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율관리 체계화를 통한 수율향상 방안 연구

        이동권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율관리는 공수효율, 설비효율과 더불어 생산성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율관리가 필요한 많은 기업들이 그 관리를 누락하고 있거나 내용이 불분명한 수율관리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연구 결과로 발표되는 수율관리 관련 내용들은 설비의 특성적인 부분 즉, 고유기술 측면의 수율관리에 집중되어 있으며 반도체 산업과 같이 특정 분야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고, 관리기술적 측면에서 수율관리 이론이나 방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다양한 기업에서 해당 기업에 적합한 관리기술적 측면의 수율관리 적용이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수율관리의 일반적 개념을 토대로 하여 수율관리 방법론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특히, 공정 특성상 원자재와 최종 제품의 단위가 다른 경우의 수율관리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실제 수율관리가 많이 사용되는 화학 또는 장치산업에 실무적으로 수율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수율관리 단계를 세부적으로 정리한다. 더불어 이론상의 내용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간이 전산화 추진 내용을 포함시켜 향후 수율관리 부분의 전산화 추진 과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요소는 첫째, 합리적인 관리기술적 수율관리 방안을 이해하고, 둘째, 다중 단위 수율 적용 사례를 통한 실무적 수율관리 적용을 이해하는 것이다. The yield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element in productivity management with labor efficiency and equipment efficiency. Nevertheless the many enterprises in which the yield management is necessary omit the yield management or manage the yield where the contents are indistinct. Many research studies related with the yield management concentrate on the yield management of the specific technical side like characteristics of equipment. Also, many research studies are related with specific fields such as semiconductor industry, but the study for the theory or methodology of yield management from managing skill side is very rare. Consequently, the yield management application of the managing skill side, which is suitable at the various corresponding enterprises, is not easy. In this research, I deal with the yield management methodology based on the general concept of the yield management. Specially, with the case study of the yield management where the unit of the raw materials and the final product is different with process characteristics, I arrange the yield management steps for detail in order for the yield management to be possible practically in the chemical or equipment industry where the actual yield management is plentifully used. Besides, it includes a simple computerization for effective usage of the contents of the theory. So, it will be able to present the direction about the computerization subjects of the yield management fields hereafter. The focus elements of this research are which it firstly understands a rational yield management plans which is a sort of managing skill, and secondly understands the practical yield management application through the multi-unit yield application instance.

      • 소규모 근린공원의 운영관리 실태 및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달서구와 북구를 중심으로

        이동권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공원의 중요성과 이용활성화를 위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공원관리 비용은 지속적으로 위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접근성이 높은 소규모 근린공원의 유지관리 문제점은 현실화 되고 있으며 관리개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소규모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운영실태 및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공원 관리방안과 향후 진행될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대구광역시 근린공원 조성률은 타 지자체에 비해 높은 수준이지만, 미조성 공원에 대한 재정압박과 공원의 균등한 배분 및 이용접근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직영관리 중인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5개년도 유지관리비용을 비교하였으며, 조성완료 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단위면적당 평균예산을 산출하였다. 이어서 단위면적당 평균예산이 높은 달서구와 낮은 북구를 대상으로 근린공원 8개소를 선정하여 현장조사와 이용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결과로 달서구와 북구의 근린공원 관리상태는 보통이상의 양호한 수준을 보였으며, 북구에 비해 달서구의 근린공원 관리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근린공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식조사에서 소규모 근린공원을 이용하는 주된 이용자는 인근 거주민으로서 도보를 통해 공원을 이용한다는 응답이 74.6%로 가장 높았다. 관리인식에 대한 문항에서는 ‘잘 관리가 되고 있다’는 응답이 36.7%, ‘주기적으로 관리가 되고 있다’는 응답이 46.0%로 나타나 이용자들의 관리인식 수준이 양호하였다. 7점 척도로 구분한 공원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는 5점 이상으로 양호한 응답을 보였으며, 이를 토대로 산출한 이용만족도는 북구가 달서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을 통해 기대수준 및 실행여부 평가에서는 공원시설을 4개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그 결과로 나타난 속성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향후 대구광역시 소규모 근린공원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지역실정에 맞는 계획과 세부적인 예산자료의 구축, 보다 넓은 범위의 관리유형별 연구, 그리고 적절한 관리방식의 도입과 주민참여 유도 등의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city parks and necessary changes for user engagement, park management funding is constantly being decreased. Accordingly, problems with maintenance control of small scale neighborhood parks have emerged, and study on the management improvement is required. This study examines operation conditions and user satisfaction of small scale neighborhood parks in Daegu, and through this analysis, suggested efficient park management measures and offers baseline data for subsequent studies. The composition ratio for the neighborhood parks of Daegu is at a higher level than other municipalities, but an issue emerged that the city is not considering the financial pressure on parks, equal allocation of parks, and accessibility for use. Examining the neighborhood parks under the jurisdiction of local governments in Daegu, maintenance management costs were compared for the past 5 years, and the average budget per unit area was calculated. Based on these analyses, 8 neighborhood parks targeting Dalseo-gu and Buk-gu with a higher than average budget per unit area and a lower than average budget per unit area were selected for a field survey and investigation of users' satisfcation and attitude. The field survey revealed that the administrative status of neighborhood parks of Dalseo-gu and Buk-gu showed a good level beyond a normal one, and the management score on neighborhood parks of Dalseo-gu appeared higher compared to Buk-gu. In the attitude survey implemented targeting the users of neighborhood parks, the main users utilizing the small neighborhood parks are nearby residents, and the response that they use the park on foot was the highest as 74.6%. In the questions for management awareness, the answer of ‘it is managed well’ appeared as 36.7%, and the answer of ‘it is managed regularly’ as 46.0%, which showed that the level on management awareness of users was favorable. For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the elements composing the parks, classified with 7 point-scaled criteria, the favorable answer appeared by showing over 5 point, and in the using satisfaction calculated based on this, Buk-gu appeared higher than Dalseo-gu. For the expected level and the evaluation of whether it is practiced, through IPA analysis, the park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to four areas, and the continuous interest and intensive management would be required on the properties emerged as the result of it. In the future, in order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measures on the small neighborhood parks of Daegu to be realized, activities, such as regional planning, detailed budget data transperancy, management type analysis, and inducement of residents participation would have to be carried out.

      • 警察官의 武器使用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이동권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경찰관의 무기사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공공의 안녕과 질서에 대한 위험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질서행정으로서의 경찰권의 행사는 오늘날에 있어서도 모든 국가의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기능과 의무이다. 우리 헌법이 천명하고 있는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와 사회적법치국가적 관점에서 볼 때, 국가기관으로부터 생명·신체를 침해받지 않을 자유와 함께, 국가가적극적으로 이러한 자유를 보호하고 조성해 줄 것이 요구된다. 오늘날 고도 위험사회 하에서 보호권한을 독점하고 있는 국가가 이러한 책무를 소홀히 할 경우, 개인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찰권은 헌법적정신과 가치가 관철되도록 개인보호적 관점에서 행사하여야 한다. 공동체사회의 조화로운 유지를 위해 경찰은 범죄를 예방하고 진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찰활동에는 불가피한 경우 강제력을 수반하기도 하는데 가장 강력한 수단이 바로 경찰관의 무기사용이라고 할 수 있다. 어느 국가든 범죄자를 제압·진압함에 있어 경찰에게 일정한 범위 내의 무기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경찰작용은 반드시 법률의 근거 하에 발동되어야 하는 것이 헌법상의 법치주의 원칙상 당연히 요구된다. 그런데 경찰관직무집행법(제10조의4) 규정은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추상적이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우에 필요성과 상당성이 인정되는지 어떻게 하는 것이 합리적인 판단인지에 대한 실질적인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사실상 못하고 있다. 특히 판례는 경찰관의 총기사용이 문제되었을 때 그 요건을 지나치게 엄격하게 해석함으로써, 경찰관이 공정한 법집행을 위하여 최후의 수단으로써 총기를 사용한 경우에서조차 과실로 인정되어 내부적 징계 및 손해배상의 책임을 지게 되는 경우가 있고, 경찰관의 정당한 공권력의 행사를 저해하고 경찰목적을 달성하는데 방해가 된다는 비판도 있다. 과잉총기사용은 자제되어야 하지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임무를 집행하기 위하여, 또 경찰관 자신의 생명과 신체의 보호를 위하여 꼭 필요한 상황에서는 과감하게 무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찰관의 무기사용과 관련된 문제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무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과잉총기사용의 문제이고 둘째는 무기를 사용해야 할 상황에서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일반 시민이나 경찰관의 생명·신체 등이 손해를 입는 실정이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기본적인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경찰관직무집행상의 경찰관의 무기사용의 근거와요건과 한계를 중심으로 이론적인 토대를 검토하고 외국 선진경찰의 무기 등 장비사용, 특히 대체장비의 활용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경찰의 무기 등 장비사용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해 봄으로써 경찰관이 적법하게 무기사용을 할 수 있는데 도움을 주고자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경찰관직무집행법 제10조의4에서 비례원칙에 관한 판단을 중어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상당한 이유가 있을 때에는 필요한 최소한 한도 내에서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 규정함이 타당하다. 둘째, 경찰관직무집행법 제10조의4 제1항은 ‘무기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는 다른 수단이 없다고 인정되는 상당한 이유가 있을 때’를 반복하여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사람에 대한 위해를 수반하는 무기사용의 요건만을 각호에서 나열적으로 규정하고 보충성의 원칙은 단서에서 "다만 제1호 내지 3호의 경우에는 무기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는 다른 수단이 없다고 인정되는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무기를 사용 할 수 있다"고 규정함이 타당하다. 셋째, 의도된 치명적 총기사용의 규정의 신설로 인질범이나 테러 위협에 대비하여야 한다. 넷째, 범죄의 유형을 고려함이 없이 모든 중범인에 대하여 위해를 주는 무기사용을 인정하는 것은 법이론상 과잉대응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우므로 범죄 유형을 구체화하여 무기사용의 요건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무기사용시 3회 이상의 투기·투항 명령을 요구하는데 일률적으로 3회 이상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경찰관직무집행법을 개정하여 투기명령 요건을 1회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최근 경찰청은 총기 대체장비 도입에 대해 적극적인데, 실제 대체 장비를 사용하게 될 일선 경찰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적절한 예산을 투입하여 최소한의 생명·신체에 대한 침해로 최대한의 검거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장비를 개발·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장비가 도입될 경우 이를 어떻게 규율할 것인지가 문제되므로 사전에 충분한 공론화를 거친 뒤 그 사용에 대하여 요건과 한계를 법률적으로 규율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특별법상 무기사용에 대해 추상적이고 불명확한 규정으로 무기사용 남용이 우려되므로 이에 대한 개정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경찰관이 무기사용으로부터 국민의 신체와 생명을 최대한 보호하고 헌법상, 법률상의 한계를 지키는 범위 안에서는 범죄인에 대하여 단호하고 확실한 집행방법으로 소신있고 효율적인 공권력이 발동되기 위해서는 전술한 내용 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항이 보완되어져야 한다. ① 경찰관들의 무기사용에 관한 사격술 향상을 위해 사격훈련 횟수의 증대, 사격장의 증설, 영상사격장비의 사용 활성화, 근접사격훈련, 야간사격실시 등으로 자신감을 키워야 하며, 또 무기사용에 관한 법률적 지식을 함양하는데 노력해야 함은 물론 지속적인 정신교양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② 경찰관의 무기사용으로 인한 판단에 있어 판례의 변화가 요구된다. 법원의 무기사용 요건에 대해 비례의 원칙을 적용하여 판단을 내릴 경우에 객관적 합리적인 시각으로 판단해야 하지만 경찰관의 주관적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③ 경찰관들이 직무수행 과정에서 무기를 정당하게 사용한 경우에도 사법심사 등의 대상이 되는 등 책임이 엄중하므로 매뉴얼 준수여부 등 일정한 제약 하에서 면책규정을 두어 자신있게 법집행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④ 경찰관의 무기사용으로 인한 피해자의 구조와 치료를 위한 체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 당사자인 경찰관에게도 심리치료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이를 관리해 주어야 한다. ⑤ 경찰관이 정당한 공무집행을 하거나, 정당한 공무집행에 대항하는 가해자에 대하여 무기사용 등으로 피해를 당하거나 소송을 당할 경우 이를 도와줄 수 있는 체계가 부족하여 피해자 본인이나 유가족이 더 큰 고통을 당하는 사례가 많으므로, 이러한 경우 국가가 책임을 어느 정도 지는 공사상 구제제도 도입 등 여러 가지 규정을 제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입법론적, 해석론적, 제도적 보완은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여야 할 문제이며, 이를 통하여 경찰관에게 꼭 필요한 상황에서 소신 있게 무기 등 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면, 사람의 생명과 신체보다 귀중한 법익은 없다는 철저한 인권의식과 각종 법령과 사용규칙 및 지침을 준수하고, 극히 제한된 범위 내에서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엄격한 경찰 자체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 결과 범법자는 물론 누구라도 경찰의 정당한 공무집행을 방해하거나 저항할 때는 총격을 받을 수 있다는 인식이 일반화될 때 진정으로 준법질서가 확립되고, 오히려 이로 인해 경찰관의 총기사용도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사회적 기업에 적합한 미래예측방법론 연구

        이동권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요약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사회적 기업에 적합한 미래예측방법론 연구 오늘날 국가, 국제기구, 글로벌 기업 등 다양한 주체들이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하여 미래예측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 환경 등 외부환경의 변화가 가속화되는 현실에서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미래예측활동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인적, 물적 자원이 부족하고 경영능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미래예측활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학계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무적, 학문적 필요성에 근거하여 체계적인 문헌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기업에 적합한 미래예측방법론으로써 Lean Foresight Model을 제안하였다. 동시에 이윤창출의 기초가 되는 비즈니스 모델과 STEEPV 모델을 통합한 미래예측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제안함으로써 전략관리 측면에서 시너지효과를 추구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그 동안 사회적 기업의 미래예측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던 현실에서 탐색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시간과 비용, 인력이 부족한 사회적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미래예측모델과 비즈니스 모델의 프로세스를 통합하고 간소화함으로써 전략관리 측면에서 효율성과 활용성을 높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연구 결과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회적 기업을 위한 미래워크숍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 사회적 기업, 미래예측방법론, STEEPV, 미래예측 BMC, 미래워크숍 프로그램. ABSTRACT A study on foresight methodology suitable for social enterprises to improve sustainability Dongkwon, Lee Department of Social Entrepreneurship & Humanistic Future Studies Sungkyunkwan University Today, many countrie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global companies are conducting foresight activities to prepare for future uncertainties. Although foresight activities are essential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in a rapid chang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the foresight activities of social enterprise are have hardly been done due to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poor management skills. And even in the academic trend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foresight activities of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based on the practical and academic needs, proposed the Lean Foresight Model as a foresight methodology suitable for social enterprises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search.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ursued synergy in terms of strategic management by proposing a foresight business model canvas that integrates the business model that is the basis for profit creation and the STEEPV model. This study, theoreticall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n exploratory model that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foresight methodology of social enterprises. In pract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mproved efficiency and usability in terms of strategy management by integrating and simplifying the process of foresight models and business model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that lack time, cost, and manpower.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future workshop program for social enterprises to enhance the practicality of the research results. Key Words : Social enterprise, Foresight methodology, STEEPV, Foresight BMC, Future workshop program

      • 통신비용 최소화를 위한 트리구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이동권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따라 수반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양과 규모의 증가와 이에 따른 통신비용의 증가 현상을 논의해 보았고, 주어진 네트워크를 원본서버(root) 및 복사 본을 소유하고 있는 하위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는 트리이며, 각 노드로 들어오는 클라이언트의 수는 포아송분포(Poisson arrival pattern)를 따르고, 주어진 네트워크는 트리구조를 갖는다고 가정하여, 트리를 구성하는 노드간의 총 통신비용을 논의하였다. 또한, 이 비용을 최소화하는 트리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함수로 정의하고, 정의된 비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 중에서 기존의 GshortestPath, GminimumSpan 알고리즘과 Greedy 알고리즘을 비교분석 하였고, 이 알고리즘의 지니고 있는 한계점에 대해서 분석하여 보았으며, 제안한 알고리즘을 예제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통신비용이 감소되는 것을 검증해 보았다. 이는 비용 최소화를 위한 네트워크 설계시 의사결정에 중요한 지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다양한 인터넷 토플로지에 대한 검증과 루트의 수가 여러개 이거나 주어지지 않은 경우 통신 비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루트의 배치문제 및 노드간의 패킷 통신에 있어서 라우팅을 통한 다수의 경로 설정시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