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1학년 영어 학습활동책의 어휘활동 분석

        윤선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어휘를 안다는 것이 어휘의 형태, 의미, 쓰임을 아는 것이라는 Nation(2001)의 주장을 바탕으로 우리 나라의 학습자들이 주로 의존하는 교과서에 이러한 활동들이 제시되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2009학년도부터 사용되고 있는 수준별 보조 교과서인 고등학교 1학년 영어 학습활동책 3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어휘의 형태, 의미, 쓰임을 지도하기 위한 활동이 제시되어 있는지, 어휘 지식 유형별로 어떠한 구체적 활동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징은 무엇인지, 어휘 지도 활동이 수준별로 다른 유형으로 제시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활동책에 어휘의 형태, 의미, 쓰임을 지도하기 위한 활동이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 3종 학습활동책 모두 어휘의 의미를 지도하기 위한 활동이 가장 높은 비율(55%)로 제시되고 있고, 형태(22%) 및 쓰임(23%)을 지도하기 위한 활동은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둘째, 어휘지도 활동을 어휘지식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어휘의 의미 지식은 학습활동책 모두 중점을 두고 지도하는 활동이 같으나, 형태 및 쓰임 지식은 학습활동책간에 중요하게 다루는 구체적인 활동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수준별 어휘지도 활동을 분석한 결과 형태, 의미, 쓰임 지도 활동의 전체적인 비율상에는 수준별 차이가 거의 없으나 지식 유형에 따른 구체적인 활동은 수준별로 변화를 주고 있는데 그러한 활동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는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휘를 아는 것이 필요하고, 학습자들이 충분한 어휘 지식을 갖기 위해서는 학습활동책에 어휘의 형태, 의미, 쓰임을 알기 위한 활동이 제시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분석 결과 의미지도 활동에만 편중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활동책에 형태 및 쓰임지도 활동이 충분히 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타 자료를 이용하여 형태 및 쓰임 지도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습활동책의 목적이 수준별 수업을 위한 것인 만큼 구체적인 활동을 몇 가지만 중점적으로 제시하기 보다는 학습자의 흥미와 욕구에 맞는 다양한 활동 유형을 학습자들의 능력 및 특성을 고려하여 수준별로 제시해야 한다. 학습자의 수준에 상관없이 공통된 어휘지도 활동을 제시하는 것은 효과적으로 학습자의 어휘 지식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 교과서 제작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어휘지도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는 몇 가지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외에도 교사의 노력과 창의성에 의해 학습자의 수준과 능력에 맞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모든 학습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유일한 최고의 어휘지도 방법은 없으므로, 학습자의 동기, 능력 등 교수•학습 상황에 따라 신중하게 어휘를 선택하고,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반복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환경이나 경험에 관련 있는 것부터 내용어(content words) 중심으로 가르침으로써 어휘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인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 아로마 흡입이 밤번근무 간호사의 수면과 피로에 미치는 효과

        윤선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로마 흡입이 밤번근무 간호사의 수면과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전후설계의 원시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서울 시내 C대학교 K병원 신경외과 중환자실에서 밤번근무를 하는 간호사로 총 17명이었다.자료 수집은 2007년 10월~12월까지 예비조사를 거쳐 본 실험 전ㆍ후 조사 순으로 이루어졌다.실험처치용 아로마는 레몬, 라벤더, 샌달우드를 1 : 2 : 1의 비율로 브랜딩한 에센셜 오일 27cc이었고, 처치 방법은 에센셜 오일을 2×2거즈에 1방울 떨어뜨려 코로부터 5cm 이내의 거리에서 2분간의 흡입을 취침 전 1회씩 총 2회 실시하였으며, 매 흡입 후 아로마 목걸이를 착용하도록 하였다.사전ㆍ사후 조사로 수면과 피로를 측정하였고, 객관적인 수면양상은 actigraph로, 주관적인 수면양상은 Verran & Synder-Halpern(VSH) Sleep Scale(1987)을 김경희(2001)가 번역한 도구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했고, 피로는 일본산업위생협회 산업피로위원회(1988)가 개발한 피로 자각증상 조사표와 cline 등(1992)이 개발한 시각적 상사 척도를 이용하였다.자료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비모수 분석 방법인 Friedman,과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분석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수면 잠복기는 아로마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 입면 후 각성횟수는 아로마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2=5.70, p=.05).3. 총 수면시간은 아로마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4. 수면 효율은 아로마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χ2=11.41, p=.003).5. 수면의 질은 아로마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2=25.53, p=.000).6. 피로 자각증상은 아로마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χ2=26.30, p=.000).7. 피로 자각강도는 아로마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χ2=24.30, p=.000).이상의 결과로 아로마 흡입이 밤번근무 간호사의 입면 후 각성횟수를 감소시키고 수면 효율을 증가시키며 피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으나, 수면 잠복기는 증가시키고 총 수면시간은 감소시키므로 이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original experimental study with 'before and after design' of single cluster to examine effects of inhalation of Aroma on sleep and fatigue of night shift nurses, and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tal 17 night shift nurses who work at neurosurgery intensive care unit of K hospital, of C university in Seoul city.Data was collected from preliminary survey in October~December, 2007 and successively before and after this experiment.Aroma for experimental treatment was 27cc of essential oil blended with lemon, lavender, sandalwood of which proportion was 1 : 2 : 1, and treatment method was to make objectives inhale essential oil in 2×2 gauze to which one drop was soaked, within the distance of 5cm from nose to take one breath two times before going to sleep while wearing Aroma necklace.Sleeping and fatigu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aminations, and actigraph for objective sleep type, a translated tool of Verran & Synder-Halpern (VSH)Sleep Scale(1987) by Kim Gyeong Hui(2001) for subjective sleep type were used to measure, and fatigue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 scale that Cline and others(1992) developed and the subjective symptoms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Industrial Fatigue Committee(1988) of the Japan Industrial Sanitary Association.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riedman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which is analysis method of real number, percentage, non-parameter was used to analyze.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1. The sleep latent period increased after inhalation than that before inhal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2. Awakening number decreased after inhalation than that before inhalation and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χ2=5.70, p=.05).3. Total sleeping hours decreased after inhalation than that before inhalation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4. Sleep efficiency increased after inhalation than that before inhal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χ2=11.41, p=.003).5. Quality of sleep increased after inhalation than that before inhalation and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χ2=25.53, p=.000).6. Subjective symptom of fatigue increased after inhalation than that before inhalation, and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χ2=26.30, p=.000).7. Intensity of subjective symptom of fatigue increased after inhalation than that before inhalation, and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χ2=24.30, p=.000).Above results clarify that inhalation of Aroma of night shift nurses reduce awakening numbers after sleeping and increase sleep efficiency and reduce fatigue, but increase sleep latent period and reduce total sleeping hours, on which repeated studies are needed.

      • 품질경영상 평가기준을 이용한 한국기업 경쟁력요인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윤선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MBNQA) Criteria is regarded as one of the popular tools, with which companies' quality management can be evaluated. Many associations have developed the company's quality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based on MBNQA with the objective of being adaptive to the Korean companies. ePRINS, a self-evaluation system developed by Korea Production Center, are heavily used by many companies because of the easy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In this paper, the self-evaluated data provided by more than 700 domestic companies are analyzed.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7 categories?including leadership, strategic plan, clients and market consideration, 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cess management, business results. Results have shown that there exist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with respect to the 7 categories. It is shown through the analysis that the leadership of CEO, human resource management are critical to the system field(strategic plan, 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management), and the system field are critical to the clients and market consideration, hence the business results. 미국의 말콤볼드리지상은 기업의 품질경영 수준을 평가하는 가장 대표적인 도구로써 여겨지고 있다. 많은 기업들은 말콤볼드리지상을 토대로 한국기업에 적합한 품질평가시스템을 개발해왔다. 한국 생산성본부에서 개발된 ePRINS 자가진단 시스템은 쉬운 접근성과 편리함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빈번히 사용되어지고 있다.본 연구논문에서는 700개 이상의 자가 진단한 자료를 토대로, 리더십, 전략기획, 고객과 시장중시, 측정,분석 및 지식관리, 인적자원관리, 프로세스중시, 사업성과의 7가지 범주로 나누어 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7가지 범주들 간에 가기 다른 특징이 존재함이 나타났다. 최고경영자의 리더십과 인적자원관리가 시스템 활동(전략기획, 프로세스중시, 측정, 분석 및 지식관리)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또한 이 시스템 활동들은 고객만족과 시장점유율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나아가 사업성과 향상에 영향을 준다.

      •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불안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윤선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학업에 대해 보이는 성취목표지향성의 네 가지 하위 요인(수행접근, 수행회피, 숙달접근, 숙달회피)과 불안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첫째, 성별과 학교특성에 따라 주요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가?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 불안, 진로결정수준은 서로 영향을 주는가?셋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은 불안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가?연구대상은 서울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외국어 고등학교, 예술 고등학교 학생 620명이었다. 진로결정수준 측정도구는 Osipow등(1980)이 개발한 진로결정검사(Career Decision Scale: CDS)를 고향자(1992)가 우리문화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불안 측정도구는 Spielberger, Grosuch, Lushene(1970)이 개발한 상태-특성불안 검사(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한덕웅, 이창호, 탁진국(1993)이 표준화한 검사를 사용하였다. 성취목표지향성의 측정 도구는 Elliott(1999)과 Pintrich(2000)및 Elliott과 McGregor(2001)이 제시한 2 x 2 성취목표지향성이론에 기초하여 김아영과 이주화(2005)가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통계분석은 SPSS 15.0에서 빈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예언변인들의 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세 변인에 있어서 학교 및 성별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결정수준간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AMOS 7.0을 활용하여 구조모형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진로결정수준에서 남녀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예술고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인문계고나 외국어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인문계와 외국어고의 진로결정수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둘째, 성취목표지향성 중 수행회피와 숙달회피를 많이 할수록 특성불안, 상태불안 및 전체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숙달접근이 높아질수록 특성불안, 상태불안, 전체불안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수행회피와 숙달회피는 진로결정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반면 숙달접근은 진로결정수준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었다. 불안 중 상태불안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특성불안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즉, 일시적인 정서 상태인 상태불안이 영속적인 성격적 불안인 특성불안보다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유의미하게 예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인 회피지향성, 즉 수행회피와 숙달회피가 불안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완전매개모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결론적으로, 학업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인 수행회피와 숙달회피가 불안을 높이며 이는 진로결정수준을 낮춘다는 것을 밝혔다. 이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탐색 시에 성취목표지향성과 불안요인을 고려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성별과 학교 특성에 따라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결정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진로상담 시 집단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ur sub-elemen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performance approach, performance avoidance, mastery approach and mastery avoidance) and anxiety on career decision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as follows.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factors according to sex and school type?Second, do the sub-elemen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xiety career and decision level have effects on one another?Third, do the sub-elemen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ve effects on career decision level mediated by anxiety?To obtai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463 high school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art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re selected as objects of this research. Career Decision Scale(CDS) developed by Osipow et al.(1980) and standardized by Koh, Hyang-Ja(1992) was used to measure career decision level.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developed by Spielberger, Grosuch, and Lushene(1970) and standardized by Hahn Doug Woong, Lee Chang Ho and Tak Jin Kook(1993) was carried out for measuring anxiety. The yardstick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s developed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by Kim Ah-young and Lee Jo Wha based on the 2 x 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ory reported by Elliott(1999) and Pintrich(2000), Elliott and McGregor(2001).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ver. 15.0 for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additionally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explanatory powers of predictor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differences of three variables among schools or between gender, the 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Furthermore, in order to test the mediatory effects of anxiet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researcher used AMOS 7.0 for testing of the structured model.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on career decision level.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arts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academic and foreign language school studen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cademic school and foreign language school students.Second, performance avoidance and mastery avoidanc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rait and state anxiety, while mastery approach has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rait, state and entire anxiety.Performance avoidance and mastery avoidanc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while mastery approach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tate anxiety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trait anxiety was not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Third, the researcher could confirm a perfect mediatory model with performance and mastery avoidance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 level via anxiety.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uch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s performance avoidance and mastery avoidance would affect students'' anxiety negatively which in turn would affect their career decision level negatively.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when counselling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ir career decision, it may be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i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nxiety. In addition, the finding that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differ depending on gender and types of high schools may also suggest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differentiate the counselling for their career decisions.

      • 유아의 놀이성, 또래 유능성 및 또래 상호작용 간의 관계

        윤선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peer interaction, peer competence, and playfulness of children and 2) the relationship among peer interaction, peer competence, and playfulness of children.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playfulness, peer competence and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2. How do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playfulness are related to peer competence? 3. What are the relationship among background variables, playfulness, peer competence, and peer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31 children at the age of three, four and five (167 boys and 164 girls) belonged to 7 kindergartens located in Jeonju-si and Wanju-gun in Jeonbuk, and it took total three weeks of collecting data. As for the instrument to measure playfulness, the questionnaire of Yoo, AeYeol (1994)s’ Children’s Playfulness Scale (adapted from by Barnett (1991)) Was used. To measure peer competence of children, the peer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Park, Ju Hee & Lee, Eun Hae (2001) for preschoolers was utilized. Lastly, the questionnaire from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of Fantuzzo, Coolahan, McDermott & Sutton-Smith (1995)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appeared that boys were excellent in physical spontaneity, and as for peer competence and peer interaction, girls showed higher scores in all factors. As fo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ge, the average of playfulness, peer competence and peer interaction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age of five, four and three in general. The playful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in social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the sense of humor. However, as for the peer competence, all of the initiative, prosociality and sociability showed differences in age. Peer interaction was also found to have differences in age in terms of play interaction and play interrupt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y severance. As for the playfulness in birth order, it showed fe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born and second-born child in the expression of pleasure. As for the peer competence, it showed initiative and sociability in the order of first-born, second and third and so 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effé posteriori test In addition, peer interaction showed no difference in terms of birth order. Second, as for the rela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of children, gender had a significant relation on peer competence. Physical spontaneity of playfulness of children had anegative significant relation on peer competence, whlie social spontaneity and the sense of humor had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 on peer competence. Third, as for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on peer interaction, gender had a positive relation on peer interaction. As for playfulness, the expression of pleasure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relation and the sense of humor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relation. As for the peer competence, prosociality and sociability had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 on peer interaction. Keyword: playfulness, peer competence, peer interaction

      • 춤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윤선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의 문화유산인 무용은 시·공간적 예술이라 불려지고, 기본적으로 일회성의 속성을 가지며, 또한 기록의 부재성이라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연속적인 시간예술로 공연과 동시에 사라진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춤의 기록은 그 어떤 예술보다 중요하며, 춤 기록의 산물인 춤 자료는 존재하는 것 모두가 그만한 가치를 지닌다. 그런 의미에서 춤박물관은 인간의 창작활동의 결과로서의 춤을 우리가 이해하고 연구해야하는 필요성을 상기시킨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이렇게 볼 때 춤박물관은 존재했던 현상에 대한 다양한 흔적들을 체계적으로 보존하여 과거사에 대한 추적 및 해석의 밑거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따라서 춤이라는 예술에 존재하는 일회성과 기록의 부재를 감안하면, 춤과 관련된 자료의 발굴, 수집, 정리, 보존, 활용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 되어야만 할 것이며, 춤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는 우리 무용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는 춤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수행의 활성화 방안, 그리고 체계적 운영방안을 탐구하여 춤박물관을 더욱 발전, 개발시킬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여 무용예술의 지평을 확대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박물관의 개념 및 정의와 춤박물관의 국내·외 현황을 여러 가지 참고 문헌과 인터넷 자료를 통해 연구하였으며, 문헌연구와 전문기관에 종사하는 학예사의 자문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춤박물관은 유물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기능을 통해 우리의 춤을 언제든지 재해석하고 재평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춤의 역사와 문화적 우수성을 연구하고, 이를 일반에게 전달하고 교육하는 계몽의 역할까지도 담당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춤박물관의 역할수행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정보화 사회를 맞이한 현 시점에서 춤의 무형자산을 체계적으로 발굴, 수집, 보존하는 관리시스템으로 무용예술전용 데이터베이스시스템과 네트워크화 구축은 자료 수장력의 한계를 극복하며, 무용예술자료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분·정리하고 보존·보급하는 기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다. 둘째, 춤박물관이 전문박물관으로서 그 역할과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춤박물관에 걸 맞는 전문성을 갖춘 춤학예연구사의 체계적인 양성이 급선무라 하겠다. 그러나 현재 춤박물관에 필요한 전문적 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은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학예사 양성을 위한 국가적 제도 개편과 박물관 학예사들에 대한 인턴쉽과정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고 실질적인 훈련이 되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히 요청된다. 또한 춤박물관이란 점을 감안할 때 이들의 업무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보수개념으로 무용예술에 관심이 있는 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재교육시켜 전문성을 키워 나감으로써 춤박물관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춤박물관이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먼저 국가적 차원에서 각종 제도나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함과 동시에 공공기록물관리법과 연계하여 춤박물관의 설립을 법제화하고 관리전문가들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제도를 마련해야한다. 이러한 이유는 춤박물관의 문화재나 예술품들로 획득되어지는 성과가 국가적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정보나 자료이며, 곧 나라의 재산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방안으로 민간부문에서 춤박물관을 설립하여 설립에 대한 재원과 운영비의 일부는 정부에서 지원을 받고 춤박물관의 자료를 문화사업분야에 제공함으로써 영리사업을 통해 일부 재원을 조달하여 운영하는 방안이 있다. 이는 정부지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 된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문화마케팅, 즉 ‘메세나‘를 통하여 기업들의 문화후원 활동을 받음으로써 기업과 문화·예술 단체 모두가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런 방법을 통해 춤박물관의 특성화를 부각시킨다면 춤을 사랑하고 향유하는 이들에게 보다 차별적인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dance which is a cultural heritage of the human being the time-space art comes to soak, it has a one-time sincerity attribute basically, also public performance and it disappears simultaneously with art of the timely continuity which is not only the possibility of having the limit which is an absent characteristic of record. The record of dance the what kind of artistic step is important all in because, the dance data which is a product of dance record existing all keeps a nearly same value. The dance museum we understand the dance from wave overwork of creation activity of the human being from like that meaning and it described minutely the necessity must research it from the point which wears out. When trying to be like this, the dance museum which are various against the actual condition which exists systematically about under preserving will accomplish the role which provides the initial manure of tracking against a past and interpretation. When it considers the one-time result record which consequently exists in the art which is a dance, the necessity of excavation, collection, arrangement,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the data which relates with a dance will do to be emphasized more, the research regarding the function and a role accomplishment of the dance museum our present and future certainly is the work which is necessary. The research which it sees activation plan and systematic operation plan of function and role accomplishment of the dance museum about under the quest the theoretical base more it will develop and will be able to develop the dance museum about under presenting puts the place objective which magnifies the area of dance art. Domestic·external present condition of concept and definition and the dance museum which attains the objective of like this research the various branch bibliography and the Internet data it led and it researched, the inquiry of literature research and the liberal arts curator which engages to the professional agency the activation plan of function and role accomplishment of the dance museum and it presented. When summary·it arranges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with afterwords it is same. The dance museum will collect the remains and the function which it preserves it will be able to revaluate our dance at any time and not only to research the history and a cultural superiority of dance, in the public which will reach and it delivers even until role of the enlightenment which it educates it takes charge of. The activation plan of role accomplishment of like this dance museum with afterwords it could be arranged together with three branches. First,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direction of a ceremony excavate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dance systematically from this present point of view, with the civil official system which it collects and preserves information of dance artistic data systematically the dance artistic whole aspect data base system and network construction to overcome the limit of data possibility tension, dividing·arrangement and preservation·under is the possibility of gathering the expectation effect which it supplies. Second, the dance museum as the professional museum which completeness accomplishes the role and a function in the dance museum which stands will hang and the systematic positivity of the dance liberal arts research curator which equips the professionalism which hits will do top priority task. But currently it is the actual condition where the professional manpower which receives the professional education which is necessary to the dance museum systematically absolutely is insufficient. The intern against the national institutional reorganization for a liberal arts curator positivity in because and the museum liberal arts curator field in order it activates a process actively and realistic training to be thick, the program development which is various was requested urgently all. When also considering a dance museum point, it reeducates the dance specialist which with the conservative concept it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a professionalism of these business is interest to dance art in the object and it raises or with feeling a professionalism and it will be able to expect the activation of the dance museum. where the third, dance museum is operated systematically first it stands the various system or the support system is prepared from national dimension and with about under the Administration Law of the public documents department connection it founds the dance museum laws simultaneously and must prepare the education system it will be able to cultivate the Administrational official specialists. The result which comes to be acquired with cultural properties or the works of art of the dance museum is information or the data which is important even from national dimension, at once, it is because a property of the country is. Also with different plan from private sector the dance museum data of the dance museum to a cultural business segment and there is a plan which the part of the revenue source against founding about under founding and operating cost receives a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provides with the profit-making business to lead about under supplying operates. Became the actual plan it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limit of government support. Cultural marketings and namely `mecenat` of the enterprise it will lead last and it will receive with the enterprise and the cultural·artistic group it could be provided the chance all it will be able to develop the cultural support activity of the enterprises. Not only like this method it leads and many sides consuming which embosses the quality characterization of the dance museum will be the possibility to plant more discriminational image.

      • 음식관광 관여와 지역애착도가 여행지 음식 추구성향에 미치는 영향

        윤선희 대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Food as an ethnic cultural heritage becomes a valuable tourism attraction that provides more pleasure while in traveling. Advanced countries in the tourism sector had a varied recipes and it developed with variety of delicious foods that people throughout the world enjoy, and the foods had become important means to increase tourism revenues as one of tourism resources. Also, as food gets important in the industrial aspect as well as in the cultural aspect, the whole world had made an effort to developed food as a main tourism product. In addition, growing interest in health and well-being had a contributed to increase added value of tourism products associated with food. However,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food tourism, korean domestic food tourism is still in an early stage. Moreover, there have not been studies about food tourism/gastronomy, about food tourism involvement and the behaviors of tourists who participate in food touris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1) between community attachment and the behaviors of tourists who participate in food tourism, (2) between food tourism involvement and the behaviors of tourists who participate in food tourism, (3) between the behaviors of tourists who participate in food tourism and their satisfaction, (4) between the behaviors of tourists who participate in food tourism and their behavior intentions, and (5) between tourists' satisfaction after food tourism and their behavior intentions. The model and hypotheses for this study was set up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es. The questionnaire survey had been conducted with twice. The of among data coll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urvey, 545 data were used for this empirical study.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and SPSS 13.0 and AMOS 7.0 were used for statistical programs of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hypothese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hypothesis was proved that food tourism involvement had related to the behavior of tourists who participate in food tourism. It was analyzed that participation behaviors in food tourism(ξ2) had a positive effect on food behaviors(η1): β = 0.521, CR = 11.703, p<0.001. Second, the second hypothesis was supported that there had a connection between community attachment(ξ1) and the behaviors of tourists who participate in food tourism(η1). It founded that community attachment affects food attitudes meaningfully: β = 0.108, CR = 3.096, p<0.01. Third, it was verified that food behaviors(η1)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ourists' satisfaction(η2): β = 0.218, CR = 3.366, p<0.01. Fourth, the fourth hypothesis was also proved that food behaviors(η1)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 intentions(η3): β = 0.091, CR = 2.037, p<0.05.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satisfaction after food tourism(η2) and their behavior intentions(η3) was verified. After the hypothesis testing, it founded that the satisfaction had a strong effect on the behavior intends: β = 0.907, CR = 17.399, p<0.001.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which is the lack of precedents studies about local traditional food in Gyeongsangbuk-do (Gyeongju, Andong, Yeongju, and Daegu) and Jeollabuk-do (Jeonju). Therefore, in the further study, it should be a systematic research investigating the representative local food in those area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empirical study. 음식은 민족 특유의 문화적 유산으로서 여행의 즐거움을 더해 주는 귀중한 관광자원이 되고 있다. 관광 선진국들은 이미 오랜 옛날부터 조리법이 발달하여 맛있는 음식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관광객의 각광을 받는 주요 매력요소의 하나로 관광수입을 올리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또한 음식의 문화적 측면 뿐만 아니라 산업적 측면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면서 음식을 메인 관광상품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증가는 음식관광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관광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음식관광은 아직 도입단계에 머물러 있다. 특히 학술적인 측면에서도 음식관광/식도락관광에 대한 연구들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고, 음식관광 참여 관광객의 태도와 음식관광 관여에 관련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애착도와 음식관광에 참가한 관광객의 행태간의 관련성, 음식관광 관여와 음식관광에 참가한 관광객의 행태간의 관련성, 음식관광에 참가한 관광객의 행태와 만족도간의 관련성, 음식관광에 참가한 관광객의 행태와 행동의도간의 관련성, 음식관광에 참가 후 만족도와 행동의도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1차 조사와 2차 조사를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1차와 2차 조사기간에 걸쳐 회수된 설문지 중 총 545부를 본연구의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과 AMOS 7.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 기법으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요인분석, 공분산구조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모형에서 5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관광 관여가 음식관광에 참가한 관광객들의 행태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을 검증한 결과,음식관광 참여활동(ξ2)은 음식행태(η1)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β = 0.521, CR = 11.703, p<0.001) H1은 지지되었다. 둘째, 지역애착도가 음식관광에 참가한 관광객들의 행태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2를 검증한 결과, 지역애착도(ξ1)는 음식태도(η1)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β =0.108, CR =3.096, p<0.01) H2도 지지되었다. 셋째, 음식행태가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3을 검증한 결과, 음식행태(η1)는 만족도(η2)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β =0.218, CR =3.366, p<0.01) H3도 지지되었다. 넷째, 음식행태가 행동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4를 검증한 결과, 음식행태(η1)는 행동의도(η3)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β =0.091, CR =2.037, p<0.05) H4도 지지되었다. 다섯째, 음식관광 참가 후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5를 검증한 결과, 만족도(η2)는 행동의도(η3)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β =0.907, CR =17.399, p<0.001)H5도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로는 경상북도 지역(경주,안동,영주,대구)과 전라북도(전주)지역을 대상으로 지역 전통음식의 선행연구가 아직까지 거의 없는 상태이며, 문헌적 고찰과 실증적 조사를 병행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지역 대표 전통음식을 발굴하여 체계적인 분류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의료관광 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직무열의와 고객지향성의 구조적 관계연구

        윤선희 대구한의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job engag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on the employees of medical tourism institutes and 11 hypotheses were set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each variable. Among those, 5 hypotheses were chosen and 6 were dismissed. The result of this study drawn from empirical testing is as follows; First, sub-hypothesis 1-1 of hypothesis 1.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engagement, "Emotional labor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path co-efficient value was -.198, S.E. was .059 and t value was -3.348. Sub-hypothesis 1-2 "Emotional labor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vitality."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path co-efficient value was -.372, S.E. was .080 and t value was -4.644. Second, hypothesis 2.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dissonance, "Emotional labor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dissonance."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path co-efficient value was -.552, S.E. was .100 and t value was 5.516. Third, sub-hypothesis 3-1 of hypothesis 3.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customer orientation, "Emotional labor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ustomer service."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not to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path co-efficient value was .010, S.E. was .053 and t value was .181. Sub-hypothesis 3-2, "Emotional labor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eeting customer needs."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not to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path co-efficient value was -.006, S.E. was .064 and t value was -.093. Fourth, sub-hypothesis 4-1 of hypothesis 4. relationship between job engag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mmersion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ervice."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path co-efficient value was .712, S.E. was .146 and t value was 4.888. Sub-hypothesis 4-2, "Immersion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eting customer needs."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path co-efficient value was .841, S.E. was .178 and t value was 4.713. Sub-hypothesis 4-3, "Vitality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ervice."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not to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path co-efficient value was .047, S.E. was .106 and t value was .445. Sub-hypothesis 4-4, "Vitality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eting customer needs."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not to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path co-efficient value was -.132, S.E. was .129 and t value was -1.022. Fifth, sub-hypothesis 5-1 of hypothesis 5.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customer orientation, "Emotional dissonance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ustomer service."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not to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path co-efficient value was .023, S.E. was .041 and t value was .570. Sub-hypothesis 5-2, "Emotional dissonance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eeting customer needs."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path co-efficient value was .076, S.E. was .050 and t value was 1.527. 본 연구는 의료관광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직무열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각 변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11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그중에서 5개의 연구가설이 채택되었으며, 6개의 연구가설은 기각되었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구가설1의 서브가설1-1 “감정노동은 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을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은 -.198, S.E.는 .059, t값은 –3.34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브가설1-2 “감정노동은 활력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은 -.372, S.E.는 .080, t값은 –4.64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구가설2 “감정노동은 감정부조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2를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은 .552, S.E.는 .100, t값은 5.51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노동과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구가설3의 서브가설3-1 “감정노동은 대고객 서비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은 .010, S.E.는 .053, t값은 .18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브가설3-2 “감정노동은 고객니즈부응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은 -.006, S.E.는 .064, t값은 -.09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열의와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구가설4의 서브가설4-1 “몰입은 대고객 서비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을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은 .712, S.E.는 .146, t값은 4.88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브가설4-2 “몰입은 고객니즈부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4-2를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은 .841, S.E.는 .178, t값은 4.71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브가설4-3 “활력은 대고객서비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4-3을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은 .047, S.E.는 .106, t값은 .44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브가설4-4 “활력은 고객니즈부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4-4를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은 -.132, S.E.는 .129, t값은 –1.02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감정부조화와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구가설5의 서브가설5-1 “감정부조화는 대고객 서비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은 .023, S.E.는 .041, t값은 .57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브가설5-2 “감정부조화는 고객니즈부응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5-2를 검증한 결과, 경로계수 값은 .076, S.E.는 .050, t값은 1.52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