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자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 마음챙김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1966

        본 연구는 마음챙김 미술치료가 모-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이며, 체험한 것은 무엇인가를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D시에 거주하며 만성질환 편마비환자인 자(子)와 주 보호자 모(母)로 단일사례연구이다.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총 21회기 주 2회로 시간은 2시간이며, 마음챙김 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마음챙김 명상, 미술치료 각 1시간씩 나누어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과정에서 참여자의 진술내용은 음성 녹음하였으며 연구자의 질문내용은 문서로 기록되어 질적 분석에 참고 되었다. 아울러 참여자의 작품은 연구자가 보관하고, 입체작품은 사진 촬영하여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도구는 Diener의 삶의 동기척도, 삶의 기대척도, 삶의 만족도척도, 켄터키 마음챙김 기술척도, K-HTP를 실시하여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챙김 미술치료가 모-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서 삶의 질 척도는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삶의 동기 척도 변화는 사전 점수 2.90에 비해 사후 점수 5.20이 가장 높게 변화되었으며, 삶의 기대 척도 변화는 사전 점수 2.50에 비해 사후 점수 3.00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삶의 만족 척도 변화에서도 사전 점수 3.00에 비해 사후 점수 3.90으로 높은 점수 변화를 보였다. 모-자 켄터키 마음챙김 기술척도에 나타난 4요인에서 기술 요인 변화는 사전 점수 2.50에 비해 사후 점수 2.44로 낮게 나왔으며, 수용 요인 변화로는 사전 점수 3.03에 비해 사후 점수 2.78이 감소되었다. 집중행동 요인 변화는 사전 점수 2.89에 비해 사후 점수 3.00이 높아졌으며, 주의집중 요인 변화에서도 사전 점수 3.00에 비해 사후 점수 3.23으로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림 진단검사 K-HTP 평가에서는 모-자 모두 사전보다 사후 그림에는 에너지가 느껴지고 집은 따뜻하고 활력이 넘치는 긍정적인 자기인식과 특히, 자의 경우 스스로 하고자하는 자율성을 표현하고 있다. 둘째, 모-자 마음챙김 미술치료를 통해 체험한 것으로는 마음챙김 명상을 꾸준히 수행함으로써 몸과 마음의 경험을 하는 동안 순간순간의 감각, 현재의 생각과 다양한 감정에 알아차림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마음챙김 미술치료를 통해 혼란스러웠던 감정들을 표출하는 기회로 자기 내면의 갈등을 드러내고 심리적 불안정을 완화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색채의 변화에서 참여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색 변화가 나타났다. 즉 모의 경우 초기에는 단색과 어두운 색 등을 사용하여 불안과 우울을 나타내었고, 후기로 갈수록 밝은 색채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긍정적인 자기인식과 자와의 정서안정 회복을 보였다. 자의 경우에도 어두운 색 사용과 단색, 여백이 많음 등 우울과 외로움을 표현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밝은 색채가 나타나고, 자기표현 능력향상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단계별 결과에서 초기에는 모의 불안 요소가 자에게 일방적으로 행동수정을 요구하거나 무관심과 부정적인 관계패턴으로 정서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회기를 거듭 할수록 모는 조금씩 기다려주기, 자의 마음 헤아려 주기, 칭찬하기 등 여유를 보임으로써 모-자 관계가 개선되었다. 한편 자의 경우 초기에는 소심함과 눈치를 많이 보면서 수동적이거나, 자기감정을 들어내지 않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미술작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자기표현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챙김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모-자 삶의 질의 변화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주요어 : 만성질환자, 만성질환자의 주 보호자, 삶의 질, 마음챙김 This study Mindfulness based art therapy mother-child What is the effect on quality of life, is to understand what is experienced.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the chronic hemiplegia patients and the mothers who are a main carer residing in D city.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them for 2 hours in a session, 2 times a week, and 21 sessions in total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1 and a meditation for mindfulness and the art therapy was implemented by dividing each 1-hour. During the program process, the participants' verbal statement were recorded and an observation paper including the researcher's questions was utilized for a qualitative analysis.. In addition, the researcher kept the participant's works and the three dimensional works were photographed and used as a study material. For the study tools Dinner's Motive with Life Scale, Expectation with Life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K-HTP were implemented, pre-change and post-change were analyzed. The results g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ndfulness Based Art Therapy - what is the effect on quality of mother-child life, the quality of life in the pre-and post-test measures the change through the life of the synchronous pre-post test scores 2.90 compared to post-test 5.20 and the highest change, scale change in the expectations of life a pre-post test score 2.50 compared to post-test 3.00, respectively. Finally,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scale in the pre-post test scores 3.00 compared to post-test 3.90 had a higher score. 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of mother-child to measure changes in four factors described factors of pre-post test score of 2.44 compared to 2.50 came out at a low level, changes include a factors of acceptable pre-post test score of 2.78 compared to 3.03 decreased, and a factors of concentration behavior changes in pre-post test score of 3.00 compared to 2.89 are higher, a factors of attention in the variation of pre-post test score of 3.23, higher than 3.00 can see that. Also, K-HTP appraisal that is a picture test indicated that all of the mothers and children felt more energy from the post-picture and had an positive self-recognition from that the house is a warm and an energetic place, in particular, the children expressed autonomy that they want to do by themselves. Second, Mother-child mindfulness based art therapy is to be experienced through art therapy, by performing a steady mindfulness of body and mind during the experience a sense of moment, the current thinking and awareness in a variety of emotions can become an opportunity. in addition. through mindfulness art therapy they had an opportunity for expressing a chaotic emotion. It was exposing an internal conflict and alleviating a psychological stability. Change of color from the color changes depending on the participant's mental state appeared. In other words, mother in the early stages using a single color and a dark color, and showed anxiety and depression, and late toward bright colors, with the beginning of a child with positive self-awareness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recovered. In the case of the children a dark color, single color and a lot of spaces appeared in the beginning so anxiety and loneliness were shown, as time goes by, a bright color appeared and an endeavor to improve self-expression was shown. Also, initial results from step-by-step elements in the mother's anxiety and behavior modification to child unilaterally demand or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pathy and emotional interaction patterns were made​​. but, as the session continues, the little mother waiting period, to understand child mind, to praise, such as by posting a free mother-child relationship has improved.  In addition, child in the early stages manually, or watch a lot of pettiness and noticed, never let his feelings, towards the latter part of his art to comment and participate actively in art work and in self-expression that could be seen positively.  The results of the Mindfulness Based Art Therapy program mother-child changes in quality of life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Key Words : Chronic Disease Patient, Main Carer of Chronic Disease Patient, Quality of Life, Mindfu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