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당초문을 응용한 한복상의의 자수문양 연구

        유장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thesis studied the design applied Gyeolhap-mungye Arabesque(唐草紋:combined Arabesque with another form) that is based on the consumer's preference survey about a modern girl's embroidered design on jacket of Hanbok. The range of the study includes Gyeolhap-mungye Arabesque which is a kind of Arabesque, and the study lays emphasis on a woman's Jeogori, Baeja(褙子:waistcoat), and Dangui(唐衣:originally a long Jeogori). That was conducted with the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for Hanbok embroidery form preference on 218 marriageable age women(20~23) and 596 used emboidery patterns in 34 Hanbok enterprises located in Seoul during the last two years. To look into the special feature of Gyeolhap-mungye Arabesque, this study classified general current and the feature of it into the times. As a result, it found that Unmunhyeong Arabesque(Arabesque with cloudy form) and Indong Arabesque (忍冬唐草紋:honeysuckle patterns) appeared on mural paintings and ornaments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nd Gyeolhap-mungye Arabesque had been invented since the Unified Shilla period, and then was mainly used as fabrics and outfittings over Koryo and Joseon. For analysis of Hanbok embroidery form ,the survey about preference and the embroidery form used in Hanbok enterprises were investigated, used Excel and SPSS windows 12.0 programs. Firstly, the customers' interest, preferring pattern technique and kinds were checked on 218 marriageable age wom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ost wanted to wear Hanbok during a marriage ceremony. In additional order, preference of Baeja was higher than that of Dangui. While buying it, they kept the accent on the combination of the colors and patterns. Besides, they liked embroidery skill combined Arabesque with flower pattern of plant pattern. The next to check upon embroidery pattern used in the store, the survey was enforced in 34 stores of Jongro-gu and Kangnam-gu. After it grouped the kind and arrangement composition, concrete typ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328 kinds of Jeogori, 210 Baeja, and 58 Dangui. So the study found that flower pattern except peony, pomegranate, mum and lotus was widely used without regard Hanbok types. Arabesque was the best used material with no kind limit. As the size of Hanbok is bigger, various arrangement of pattern can be taken place. The design composition of the embroidery was divided into symmetry and asymmetry. Jeogori and Baeja had free their composition ,and usually bilateral composition appeared in Dangui. With analysis about the theoretical study of Arabesque, Hanbok embroidery form survey, and the form analysis in the store, this study found that regardless of age Arabesque and the form can be variously used and the composition is also various and freely used as kind of clothes. So it is developed that Arabesque, rose, chinese ballon flower, peony, lotus and butterfly patterns are designed, which has commercial value. Finally this study hopes that the embroidery pattern will be developed much more based on consumers and enterprises' preference and characteristic and original beauty of Hanbok will be known to all over the world. 본 연구는 현대 여성 한복상의의 자수문양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조사를 바탕으로 결합문계 당초문을 응용한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연구 범위는 당초문의 한 종류인 결합문계 당초문으로 하였으며, 여성의 한복상의인 저고리ㆍ배자ㆍ당의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218명의 결혼 적령기(20~34세) 여성을 대상으로 한복자수문양 선호도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서울에 위치한 한복업체 34곳을 표본조사 하여 최근 2년 동안 자수문양이 사용된 여성의 저고리ㆍ배자ㆍ당의 596점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한국의 결합문계 당초문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당초문의 전체적인 흐름 및 한국 당초문의 특징을 시대별로 분류하여 알아보고, 결합문계 당초문의 전반적인 흐름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삼국시대에는 운문형 당초문과 인동당초문이 벽화와 장신구 등에 주로 나타났으며, 통일신라부터 결합문계 당초문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직물과 장식품 등에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복의 자수문양 분석을 위해 한복자수문양 선호도 실태조사와 한복업체에 사용된 자수문양을 조사하였으며, ‘Excel'과 'SPSS windows 12.0'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한복자수문양 선호도 실태조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결혼적령기 여성(20~34세) 218명을 대상으로 한복의 구매 의향과 선호하는 문양의 기법과 종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혼례시에 한복을 착용하겠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으며, 배자와 당의의 추가 구매 의향에서는 배자의 선호도가 높았다. 저고리ㆍ배자ㆍ당의에 문양이 있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한복 구매 시 색채와 문양의 조합을 중점적으로 보았다. 또한 자수기법을 선호하였으며 식물문양 중 꽃문양과 당초문이 결합된 결합문계 당초문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복업체에 사용된 자수문양을 조사하기위해 서울의 종로구와 강남구를 중심으로 한복업체 34곳을 표본 조사하였다. 최근 2년 동안 자수문양이 사용된 저고리 328점, 배자 210점, 당의 58점의 총 596점을 대상으로 문양의 종류와 배치 를 분류하여 구체적인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양의 활용도 면에서 모란ㆍ석류ㆍ국화ㆍ연화 등 전통꽃문양과 이를 제외한 꽃문양의 쓰임은 한복의 종류에 상관없이 대체적으로 고루 사용되었으며, 당초문의 활용도가 매우 높아 꽃문양의 종류와 상관없이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문양의 크기는 당의, 배자, 저고리 순으로 커진 것으로 보아 한복의 크기가 커질수록 문양의 다양한 배치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수문양의 디자인 배치는 크게 대칭과 비대칭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저고리와 배자는 대칭과 비대칭의 배치가 자유롭게 사용되었으며, 당의는 좌, 우가 비대칭인 배치가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당초문의 이론적 고찰과 한복자수문양 실태조사, 한복업체의 자수문양 분석을 통해 시대가 변하여도 당초문과 자수문양이 다양하게 사용되며, 옷의 종류에 따라 문양의 배치가 다양하고 자유롭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흐름을 파악하고 응용하여 여성의 저고리ㆍ배자ㆍ당의에 당초문과 장미ㆍ도라지ㆍ모란ㆍ연꽃 및 나비문양을 디자인 하여 상품성 있는 자수문양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와 한복업체의 선호도를 토대로 한복의 자수문양을 개발함에 있어 한복의 상품개발에 기여하며, 나아가 한복의 고유성과 독창적 아름다움이 널리 알려지기를 바란다.

      • 철릭의 미적요소를 응용한 포스터 그래픽 표현연구

        유장미 한양사이버대학원 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과거 ‘전통을 소재로 한 전시는 진부하다’는 고정관념이 무색할 만큼 요즘 인상적인 박물관 포스터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주제가 될 만한 실제 이미지를 포스터에 등장시키지 않아도 그래픽요소만으로도 그 역할이 충분히 표현된다. 그렇다면 ‘전통 복식분야에서 그래픽 요소만으로 고정관념을 깨어 줄 인상적인 포스터가 가능할까? 본 연구는 실제 이미지를 배제한 그래픽적인 표현방법만으로 전통 복식인 ’철릭‘의 효과적인 전시포스터 표현이 가능할지가 연구의 주제로 발전하게 되었다. 한복(韓服)은 한민족 고유의 의복으로 직선과 평면으로 재단하여 옷을 짓고 입은 사람의 체형에 따라 비로소 입체적인 형태를 이룬다는 것이 한복의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상의와 하의가 나누어진 구조이며 단계별로 겹쳐 입었을 때 아름다움이 더 풍성하게 표현된다. 그렇기 때문에 한복은 중첩의 미를 갖고 있다. 조선시대 남성의 상징이었던 철릭은 상하를 따로 구성하고 이를 연결시켜 활동성을 높인 남성의 복식이며 현대의 원피스와 흡사하여 개화기 때부터 현재까지 한복을 변형한 원피스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철릭의 조형미는 한복의 특징과 같이 형태, 소재, 색채, 문양의 변화로 구분할 수 있지만 특히 철릭의 조형적 흐름을 이루는 연결부위의 주름과 상하 비율의 변화는 철릭을 미적인 측면으로 흐르게 한다. 이 같은 변화는 출토복식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를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철릭을 고찰하였다. 철릭의 특징적 구조를 연구하기 위해 국립·공립·사립·대학박물관의 유물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선별하고 선별한 유물의 구성요소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한편 복식에서의 도식화는 도형의 기본요소인 선과 면으로 표현되며 이 표현방법은 형, 재질, 색, 선 등의 일반적인 조형요소에 속하기도 한다. 그 렇기 때문에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인 도식화에서 그래픽표현 요소들을 기초자료로서 추출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선별한 유물에서도 그래픽 요소들을 분리하여 정리하고 철릭의 이론적배경과 유물의 조형적 측면에서도 그래픽표현의 단서들을 찾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철릭의 미적요소를 응용한 그래픽 포스터 표현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시대적 변화의 흐름을 볼 수 있는 철릭의 외곽선을 상호작용이 용이한 컴퓨터2D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기초 디자인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선과 면의 표현 연구는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였던 흥완군 청철릭의 도식화에서 적용한 바 있는 선의 굵기와 표현방법을 적용하였다. 둘째, 디자인된 그래픽 요소들을 기초로 조형적 단서가 되는 철릭의 형태에서 소매, 깃, 비율, 주름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고 독창적인 디자인요소들을 추출해 보았다. 추출한 요소들은 2D 그래픽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과 면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선으로 표현한 철릭의 외곽선과 면으로 표현된 실루엣은 각각의 정렬방법에 따라 중첩하여 그 변화를 실험해 보았다. 위와 같이 철릭의 그래픽표현을 위한 실험에서 중첩이라는 표현방법이 정렬방법에 따라 미치는 결과들을 탐구한다. 본 연구는 철릭의 미적요소를 응용한 그래픽포스터 표현방법의 변화를 고민한 연구로서 전통복식 분야의 디자인 기반연구 활용과 전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 정신지체 근로자의 문제해결전략 습득 및 일반화에 관한 연구

        유장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직업환경에서 타인들과 성공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은 직무수행 기술과 함께 정신지체인이 직업을 얻고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어 왔다. 특히 통합을 지향하는 현재의 장애인 직업재활의 흐름에서 정신지체인이 다양한 자극과 상황들이 존재하는 통합된 직업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면서 상사나 동료들과 적절하게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습득한 기술의 일반화와 유지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인지적 행동수정 방법의 하나인 문제해결전략을 고용관련 사회성 기술 교수에 적용해 보려는 시도가 몇몇 연구를 통해 보고되고 있다. 문제해결전략은 사회적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일반적인 사고의 규칙을 교수하기 때문에 문제해결전략을 주어진 사회적 상황에 적용하여 목표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력은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쟁고용 상태의 정신지체인에게 문제해결전략 훈련을 실시하였을 때 이들이 인지적 기술인 문제해결전략을 습득하고 일반화시킬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반 사업체에 고용되어 있는 정신지체인 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사회성 기술로 점심 시간에 다른 동료들과 대화하기 기술을 선정하고 그림자료를 이용하여 문제해결전략 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문제해결전략 훈련을 위하여 실제 점심시간에 일어 날 수 있는 사회적 상황 8가지를 시나리오로 구성하고 ‘어른 비장애 근로자와 대화하기’와 ‘또래 장애 근로자와 대화하기’의 두 유형으로 구분하여 매 회기마다 교대로 제시하였다. 훈련이 종료된 후 각 대상 정신지체 근로자의 문제해결전략 수행이 식사시간 대화기술 이외의 다른 고용관련 사회성 기술 시나리오에 일반화되는 지를 알아 보았고, 유지 검사는 훈련이 종료된 후 4주 후에 각 대상 근로자 별로 4회기 동안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전략 훈련을 통해 정신지체 근로자들의 식사시간 대화기술에 대한 문제해결전략 수행이 증가하였다. 둘째, 문제해결전략 훈련을 통해 습득된 대상 정신지체 근로자들의 문제해결전략 수행은 식사시간 대화기술 이외의 다른 고용관련 사회성 기술에 일반화 되었다. 셋째, 문제해결전략 훈련을 통해 증가된 정신지체 근로자들의 식사시간 대화기술에 대한 문제해결전략 수행은 훈련이 종료된 4주 후에도 훈련 후반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문제해결전략 훈련이 대상 정신지체 근로자의 고용관련 사회성 기술 수행을 위한 문제해결전략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전략 사용의 일반화와 유지에도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 문제해결전략 훈련이 실제 직업환경에서의 사회성 기술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증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정신지체인을 비롯한 장애인들의 직업준비 프로그램에 문제해결전략을 적용하여 이들의 사회적 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strategy training on conversational skills of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For this purpose, three worker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were selected from an integrated work setting. They displayed some deficits in their social behaviors and had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their co-workers. Using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the rate of problem-solving strategy performance and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al skills use of the target workers were measured. During training sessions, subjects were trained to learn problem-solving strategy. Four generalized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each subject to examine the generalization effect and four follow-up data was collected in 4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train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roblem-solving strategy training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ate of problem-solving strategy performance on conversational skills in 3 mentally retarded workers. 2. Problem-solving strategy training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fre- quency of conversational skills use of 3 mentally retarded workers in real work setting. 3. The acquired problem-soving strategy performance of target subjects was generalized to new employment-related social skills. 4. The increased problem-solving strategy performance and conversational skills use of the target workers were maintained to 4 weeks follow-up. These results from this investigation suggest that the problem-solving strategy training could positively influence on problem-solving strategy performance and conversational skills use of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an integrated work set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