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능 모니터링 이벤트들의 통계적 분석에 기반한 모바일 프로세서의 전력 예측

        윤희성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프로세서의 전력 및 온도관리는 컴퓨터 시스템의 중요한 이슈 중에 하나이다. 전력 및 온도관리는 범용 PC 뿐만 아니라 서버 및 모바일 시스템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로 동작해야 하는 모바일 시스템에서는 소프트웨어 설계 시 성능뿐만 아니라 전력소모도 고려해야 하며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소프트웨어의 실행 중에 전력소모를 정확하게 예측 할 수 있으면 전력과 성능을 고려한 효율적인 소프트웨어의 설계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DVFS(Dynamic Voltage/Frequency Scaling) 등의 전력 관리 기법을 적용하여 전력소모의 효율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프로세서의 전력소모 예측을 위해 정량적으로 프로세서의 동작을 분석하고 모델링 하는 통계적인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다양한 벤치마크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프로세서의 성능 모니터링 이벤트들과 전력소모 데이터를 수집한 후 계층적 클러스터링(hierarchical clustering) 분석 등을 적용하여 서로 중복되지 않으면서 전력소모에 크게 기여하는 대표적인 성능 모니터링 이벤트들을 추출한다. 전력 예측 모델은 선택된 성능 모니터링 이벤트들이 독립변수가 되고 전력소모가 종속변수가 되는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여 개발한다. 전력 예측 모델은 Intel XScale 아키텍쳐 기반의 PXA320 모바일 프로세서에 적용하여 평균 4% 이내의 에러율로 전력소모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인다. Recently, Processor's power and thermal management become one of most import issues. It is also important component to both server and mobile systems. Particularly, In mobile systems which are operated using a battery with limited capacity, not only power consumption but also performanc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develop software. It is possible to develop software effectively in power and performance when accurate power prediction is accomplished during the execution of software. In this paper, power estimation model is develop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which analyzes and models processor behavior quantitatively. The data of hardware events and power consumption are collected by executing various benchmark programs. And then representative hardware events on power consumption are selected using hierarchical clustering. The power prediction model is established by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the selected events are independent variables and power is a response variable. The proposed model is applied to a PXA320 mobile processor based on Intel XScale architecture. It shows accurate power estimation 4% of the measured average power consumption of the processor.

      • 횡 방향 안정성 향상을 위한 ESC와 AFS를 이용한 통합 섀시 제어

        윤희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an integrated chassis control with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 and active front steering (AFS) for lateral stability enhancement. In integrated chassis control, AFS is preferred because it does not deteriorate the ride comfort and reduce vehicle speed. However, the large vehicle speed on a low-friction road resulting from the sole use of AFS can cause the large side-slip angle that means the deterioration of the lateral stability. To reduce the side-slip angle or enhance the lateral stability, it is necessary to use the braking of ESC.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use both ESC and AFS according to the side-slip angle variation in yaw moment distribution stage. For this purpose, new objective function that includes the braking of ESC and corrective angle of AFS with a tuning parameter is defined from the previous work, UCC. To solve the optimization problem, weighted pseudo-inverse based control allocation (WPCA) is applied. The adaptive tuning rule is proposed based a phase-plane analysis on the lateral stability.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 method for lateral stability enhancement, a simulation is performed on the vehicle simulation package, CarSim. From the simulation results, it is verifi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side-slip angle and in enhancing the lateral stability. 본 논문의 목적은 ESC와 AFS를 장착한 통합 섀시 제어기에서 AFS를 ESC에 비해 우선적으로 적용하게 되는 경우 저마찰 노면에서 높은 속도로 인해 횡슬립각이 증가하고 차량의 횡방향 안정성이 저해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요 모멘트 분배 방법을 제안한다. 차량 안정성 제어기는 상위 제어기와 하위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위 제어기에서는 차량을 안정화시키는데 필요한 제어 요 모멘트를 계산하고 하위 제어기에서는 실제 차량에서 제어 요 모멘트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ESC의 제동력과 AFS의 전륜 추가 조향각을 결정한다. 이 문제가 요 모멘트 분배 문제이다. 기존에 제안된 UCC는 이 문제를 최적화 문제로 정식화하였고 KTT 최적성 조건을 적용하여 대수적인 해를 구하였다. 능동 제어 장치로서 AFS는 ESC에 비해 제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속도 저하가 적고 승차감을 저해시키지 않으므로 UCC에서 최적화의 목적 함수는 ESC의 제동력을 최소화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AFS로 인해 차량의 속도가 저하되지 않으면 저마찰 노면에서 차량의 횡슬립각이 증가하면서 차량의 횡방향 안정성이 저하되고 운전자는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AFS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통합새시제어기에서 ESC의 제동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안된 UCC 방법을 기반으로 ESC의 제동력과 AFS에 의한 횡방향 힘을 결합한 목적 함수를 제안한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기존에 제안된 가중 의사역행렬 제어할당 방법(Weighted Pseudo-Inverse based Control Allocation; WPCA)을 적용한다. 저마찰 노면에서 AFS만을 사용했을 때 차량의 속도가 높아 횡슬립각이 증가하는 경우 횡슬립각의 크기에 따라 목적 함수의 가중치를 조절하여 ESC의 제동력으로 차량의 속도를 저하시키고 이에 따라 횡방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차량 시뮬레이션 패키지인 CarSim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제안된 통합 섀시 제어기가 저마찰 노면에서 차량의 횡방향 안정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 정밀도가 개선된 E&S 벡터 히스테리시스 모델과 결합된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전기기기의 철손 분포 정밀 해석

        윤희성 忠北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An accurate prediction of the magnetic field and iron loss distributions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icient electric machines. It is well known that, under both alternating and rotating magnetic field, an electrical steel sheet(ESS) shows complicated vector hysteretic behaviors between magnetic flux density(B) and magnetic field intensity(H), and these behaviors strongly affect on the distribution of iron loss as well as that of magnetic flux density. For precise analysis of iron loss distribution, therefore, the vector hysteretic properties of the ES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field analysis using a numerical method such as finite element method (FEM). On the basis of a Chua-type scalar hysteresis model, M. Enokizono and N. Soda suggested a E&S(Enokizono and Soda) vector hysteresis model. This vector hysteresis model predicts the H-waveform corresponding to a given B-waveform via databases of magnetic reluctivity and magnetic hysteresis coefficients. The databases are constructed from Fourier coefficients of H-waveforms experimentally measured under various sinusoidal elliptic B-waveforms, and the magnetic reluctivity and hysteresis coefficients are expressed by these Fourier coefficients of measured H-waveforms. The modeling accuracy is, therefo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order of harmonic components taken into account in the analysis. However, till now, most of the foregoing researches have only considered the low order harmonic components for easy numerical implementation. Therefore, they cannot precisely describe the vector hysteretic properties under highly saturated magnetic field condition including high-order harmonics of H-waveform. Under the condition of non-elliptic distorted B-waveform, the magnetic reluctivity and hysteresis coefficients are calculated by using the databases experimentally measured under elliptic B-waveforms. A non-elliptic B-waveform should, therefore, be approximated properly to elliptic one for calculating the magnetic reluctivity and hysteresis coefficients. In conventional E&S model, a non-elliptic B-waveform is approximated to an elliptic one only using its fundamental component. In this approximation, the elliptic B-waveform often approximates non-elliptic one very pooly, therefore, the conventional model estimates unreasonable H-waveform. In this dissertation, the E&S vector hysteresis model is improved by proposing the generalized magnetic reluctivity and hysteresis coefficients which can take high-order harmonics of H-waveform into account with easy numerical implementation, and by proposing a novel method to approximate non-elliptic B-waveform to elliptic one reasonably for non-elliptic B-waveform. The proposed E&S vector hysteresis model is combined with FEM to be applied to iron loss analysis of three-phase transformer and induction motor models. The field governing equation and finite element formulation is derived with help of the proposed E&S model, and non-linear finite element algorithm with relaxation method is proposed to solve the given finite element formulation.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analysis algorithm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analyzed results with experimentally measured ones in the three-phase transformer and induction motor models.

      • 대형 YEF (Yonsei End Free) 모듈의 수리학적 특성

        윤희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large sized YEF module. YEF module has hollow fibers that top end of fiber moves freely and another end is potted with urethane. The fibers are surrounded by a guard thus the input air is efficiently utilized to minimize fiber clogging. Mass transfer model for upward submerged hollow fiber module showed that TMP increases from sealed end of fiber (x=L) to collector (x=0), and it has maximum value at x=0, minimum value at x=L. Local flux showed similar patterns. Scale-up of such YEF module has certain limits such as fiber length and inner diameter, because TMP difference between x=0 and x=L increases as the fiber becomes longer and the diameter becomes smaller. Module resistance ξ representing effective fiber length, diameter and Rm of the modulecould be used for characterizing YEF module. YEF module can be scaled up in the range ξ<7.3. Difference between model values and test values could be exp;ained by minor losses that is generated in the permeate collection lines. The superficial water velocity of larger YEF module was getting smaller than that of smaller YEF module, because air from the aerator tends to channel more to center pipe as the YEF module becomes bigger. 3-way type aerator showed air bubbles distributed uniformly among the fibers. Therefore 3-way aerator was selected as an optimized aerator for YEF 500 and YEF 1000 module. When the entrance aeration ratio of YEF 1000B module was changed to 20, 25 ,33%, the superficial velocity decreased as the ratio increased because of air bubble resistance inside the guar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cide optimum entrance aeration ratio of large sized module. YEF 500A module has higher critical flux than YEF 1000A module has because of more uniform aeration in YEF 500A module for 2,000mgl tissue suspension. When operating at a critical flux, there exists a certain critical air flow over which did not improve the flux in the tissue suspension. In kaolin suspension test, different critical fluxes of YEF module were obtained at each concentrations. Critical flux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kaolin concentration. An optimum air rate to maintain a critical flux exists. Cake resistance(Rc) decreased as air flow increased, but did not decrease further over a certain air flow rate. High-shear filtration model is useful for predicting the steady state flux, if Rf value is not changed. 본 연구는 대형화된 YEF 모듈의 수리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YEF 모듈은 중공사막의 상단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산기량의 유실 없이 중공사막에 작용하여 케??형성 방지에 효과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모듈이다. YEF 모듈의 투과특성은 막의 고유저항(Rm)값과 유효 막길이, 중공사막의 내경 등의 영향을 받는다. 중공사막의 한쪽 끝을 봉인하고 한쪽에서만 감압하는 상향식 모듈에서 TMP는 봉인된 끝 부분(x=L)에서 맨 하단(x=0)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부분 투과유속도 이에 따라 증가한다. 중공사막의 유효 막길이가 길어지고, 내경이 감소할수록 중공사막 내에서의 TMP의 차는 증가하여 모듈의 대형화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듈의 저항 ξ값은 막 내경이 감소하고, 유효 막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ξ값이 7.3 이하인 범위에서 YEF 모듈의 대형화가 가능하다. 실험값과 비교하였을 때 유효 막길이가 1m일 때는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나, 2m 와 2.65m 에서는 모델값과 실험값이 잘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중공사막내에서의 손실과 유체의 흐름에 따라 연결부와 관로 등에서 손실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산기에 의한 표면유속은 모듈의 크기가 커지면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고, 유속과 산기의 분포형태에서 YEF 500과 YEF 1000모듈 모두 3-way type의 산기관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YEF 1000B모듈의 3-way type 산기관 배열에서 유체 유입구의 산기비율을 20, 25, 33%로 해주었을 때, 유입구 산기량이 증가하면 산기된 공기 방울이 유체 유입에 저항으로 작용하여 표면유속이 감소하였다. 이는 대형 모듈에서는 유체 유입구의 산기량 비율이 표면 유속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산기 비율의 결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00 mgl의 휴지 부유액을 이용하여 투과 실험을 하였을 때, 고른 산기 분포를 보인 YEF 500A 모듈이 YEF 1000A 모듈 보다 높은 임계플럭스를 보였다. 임계플럭스 이상으로 감압여과시 산기량의 증가에 따라 투과압력의 증가율은 감소하지만, 일정한 세기 이상의 산기량에서는 투과 압력의 증가율이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 임계산기량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카올린(kaolin) 부유액을 감압여과 하면 각각의 농도에서 임계플럭스를 가지며, 카올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임계플럭스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임계플럭스 조건에서 케?暘?을 제거하여 일정한 플럭스를 유지하는데 역활을 하는 최적 산기량이 존재한다. 또한, 일정한 산기량 이상에서는 산기량이 증가해도 플럭스가 증가하지 않는 임계 산기량이 존재한다. 케??저항(Rc)은 산기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지만 임계 산기량 이상에서는 더 이상 감소하지 않았다. 고전단 여과 모델의 계산값이 실험값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Rf값의 변화를 무시하면 정상상태의 투과율을 예측하기엔 적합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 유인작물을 이용한 콩 노린재류 관리 평가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알 기생 : Evaluation Of Trap Crop Candidates For The Management Of Soybean Bugs And Egg Parasitism Of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teroptera: Alydidae)

        윤희성 안동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콩 포장에서 노린재류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여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적절히 해충을 관리하기 위하여 조합된 몇몇의 해충 관리 방법은 화학 농약의 사용을 최소화 할 것이다. 콩 포장에서 발생한 노린재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비롯하여 알락수염노린재, 풀색노린재와 썩덩나무노린재가 주요 종으로 조사되었다. 이 노린재류를 관리하기 위하여 몇 가지의 콩 품종 및 깨와 옥수수를 품종 유인작물 후보로 이용하였다. 또한 태광콩을 본 작물의 파종 시기와 달리하여 (30일 일찍, 15일 일찍, 15일 늦게) 시기 유인작물 후보로 이용하였다. 노린재류의 밀도와 피해율(꼬투리, 종자, 전체)을 통하여 유인작물 후보를 평가 하였다. 또한 유인작물을 배치하였을 경우, 주요 노린재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알 기생봉에 대한 평가를 유인작물, 유인작물+메밀, 관행 콩 포장에서 조사하였다. 밀도와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노린재류를 관리하기위한 유인작물 후보로 청자, 일품검정과 서남콩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시기 유인작물은 서로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적합한 유인작물을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알 기생봉은 노린재깡충좀벌과 노린재검정알벌 2종이었다. 전체 알 기생률은 유인작물 배치 포장에서 가장 높았으며, 관행 콩 포장에서 가장 낮았다. 포장 별 기생률은 노린재깡충좀벌의 경우, 유인작물 배치 포장에서 가장 높았으며, 유인작물+메밀을 배치한 포장에서 가장 낮았다. 노린재검정알벌의 경우, 포장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린재깡충좀벌과 노린재검정알벌의 기생률 관계는 기울기가 -1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알 생존율은 유인작물 배치 포장에서 가장 높았고, 관행 콩 포장에서 가장 낮았다. 따라서 유인작물을 이용한 노린재류 관리는 가능하다고 생각되며, 이것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알 기생률도 높이는 효과를 보였다. Increase of heteropteran bugs in soybean fields imposesfarmers to adopt management strategies of pest control. Integration of several pest management techniques to manage pest properly would minimize the use of chemical pesticides. Field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on four species of major soybean infesting bugs such as Riptortus clavatus, Dolycoris baccarum, Nezara antennata and Halyomolpha halys. Several soybean varieties and sesame, and corn were evaluation as trap crops with a view to manage soybean bugs. Efficacy of sowing time of soybean variety Taegwang as a trap crop was also tested by sowing 30 days before, 15 days before and 15 days after the normal sowing period. Evaluation was made on the basis of observations such as bugs density, pod damage, seed damage and total damage. Als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rap crop on performance of egg parasitoids on Riptortus clavatus. The treatments were trap crop, trap crop with nectar (buckwheat), and control fields where Daewon was the common main crop variety of soybean used. Chungja, Ilpumgumjung and Seonam varieties of soybean were found to be promising trap crops against hemipteran bugs in soybean. However, difference in sowing time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ce. Ooencyrtus nazarae and Gryon japonicum were most commonly found parasitoids in the experimental fields, O. nazarae with higher sex ratio. Total egg parasitism rate was higher in trap crop. Parasitism rate of O. nazarae was highest in trap crop whereas it was lowest in trap crop with nectar. Furthermore,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parasitism rate of O. nazarae and G. japonicum and the slope was "-1". Egg survival rate of R. clavatuseggs was high in convention and low in trap crop field. It is concluded that use of trap crop enhances biological control agents.

      • 공공문식성을 고려한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 개발 방안 연구 : 의약품 설명서를 중심으로

        윤희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정부 기관, 일반 사기업 및 단체 등 공공 영역에서 작성되는 각종 문서를 이독성 측면에서 진단하고 평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문서는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문법적 정확성과 일반 국민들의 문식성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현 실태는 여전히 작성 주체 중심의 공공문서가 구성되며, 어렵게 작성된 공공문서는 국민과의 공적 의사소통의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적 의사소통의 주 매개체인 공공문서가 국민들의 문서를 읽고 사용하는 능력인 공공문식성을 고려하여 작성이 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기존의 공공문서에 대한 정확하지 못한 언어 사용 부분의 지적을 넘어서서 이독성 측면에서 공공문서를 점검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하지만 공공문서의 이독성 실태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나 기준은 아직 구체적으로 마련되지 못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인식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공공문서의 이독성 실태를 평가할 수 있도록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를 구체적으로 마련하고자 하였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Ⅱ장에서는 공공문서가 독자인 일반 국민들의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인 문식성 수준을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공공문식성에 대해서 정의내리고 공공기관에서만 작성된 문서에 한정된 문제의식을 확대하여 일반 국민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일반 사기업, 단체들이 작성하는 문서를 포함하여 공공문서의 개념을 확립하고 범위를 설정하였다. 그렇게 설정된 공공문서를 텍스트 내‧외적인 면에서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앞에서 확립한 개념과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를 위한 실제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그런데 공공문서의 다양한 형식적 특성에 따라 이독성 지표가 달리 설정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공공문서 중에서 일반 국민들이 접하는 기회는 많지만 많은 문제점이 지적된 의약품 설명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의약품 설명서의 이독성을 결정짓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언어, 내용, 가독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지표의 영역을 정확성과 소통성으로 구분하여 의약품 설명서 이독성 예비 지표를 선정하였다. 공공문서가 이독성 측면에서 쉽게 쓰여야 원활한 공적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소통성 영역에 이독성 요인들을 포함하였다. 정확성에는 표기, 표현 차원, 소통성에는 어휘 차원의 어휘 난이도, 전문용어, 문장 차원에서는 문장의 길이와 문장의 구조, 담화 차원은 중심내용의 응집성, 정보의 양, 내용의 구조화, 가독성 차원의 시각적인 편집 이렇게 총 10개의 예비 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예비 지표들을 Ⅳ장에서 전문가 설문 조사(델파이 조사)를 총 2차례 실시하여 예비 지표들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특히 1차 전문가 설문 조사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예비 지표를 수정하였다. 소통성 영역의 지표를 대상으로 언어 지표(어휘 난이도, 전문용어, 문장), 내용 지표(중심내용의 명료성, 내용의 구조화), 가독성 지표로 수정하였다. 정확성 영역의 지표 세부 항목을 포함하여 총 2개 영역의 8개 지표를 설정하여 2차 타당성 검증을 거쳐 최종 지표로 확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전문가 중요도 평정을 바탕으로 계층화 분석법(AHP)을 통해 가중계수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의 점수화 방안을 마련하고 공공문서 이독성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구성하여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는 의약품 설명서의 이독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될 뿐만 아니라 다른 공공문서 특히 같은 종류인 설명서 류의 공공문서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번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는 비록 의약품 설명서를 바탕으로 도출된 것이지만 다른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 개발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무엇보다 객관적이고 일관성있게 진단할 수 있는 이독성 지표를 바탕으로 공공문서의 이독성 수준을 진단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거나 공공문식성을 고려한 공공문서 작성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It has been emphasized that public document is a tool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nd thus should be easy and accurate. However, the reality is far from the ideal. Previous studies found that using difficult language in public caused not only communication difficulties, but also economic losses. There still has yet to be established criteria or standards to objectively evaluate the practices of public agencies. Considering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is designed to develop diagnosis criteria and evaluation standards to objectively assess readability of the public document.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concept and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literacy that can utilize public documents. Public documents widely included documents provided by the private sector as well as official documents from government agencies. Internal and external public documents in terms of readability are investigated to find text critical proble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variety of formal public document, readability indicator can be set otherwise.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the medication guides of public documents that pointed out a lot of problems were selected. Through analysis of the medication guide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which determine a public document readability. Public document readability preliminary indicators were selected to reflect the results. Conducted by total of two delphi survey, selected a public document readability preliminary indicators were validated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readability indicators were assessed. Weighted scores were calcula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scores derived from the Delphi survey. Based on the weighted score, public document readability indicator is converted into a score. By using converted Indicators to the score, checklist was configured. This checklist can measure the level of a public document readability. The ways that can actually take advantage of Public documents readability indicators are proposed. This public document readability indicator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other public document readability indicators. Especially, readability indicators that can be objectively and consistently diagnose measure a public document of Readability. By using developed readability indicators in this time, to identify problems of a public document or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public document considering public literacy is expected.

      • 열전소자를 이용한 소형 냉각시스템의 냉각성능에 관한 연구

        윤희성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n cooling performance of small cooling system using thermoelectric module. This study set up cooling system of 4 type to control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puter. In order to find the heat transfer process of cooling system, this study was performed experiment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flow visualization in cooling field of each cooling system. Also,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preliminary data to performance improvement and optimization of cooling system under same experiment cond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cooling performance of cooling system improved when voltage applied by thermoelectric module was increased gradually. The voltage applied by thermoelectric module increases, cold side surface of thermoelectric module was frozen, and was occurred dew formation by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rmoelectric module and ambient temperature. Because of this, this study chose 7V as applied voltage by thermoelectric module. This study was compared the cooling performance of cooling system for the cases; one without flow and the other with flow fa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in the whole cooling field of cooling system were uniformly maintained about 13℃±0.5℃ due to forced convection phenomenon by flow fan. The forced convection phenomenon by flow fan contributed to heat transfer enhancement of cooling field. When the cooling system with heat sink and flow fan was used to cooling of computer, the internal temperature distributions of computer were lowered and uniformly maintained.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emperature distribution of cooling system rapidly fell early on but uniformed maintained after a period of time. This was similar to cooling pattern of experimental results.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will be used to assess the preliminary data to performance improvement and optimization of cooling system.

      • 유한요소 특성해석과 반응표면법을 이용한 AC/DC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상 최적 설계

        윤희성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Solenoid valves have simple structure, low cost and can be accurately controlled in the range of short stroke compared with linear and rotational motor system. Therefore they have been widely us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oil preassure and air pressure control. The solenoid valves are divided into DC and AC solenoid valves and each has its own advantages and drawbacks. A DC solenoid valve has advantages such as small loss, no vibration and acoustic noise and long mechanical life. However it also has drawbacks such as additional DC power source and slow time of action. Especially, time of action is such an important performance that usually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a DC solenoid valve. In general, the time of action in a DC solenoid valve has strongly relationship with attraction force, and decreases as attraction force increases. In this paper, the shape of the pole face of plunger and core are suggested as design variables to maximize the attraction force at maximum stroke. And they are optimally designed to minimize the time of action in the design of DC solenoid valve. On the other hand, an AC solenoid valve has advantages such as convenient power source, quicker response, lower price compared with a DC solenoid valve. However it also has drawbacks such as eddy current loss in shading coil which results temperature rising, and pulsation of attraction force at the holding state which may induce undesirable mechanical vibration and acoustic noise. Most vibration and acoustic noise are generally induced by pulsation of attraction force. In this paper, the position of shading coil and air-gap length of unshaded pole are suggested as design variables to minimize the pulsation of the attraction force. And they are optimally designed to minimize the pulsation of the attraction force at the holding state. The optimization method is divided into deterministic and non-deterministic(or stochastic) method. In general, the convergence speed of deterministic method is very fast because of using gradient vector of objective function. This method needs the gradient vector of objective function with respect to design variables. It is very complex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design variables and the time of action or pulsation of attraction force which are used as objective functions in this paper, therefore, it is very hard to represent these relationships as analytic functions. Therefore the stochastic method which only needs values of objective function is proper as optimization method. For this reason, response surface method(RSM) using multi-quadric radial basis function and (1+1) evolution strategy which is one of stochastic methods are used for shape optimal design. And optimization results are verifi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F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