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폴 틸리히의 성령론에 대한 연구

        유장환 목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esent what the Divine Spirit is and to establish a desirable pneumatology in the Korean context. I think this study is the most important task in the Korean church, because most laymen in the church have a wrong understanding on the Divine Spirit. For example, laymen have a tendency to understand the Divine Spirit as a mysterious substance or a psychological cause. However, according to Tillich, the Divine Spirit is not a separated being but the dimension of depth of human spirit. That is to say, the Divine Spirit if "God present" in our spirit. Therefore, I will try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church by surveying Paul Tillich's pneumatology which is dealt with "Life and Spirit" in the part Ⅳ of Paul Tillich's systematic theology. This dissertation includes the following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I presented motives and purposes of this study, and the scope and way of this dissertation. In the second chapter, I studied the methodology of Paul Tillich. I dealt with the method of correlation, the method of interdependence of philosophy and theology, and the method of religious symbolism.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Paul Tillich constructed his theological system by correlating existential questions and theological answers, by analyzing existential questions philosophically and by interpreting theological answers symbolically. In the third chapter, I studied the pneumatology of Paul Tillich in detail. Paul Tillich constructed his pneumatology according to his theological methods. That is to say, he correlated questions of human spirit and answers of the Divine Spirit. So he at first analyzed "life" of human spirit philosophically. According to Tillich, life has three functions basically: self-integration, self-creation, self-transcendence. These functions appear in morality, culture and religion in the dimension of human spirit. However, the actualization of these functions resulted in incompletion and ambiquity, because human being is basically under the condition of existence. This ambiquity can be conquered not by the power of estranged existence, but only by the power of the Divine Spirit. In this sense, the Divine Spirit is the conqueror of human life's ambiquities. Namely those who was grasped by the Spiritual Presence can overcome ambiquity of human moral, cultural, religious life. In other words, only the Spiritual Presence can heal human life in general. Conclusively, for Tillich, the Spiritual Presence is existential healer. The work of the Spiritual Presence is the actualization of the New Being who overcome the disruption between the essence and the existence. In forth chapter, I pointed out problems of the pneumatology of Paul Tillich and presented alternatives to these problems. Firstly, Tillich's pneumatology had the problem to correlate d existential questions and theological answers non-dynamically, In this sense, I introduced David Tracy's the method of "mutually critical correlation." Secondly, Tillich's pneumatology had the problem to define the work of the Divine Spirit as a existential healer. In this sense, I introduced the third-world theology, for example Liberation Theology and Minjung Theology. These theologies referred to the work of the Divine Spirit as the power of liberation, not the power of existential healing. Lastly, Tillich's pneumatology had the problem not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among the trinitarian symbols. In this sense, I introduced Elizabeth Johnson's opinion. She urged to sing a song again the trinitarian symbols. In the last chapter, I summarized main contents of this dissertation and presented some theological tasks with regard to Minjung theology. After all Tillich's pneumatology had the significance to overcome theological supranatualism which led to disturb conflicts between the Divine Spirit and human life. However, Tillich's pneumatology had the basic problem to organize the pneumatology in the existential dimension and to regard the work of the Divine Spirit as a power of existential healing. Therefore, in order to accomplish a desirable pneumatology in the Korean context, Korean theology will reconstruct the pneumatology on the base of historical Jesus and liberation traditions. That is why the Divine Spirit namely, the Spiritual Presence is the energy of human liberation, not a power of existential healing.

      • 논토양 습해 처리에 따른 들깨 생육특성과 단백질 발현

        유장환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Waterlogging becomes a limiting factor for crop growth and yield. Over the last decade, several studies revealed that Plant is sensitive to various abiotic stresses, including waterlogging stress during early vegetative, and early reproductive stages. So,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coupled with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at 2-and 3-leaf seedling stage under waterlogging stres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교육관광 유형별 전환적 경험 특성 및 기본심리욕구의 이해 : Adler와 Deci 이론의 적용

        유장환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 많은 산업에서 환경의 변동성(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및 모호성(ambiguity)의 증가는 다양한 산업의 핵심적 가치와 패러다임을 바꾸고, 동시에 본질을 변화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이런 급변하는 경제 상황과 불확실하고 모호한 산업환경을 일컬어 VUCA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VUCA의 현상은 교육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국내 학령인구 감소와 계층 간 복잡성, 그로 인한 벚꽃이 지는 순서대로 대학이 없어진다는 자조적인 교육 환경은 사상 초유의 지방대 미달사태를 초래하고 국내의 많은 대학은 존폐의 기로에 직면해 있으며, 세계 각국의 대학들도 이러한 VUCA의 교육 환경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VUCA로 주목받는 시대적 변화와 요구, 피할 수 없는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관광의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 제안을 위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고 교육관광, 특히 전환적 여행 경험을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성인 여행자의 관점으로 교육관광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교육관광은 관광의 성격을 띠지만, 교육의 목적에 치중하여 그동안 여행과 관광 두 개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가 부족하였고, 교육과 관광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한편, 지금까지 관광객을 일정 기간 체류하는 하나의 통계적 현상으로 정의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계량적이고 기술적인 관광객의 정의는 관광객의 고정된 개념으로 받아들여졌으며, 더욱이 관광객의 행위와 의미, 목적 또는 인식론적 정의와 같은 다각적인 접근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관광자의 전환적 경험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현상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서 교육관광을 경험한 유형별 참여자를 17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이론적으로 적합한 대상을 표집하는 이론적 표집추출을 활용하였으며, 분석 단위인 언어관광과 해외 유학 그리고 워킹홀리데이 메이커스(WHM)를 경험한 개인 참여자를 명확히 하여 적절성을 높이고 생태학적 오류를 피하고자 하였다. 심층면담은 2021년 6월 25일부터 11월 05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면담 시간은 60~90분 소요되었다. 본 연구를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전에 준비된 질문을 바탕으로 면접이 실시되데, 심층면담 과정에서 자유롭게 도출되는 답변이 신뢰도가 높으므로 자유로운 대화를 유도하는 반구조적 심층면담의 형태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5개의 범주와 34개의 주제 모음 그리고 15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관광 유형화를 바탕으로 그들의 전환적 경험의 특성과 기본심리욕구를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Alder와 Deci의 이론을 분석의 틀로 채택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준용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동기·전환 동기와 전환적 경험 그리고 실존적 위기와 성장이라는 범주를 구축하였고 주제 모음에 걸쳐 기본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세 가지 욕구가 충족되면 행동의 내재적 동기가 유발되어 창의적 행동, 긍정적 정서 반응, 삶의 만족 등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일반적 동기는 일반관광과 교육관광 모두에서 발견되는 동기이다. 일반 동기의 주제 모음인 일상에서 벗어나 세계로 인식의 변화는 교육관광 참여자뿐만 아니라 일반관광 참여자에게도 나타나는 동기이다. 둘째, 새로운 도전과 노동과 경력축적이라는 전환적 동기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일반관광과 교육관광을 구분하는 차이는 전환적 동기일 것이다. 주제 모음인 변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 학습 동기와 자기계발, 해외 체류 욕구 및 노동과 경력축적의 기회는 교육관광자에서만 도출된 동기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관광자의 전환적 경험이다. 경험은 체험을 기반으로 형성되며, 해외 장기 체류를 기반으로 목적지 현실과 사회적, 문화적 공감대가 깊게 형성되었다. 넷째, 교육관광자는 실존적 위기를 겪는다. 교육관광 참여자는 생소한 생활세계와 문화에 직면하면서 감정적인 불안과 문화적 차이를 경험하고 있었다. 다섯째, 전환적 경험의 최상의 단계인 성장을 경험한다. 모든 교육관광자는 성장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관광자는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경험을 통해 자신이 유능하다고 믿는 유능감으로 의식하고 있었다. 일반 여행객은 일탈과 새로움을 추구하기 위한 욕구로 여행에 참여한다면 교육관광자는 자기결정성의 기본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욕구를 추구한다. 구체적으로 교육관광을 통해 실천적이고 구체적으로 여행에 참여하며 교육관광자의 성장 단계에서 유능감과 관계성이 고취되었으며, 자율성은 여행 관점의 변화와 장소 애착의 속성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육관광자는 교육적 목적과 관광의 목적을 갖고 여행에 참여한다. 교육관광자는 전환적 경험 형성과정에서 대면-해체-재통합-자율성의 단계를 통해 보다 성숙한 성장의 최종 단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욕구는 교육관광자의 전환적 경험 형성과정에서 자립-리조매틱의 단계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본질적 욕구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먼저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교육관광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유형별 개념화를 도출하였고 둘째, Alder(1975) Deci(2000)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교육관광자 유형별 전환적 경험의 특성과 기본심리욕구를 이해하는 시도를 하였으며 셋째, 질적 연구방법인 현상학적 방법을 준용하여 유형별 교육관광의 전환적 경험의 본질과 심리 욕구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실무적인 시사점은 첫째, 지속 가능한 관광으로 교육관광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였으며 둘째, 교육관광객을 현실적으로 유치할 수 있는 유학원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셋째, 교육관광자의 유형별 특성으로 교육과 관광을 매개하는 산업에서 유용한 실무적 기여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