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남.여 학생의 학교급식 만족도 및 기호도 조사 연구 : 춘천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윤영숙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with school food service, their food preference, awareness of school food service and attitude toward that in an effort to help growing students build up the right dietary habits, to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servi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50 elementary schoolers in the upper grades in the region of Chuncheo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regard to breakfast-eating frequency,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had breakfast everyday. The second greatest group did that often, and the third largest group ate breakfast from time to time. 3.8 percent never had breakfast. The greatest factor that affected their dietary habits was their families, followed by TV or radio advertising and homeroom teachers. As to what dietary habit should be corrected, the boys found it more necessary to correct their unbalanced diet, and the girls considered it more necessary to have meals on a regular basis. Concerning the intake of instant food, the boys had a more liking for instant food than the girls. In terms of the intake of milk, the largest group that accounted for 47.8 percent had a cup of milk a day. 2. As for the necessity of school food service, 83.4 percent of the boys and girls felt the need for that. Regarding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food service, the greatest group considered it neither satisfactory nor unsatisfactory, followed by the satisfied group and the unsatisfied group. The boys expressed more satisfaction than the girls. In terms of the amount of provided food, the largest group deemed it neither satisfactory nor unsatisfactory, followed by the satisfied group and the dissatisfied group. The boys were more contented with the amount of food than the girls. As to the temperature of food, the satisfied students made up the largest group. The second greatest group had a moderate opinion on that, and the third largest group was dissatisfied. In regard to the saltiness of food, the satisfied students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 The second greatest group found it neither satisfactory nor unsatisfactory, followed by the dissatisfied group. In terms of the types of food, the students who deemed the types of food to be neither satisfactory nor unsatisfactory made up the largest group, followed by the satisfied group and the unsatisfied group. The boys were more pleased than the girls in that regard. 3. In terms of the sanitary conditions of trays, the largest group were unsatisfied, and the second greatest group had a moderate opinion on the sanitary conditions of trays. The satisfied students constituted the third largest group, and the girls were more dissatisfied than the boys. As for the services of cooks, the students who deemed their services to be neither satisfactory nor unsatisfactory made up the largest group, followed by the satisfied group and the unsatisfied group. In regard to menu diversity, the largest group had a moderate opinion on that, followed by the satisfied group and the unsatisfied group. 4. Concerning the state of food intake, the students left soup the most on their trays, followed by kimchi, side dishes and boiled rice. The boys left more side dishes than the girls, and the latter left more soup than the former. As for the merits of school food service, the greatest group found themselves to have a less unbalance diet, and that tendency was more stronger among the girls than the boys. In relation to attitude toward school food service including the reason why they ate all the food provided, the most dominant reason was that the food was tasty. The second most prevalent reason was that their favorite food was served, and the third most common reason was that the food was conducive to health. The fourth most rampant reason was not to be scolded. When the food they didn't like was offered, the largest group tried to eat a little of it. 5. Regarding food preference, Bibimbap was most preferred in the category of boiled rice, followed by cooked rice and Bokeumbap. The girls had a more liking for Bibimbap than the boys. In the category of soup, rice-cake soup was most favored, followed by Galbitang and Gamjatang. In the category of boiled food, boiled chicken was most preferred, followed by boiled quail egg. In the category of fried food, sweet and sour pork was most preferred, followed by fried dumplings and seasoned whole chicken. In the category of panbroiled food, Ddeokbbokgi was most preferred, followed by panbroiled pork and Bulgogi. The boys were more fond of Ddeokbbokgi than the girls. In the category of steamed dish, steamed pork ribs were most favored, followed by steamed chicken and steamed egg. 6. As for preference for Jeon and roasted dish, hamburger steak was most favored, followed by roasted dumplings and roasted laver. In the category of kimchi, fried kimchi was most preferred, followed by Ggakdugi, Yeolmukimchi and cabbage kimchi. In the category of rice cake and beverages, honeyed rice cake was most favored, followed by Mujigaeddeok and Injeolmiddeok. In the category of seasoned vegetables, Jabchae was most favored, followed by Jjolmyeonmuchim and seasoned acorn jelly. In the category of fruit, tangerines were most preferred, followed by oranges and grapes. The boys had a more liking for apples than the girls. In the category of salad, fruit salad was most favored, and the girls were more fond of it than the boys. The findings of the study justified the necessity of school food service but suggested that the students considered it neither satisfactory nor unsatisfactory. Specifically, they complained of cooks in general, which indicated that cooks should receive sanitary education and be taught to be more friendly. As for food preference, they had a strong preference for fried food and meat, whereas they were not fond of fish and vegetables. If intensive research efforts are directed into diversifying the types of food and recipe, quality school food service will be provided, and students will be more satisfi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남·여 학생의 학교급식 만족도와 음식기호도, 급식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여 성장기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효율적인 학교급식 운영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학교급식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은 춘천지역 초등학생 고학년 9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침식사 빈도별 조사결과는 아침을 항상 먹는다>자주 먹는다>가끔 먹는다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침을 전혀 먹지 않는 학생은 3.8%로 조사되었다. 자신의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가족>TV ,방송 등 광고>담임선생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식습관 중 고쳐야 할 점에 대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편식을 고쳐야 한다, 여학생은 남학생 보다 불규칙한 식사를 고쳐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인스턴트식품 섭취에 대한 인식은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인스턴트식품 섭취를 좋아하였으며, 우유섭취 실태는 우유를 하루에 1컵 먹는 학생이 47.8%로 가장 많았다. 2. 학교급식의 필요성에 대해 남·여학생 83.4%가 학교급식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보통>만족>불만족 순으로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학교급식 음식의 양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만족>불만족 순으로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음식의 온도에 대하여는 만족>보통>불만족 순으로 나타났으며, 음식의 간에 대하여는 만족>보통>불만족 순이었다. 음식의 종류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만족>불만족 순으로,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음식의 종류에 대해 만족하였다. 3. 급식에서 제공되는 식판의 위생상태에 대한 만족도를 보면 불만족>보통>만족 순으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불만족도가 높았다. 급식 조리원들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만족>불만족으로 나타났으며, 식단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를 보면 보통>만족>불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4. 음식섭취 실태에서 가장 많이 남기는 음식으로는 국>김치>반찬>밥 순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반찬을 많이 남겼고, 여학생은 남학생 보다 국을 많이 남겼다. 학교급식의 좋은 점에 대해서는 음식을 골고루 먹고 편식이 줄었다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학교급식을 먹으면서 음식을 골고루 먹고 편식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급식에 대한 태도로 음식을 남기지 않고 다 먹는 이유에 대해서는 음식이 맛있어서>좋아하는 음식이 나와서>건강에 좋아서>남기면 혼나기 때문에 순이며, 급식에서 좋아하지 않는 음식이 나올 때 태도를 보면 조금이라도 먹어본다는 학생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5. 음식의 기호도 조사 결과 밥류의 경우 비빔밥>쌀밥>볶음밥 순으로, 비빔밥에 대한 기호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국류로는 떡국>갈비탕>감자탕 순이며, 조림류에 대한 기호도로는 닭조림>메추리알조림, 튀김류에 대한 기호도로는 탕수육>만두튀김>양념통닭, 볶음류에 대한 기호도는 떡볶이>돼지고기볶음>쇠고기불고기 순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떡볶이를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찜류에 대한 기호도는 돼지갈비찜>닭찜>계란찜 순으로 나타났다. 6. 전 및 구이류에 대한 기호도는 함박스테이크>만두구이>김구이, 김치류에 대한 기호도는 김치볶음>깍두기>열무김치>배추김치 순으로 조사 되었다. 떡류 및 음료로는 꿀떡>무지개떡>인절미떡 순이며, 무침류에 대한 기호도로는 잡채>쫄면무침>도토리묵무침 순으로 나타났다. 과일류에 대한 기호도로는 귤>오렌지>포도 순으로 사과에 대한 기호도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샐러드에 대한 기호도는 과일샐러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샐러드에 대한 기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학교급식의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으나, 학교급식 만족도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조리 종사자에 대한 불만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나 조리 종사자에 대한 위생교육 및 친절교육이 매우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음식의 기호도 에서는 튀김류 및 육류에 대한 선호도는 높은 반면 생선 및 야채류에 대한 선호도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급식 만족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해 음식의 종류 및 조리법의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연구 노력하면, 학교급식 만족에 대한 질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 가운데 거하시는 초월, '하나님의 몸' : 샐리 맥페이그의 생태신학 연구

        윤영숙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to discuss Sallie McFague's theological thought, focusing on her model of the universe as the "body of God". It is to reflect on McFague's theological thought which has been developed through her metaphorical and constructive theology. It is then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panentheism in McFague's model of the universe as "God's body", and to prospect a direction for a new worldview.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introduces McFague's theology on the whole. For McFague, theology is always a metaphor that does not move toward metaphysics or absolute claims. Based on this metaphorical theology, McFague carefully considered Gordon Kaufmann's theological method, constructive theology, which led her to present models of God as Mother, Lover and Friend. Influenced by both Pierre Teilhard de Chardin and Alfred North Whitehead's process theology, McFague critically examines the classic organic model and accepts the common creation story, which leads her to propose the procreative-emanationist model of the universe. She then combines the traditional agential model and the new organic model that views the universe as the "body of God", suggesting the model of God as the transcendent agent/organic indweller. Extending the doctrine of incarnation in Christianity, McFague constantly claims that the neglected and oppressed creatures on the earth and the earth itself should be included as the 'shape' of the body of God. Such Christian nature spirituality needs not the "arrogant eye" from the "subject-object" model but the "loving eye" from the "subject-subjects" model that views the nature as subjects. According to McFague, in the neo-classical view of human beings, which exercises as our ideology, the image of a free individual has been turned into a worshipping of individualism which leads to consumerism. She argues that capital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must concern sustainability of the earth as well as its resources and well-being. That "Theology matters" is McFague's exclamation, for the essence of the "problem" such as the climate change and consumerism is in our head and our heart. That is, we must re-convert from egocentricism to theocentrism; we need to return to the radical incarnationalism that sees God everywhere. The later part of this thesis contemplates on panenthesim, expressed in the model of the universe as the "body of God". Her panentheism brings us intimacy with God and all creatures in the world as well as responsibility. Furthermore it helps us overcome "God of philosophers" that has been criticized by the modern atheists. However, limitations exist: the panentheism that encourages the human responsibility may lead to the passivity of "embodied" God; God's self-sufficiency needs more discussion; and God's dignity is relatively weakened compared to God's charity. Nevertheless, the author argues that the "radical immanence" in McFague's panentheism is the transcendence beyond transcendence, which is in accordance with her argument that "God is God when God is not being God." Before we can understand this love of "voluntary helplessness" expressed in "radical immanence" that faces the coincidental and passive nature of the body, the love of God so perfect and so comforting should reach our hearts first. This leads us to realize the need for a new God-talk that embraces both the "sufficiently excellent" transcendence from the classical theism, and the ethical and aesthetic transcendence in "radical immanence" from panentheism. In light of Ken Wilber's "Holarchical Kosmology", McFague's God who dwells in the universe overcomes the plane understanding with transcendence beyond our mind. If McFague's panentheism, which refers to God who surpasses all dimensions and emphasizes "relationship" and "companionship", is understood with the oriental thought that has regarded the nature as subjects, it can be developed as a worldview that connects the East and the West. In our part we need to re-examine our understanding of "existing God by non-existing" of Dasuk Ryu Young-Mo and "ssi-al (seeds)" as well as "ttut (meaning)" of Ham Suk-Heon. It would be our next task to find "ttut" in "bintanghande(emptiness)" and to connect the stories of "minjung(people)" who acts out the "sichunju(serving God)" thought as "ssi-al" - a meaningful contribution of Korean theology to a new God-talk. 샐리 맥페이그(Sallie McFague)의 세계를 ‘하나님의 몸’으로 보는 모델은 구성신학이라는 특성을 갖는 그의 신학 전반을 이끌어 간 핵심 은유이지만, “육체의 한계를 갖는 ‘몸’ 모델이라면 하나님의 초월성은 포기되는 것인가?” 하는 논점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세계를 ‘하나님의 몸’으로 보자는 그의 충격적인 제안에 대한 한국 신학계에서의 논의는 충분하지 않았고, 많은 논문에서 인용되고 있지만 그의 신학에 대한 연구도 단편적으로만 이루어져 왔다. 이에 연구자는 맥페이그의 신학 전반을 살펴보면서, 그가 ‘하나님의 몸’ 모델을 말하게 된 신학적 배경과 그 타당성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방법은 맥페이그의 신학을 연구한 이차 자료를 참고하기 보다는, 번역되지 않은 원서(原書)를 포함한 그의 모든 저서들에서의 직접적인 저술 내용에 집중하여, 그의 신학적 사상을 보다 명료하게 전달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그의 신학적 전기(轉機)에 영향을 주었던 다른 신학자들의 저서도 함께 살펴보았다. 논문의 전반에는 맥페이그의 신학 사상을 전체적으로 고찰하였다. 맥페이그에게 신학은 항상 은유일 뿐 형이상학이나 절대적 주장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그는 이러한 은유신학의 바탕 위에 고든 카우프만(Gordon Kaufmann)의 구성신학적 방법론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어머니·연인·친구라는 새로운 하나님 모델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우주의 육체를 입은 영으로서의 하나님’이 기독교 신앙과 현대 과학의 해석이 양립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하면서, 이 세계는 출산/유출된 ‘하나님의 몸’으로, 하나님은 초월적 행위자/유기적 내재자로 보는 모델을 제시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모델을 제시함에 있어 떼이야르 드 샤르댕(Pierre Teilhard de Chardin)과 화이트헤드(A. N. Whitehead)의 과정신학에 영향을 받은 맥페이그가 고전적 유기체 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보편적 창조이야기를 수용하여, 성육신의 교리를 재해석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맥페이그의 지속적인 주장은 성육신의 교리를 확장하여, ‘하나님의 몸’이라는 ‘형태’에 무시당하고 억압당하는 지구와 지구의 다양한 피조물들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주체-객체’ 모델에서의 ‘오만한 눈’이 아닌, 자연을 주체로 보는 ‘주체-주체들’ 모델에 그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는 새로운 성례전주의를 더한 생태적 모델에서의 ‘사랑어린 눈’이라고 한다. 하지만 경제를 말하지 않고는 사랑을 말할 수 없음을 깨달은 맥페이그는, 신고전주의 경제 모델에서 중요하게 부각된 ‘개인’과 ‘성장’이라는 가치가 개인주의 숭배로 변질되고 소비주의로 발전되어 온 것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새로운 시장 자본주의는 경제학이 의존하고 있는 지구 그 자체의 안녕과 지속가능성을 포함하는 생태적 경제 모델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가 강조하는 것은 기후붕괴, 소비주의와 같은 ‘문제’의 핵심은 우리의 머리와 가슴에 있기 때문에 “신학이 중요하다”는 것이고, 우리가 하나님중심주의로 회심하여 어디에서나 하나님을 보는 철저한 성육신주의로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논문의 후반에서는 맥페이그의 ‘하나님의 몸’ 모델에 표현된 범재신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하나님의 몸’ 모델이 갖는 가장 큰 성과는 하나님의 초월/내재의 경계를 허물며, ‘초월 너머의 초월’로 이 세상에 ‘내재하는 초월’을 부각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내재하는 초월’은 하나님의 급진적 사랑의 표현이며, 바로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는” 초월이다. 이렇게 ‘철저한 내재’로 표현되는 범재신론에서의 윤리적이고 심미적인 초월의 사랑을 깨달아 알기까지는, 고전적 유신론에서의 하나님의 ‘충분한 탁월하심’을 강조하는 초월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하나님 담론이 요청된다. 이를 위해서는 기독교 범재신론에 대한 동양적 이해와 동양 사상을 기독교적 시각에서 지평 융합한 우주론이 중요한 통찰이 될 것이다. 우리의 입장에서는 ‘빈탕한데’에서 ‘뜻’을 찾고, ‘시천주(侍天主)’의 사상을 ‘씨알’이 되어 실천하는 ‘민중’들의 이야기를 재조명하고 연결하는 일로 새로운 하나님 담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세계를 ‘하나님의 몸’으로 보는 모델의 진의를 고찰한 본고를 통하여 생태적 무심함과 내세적 구원관에 익숙한 교회와 개인이 ‘지구상의 생명 연속의 청지기’로서의 사명을 깨닫게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한국의 여성신학에도 전통적 기독교 교리의 해석을 넘어 구성(構成)으로 나아갈 수 있는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소망한다.

      • 시각적 상품전략에 대한 소비자인식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윤영숙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coffee has been popular, take-out coffee shops are increasing.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ior design of coffee shops, products and reliability of employees will influence customers' behaviors involving repurchase or word-of-mouth intention. Visual merchandising(VMD) that shops pursue for influences efficiency and images of shop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s will vary according to perceptions of customers on VMD which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trategic aspects of marketing. This study aims to analyse what influence customers' perceptions on VMD have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behaviors. In particular, it focused on medication effect of customers' satisfaction in an influence of customers' perception on their behaviors. For the purpose, it targeted a total of 160 customers who use take-out coffee shops in Gwangju. This study analysed differences in customers' perceptions on demo-statistical factors and found that perceptions for the subjects whose monthly income was more than 1 million won were higher within a range of p<.05 than those who had less tha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ustomers' satisfaction between them, which indicate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lasses of customers. With respect to behaviors of customers, female subjects showed more behaviors than male correspondents within a range of p<.05. It indicates that female customers were more aggressive than male ones as the number of the former was three times as many as that of the latter. In Hypothesis 1 that customers' perception on visual merchandising wi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s' satisfaction, function was rejected though out of four sub-hypotheses, suitability, reliability and harmony were adopted. In Hypothesis 2 that customers' perception on visual merchandising wi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s' behaviors, harmony and reliability had positive influences while func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However, suitability was rejected. Hypothesis 3 that customers' satisfaction wi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s' behaviors was adopted as satisfied customers had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s' behaviors. In Hypothesis 4 that customers' perception on visual merchandising wi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s' behaviors according to customers' satisfaction, mediation effect of satisfaction worked positively in harmony but negatively in function. However, reliability and suitability were rejected as they had no total effect or insignificant. As above, that VMD had an influence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behaviors, and mediation effect is expected according to customers' satisfaction was partially demonstrated. In particular, harmony in customers' perception in works as an important factor. It indicates that VMD of shops is important for efficient merchandizing. So differentiated and high-quality environments for shops should benvintinuously considered. That there are more women customers who show more aggressive behaviors than men means that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former should be developed. As brand coffee shops are exploding, to secure more differentiated markets, they should decide main targets and make every effort that meets their needs. 커피가 일반 대중화가 되면서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의 인테리어 디자인과 상품구성, 종업원의 신뢰성 등에 따라 소비자의 재구매나 구전의도 등의 행동의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것이 연구의 관점이다. 점포가 추구하는 시각적 상품전략(visual merchandising: VMD)은 점포의 효율성 향상과 이미지를 정립한다. 따라서 VMD에 대한 소비자인식의 차이가 고객만족 및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등 마케팅의 전략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VMD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여 VMD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특히 소비자인식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고객만족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 표본은 모두 160명이며 광주시내에서 영업 중인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대한 소비자인식 차이검증에서 월 소득수준이 100만원 이상인 경우에 p<.05의 범위에서 100만원 이하보다 높게 나타났다. 고객만족의 차이분석은 차이가 없어 소비자들의 분류계층에 따라 크게 영향을 차이를 주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의 행동의도는 성별로 보면 여자의 경우 p<.05의 범위에서 남자보다 소비자행동의 정도가 높았다. 이는 고객층이 여자가 남자보다 3배 이상이 되고 있어 그만큼 행동의도도 적극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시각적 상품전략에 대한 소비자인식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은 4개 하위가설 중 적합성, 신뢰성, 조화성 등은 채택되었지만 기능성은 기각됐다. 시각적 상품전략에 대한 소비자인식이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는 조화성, 신뢰성은 긍정적 영향을 주고 기능성에서는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반면 적합성은 기각됐다. 고객만족이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에서 만족한 고객은 비자의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채택됐다. 시각적 상품전략에 대한 소비자인식이 고객만족에 따라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4는 조화성에서 고객만족 매개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했고, 기능성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신뢰성과 적합성은 총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유의하지 않아 기각됐다. 이상에서 VMD가 고객만족과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에 따라 매개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소비자인식 유형 가운데 조화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커피전문점의 마케팅전략에 있어서 점포의 VMD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주변 점포환경과의 차별성이나 고급화 등을 지속적으로 검토해야 할 요소라고 판단된다. 또한 성별로 여자가 남자보다 훨씬 고객 수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행동의도가 높다는 것은 여성고객층에 대한 다양한 마케팅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커피전문점 시장이 최근 급팽창하고 있어 보다 차별화된 시장을 차지하기 위해 주요 타겟층을 설정하고 이들의 특성과 욕구를 파악하여 이를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기독교인 용서상담 프로그램이 목회자 부인들의 용서, 분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윤영숙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독교인 용서상담 프로그램이 목회자 부인들의 용서, 분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인 용서상담 프로그램’ (오오현, 2001)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교파적으로 목회자 사모세미나에 모인 100명의 목회자 부인들을 대상으로 사전용서 검사지를 실시 한 뒤 대인관계에 상처 경험이 있으면서 상처의 정도, 심각성, 부당성 점수의 합이 10점(4-16범위) 이상이고, 집단에 참가하기를 희망한 사모들 22명이었다. 실험집단은 2004년 5월 14일부터 2004년 7월 2일까지 총 8주간 8회기, 매회기 120분씩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용서, 분노, 심리적 안녕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10.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 회기 경험 보고서와 행동 관찰을 활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대한 평가 질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기독교인 용서상담 프로그램이 목회자 부인들의 용서수준은 통계적으로 향상되었고, 분노정도는 의미 있게 감소되었다. 심리적 안녕감에는 6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 자아수용, 자율성, 환경에 대한 지배력, 개인적 성장 등 4가지 항목에서는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대인관계와 삶의 목적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목회자 부인들이 겪는 여러 가지 억압된 감정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하므로 인한 결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for christians on forgiveness, ang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nisters’ wiv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Oh Oh-hyun’s(2001)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for christians was construc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 ministers’ wives drawn from 100 ministers’ wives who showed above the total score of 10 out of 16 on the three subscales, that is, the degree of being hurt, its severity, its unfairness, of the forgiveness test and reported the length of being hurt as longer than 1 week.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ight sessions, 120 minutes per session, were administered from 14th May 2004 to 2d July 2004. Each group was administered pre-tests and post-tests of forgiveness, ang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SPSS 10.0 program.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n pre-tests and post-tests were calculated and the effects were examined by ANCOVA. In addition, to evaluate the program effects qualitatively, open ended questionnaire and following-up repor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forgiveness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anger. It als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4 subscales out of 6 subscale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is,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and personal growth. Its seems like ministers’ wives have many kinds of deep stress, but they have no chance to learn how to cope with stresses.

      •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건강의 상관관계 : 인천광역시 동부교육지원청 관내 학교를 중심으로

        윤영숙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완화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인천 지역 중 인천동부지원청 관할 내에 있는 중학교 남녀학생 220명이었다.

      • Gregorian chant의 唱法에 대한 考察

        윤영숙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rue meaning of "The Gregorian Chant" is that the letter of a ritual written by the disorderly indigenous ritual and tongue was translated by Latin, the letter of ritual and the text of chant came to begin to unify, and the unity of churches was achieved. Likewise, the meaning in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world music is that musical notation was formulated, the great meaningful watershed was in the history of a religious music as well as world music in that the materals of the musical literature was inherited to the next generation, and the set-up of Schola Contorum was the first training center for specialist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chanting "The Gregorian Chant" excellently is to Chant the deep faith and the musical notation of the religionists participating in the veligious ritual uniformly, regularly, and clearly. Since it is the ritual music to pray to God, not to sing and listen to a song, it is based on the profound faith of the religion and avoids the emotional representation of the chanter. As "The Gregorian Chant" as Musica Sacred (the sacred music) is the chant entirely compatible with and harmonious with the Lord's prayer of the ritual,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the music of the religionists' inner lives consecrating themselves to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