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AC 활용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선택하기 및 사회성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윤애영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hoice-making and social skills of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y using AAC. The research involved five nine-year old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training program i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at are modified to fit the 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s the effect measurement tool, previous self-determination items are revised to be suitable for nine-year old students. This research adopted pretest-posttest method where the results are analyzed based on nonparametric testing. Qualitative data such as interview and observation data are analyzed as well to supplement the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the AAC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hoice utilization, which is the sub-category of choice-making. Second, the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the AAC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ading emotions, which is the sub-category of social skills. Since this research examined only fiv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uture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more students. Also, it would be fruitful for future research to examine the impact of AAC-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s on different age groups.

      • NLP를 활용한 진로집단코칭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윤애영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코칭심리전공 윤 애 영 지 도 교 수 최 혜 란 본 연구에서는 NLP 코칭의 기술을 활용하여 진로집단코칭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을 증진시키고 진로장애를 감소시키는 프로그램을 구성한 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1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4명(남자 12명, 여자 12명)이었다. 24명은 무선적으로 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으로 나누어 배치되었고 실험집단은 1회당 100분 주 1회 7회기에 걸쳐 총 7회기의 진로집단코칭을 실시하였다. NLP코칭 진로집단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 진로장애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으로 직업정보, 목표선택, 미래계획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진로정체감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진로장애의 하위요인으로 직업정보부족과 우유부단한 성격에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검사지 반응 결과를 보완하기 위한 프로그램 평가 소감문에서도 진로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의 향상을 나타내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는 2개월 후까지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NLP를 활용한 진로집단코칭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진로장애를 감소시켜 스스로 원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하기 위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사고를 형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NLP 진로집단코칭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이 보다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경험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직업 환경에서 잘 적응해 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울러 학교 현장에서 NLP를 활용한 진로집단코칭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효과가 검증되어 할 것이며, 각 연령과 집단에 맞도록 NLP를 활용한 진로집단코칭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