers, and whose body was penetrated by a pole, a phallic symbol. By adopting shamanism, she lives up against his husband's Christian doctrines. Her transformations of identity by adopting the names all given by the patriarchal authority avoids being "interpellated" as a solid subject. As a shaman, she embraces and "comforts" all the dead souls of those women whom she encounters in her life. Her exorcism of what her husband regulates as a sin is another survival strategy. As an obituary writer, her daughter, Beccah, the name her mother herself has chosen, means "a white lily" as well as Rebeccah with its Christian meaning. When she listens to the tape that her mother has recorded before, she realizes her mother's stories full of traumatic experience. Beccah's writing an obituary of her own mother is a narrative strategy that functions as a thrust into the patriarchal prevalence of the text over the voice, owing to her recorded tape. Keller's Comfort Woman is a kind of unwritten history about a female who experiences a traumatic life and who lives up with its excoriating scar. She seems to pass on the duty to write more stories about those comfort women who are still living in our boundary. 본 논문의 제목인『종군위안부』에 나타난 역사적 기억의 ‘소거’로서의 글쓰기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 노라 옥자 켈러(Nora Okja Keller)의 소설인『종군위안부』를 바탕으로 아픈 우리의 과거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고 그 과거 속에서 버려지고 상처 받은 타자의 이야기를 소설의 형식으로 재구성하였다. 살아가기 위한 선택으로써 지나온 트라우마의 시간을 숨기고 생각조차 하고 싶지 않은 고통의 시간을 어깨위에 짊어지고 한평생을 살아온 종군위안부의 생활을 다루고 있으며 현재도 국가 간의 문제로 남아있음을 생각하게 만든다.『종군위안부』라는 이 책은 위안부의 삶을 살아온 아키코의 인생을 묘사하고 고통을 간직한 채 세상을 살다가 떠나게 된 여인의 운명적 삶을 모녀 관계의 시선을 통하여 그려져 있다. 고통의 희생자였던 종군위안부의 목소리와 그리고 그녀들만의 정체성의 표현방식과 그들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을 살펴본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두 가지의 방향성을 두고 이 작품이 지니고 있는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해보기로 한다. 첫 번째는 고통-정신적, 육체적-의 세월이다. 아픔의 시간을 다시금 생각나게 하면서 경험했던 트라우마의 기억에 대한 자기의 존재를 느끼고 생각한다. 고통스런 과거의 정체성 때문에 현실에서는 풀어 나가기 힘든 삶의 연결이 보인다. 탈출구의 역할을 ‘무당’이라는 형태로 표현하게 되며 현재의 삶과 정체성에서 과거에는 인식되지 않았던 자신의 구체적인 삶의 방식으로 표현한다. 아키코의 고통의 ‘소거’의 방식과 베카의 ‘소거’의 방식이 교차되면서 서로의 공통된 부분을 보여주게 된다. 그것은 샤머니즘을 통한 두 모녀의 ‘소거’의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역사적 특수성에서 문학적 자료가 된 종군위안부의 삶을 재조명하고 기억하고 싶지 않은 상처지만 현재도 담론화 되고 있으며 그해결책이 없다는 것에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고 종군위안부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더 생각해 보고자 한다. 두 번째는 모녀간의 사랑의 이야기이다. 아키코의 어린 딸 베카가 성장하면서 엄마의 모습을 보게 되고 그 당시 이해 할 수 없는 샤머니즘의 세계와 언어들을 엄마의 죽음을 통하여 하나씩 풀어 나가게 된다. 엄마의 목소리를 통하여 베카는 위안부의 삶을 살아온 엄마의 고통을 이해하게 되고 그러한 삶이 엄마가 살아온 유일한 방법이었음을 알게 된다. 위안부의 삶을 다룬 소설로 여러 가지의 상징물-강, 피, 꽃-이 표현되고 있다. 샤먼의 세계 속에서 살아온 엄마의 모습을 다시 상상 해보며 엄마가 느꼈을 고통과 상실의 시간을 베카만의 독특한 사랑의 표현으로 극복하는 것을 보여준다. 엄마의 지나온 시간을 피할 수 없는 생존의 시간으로 이해하고 사랑이란 의미로 아픔의 시간을 다시 바라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모녀간의 엇갈린 생각 이었지만 남겨진 유품을 통하여 용서와 화해의 메시지가 전달되고 새로운 진실의 세계가 열리는 것을 보는 것이다. 아키코와 베카가 서로를 이해하는 방식은 달랐지만 ‘소거’의 방법이 바라보는 시선은 서로간의 사랑을 확인할 수 있는 공통점이 보이는 소설이었다. 이와 같이 이글에서는 두 가지 관계를 포함하고 있는 역사의 희생자였던 ‘종군위안부’를 통해서 살펴보고자한다.

      • 철 지난 일상 : 낯설음의 시학

        이명덕 한신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일상 속에 매몰된 '나'가 아니라 '또 다른 나'의 내면을 형상화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나는 시란 특별한 이야기가 아니라 자기 삶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라 믿고 있다. 언어적인 기교가 아니라 무기교의 시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일상 속에 내재하는 마음을 끌어들이는 순간의 포커스 맞추기를 좋아한다. 그것은 인간 생활의 담화를 엮어내는 문제를 다루고 싶은 까닭이다. 작품집 앞부분의 [연]의 연작은 그러한 고민 속에서 나온 시편들이다. 일상의 끈을 끊고 날아오르다가도 항상 현실의 벽을 뛰어넘지 못하고 다시 일상에 갇히고 마는 내 한계에 대해 질문을 던져보고 싶었다. 가장 현실적인 감각으로 시에 접근해야만 살아있는 시적 창조력을 가질 수 있다고 믿는 까닭이다. 낯설게 하기의 시적 전략이 일상적인 모든 대상을 '배반'함으로써 시작된다고 했을 때, 내 배반의 방식은 일견 이음매가 눈에 띄지 않게 마름질된 일상의 삶이란 옷에서 솔기 터진 부분을 찾아 상이한 담론 세계로 옮아가는 것이다. '또 다른 나' 에게 일상은' 손질 못하고 넣어둔 장롱 속'옷과 같다. 그리하여 시간은 '주름지고 좀조차 슬려하는데' 또 다른 나' 는 이러한 변화를 예민하게 느끼고' 물 뿌려 꼿꼿하게 다림질 '하지만' 한번 구겨진 일상이 쉽게 펴지지' 않음을 안다. 이처럼 일견 탄탄하게 보이며 완강하게 저항하는 인습적 담론의 틈새를 비집고 들어가 새로운 담론 세계를 열어 주는 것이 시 쓰기의 본령이다. 사물을 늘 새롭고 깊게 보기 위해서 사물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자기 탐색을 시도해가는 과정이야말로 나 자신의 영원한 과제가 될 것이다. 시란 무엇인가? 시란 사물과의 새로운 만남을 노래하는 것이다. 사물이 우리에게 속삭여주는 이야기를 그대로 받아서 글로 적은 것이 시인 것이다. 시를 쓰는데 있어 기본이 되는 것은 상상력이며 상상력을 통해 사물과 세계를 새롭게 바라보는 것이다. 한 시인이 개성적인 자기 세계를 구축하기 위해선 일차 언어로부터 해방된 새로운 언어를 가지고 세상을 새롭게 보아야 하며, 무엇을 대상으로 할 것인가 보다는 어떻게 그 대상을 바라볼 것인가를 문제 삼는 게 창조의 중요한 요건이 된다. 그러므로 내게 있어 시 쓰기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를 어떻게 변형시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일이다. 시인에게 있어 왜 쓰는가의 문제는 바로 시인 자신의 실존적 요구에서이다. 한순간 엄청나게 달라진 자아를 발견하고 자기 존재를 연민하기 시작하면서 시 쓰기의 운명은 시작된다. 시인의 시적 창작의 계기는 이 세상에 대해 낯설음과 동시에 고향상실감을 느끼는 순간이다. 하이데거식으로 '던져진 존재'로서 엉덩이 먼지를 털면서 느끼는 느낌. 고향을 두고 홀로 내팽개쳐 있다는 느낌에서부터 시 쓰기는 시작된다. 이 낯설음의 감각은 기존의 모든 친숙한 관계들을 당연히 의심하면서 세계와의 새로운 관계를 맺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된다. 그러한 시는 한 세계내의 언어 사용 규칙에 충실하되 일상적인 모든 대상을 '배반'함으로써 시작된다. 특히 이 낯설음의 체험을 통해 자신의 세계를 되돌아 볼 반성적 자아를 형성하게 되고, 이 세상이 보다 큰 차원에서는 서로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깨달음에 이르게 된다. 결국 시인으로서 자기성취는 자신의 존재론적인 의미를 구현하면서 자신을 넘어서는 과정에 있는 것이다. This essay focuses on poetically representing Dasein's interior landscape in lieu of Das Man's which is buried in the ordinariness of daily lives. To me poetry is less an idiosyncratic story than a story about ordinary lives. However, my poetic imagination is sparked by the glance at something beyond the veil of the ordinariness of daily lives. The series of poems revolving around the subject matter, a kite, are a good example, in which I made a variation of the compelling theme: how to make a flight free from the cares and fears of earthly existence. The poetics of defamiliarization starts from the act of "betraying" and "disclosing" the ordinariness of objects; my strategy is to search an interstice of a clothing which is apparently tailor-made in an impeccable way. From my "Dasein's" perspective, the ordinariness is akin to "a dress encased in a wardrobe", which is "wrinkled". Despite Dasein's attempt to "iron it by sprinkling the water", the ordinary life, once wrinkled, cannot be straightened by my effort to put it right. My poetic strategy is thus to open a new universe of discourse by unveiling the ordinariness of the humdrum of human lives. To do this, the poet should engage his/herself in looking at things afresh at every moment. What is poetry? It is a hymn that celebrates the poet's encounter with things. The poet merely dictates what they whisper. The imagination is a human faculty that is capable of looking them afresh. The nature of this imagination naturally requires a new universe of discourse which exists in a different sphere from that of the familiar universe of ordinary language. Thus, the process of poetic imagination is necessarily accompanied by that of "warping" the ordinary usage of language. Why does the poet write? An existential demand is involved. The momentum of poetic creation is installed when the poet realizes the strangeness and homelesness in this world. S/he is overwhelmed by the compelling mood that s/he is thrown into this world with grotesque figures encroaching upon him/her. This sense of being thrown away from his/her lost home stimulates him/her to doubt whatever around that used to be close and familiar. This sense of desperation is paradoxically parallel to the intense desire for belonging and homecoming. Poetically speaking, this sense of "strangeness" leads the poet to reflect upon him/herself thereby reaching an awakening that everything in this world is intimately interconnected. This is nothing less than the dialectical process where the anti-these of homelossness is aesthetically synthesized to the upper level of the unity of differences or the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