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9학년 국어과 교과서 수록 소설의 주제 연구

        윤정훈 단국대학교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he grade application of 2007 revision curriculum, 9th grades’ textbook changed a national textbook into an authorized textbook. This manuscript is found the present condition recorded in the 9th grade of Korean and life Korean textbooks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on Korean curriculum and authorized textbook through studies about subject of novels. I thought that only revision and complement about things which was not enough of incompletion in the first try of the authorized textbook and a continual effort about this system’s fundamental meaning and benefits would make us to develop not only just have a quantity increment. In second chapter, I arranged the notion of the literature and story’s topic and based on that I found ‘a necessary of education of novel’s topic.’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product if you didn't understand the topic of the story based on a special quality of the type of the story. You can’t say that you understand the story if you just understand a part of the story and overlooked the topic. That topic is what the story wants to say to readers and the reason why the author made that literature. The readers have many experiences and internalize that and make a motive of growth of ego. In third chapter, I have studied 9th grade Korean textbooks by kind and times and analyzed the contained novel more objectively and delicately before I study the aspect of the balanced reception of the story. By the ‘way to grasp the story’s subject.’ I established the stories to 6 kinds. First I classified the stories in every textbook by theme. And then, I analyzed a problem of the story in the national textbook. A system which the Korean textbook was the national textbook for 50 years but it changed into the authorized textbook in 2007, a new education system. As every system has the benefits and problems, although an authorized textbook has the benefits and problems too. It is resonable to try to less the problems and increase the benefits. I think a study of education system or a textbook to supplement the problems will affect a positive affect for future’s education system and textbook system.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단계별 적용에 따라 9학년 교과서도 국정에서 검정으로 전환되었다. 본고는 9학년 국어·생활국어 교과서 소설 수록 현황과 소설 주제에 관한 연구를 통해 검정교과서 및 국어과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처음 시행된 국어과 검정도서제의 부족하고 미흡했던 점을 수정·보완하고, 검정도서제의 근본 취지와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끝임 없는 노력만이 앞으로 있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검정교과서가 단순한 양적 증가로 그치지 않고 보다 나은 방향으로 발전될 수 있는 밑거름이라 생각한다. Ⅱ장에서는 문학과 소설 주제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설 주제 교육의 필요성’을 모색하였다. 소설 장르의 특성상 소설의 주제를 이해하지 못하고 작품을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소설의 특정 내용만을 파악하고 주제를 간과한다는 것은 그 소설을 제대로 이해했다고 할 수 없다. 이는 소설의 주제가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중심생각이며, 작가의 창작 목적이기 때문이다. 독자는 소설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고 이를 내면화하여 자아 성장의 모티프로 삼는다. Ⅲ장에서는 9학년 교과서 수록 소설의 주제 연구에 앞서 12종 9학년 국어·생활국어 교과서 소설의 작품별, 시대적 배경 현황을 파악하고 데이터화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9학년 국어과 교과서 수록 소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설 주제의 파악 방법을 토대로 소설의 주제를 총 6개 군으로 설정하였다. 우선은 9학년 교과서 수록 소설 전체에 대한 주제별 분류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단위학교에서 선정된 검정교과서로 한 학년을 학습하는 교육적 상황을 고려하여 출판사별 교과서 수록 소설 주제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9학년 교과서 수록 소설 주제 현황과 문제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50여년을 유재해온 국어과 교과서의 국정 체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검정도서제로 전환되었다. 모든 체제에 장·단점이 존재하듯이 검정도서제도 장·단점이 존재한다. 단점의 최소화와 장점의 최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교육과정 및 검정도서제의 분석과 연구를 통한 미흡한 점에 대한 보완이 앞으로 있을 교육과정 개정 및 검정도서제 정착에 긍정적인 밑거름이 되리라 생각한다.

      • 흡연이 十二經 背兪穴의 체표생체전하에 미치는 영향

        윤정훈 大田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oking on the skin bio-electrical capacitance at twelve back transport points. Methods : Twenty healthy male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smoking and the sham-smoking groups by a random cross-over design. Skin bio-electrical capacitance was measured at twelve back transport points for 10 minutes before and after smoking or sham-smoking. The change of skin bio-electrical capacitance was analysed. Results : 1. The skin bio-electrical capacitance at BL15 and BL28 in the smoking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ose in the sham-smoking group. 2. The skin bio-electrical capacitanc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pinal level of the back transport point in the sham-smoking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kin bio-electrical capacitance and the spinal level was found in the smoking group. Conclusions : Smokin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kin bio-electrical capacitance at the back transport points of heart and bladder. Smoking seems to disturb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to deep breathing.

      • 품질경쟁력 확보를 위한 6시그마 적용의 개선방안

        윤정훈 대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oday's competitive market driven world, a company's survival depends on its ability to provide high quality products accompanied by total customer satisfaction. To satisfy the needs of customers, companies strive for defect free products. This requires companies establish an integrated qua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SO 9000, ISO 14000, QS 9000, AS 9000, TL 9000, lOO PPM, and six sigma. Among these, the Six sigma movement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quality improvement methodology in practice. This paper shows that how to integrate the Six sigma into the existing quality system as a continuous quality tool. Through surveys on the total quality management system from various type of industries,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for benchmarking competitors, and how to conduct the quality management innovation. Definition and history of six sigma, statistical measures, organization and training, implementation system and procedures are explained in detail. Some companies those successfully applied six sigma system such as Motorola, GM, Allied Signal, General Electric, Texas Instruments, Bombardier, Crane company, Lockheed Martin, Polaroid, Samsung SDI, LG electronics are introduced. Form the surveys and discussions with engineers, we present some guidelines on six sigma quality innovation.

      • 한국 현대 도심사찰의 건축적 경향에 관한 비교연구

        윤정훈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불교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 고려시대를 거치는 동안 시대적·사회적 상황에 부응하면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창조하는 주역이 되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불교탄압에 의해 산중불교의 형태를 가지면서 대중과 멀어졌으나, 현대는 다시 도심 속에 사찰을 형성하여 대중과 가까워지고 있다. 현대 불교의 이념과 역할은 과거와 달리 상당히 변화되었고, 이제는 더 이상 예불 기능만으로는 대중들과 가까워질 수 없기 때문에, 본질적인 예불 기능 외에 각종 사회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사찰 건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찰 건축물의 수평적인 과정적 배치가 현대 도심사찰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알아보고, 현대인들의 요구조건에 따른 도심사찰 건축의 형태, 공간, 기능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장에서는 사찰건축의 성립과 배경, 공간구성의 특징, 그리고 한국의 전통사찰 건축의 가람배치형태를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으며, 각 시대별 배치 양식에 대해 특징을 분석하였다. 현대는 도심사찰로서 포교원과 자체 사찰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전통 사찰과의 차이점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현대 도심사찰 건축의 동향에 따른 도심사찰 건축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현대 도심사찰의 특징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서울 시내 도심에 위치한 사찰 4개소(불광사 중창불사, 구룡사, 법련사, 법룡사)를 중심으로 도심사찰의 건축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전통사찰 건축과 현대 도심사찰 건축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첫째는 형태변화이다. 도심 사찰 건축은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지상 3,4층의 규모로 다층화되며, 경제적 건축을 위하여 근대적 건축 재료인 시멘트, 유리, 강재,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과 철근콘크리트, 강구조와 같은 구조방식을 적용하여 건축형태에 있어서 전통건축과 다른 새로운 경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도심 사찰건축은 사찰의 건축적 상징성을 위하여 형태적으로 전통건축의 양식을 사용하고 있어 주변건축물과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거나, 대지의 최대한 이용으로 주출입구는 도로와 곧바로 접하게 되어 계단 및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영역을 구분하였으며, 대체적으로 폐쇄적 이미지를 보이고 있어 도시에 대한 배려가 미흡한 점이 있다. 둘째는 공간의 변화이다. 넓은 대지 위에 각각의 기능을 갖는 전각들이 외부공간에 평면적으로 배치된 전통사찰건축과 달리 도시를 중심으로 포교활동을 하면서 세워진 도시형 사찰건축물들은 대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각각의 기능들이 하나의 내부공간에서 수직적으로 연결되어 수평적 외부공간 중심의 공간구성에서 수직적 내부 공간 중심으로의 큰 변화를 갖는다. 세째는 기능의 변화이다. 현대도심사찰은 예불, 법회, 수행 등 기존 사찰의 기본적 기능들을 수용하면서 개인 참선실, 신도실 등이 부속공간이 추가되어 있고, 점차 교육 및 강연, 유치원, 예식장, 도서실, 전시, 판매시설 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여 종합적인 사회복지시설이 되어 가고 있다. 이들 공간들은 다중이 동시에 이용하는 시설들로 비교적 주출입구에 가깝게 연결되고 있으며, 혼재된 동선의 흐름을 피하고자 정적인 공간 즉, 상층부의 대웅전으로 가는 동선과 동적인 공간 즉, 하층부의 대강당으로 가는 동선으로 분리하여 동선의 교차를 구분하고자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Buddhism in Korea has played a major role in creating a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as it has lived up to generational and social situations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unified Shilla to the Koryo Dynasty. However, due to the oppression of Buddh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became distant from the public as the religion became a form of a mountain Buddhism, but is becoming closer to the public in the modern days as temples are being built in the city. The ideology and role of Buddhism have changed a lot compared to those of the past. In addition, since the Buddhist service itself cannot render the religion closer to the public,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emples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social functions other than the servi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horizontal process arrangement of traditional temples have been accommodated into modern temples in the city, and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rm, space,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emples in the city that follow the demands of modern people. In Chapter 2, the study has considered the establishment and background of templ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and Korean traditional temple construction’s forms of temple arrangement through references, and ha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rrangement styles for each period. propagation centers and modern temples were taken as examples for modern temples in the various functions conducted inside the modern temples - erected in the city to engage in propagation activities focusing on the city - are vertically connected for efficient use of land. Therefore, modern temples have greatly changed from a focus on outside spacing to a focus on horizontal inside spacing. The third is a change in function. Accommodating basic functions of temples, such as the Buddhist service, ceremonies, and ascetism, modern temples in the city are becoming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facilities as affiliated space, such as individual meditation rooms, Buddhist rooms and training and lecture centers, kindergartens, wedding halls, libraries, exhibitions, and sales facilities are being built inside the temples. The above facilities in which many people use at the same time are, in general, closely related to main entrances and exits. Also, the way to the main temple in the upper story or static space and the way to an auditorium in the lower story or dynamic space are divided in order to avoid a flow of mixed traffic.

      • 非燒成 方式에 의한 흙의 資源化 開發에 關한 實驗的 硏究

        尹晶壎 忠南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environmental and other reason the number of readily accessible disposal sites for waste products around major cities in this country have decreased in recent yeasr. On the other hand, bothe the disposal volume and maximum sizes of wastes have been getting bigger every year. Moreover, distance between demolition sites and disposal areas become larger as well as transportation costs higher. In the long run, as demolition contractors the difficully and expense have increased to dispose building wasted and demolition rubble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 run of ecosystem resulted from throughtless development of past time emphasize the value of environment in various fields. A new concept pursuing harmony between human and an ecosystem, for example, eco-village, environmental friendly archtecture, and sustainable arhcitecture etc, appeared in the archtectural field. Ecological architecture was appeared in the background of the ecosystem theory. And it aims organic relationship reovery among human, nature and architecure. Traditional way of architecture using earth has been neglected. But much interest is taken into earth architecture focused on small buildings. Hwangtoh is natural material, ecological and healthful material. Hwangtoh is similar to Goryoungtoh, and is a kind of metakaolin which is one of the natural pozzolana. Hwangtoh, primary clay is consist of SiO_2 35∼45%, Al_2O_3 20∼35% and Fe_2O_3 5∼15%, is so similar to the admixtures causing pozzolanic reactions. The prodecing places of Hwangtoh are common throughout the mountain surface of field. And the amoun fo Hwangtoh are 10% of the hole country, so the utilizable value of Hwangtoh is very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Hwangtoh for the application of a construction material. This study suggest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promotion of building materials. This paper is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of this study. Chapter 2 is theoritical inquiry of Soil and Clay and Hwangtoh. Chapter 3 i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Earth. Chapter 4 i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arth as a resource with Non-burning method. Chapter 5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ellows ; (1) The compressive strength of Hwangtoh is locally different. (2) The non-addition Hwangtoh mortar of admixture is get loose. (3) The compressive strength of Hwangtoh mortar is higher by addition of cement and Ca(OH)_2 and the proper addition ratios of cement and Ca(OH)_2 is above 7.5% and 9%. (4) the properties of compressive strength for the Hwangtoh with the addition admixture is better than the unusing of admixture. (5) The strength of Hwangtoh by addition ratio of Ca(OH)_2 is highest at the occasion of addition ratio 15%.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nvinced that non-burning Hwangtoh is positive to the Ca(OH)_2 and is possible to be used as construction materials. * A thesi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Graduated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ngineering Conferred in February, 2001

      • 도시낙후고립지역의 경계 공간 디자인을 통한 도심 주거지 재생 방안 연구 : 동소문동2가 성북천변을 중심으로

        윤정훈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는 거대한 유기체로서 끊임없는 변화와 성장을 거듭해 왔으며, 도시의 변화는 사회적으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서울은 도시의 변화가 가속화 되면서 변화의 흔적이 도시 곳곳에 자리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도시공간은 변화의 속도에 맞추어 발달했지만 일부 그 속도에 적응하지 못한 채 그 자리에 머물러있는 지역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도시 성장에 있어서의 불균형은 서로 대립을 일으키며 혼재되어 도시조직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급속한 근대화의 흔적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서울에는 노후 되고 낙후된 지역을 재개발 하려는 시도들이 진행되면서 단절된 경계부들이 형성되고 있다. 기존의 도시구성과의 조화, 주변과의 균형은 무시되어온 지금까지의 개발방식은 수많은 경계요소를 생성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렇게 형성된 경계들은 현대도시에서 타 영역과의 교류를 단절시켜 연속적 도시공간의 구성을 저해하고 지역 간의 소통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도심부에 낙후된 주거 지역이 개발되는 경우 주거지역 내부의 환경은 개선되나 여전히 지역을 단절하는 경계부를 형성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건축적 해결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지인 서울시 성북구에 위치한 동소문동2가는 블록 내부에는 낙후된 도시형 한옥이 형성되어 있으며 블록의 가장자리에는 현대화에 의한 상업이 구성되어 있는 지역이다. 또한 주변으로 성북천을 면하고 있어 블록의 외적으로 쾌적한 조건의 주거 환경을 가지고 있다. 서울시가 재개발구역으로 지정하면서 이 지역의 주민들은 지역이 개발되기를 기대했다. 하지만 조합설립인가만을 마친 채로 여전히 미시행되고 있다. 동소문동2가 재개발구역에 제안되었던 개발계획은 아파트 단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철거재개발 방식의 아파트 건립은 기존의 도시구조와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계획이었다. 이와 같은 계획은 시행과정에서 많은 제약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현실적인 개발의 진행이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철거 재개발 방식보다는 수복형 정비수법을 적용함으로써 지역의 점진적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도시의 변화속도에 따라 병풍처럼 가로막고 있는 경계공간인 상가를 재구성함으로써 단절적 경계공간을 소통함으로써 정비계획의 중심역할로 작동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도심 주거지 재생수법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그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 현재시점의 문제와 한계점을 분석하여 대상지역에 맞는 개발방식의 방향을 모색한다. 또한 도시의 경계공간이 가지는 다의적 요소를 파악하고 도시에 존재하는 단절적 경계를 극복함으로써 도시공간의 연속성을 회복하고 나아가 도시고립지역의 활성화를 유도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찾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 식물추출물에 의한 VHR의 활성 저해 효과 및 DUSP28의 특성분석

        윤정훈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Dual-specificity protein phosphatases (DUSPs) constitutes a family of protein phosphatase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dephosphorylate phospho-tyrosyl and phospho-seryl/threonyl residues. Most of DUSPs are involved in regulation of cell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The full-length Vaccinia H1-related phosphase (VHR) gene was amplified by PCR using the human cDNA. The amplified PCR product was subcloned into the NdeI - BamHI site of the pET28a(+) vector. BL21(DE3) E. coli cells harboring the VHR gene were grown at 18℃, and the protein expression was induced with 0.1mM IPTG for 16 hour. The His-tagged VHR protein was purified by nickel-affinity chromatography.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82 plant extracts on the VHR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the p-nitrophenylphosphate (p-NPP) as a substrate. Empetrum nigrum L. var. japonicum K. Koch, Geranium nepalense subsp. thunbergii, Halorrhagis micrantha R. Br, Oenothera biennis L., and stems of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et Zuccarini has strong inhibitory effects on the VHR activity. The serum-starved 293T cells were incubated with the plant extracts (0.02mg/ml) such as Empetrum nigrum L. var. japonicum K. Koch, Geranium nepalense subsp. thunbergii, Halorrhagis micrantha R. Br., Oenothera biennis L, and Oenothera biennis L for 1 hour and treated with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The cell lyastes were prepared, and the levels of phosphorylated ERK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using antibodies against phospho-p42/p44 ERK and p42/p44 ERK. Halorrhagis micrantha R. Br showed little increase in the phosphorylation of ERK in 293T cells, whereas Empetrum nigrum L. var. japonicum K. Koch, Geranium nepalense subsp. thunbergii,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et Zuccarini, and Oenothera biennis L enhanced the phosphorylation of ERKs at 5 minute. Among the extracts tested,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et Zuccarini showed the strongest accumulation of the phosphorylated ERKs at 5 minute, and a strong band of the phospho-p42/p44 ERK was detected after 1 hour,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and the other extracts. Although the extract of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et Zuccarini has been used for various medicinal purposes, the inhibitory effect on phosphatase has not yet been reported.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No.56 is a potent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a VHR inhibitor. Next, a human dual-specificity protein phosphatase, DUSP28, was isolated from a human kidney cDNA. The recombinant protein was successfully produced in E. coli and showed a sufficient phosphatase activity toward DiFMUP (6,8-difluoro-4-methylumbelliferyl phosphate). Various phosphatase inhibitors and divalent metals were tested for their effects on the DUSP28 phosphatase activity. As results, Zn2+ was found to strongly inhibit DUSP28 phosphatase activity, suggesting DUSP28 is involved Zn-related signal transduction pathway. Furthermore, the DUSP28 protein preferred phospho-tyrosyl residues to phosphor-threonyl residues, implying its physiological roles in cellular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