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ogram Annotation : Nicolaus Bruhns Prelude and Fugue in e minor“The Great” Johann Sebastian Bach Organ Concerto in a minor, BWV 593 C?sar Franck Final, Op. 21 Robert Schumann 6 Studies in the form of Canons, Op. 56 No. 4 Sincerely, No. 5 Not too fast Naji Hakim Te Deum

        윤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pieces performed by Mikyung Yoon in her graduation recital held at Kim Young Ui Hall, Ewha Womans University, on the 7th of June, 2021. The recital program consists of five pieces in order of time: Prelude and Fugue in e minor by Nicolaus Bruhns (1665-1697), Concerto in a minor, BWV 593 b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Final Op. 21 by César Franck (1822-1890), No. 4‘Sincerely’and No. 5‘Not too fast’from 6 Studies in the form of Canons, Op. 56 by Robert Schumann (1810-1856), and Te Deum by Naji Hakim (1955- ). Nicolaus Brunes' 「Prelude and Fugue in e minor“The Great”」is a piece that shows the prelude composition format of the North German musicians, which includes five parts with free parts and two fugues. This piece is played with non-legato which can represent the style of the Baroque period and emphasizes on contrast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note. In the free parts, Plenum tone combinations are generally used, but given considering a composition of the tone for the entire program, Principal 16′, 8′, and 4′ are used. In the first fugue, only flute 8' expresses tranquil ambience. In the second fugue, principal 8′, 4′, and 2′ tones create more lucid sound than those of the first fugue. Johann Sebastian Bach's 「Organ Concerto in a minor, BWV 593」 is a work for organ and is reworked from the violin concerto originally composed by Italian composer Vivaldi during the Weimar period. The contrasting sections including solo and tutti parts are expressed by using different keyboards. In the third movement, a solo performer can show their technical ability and skills by adding passages not in the original song into the pedal. This piece is played with non-legato. When fast movements come, Plenum tone is played while only Principal 8′songs main melody in slow movements. 「Final, Op. 21」 by César Franck is similar to sonata form since the structure of the piece shows that not only two themes appear and develop but they are played again in the reproduction part. In this music of Romantic period, legato techniques are mainly involved, but staccato and marcato techniques are often used for musical expression. Franck presented the 16′, 8′, and 4′ tones of the anches at the beginning, and expressed the splendid tone by adding Sesquialtera and Quinte 2 2/3′ to the tone of the anches for the organ at the Kim Young Ui Hall. Both the fourth song ‘Sincerely’ and the fifth song‘Not too fast’of Robert Schumann's 「6 Studies in the Form of Canons, Op. 56」 have a three-part form. The pieces suggest that a theme and the Canon that follows the theme. While performing these pieces, concentration is need since the length of the note of the accompany can interfere with subject melody. This music is composed for pedal piano, and there are not registrations for organists. In the fifth song, contrasting tones were used for each manual, which have Flute 8′and 4′for the right-hand theme tone and Krummhorn 8′ for the left-hand theme imitation tone Naji Hakim's 「Te Deum」 uses the melodies of the Gregorian Chant‘Te Deum’that praises God. He modified the rhythm of choral melodies or used compositional techniques such as Ostinato for the left manual and pedal and two of the voices in Canon using the double pedals. Attention is required when organists play the works in fast tempo so that the melodies and harmonies can sound accurately. The tones were selected by Hakim’s instructions and the Chamades was horizontally built is replaced by other Reed tones such as Trumpete and Basson. This study has explored baroque, romantic, and contemporary organ pieces and proposed the tone combination when organists perform with the organ in Kim Young Ui Hall. Through this study, I propose that this study can help players combine tones for their performance. 본 논문은 2021년 6월 7일 이화여자대학교 김영의 홀에서 열렸던 오르간 전공 윤미경의 석사과정 졸업연주회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이다. 연주회 프로그램은 작곡된 시대에 따라 바로크, 낭만, 그리고 현대 순으로, 니콜라우스 브룬스(Nicolaus Bruhns, 1665-1697)의 「큰 전주곡과 푸가 e단조 (Prelude and Fugue in e minor“The Great”)」,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오르간 협주곡 a단조, BWV 593 (Organ Concerto in a minor, BWV 593)」, 세자르 프랑크(César Franck, 1822-1890)의 「파이널, Op. 21 (Final, Op. 21)」,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의 「6개의 캐논 연습곡 Op. 56 (6 Studies in the form of Canons, Op. 56)」중에서 제4곡 ‘진심으로(Sincerely)’, 제5곡‘너무 빠르지 않게(Not too fast)’, 마지막으로 나지 하킴(Naji Hakim, 1955- )의 「테 데움 (Te Deum)」다섯 곡으로 구성하였다. 니콜라우스 브룬스의 「큰 전주곡과 푸가 e단조」는 북독일 악파의 프렐류드 작곡 형식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자유로운 부분과 두 개의 푸가를 가진 5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이 작품은 바로크 시대의 연주법인 논 레가토로 연주하며 강약을 표현하기 위해 음의 길이를 조절하여 연주한다. 자유로운 부분들에서는 일반적으로 플레눔(plenum) 음색 조합을 사용하지만 전체 프로그램의 음색 구성을 고려하여 프린치팔(Principal) 16′, 8′, 4′을 사용하였다. 제1푸가에서는 플루트(Flute) 8′만 사용하여 조용한 분위기를 표현하고, 제2푸가는 프린치팔 8′, 4′, 2′음색을 사용하여 제1푸가보다 명확한 소리로 만들었다.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오르간 협주곡 a단조, BWV 593」는 이탈리아 작곡가 비발디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바이마르 시기에 편곡한 작품이다. 그는 협주곡 양식에서 서로 대비되는 솔로와 뚜띠 부분을 각각 다른 건반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3악장에서는 원곡에 없는 음형들을 페달에 삽입하여 오르가니스트의 테크닉적 역량을 엿볼 수 있다. 이 작품은 바로크 시대 작품의 연주법인 논 레가토를 사용하여 연주하며 1, 3악장에서는 플레눔 음색 조합, 2악장에서는 프린치팔 8′의 소리만으로 주선율을 연주하였다. 세자르 프랑크의 「파이널, Op. 21」은 두 개의 주제가 발전되어 재현부에서 다시 두 주제가 나타나는 구조로 소나타 형식과 유사하다. 이 곡은 낭만 시대의 작품으로 레가토 주법으로 주로 연주하지만 음악적 표현을 위해 스타카토, 마르카토 등의 주법을 함께 사용하였다. 프랑크는 도입부에 리드(anches) 16′, 8′, 4′음색을 제시하였고, 김영의 홀 오르간의 리드 음색에 세스퀴알테라(Sesquialtera), 크빈테(Quinte) 2 2/3′등을 추가하여 화려한 음색을 표현하였다. 로베르트 슈만의 「6개의 캐논 연습곡, Op. 56」중 제4곡 ‘진심으로’, 제5곡‘너무 빠르지 않게’두 작품은 모두 3부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주제와 이를 모방하는 캐논이다. 연주 시 주제의 명확한 표현을 위하여 반주부의 음길이가 주제 선율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페달 피아노를 위하여 작곡된 곡이기 때문에 오르가니스트를 위한 음색 제시가 따로 없으므로 제4곡에서는 멜로디는 프린치팔 8′, 반주는 게닥트(Gedackt), 감베(Gambe) 8′을 사용하였다. 제5곡에서는 오른손 주제 음색으로 플루트 8′, 4′, 왼손 주제 모방 음색에 크럼혼(Krummhorn) 8′으로 두 건반에 서로 대비되는 음색을 사용하였다. 나지 하킴의 「테 데움 (Te Deum)」은 하느님을 찬양하는 내용의 그레고리오 성가 ‘테 데움’의 선율들을 사용하고 있다. 그는 성가 선율의 리듬을 변형하거나 왼손과 페달의 오스티나토 기법, 더블 페달을 사용한 두 성부의 캐논 형식 등의 작곡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주 시 빠른 속도에서도 음형들과 화음들이 정확하게 들릴 수 있도록 음길이에 주의하여 연주한다. 작곡가는 부분별로 원하는 음색 조합을 악보에 제시하였으므로 이를 참고하여 음색을 선택하였고, 수평으로 설치된 리드 음색인 샤마드(Chamades)는 수직의 트럼펫(Trumpete), 바순(Basson) 등의 리드 음색으로 대체하였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바로크, 낭만, 그리고 현대 오르간 작곡가의 생애와 작품의 특징. 그리고 음색 조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하여 연주자들이 향후 이 작품들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기혈파동 두피마사지가 중년 여성의 심리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윤미경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자생한 수기요법 중 하나인 기혈파동마사지를 두피에 적용하여 폐경주위기의 중년여성에게 실시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심리 및 생리적 반응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기혈파동 두피마사지는 인체가 파동과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양자이론을 토대로 하여 인체가 가지고 있는 각각 고유 파동의 흐름대로 적당한 강도와 깊이로 압을 주고 방향을 설정하여 리드미컬하게 흔들어주는 리듬 앤드 밸런스의 마사지 기법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군 전· 후 설계를 이용한 원시 실험연구이며, 연구 기간은 2006년 7월부터 10월까지 S시와 H시에 거주하는 38세-50세 사이의 여성 1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심리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 도구는 Profile of Mood State(POMS) 기분상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생리적 반응 중 피로도는 Yoshitake가 사용한 일본 산업위생학회 산업피로연구회에서 개발한 피로자각증상 평가지를, 뇌지수는 한국정신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2 channel system 이동식 뇌파 측정기를 사용하였다. 마사지 시간과 횟수는, 1회 20분 씩 총 10회를 적용하였다. 마사지 실시전과 5회, 10회 실시 후에 기분상태, 피로도 및 뇌지수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C(version 10.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 통계를 이용하였고, 가설 검정은 paired comparison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마사지를 시행한 후에 대상자의 심리반응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마사지 전보다 마사지 후의 기분점수가 5회 후 (t=7.391, p=.000)와 10회 후(t=9.461 p=.002)에 매우 유의하게 낮아져 가설이 지지되었다. 2. “마사지 후 대상자의 피로도는 감소할 것이다”는 마사지 전보다 마사지 후의 피로도가 5회 후(t=10.897, p=.000), 10회 후(t=13.119, p=.000)에 매우 유의하게 낮아져 가설이 지지되었다. 3. “마사지 후 대상자의 뇌지수 중 주의지수는 높아질 것이다”는 마사지 전보다 마사지 후의 주의지수가 5회 후(t=-2.251, p=.048), 10회 후(t=-2.372, p=.039)에 높아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가설이 지지되었다. 4. “마사지 후 대상자의 뇌지수 중 정서지수는 높아질 것이다”는 마사지 전보다 마사지 후의 정서지수가 5회 후(t=-3.033, p=.013), 10회 후(t=-3.077, p=.012)에 높아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가설이 지지되었다. 5. “마사지 후 대상자의 뇌지수 중 스트레스지수는 높아질 것이다”는 마사지 전보다 마사지 후의 스트레스지수가 5회 후(t=-2.919, p=.015), 10회 후(t=-3.268, p=.008)에 매우 높아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가설이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혈파동 두피마사지는 중년여성의 기분상태 향상과 피로의 경감, 주의력과 정서적 안정 그리고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대체의학적 중재로서의 기혈파동 두피마사지의 적용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된 기혈파동 두피마사지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건강 유지 및 건강증진의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가 마사지를 위한 교육 자료와 사회교육의 효과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Quantum Scalp Massage(QSM) therapy, being autogenous in Korea,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middle aged women. QSM may be defined as a massage method employing rhythm and balance by pressing and shaking the hands or massage devices in the direction of the brain's energy points. The massage therapist uses the proper strength and depth as suited to the human body's energy waves as based upon the principles of the QSM therap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to October, 2006. The study was planned pre-post test design of one group of 11 perimenopausal women who lived in S city and H c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POMS for the Mood State assessment, Subjective Symptoms of the Fatigue Test by Yoshidake for the Fatigue Degree, and the Neuro - Feedback System of moving a 2 channel system produced by Braintech Corp. for Brain Quotient. All participants had 20 minutes per session two times a week, and were taken QSM 10 times individually. Mood State, Fatigue Degree, and Brain Quotient were measured in pre-test, post-5 times, and post-10 times. These data were analyzed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with SPSS/PC (Version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od level of participant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application of the QSM. 2. The degree of fatigu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application of the QSM. 3. The score of attention quotien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application of the QSM. 4. The score of emotion quotien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application of the QSM. 5. The score of stress quotien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application of the QS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 the QSM program was very effective in altering the mood state, fatigue level, attention span, emotional state, , and stress in middle aged wome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is massage program be used as an alternative therapy to reduce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middle aged women.

      • Maltosyl기로 기능화된 나노튜브와 Concanavalin A와의 가역적인 착물화에 관한 연구

        윤미경 인하대학교 일반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실에서는 최적의 설계조건에서 덴드론 빌딩블록이 유기용매, 수용액에서 다양한 focal moiety를 도입하여 잘 정의된 구조로 자기조립되는 현상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본 실험실에서는 pyrene과 같은 소수성 그룹이 덴드론의 focal point에 존재하여도 수용액상에서 vesicle 구조를 이룸을 발견하였고 소수성의 pyrene을 친수성 표면을 갖는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으로 inclusion 시킴으로서 나노튜브로의 구조 변화와 메카니즘 규명에 대해 선행 연구한 바 있다. 이는 기존의 튜브구조와는 개념이 다른 형광특성의 유기나노튜브를 제조하여 정밀하게 구조가 제어된 유기나노튜브 형성, 고기능화 유기나노튜브 제조, 메카니즘 규명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형광특성을 가진 나노튜브의 표면을 이루고 있는 cyclodextrin의 C-6 위치에 존재하는 OH 그룹을 원하는 작용기로 치환하여 튜브 표면에 원하는 기능을 갖는 나노튜브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여러 가지 작용기를 동시에 정량적 비의 관계를 유지하여 도입하였다. 이는 기존과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자기조립현상 (Self-Assembly)을 이용하여 고기능성 유기나노튜브를 구현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독특한 초분자 자기조립체의 제조와 자기조립 메카니즘 규명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자기조립체에 특정 단백질을 인식할 수 있는 관능기를 튜브 표면에 도입하였다. 기존에 알려져 왔던 당-단백질 상호작용 시스템을 이용하여 튜브의 표면에 maltose를 도입하였고 이와 결합할 수 있는 Con A를 이용하였다. 또한 Con A와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glucose를 첨가하여 maltosyl-CD-NT의 Con A에 따른 가역적인 carbohydrate-protein complexation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더 나아가 튜브의 내부 hollow에 guest 분자를 포획하여 나노전달체로의 응용이 가능하며, boimineralization의 template, 형광나노튜브-금속나노입자 hybrid를 이용한 나노일렉트로닉스 재료, 바이오 센서 등으로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갖고 있다. We report on the facile methodology to construct the nanotubes that induce inclusion of the focal pyrene moiety into cyclodextrins (CDs) with maltosyl functionality at the narrower rim and are exposed to the surface with maltose. For that purpose, we prepared amide dendrons with pyrene moiety and CD with maltosyl functionalized C-6. The amphiphilic amide dendron with the focal pyrene unit formed a vesicular structure in an aqueous phase. The inclusion of the focal pyrene moiety into CDs with maltosyl functional groups induced self-assembled maltosyl-CD-NTs. The addition of Concanavalin A (ConA) induces aggregation of nanotubes due to binding of maltose and ConA, whereas subsequent additions of glucose dissolute the aggregates of maltosyl-CD-NT and ConA because of binding affinity of glucose and ConA.

      • PAPR을 고려한 OFDM 송신기의 FPGA 구현

        윤미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정보화 사회로 나아감에 따라 통신은 이전의 문자 및 음성의 제한된 영역에서 벗어나, 대용량의 데이터 및 동화상의 실시간 전송을 요구함에 따라 초고속, 대용량 통신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은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보다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다수의 캐리어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 복잡한 송수신회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다. 이 방식은 유선 통신에 먼저 적용되었지만, 최근 이동통신환경에서 페이딩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Bluetooth 등과 같은 고속 무선 통신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향후 개발 예정인 4 세대(4 Generation) 통신에도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지만 OFDM의 잘 알려진 문제는 OFDM 통신 방식이 가지는 결점으로, 시간 축 신호의 진폭 변동이 종래의 단일 캐리어 변조 방식의 경우와 비교해서 매우 큰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큰 PAPR 특성은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OFDM에서 발생하는 큰 PAPR 특성을 완화할 회로와 OFDM의 송신기를 System Generator로 설계하고자 한다. 그리고 완성된 모델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OFDM Transmitter와 PAPR을 고려한 회로를 FPGA로 구현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Recent communication system has gotten out of character and voice communication. In order to process real-time moving image and numerous data, high-speed and high-capacity communication systems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is a digital multi-carrier modulation scheme. OFDM is sometimes called multi-carrier or discrete multi-tone modulation. It is the modulation technique used for digital TV in Europe, Japan and Australia. It used in DAB, ADSL,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In a supplement to the IEEE 802.11 standard, the IEEE 802.11 working group published IEEE 802.11a, which outlines the use of OFDM in the 5.8-GHz band. An OFDM signal consists of a number of independently modulated subcarriers, which can give a large 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 when added up coherently. Large PAPR means large amplifier backoffs, which reduces power efficiency of RF amplifier, also another drawback of PAPR is that brings an increase complexity of Analog to Digital and Digital to Analog converters. There are several solutions to solve the PAPR problem such as clipping and peak windowing, and compression techniques. In this thesis I I will talk about the clipping method. This paper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circuit for compensate the high PAPR in OFDM using Simulink and designed a System Generator model for FPGA implementation. System Generator Model generated HDL code and RTL schematic. Also, evaluate the performance through Hardware Co-simulation, and investigated the result of timing analysis and resource estimation.

      • 기억 속 유토피아 이미지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윤미경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18년부터 2020년 초반까지 연구자가 작업한 작품들을 토대로 지난 2020년 4월 23일부터 29일까지 이공갤러리(대전 중구 대흥동 소재)에서 전시한 개인전 ‘유토피아’展에 출품한 작품을 중심으로 작성한 것이다. 누구나 유년시절의 추억이 있다. 과거로의 회상은 마치 꿈을 꾸는 것 같이 잠에서 깨어나기 전의 나른한 행복감을 동반한다. 우리가 이 시대에 존재한 아이들이었다는 사실은 천국에서의 천사들의 환영을 상상하게 한다. 21세기 인공지능 뇌과학 등 과학기술의 가속화된 발전과 자본의 무한질주가 삶의 기준이 된 현대사회에서 천국의 가치는 어떠한가. 대량복제기술로 인하여 오리지널의 아우라가 사라진 퇴색된 중세의 종교화처럼 우리의 현재 삶에서 실현가능한 가치목록에서 멀어진 것처럼 여겨진다. 우리는 늘 미래의 희망에 대해 이야기하며, 지나간 것은 폐기처분된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희망을 과거에서 찾았던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은 『역사철학테제』에서 “우리들이 품고 있는 행복의 이미지라는 것은, 우리들 자신의 현재적 삶의 진행과정을 한때 규정하였던 과거의 시간에 의해 채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행복의 이미지 속에는 구원의 이미지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함께 꿈틀거리고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시간관의 재정립과 “희미한 메시아적 힘”을 이야기하면서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었는데, 다시 한번 논리를 비틀어 의심의 대상이 된 유토피아는 결코 폐기되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늘 이기게끔 만들어진 자동인형기계의 비유를 통하여 사적유물론과 신학적 메시아니즘을 제휴하면서 “그 누구와도 한 판 싸움을 벌일 수 있다”고 말이다. 유토피아는 말 그대로 ‘없는 세상’ 혹은 ‘도래하지 않는 세상’이다. 하지만 유토피아에는 ‘부재하나 있어야 한다’는 공리가 또한 공존한다. 유토피아에 대한 환상과 기대, 그리고 욕망이 없었다면 어떻게 인류가 진보를 거듭해왔겠는가. 우리는 결코 유토피아에 도달할 수도 없고, 그러므로 굳이 메시아의 도래를 손꼽아 기다릴 필요도 없다. 하지만 그것들은 부재하면서 존재한다. 이것이 바로 유물론자들이 갖는 믿음에 대한 고백이라면. 어쩌면 우리는 유토피아를 향해 가는 항상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경주하는 –제논의 시간관 비유와 같이- 존재일는지 모르겠다. 연구자는 이러한 유토피아의 세계를 구현할 시간을 미래가 아닌 과거의 유년시절의 파편적 이미지의 기억에서 찾고자 하였다. 언어화되기 이전의 삶의 시기를 성장해서 기억한다는 것은 새롭게 인식된 이미지의 흔적을 지금의 언어로 재접근하는 것이다. 이를 회화로 표현하면서 유기적 선의 조형적 요소와 형태의 단순성, 커다란 색면과 두터운 물감 층으로 묘사하고 촉각적 감각을 드러내도록 하였다. 작품을 통해 과거의 환영적 이미지와 만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esearcher’s works from 2018 to 2020, exhibited in the solo exhibition ‘Utopia’ at the IGONG gallery(it is located in Daeheung-dong, Daejeon) from April 23 to 29, 2020. 󰠏󰠏󰠏󰠏󰠏󰠏󰠏󰠏󰠏󰠏󰠏󰠏󰠏󰠏󰠏󰠏󰠏󰠏󰠏󰠏󰠏󰠏󰠏󰠏󰠏󰠏󰠏󰠏󰠏󰠏󰠏󰠏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a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rts in Fine Arts conferred in August 2020. Everyone has memories of childhood. Recalling the past is like a dream which is accompanied by a feeling of the languor before waking up. The fact that we were the children in this time period makes us imagine the welcome of angels in heaven. What is the value of heaven in the modern society that accelerated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such as AI neuroscience of 21st century and the limitless capitalism became the standard of life? The original Aura disappeared like the faded religious painting in the middle ages due to mass cloning technology and it seems to be far from the list of value which is realizable in our present life. We always talk about the hope of the future and A thing of the past is considered to be discarded. Walter Benjamin(1892~1940), who found hope in the past said in his『Theses on the philosophy of history』“Our image of happiness is thoroughly colored by the time to which the course of our own existence has assigned us. Our image of happiness is indissolubly bound up with the image of redemption.” He was skeptical while talking about the reestablishment of time theory and “the faint Messianic power”. He said paradoxically “the Utopia which became the object of suspicion should never be discarded”. Also said “It can easily be a match for anyone” by combining Historical materialism and Messianism through the automaton which is made to win all the time. Utopia is literally ‘non-existent world’ or ‘a world that never comes’. But ‘absent but must be’ also exists with the principle of utility. How would mankind have progressed without the fantasy, expectation and desire of Utopia? We can never reach Utopia and there is no need to wait for the coming of the Messiah. But they exist in absence. If this is a confession of the belief of materialists, maybe we are heading for Utopia as like always racing at –like Zeno’s paradox- a certain distance. I was looking for the time of the utopia world through images from fragmental memory of my childhood in the past, not the future. Growing and Remembering the period of life before language is to re-approach the traces of newly recognized images as the current language. I expressed this as a painting with artistic lines, and the simplicity of shape with large colored faces, describing with thick layers and reveling the tactile sensation. I hope it will be the time to meet your phantasma from the past through my works.

      • Golomb의 입체표현이론에 기초한 표현 전략 및 특징 분석 :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찰흙 표현을 중심으로

        윤미경 경인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입체표현이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은 단연 󰡐Lowenfeld의 입체표현 발달 단계󰡑일 것이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유사한 연구를 통해 몇 가지 입체표현 발달 단계가 소개되어 왔다. 이러한 선형적 발달 단계는 우리가 초등학생들의 입체표현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만 이것만으로 아동의 입체표현 발달 전체를 이해한 것은 아닌지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느끼던 가운에 동일 아동이 서로 다른 주제에서 서로 다른 전략을 펼친다는 Golomb의 연구는 매우 신선하게 다가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Golomb의 입체표현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전략과 특징을 분석하여 아동의 입체표현능력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하였다. 하나는 문헌 연구로서,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입체표현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국내의 입체표현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20년간의 석․박사 학위논문 중 입체표현이나 찰흙 표현과 관련한 연구들을 찾아보았다. 유아나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거나 미술치료 등 특수 목적을 둔 연구를 제외하고 일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만 선별하여 유형별로 분류해보니 국내에는 다양한 연령대와 집단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주제를 제시하고 전략이나 특징 등을 분석한 연구가 매우 드문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해외 연구로는 Golomb이 수십 년 간 아동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러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Golomb은 여러 입체표현 연구들을 통해 Arnheim의 이론이 타당함을 뒷받침하였다. 아동의 그림을 통해 인지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잘못되었으며 매체의 특성이 대상의 표현에 반영된다는 것은 아동의 입체 표현을 바라보는 시각에 큰 시사점을 주었다. 다른 하나는 현장 연구로서, Golomb & Mccormick(1995)의 찰흙에서의 3차원 표현 발달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주제, 연령대, 인원수, 재료 등에서 최대한 비슷한 조건을 맞추어 본 연구를 설계하고 진행하였다. 2, 4, 6학년에서 각각 한 학급씩을 선정하여 총 77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같은 양의 찰흙을 제공하고 동일한 여덟 가지 주제(컵, 테이블, 남자, 여자, 공 줍는 사람, 개, 소, 거북이)를 만들도록 하였다. 작품 분석을 위해 󰡐차원성, 직립, 제작 방법, 제작 순서󰡑의 네 가지 측면에서 기준을 세우고 주제의 특성에 맞게 세부 분석 내용을 선별하여 학생들이 만든 여덟 개의 입체 형상을 분석하고 초등학생들의 입체표현 전략 및 특징을 정리해보았다. 또한 매체의 특성에 따른 표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동물 주제에서는 평면표현 과제(󰡐개, 소, 거북이󰡑 그림 그리기)를 추가적으로 제시하고 동일 아동이나 학년별로 그림과 찰흙 표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시점의 혼합 등은 없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3차원 대상의 표현에서 2차원 매체의 제약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물의 네 다리를 일렬로 그린 학생조차도 찰흙으로 같은 동물을 만들 때에는 다리의 배열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이 그 증거이다. 본 현장 연구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었던 가장 인상적인 결과는 동일한 학생이라 할지라도 주어진 주제의 특징이나 자신의 의도에 따라 입체표현 전략을 달리 선택하기도 하며 단 하나의 고정된 전략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8가지 주제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표현 전략과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아동의 입체표현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다섯 가지 내용을 제안하였다. * 핵심어: 3차원, 입체표현, 찰흙, 전략, 특징, 매체, Golomb

      • TV뉴스 정보특성이 관광동기, 지각된가치, 여행만족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윤미경 국립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Korean population has a preference for watching TV during their leisure time. With television being at the center of popular culture, broadcast content has the power to quickly spread through its extensive reach. However, producing broadcast content for promoting local tourism products and enhancing tourism activities can be challenging for small and financially dependent cities due to the high costs involved. As the media influence on tourists' decision-making increases, local communities need to make efforts to utilize TV news as a means to attract tourists through event organization, development of new tourism products, and provision of tourism information. TV news is a reliable and unbiased source of information based on facts, and it serves as a catalyst for promoting tourism choices and appealing to tourism images (Kim, 20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rnal factors (PUSH) that lead individuals to choose Gangneung as a travel destination and the attractive factors (PULL) of the Gangneung area through the information reported in TV news. This study focuses on the temporal scope from 2020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o the present (April 2023), specifically the recent three years (April 2020 to March 2023).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s the Gangneung area. The survey targeted individuals aged 20 and above who have visited Gangneung. The purpose of the surve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V news characteristics and tourism motivation, perceived value, trave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through a specialized research company, using a non-probability (quota) sampling method. The survey took place from April 12th to April 22nd, 2023, for a total of 11 days, and a sample of 656 respondents was collected. When examining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Gangneung area by residents' regions, it is observed that Gyeonggi Province, Seoul, and Gangwon Province account for 77.6% of the total number of visitors (Korea Tourism Data Lab, 2023). To ensure the sample's representativeness, we aimed to match the proportion of visitors by residential area as closely as possible.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conducting a theoretical review of TV news characteristics, tourism motivations (PUSH-PULL factors), perceived value, trave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each variable and factor were conducted, and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For TV news characteristics, 12 measurement items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into timeliness, reliability, and usefulness. PUSH motivation factors were identified with 10 measurement items and categorized as escapism, socialization, and pleasure-seeking. PULL motivation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natural landscapes, attractions, and convenience, with 12 measurement items representing the attractiveness factors of the Gangneung area. Perceived value, travel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and intention to watch TV news were measured as single variables. A total of nine hypotheses (H1 to H9) were formulated.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9.0 statistical program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and test the hypotheses. Firstly, hypothesis, H1,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V news characteristics on tourism motivations (PUSH factors), while the second hypothesis, H2, focused on the influence of TV news characteristics on tourism motivations (PULL factors). Both hypotheses were partially supported. Regarding the PUSH factors, the usefulness of TV new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scapism, with reliability being the nex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timeliness. For socialization, the influence of usefulness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reliability, which, in turn,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timeliness. In terms of pleasure-seeking, the influence of usefulness was the strongest, followed by reliability and then timeliness. For the PULL factors, regarding the influence on natural landscapes, usefulness had the greatest impact, followed by timeliness. As for attractions, usefulness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timeliness, and reliability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timeliness but less than usefulness. In terms of convenience, usefulness and reliability had an equal level of influence, both being greater than timeliness. These results indicate the specific influence of different TV news characteristics on various tourism motivations (PUSH and PULL factors). Secondly, hypothesis, H3,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otivations (PUSH factors) and perceived value, while the fourth hypothesis, H4,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otivations (PULL factors) and perceived value. Both hypotheses were supported, indicating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Regarding the influence of tourism motivations on perceived value, th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landscapes had the greatest impact, followed by escapism, convenience, pleasure-seeking, socialization, and attractions. Thirdly, hypothesis, H5,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travel satisfaction, while the sixth hypothesis, H6,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revisit. Additionally, the seventh hypothesis, H7,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All three hypotheses were accepted, indicating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with explanatory power of more than 50%. Fourthly, eighth hypothesis, H8,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 satisfaction in the Gangneung area and intention to watch TV news. The ninth hypothesis, H9,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V news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watch TV news. H8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indicating that trave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tention to watch TV news. H9 revealed that among the TV news characteristics, reliability an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ntion to watch TV news, while timeli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This study provides several academic implications. Firstl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V news characteristics and tourism motivations as diverse sources of information. By revealing that the usefulness of TV news information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individuals' decision to choose Gangneung as a travel destination, this study establishe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hich distinguishes it from previous research. Secondly, the results support previous studies (Choi & Lee, 2019; Lee, 2022; Kim et al., 2020) regarding the influence of tourism motivations on perceived value, trave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 model exhibits a satisfactory level of explanatory power, with over 50% of variance explained, reinforcing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Thirdly, among the measurement items, it is notable that the average values for family/friend visits in the PUSH factor and cultural/sports events and local festivals in the PULL factor were relatively higher among residents of Gangwon Province. This suggests that residents of Gangwon Province have higher viewership rates for local news and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region, indicating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bond.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firstly,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usefulness in both PUSH and PULL factors of TV news characteristics emphasizes the role of positive or negative coverage about a region in supporting individuals' destination choices and decisions. Secondly,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V news characteristics and tourism motivations necessitates proactive efforts from local authorities to develop new tourism products that can be covered in TV news, aiming to promote the region's tourism activation. Thirdly, the significance of conduc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the media and tourism fields is noteworthy. In particular, the measurement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n TV news and the examination of their relationship with tourism motivation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is aspect. Future studies based on this research could focus on various aspects, such as investigating the information sources, tourism motivations, preferred tourist destin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ourism convenience among international visitors who are expected to attend numerous international events in the Gangneung area. These studies would be valuable for the local community and contribute to its development. 국민들은 여가시간을 활용하는데 있어 TV 시청을 가장 선호한다(문화체육관광부, 2021). 텔레비전이 대중 문화 중심부를 차지함에 따라 방송콘텐츠는 엄청난 전파력으로 신속한 확산이 가능하다. 지역 관광상품 홍보 및 관광활성화를 위한 방송콘텐츠 제작은 매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재정 자립도가 낮은 중소도시의 경우 예산이 투입되기에는 어려움을 겪는다. 관광객 의사 결정에 대한 미디어 영향력이 증가함에 따라 방송매체를 활용하여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이벤트 행사개최 및 새로운 관광상품 개발, 관광정보 제공 등을 통해 TV뉴스를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노력이 필요하다. TV뉴스는 사실에 근거한 공정하고 신뢰성 높은 중립적 정보 원천이며 관광선택을 촉진하고 관광이미지를 어필하는 유발 정보이다(김병용, 2021). 본 연구 목적은 TV뉴스에서 보도되는 정보를 통해 관광도시인 강릉지역으로 여행을 결정하게 된 내적요인(PUSH)과 강릉지역의 매력요인(PULL)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COVID-19가 발생한 202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2020. 4월~2023. 3월) 최근 3년을 기준으로 하며, 공간적 범위는 강릉지역이다. TV뉴스 정보특성과 관광동기, 지각된가치, 여행만족도,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강릉을 방문한 적이 있는 20세 이상 내국인을 대상으로 설문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설문은 온라인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비확률(할당) 표본 추출하여 2023년 04월 12일부터 4월 22일까지 총 11일간 진행되었으며 표본은 656부가 수집되었다. 강릉지역 방문자에 대한 거주자 지역별 방문자 수를 살펴보면 경기도, 서울, 강원도 지역이 전체 방문자수 77.6%가 집중(한국관광데이터랩, 2023)되고 있으며, 표본 대표성을 거주지별 방문자수 비율과 최대한 일치시키려 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TV뉴스 정보특성, 관광동기(PUSH-PULL)요인, 지각된가치, 여행만족도, 행동의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여 각 변수 개념 및 요인을 측정하고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TV뉴스 정보특성에 대한 12개 측정항목을 도출하여 적시성, 신뢰성, 유용성으로 요인명명 하였으며, PUSH동기요인은 10개 측정항목으로 일상탈출, 친목도모, 즐거움추구로 요인명명 하였다. PULL동기요인은 강릉지역 매력요인을 12개 측정항목으로 자연경관, 즐길거리, 편의성으로 분류하여 요인 명명하였다. 지각된가치, 여행만족도, 재방문의도, 시청의도는 단일변수로 설정하였다. H1 ~ H9의 총 9개 가설을 설정하였다. 수집된 표본 설문 결과는 SPSS 2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가설 H1,> TV뉴스 정보특성과 관광동기(PUSH)요인, <가설 H2> TV뉴스 정보특성과 관광동기(PULL)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두 가설 모두 부분채택 되었다. PUSH 요인 중 일상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용성>적시성, 친목도모에는 신뢰성, 즐거움추구에서 유용성>신뢰성>적시성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PULL 요인의 자연경관에 미치는 요인으로 유용성> 적시성, 즐길거리는 유용성> 적시성>신뢰성, 편의성에선 유용성=신뢰성>적시성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 값이 도출되었다. 둘째, <가설 H3> 관광동기(PUSH요인)와 지각된 가치, <가설 H4> 관광동기(PULL요인)와 지각된 가치는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음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관광동기 요인중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자연경관> 일상탈출> 편의성> 즐거움추구 > 친목도모 > 즐길거리 순으로 결과 값이 도출되었다. 셋째, <가설 H5> 지각된가치와 여행만족, <가설 H6> 지각된가치와 재방문의도 <가설 H7> 여행만족도와 재방문의도와 영향 관계는 = 50%이상의 설명력으로 모두 채택되었다. 넷째, <가설 H8>는 강릉지역 여행만족도와 TV뉴스 시청의도, <가설 H9>는 TV뉴스 정보특성과 TV뉴스 시청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가설 H8> 여행만족도는 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를 보였으며, <가설 H9> TV뉴스 정보특성중 신뢰성, 유용성에서 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에 있으나, 적시성에서는 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에 대한 학술적 시사점을 제공하면 첫째, 다양한 정보원천 중 TV뉴스 정보특성과 관광동기를 파악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본 연구를 통해 내국인들이 강릉을 여행지로 결정하는데 있어 TV뉴스 정보특성 중 정보 유용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두 변수간 유의한 영향관계를 도출해 내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다. 둘째, 관광동기와 관광지 방문 경험 후 지각된가치, 여행만족도, 행동의도와 영향관계에서 다수 연구자 선행 연구결과(최지현·이대휘, 2019; 이상진, 2022; 김수인 외, 2020)를 지지하는 결과값이 도출되었으며 설명력에서도 50%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연구모형은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측정 항목중 PUSH 요인에서 가족/지인방문, PULL요인에서 문화체육행사, 지역축제 등 동기요인 3개 항목에서 강원도내 거주자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강원도내 거주자의 경우 지역뉴스 시청률이 높고, 비교적 가까운 생활권으로 유대관계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무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TV뉴스 정보특성 중 유용성에서 PUSH-PULL 요인 모두에서 제일 큰 영향을 보임에 따라 지역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보도는 수용자의 여행지 선택과 결정을 지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TV뉴스 정보특성과 관광동기간 영향관계가 성립함에 따라, 지역의 관광활성화를 위하여 새로운 관광상품 개발을 통해 TV뉴스에서 보도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미디어분야와 관광분야를 융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TV뉴스를 대상으로 정보특성을 측정하고 관광동기와의 영향관계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수의 국제행사가 예정되어 있는 강릉지역 방문 외국인을 대상으로 강릉지역을 인지하게 된 정보원천과, 관광동기, 방문 외국인들이 선호하는 관광목적지, 외국인 관광 편의성에 대한 만족도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여 추후 지역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가 되기를 희망한다.

      • 아동의 또래수용과 우정관계의 질에 대한 연구

        윤미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의 또래수용정도에 따라 우정관계를 맺는 정도를 알아보고, 아동의 또래 수용정도에 따라 우정관계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우정관계의 양적, 질적 측면 모두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10세-11세) 879명이었다. 다음으로 이들 879명중 우정관계를 맺은 아동 486명을 선발하고, 또래수용정도가 낮은 아동수에 따라 또래수용정도가 보통인 아동, 높은 아동에서 45명씩 90명을 무선 선정하여 총 135명이 최종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또래수용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또래 평정을 하였으며, 우정관계를 맺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친한 친구를 지명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우정관계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정관계를 맺은 아동만을 대상으로 Parker와 Asher(1993)의 우정관계의 질에 대한 질문지(Friendship Quality Questionnaire: FQ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x^(2) 검증과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에 따라 우정관계를 맺는 정도는 남아와 여아 모두 절반 이상이 우정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우정관계를 더 잘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수용정도에 따라 우정관계를 맺는 정도는 또래수용정도가 높을 수록 우정관계를 맺고 있는 경향이 높았다. 그러나 또래수용정도가 높다고 모두 친구를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고 또래수용정도가 낮다고 모두가 친구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즉 또래수용이 낮더라도 친밀한 친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에 따라 우정관계의 질 중 상호 친밀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우정관계에서 여아는 남아보다 상호간에 더 친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수용정도에 따라 우정관계의 질 중 갈등과 배신, 도움과 안내, 갈등 해결의 3개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또래수용정도가 낮은 아동은 또래수용정도가 보통인 아동과 높은 아동 모두에 비해 갈등과 배신을 더 자주 경험하였으며, 또래수용정도가 높은 아동에 비해 갈등을 해결하는데 더 어려워하였다. 또래수용정도가 보통인 아동은 또래수용정도가 높은 아동에 비해 도움과 안내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friendship and the distinction of friendship quality according to the sex and peer acceptance of children. The first subjects were 849 children of third and four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Among them, 486 children that had friends were examined and finally 135 children are selected: 45 children identified as low-accepted, 45 children as average-accepted, and 45 children as high-accepted by peer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cciometric measure of acceptance and friendship, and the Friend Quality Questionnaire(Parker & Asher, 1993). The data were analyzed by χ^(2)-tests and sex(2) × peer acceptance(3) ANOV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boys and girls were involved in friendship and girls we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friendship than boys. Second, high-accepted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friendships than low-accepted. But not all high-accepted children had friends and not most low-accepted children did have friend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friendship quality between boys and girls with respect to intimate exchange. Girls reported higher levels than boys of intimate exchange.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friendship quality between low-accepted, average-accepted, and high-accepted children with respect to conflict and betrayal, help and guidance, conflict resolution. Low-accepted children reported more conflict and betrayal in their friendships than both average-accepted and high-accepted children. Low-accepted children also reported more difficulty resolving conflict in their friendships than high-accepted children. Average-accepted children reported less help and guidance than high-accepte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