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진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의 교육적 의미

        유훼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겪는 고민과 그 고민들을 해결해 가는 과정을 알아보고, 더불어 그 과정에서 겪는 경험들의 교육적 의미를 세밀하게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어머니와 자녀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즐겁게 그림책을 읽을 수 있는 문해적 환경을 이해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의 고민은 무엇인가? 2. 어머니들이 그림책을 재미있게 읽어주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3.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진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 연구를 위해 P시의 H작은도서관에서 2017년 7월 중순부터 2017년 9월 말까지 10회기의‘그림책 읽기 방법 및 책놀이 실제’수업을 진행하며 연구참여자 여덟 명을 참여관찰 하였고, 이후 그룹면담 3회와 개인면담 16회로 총 19회의 심층면담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목적은 지식습득을 통한 인지발달과 언어(말, 문자) 발달 및 다양한 발달을 위해서였다. 그리고 그림책으로 폭넓은 경험을 대신해 주고 생활의 길잡이가 되어주길 바랬다. 또 아이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책이 평생의 친구가 되고, 재미를 알게 하기 위해서였다. 이와 같이 어머니들은 복합적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효과적으로 그림책을 읽어주기 위한 방법론적인 고민을 많이 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겪는 어려움에는 자녀발달의 이해 측면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발달시기에 맞는 책 선정의 어려움, 좋은 책 선정 기준에서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 측면에서의 어려움이 있었는데 아이들의 집중력 부족과 좋아하는 책만 반복적으로 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읽어주는 기술 측면에서의 어려움은 어머니가 그림책을 재미있게 읽어주는데 있어 기술의 부족과 젊은 세대 어머니들이 공감하기 어려운 전래동화를 읽어주는 것, 그리고 바쁜 일과 속에서 의무감으로 읽어주는 습관적 행위를 고민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이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겪는 복합적인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그림책 읽기 방법 및 책놀이 실제’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림책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가 나타났다.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그 어떤 목적 수행이 아닌 자녀의 즐거움이 최우선이라는 생각의 변화와 그림책을 단순한 읽기 매체가 아닌 놀이감으로 보는 시각의 변화 그리고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 참여하는 아이의 행동을 허용하고 이해하게 되었다. 어머니들이 책을 읽어주는 방식의 기술적 측면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평소 글자에 집중하던 어머니들이 그림을 보게 되었고, 간단한 각색의 필요성을 알고 실천하였으며, 노래와 동작을 곁들여 효과적으로 그림책을 읽어주었다. 또 그림책 선정 기준의 변화가 나타났는데 어른 입장이 아닌 아이 입장을 고려한 책 선정과 구입방법이 양 중심에서 아이의 흥미를 고려한 질 중심으로 낱권을 구입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림책은 아이들이 보는 책이라고 생각하던 어머니들이 스스로 그림책의 재미에 빠져들었다. 어머니들의 양육태도를 반성하게 만드는 그림책을 통해서 등장인물을 동일시하며 공감하였고, 재미를 느꼈으며, 책놀이를 통해 양육의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조절하게 되었다. 셋째, 지역사회로서의 작은도서관은 어머니들에게 공간의 의미, 사람의 이해, 관계의 의미가 있었다. 공간의 의미로 작은도서관은 다양한 체험과 배움의 장이었다. 즉, 자녀에게는 비형식적 교육기관이자 어머니들에게는 자기 개발의 장소였다. 그리고 접근이 용이한 작은도서관은 자유롭게 아이와 함께하면서 편안하게 놀 수 있는 놀이 공간이었다. 사람의 이해에서 어머니들은 또래 엄마와 동등한 입장으로 자녀 양육방법과 교육방법을 나누었고, 선배 엄마는 자녀 양육의 선 경험자로 육아 방법에 서툰 어머니들에게 든든한 지원군이었다. 또한 어머니들은 도서관에서 만난 타인들과 자연스럽게 소통하며 자녀 양육 방식에 대해 반성하였고 자녀를 이해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관계의 의미에서는 새로운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을 통해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 형성이 나타났고, 그림책을 매개로 대화를 많이 하게 되었다. 그리고 어머니들 간의 관계를 보면 나와 다른 타인을 통해 잠재된 나를 발견하였고,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면서 어머니 자신이 가진 능력을 자원 활동가로 발휘하면서 새로운 삶의 가치를 느끼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일상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진‘그림책 읽기 방법 및 책놀이 실제’수업을 통해 그림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읽어주는 전략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머니들의 삶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그림책을 읽어주는 어머니들의 변화가 자녀와의 관계, 이웃과의 관계로 확장됨에 따라 책을 읽어주는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ries of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in reading picture books and the process of solving them, and to analyze in detail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xperience involved in the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worries of mothers i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2. What is the strategy for mothers to read picture books in an interesting way? 3. What is the educational meaning of mother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in a small library? For the purpose, we carried out a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by conducting the‘How to Read a Picture Book and Practice Book Play' class at a small library H in P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ading picture books, the aim of mothers is to acquire knowledge, have a wide range of experience, and give pleasure to their infants and toddlers. The mothers were having a methodological problem of effectively reading picture book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complex task. Next, in reading activities of the picture books, difficulties appeared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children's development, the children's behavior, and mothers picture book reading skills, and the mothers were worried about this. Second, while implementing the‘How to Read a Picture Book and Practice Book Play’program in order to solve the complex worries that the mothers experience i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 change occurred in values and in technical aspects of reading picture books. In addition, in choosing a picture book, the mothers learned to think of the children’s position first, and the mothers became immersed in the fun of the picture books themselves. Third, small library as a local community was a space where various experiences and learning occurred to both children and mothers. It was also a comfortable play space with easy access and to be with children. In the understanding of people, peer mothers served as a social equal, whereas senior mothers served as a supportive force in parenting as experienced hands in child rearing. Also, communication with others you met at the library helped to understand your own children. Furthermore, in terms of social relations, the new way of reading picture book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