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교 부모교육의 방향과 프로그램

        은혜정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가정의 본질을 찾고 가정의 가정다움을 회복하기 위한 시대적 요청을 기독교 부모와 교회가 깨닫고 기독교 부모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을 강조했다. 이러한 기대와 비전을 가지고 본 논문은 시작되었고, 그 결과 본 논문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부모를 위한 교회의 교육적 사명을 일깨우고 부모교육을 교회교육의 정규적 과정으로 자리 잡게 하여 이 교육과정을 통해서 부모됨의 훈련을 받아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가정에서 진정한 교사로서의 부모역할을 잘 감당하기 위함이다. 바로 이 목적을 가지고 본 논문은 교회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런 목적을 가지고 2장에서는 일반적으로 볼 때, 부모교육이란 자녀양육과 부모자신의 개발을 위해 교육받는다는 것뿐만 아니라 부모-자녀관계의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 모든 교육적 방법을 동원하여 교육하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 아래 일반 부모교육 학자들을 통해 교육의 원리 및 부모-자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기독교부모교육의 역사적 고찰을 성서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내용으로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교회와 가정에게 부여된 교육적 사명을 살펴봄으로써 성서에 나타난 가정과 부모-자녀관계를 고찰하였고, 이어서 기독교 부모교육의 역사를 구약시대부터 근대이후까지 살펴보았다. 기독교 부모교육의 역사는 가정과 교회라는 교육의 장의 필요성과 역할의 밑받침 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서 교육의 두 장인 교회와 가정은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은 교육적 사명을 재인식해야 하며 자녀의 신앙교육을 위해 연합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 연구한 것을 교회교육 현장에서 실시하기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해 보았다. 먼저 부모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 기독교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그리고 기독교 부모교육의 내용을 부모발달영역, 자녀발달영역, 자녀지도영역, 가정생활영역으로 나누어 설정하였고, 또한 이러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다양한 형식을 열거하였다. 교회와 가정은 기독교적 양육을 위한 상호책임이 있다. 부모는 어떻게 그들을 도울 수 있는지에 대해 알기 원해야 하고 이를 위해 교회는 부모를 위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 충분한 배려를 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부모의 가정에 대한 책임이 중요하듯이 교회의 부모에 대한 교육적 책임 역시 조금도 간과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책임이요 사명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비합리적 신념, 특성분노, 분노표현, 성역할정체감과 교사소진의 관계

        은혜정 서강대학교 교욱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urnout, Irrational Belief,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and Gender role Identit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from 549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of Seoul, Gyeonggi, Chungcheong area.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in teacher's burnout according to irrational belief showed that higher the level of irrational belief, higher the level of teacher's burnout. Secondly,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in teacher's burnout according to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showed that higher the level of trait anger and anger-in, lower of anger-control ,higher the level of teacher's burnout. Thirdly,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in teacher's burnout according to gender role identity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male and androgyny role, lower the level of teacher's burnout. Fourthly,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in anger expression according to irrational belief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rrational belief, higher the anger-in and anger-out, the lower is the anger-control. Fifthly, the result of verifying the affect of irrational belief,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gender role identity on teacher's burnout, anger-in, anger-control, male role, and anger-out showed influence on teacher's burnout, with anger expression exercising most influence on teacher's burnout. Sixthly, the result of verifying whether anger-in and anger-control levels can act as a intermediary in the teacher's burnout differences in terms of irrational belief showed that anger-in and anger-control levels are not sufficient as intermediary. 본 연구에서는 비합리적 신념, 특성분노, 분노표현, 성역할정체감 및 교사소진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 충청 지역의 중․고등학교 교사 5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합리적 신념 수준에 따른 교사소진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비합리적 신념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소진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성분노와 분노표현 수준에 따른 교사소진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특성분노, 분노억제 수준이 높을수록, 분노통제 수준이 낮을수록 교사소진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정체감 수준에 따른 교사소진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남성성 또는 양성성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소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합리적 신념 수준에 따른 분노표현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비합리적 신념 수준이 높을수록 분노억제, 분노표출 수준은 높고, 분노통제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비합리적 신념, 특성분노, 분노표현, 성역할정체감이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분노억제, 분노통제, 공정성요구, 남성성, 분노표출이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소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분노표현이었다. 여섯째, 분노표현이 비합리적 신념에 따른 교사소진 수준의 차이에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한 결과, 충분한 매개변인이 되지 못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