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송수권 시 연구 : 시적 어조의 특성과 서정성을 중심으로

        유은희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송수권 시인은 전통적 서정시의 맥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시인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문명화된 도시적 삶으로부터 잊혀져가는 토속적 삶에 대한 애정을 시작품 곳곳 에 드러내면서, 민족과 국토에 대한 사랑과 민중들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간다. 또한 그는 자신의 고향인 전라도의 언어를 시의 표준어로 규정하는 동 시에 토박이말에 녹아 있는 민족적 삶과 정서, 가치관과 생활양식 등을 가락이 실린 시작품들로 형상화한다. 송수권의 시세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것은 ‘시적 어조의 구조’와 ‘서정과 어조의 상관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시적 어조의 특성은 곡선의 미학과 남성적 울림을 통한 가락, 그리고 판소리 사설조를 계승한 구조로 나타난다. 곡선의 미학은 그의 시세계 가 지향하는 곡선 속에서 시의 웅장한 가락을 생성한다. 이 곡선의 가락은 산의 능 선이라든가, 강물의 흐름, 징소리나 범종소리, 비포장의 시골길, 저녁연기 등에서 포 착되며 곡선의 미학 또한 그 사물들 속에서 형성된다. 또한 그의 시가 지니고 있는 소리의 이미지는 커다란 남성적 울림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서 소리의 이미 지는 시의 음악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시적 요소인 동시에 시작품에 가락의 윤기를 더해주는 효과를 주기도 한다. 판소리 사설조의 계승은 시인 자신이 개인적 정서와 향수를 전통의식과 결부시킴으로써 겨레의 깊은 정서를 담아내게 된다. 특히 판소리 가락의 ‘아니라’나 ‘토착방언’으로 이루어진 사설의 도입, 시의 리듬을 느리게 만드는 ‘진양조’가락은 그의 시의 의미를 탄력적으로 맺고 푸는 역할을 담당한다. 서정과 어조의 상관성은 남도 토착어의 정서와 민족적 삶의 곡진성, 연기설의 서 정적 진화를 통해 더욱 구체화된다. 남도의 토착적 서정을 계승하기 위해 그는 순수 한 원형적 인간성을 우선 회복하고자 한다. 그 안에서 생성되어 나오는 토속적 시어 들을 통해 시인은 순결한 삶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출하게 된다. 시인의 이런 사고관은 우리 민족의 삶에 대한 공동체적 애환으로 승화된다. 정서의 승화 대상은 우리 산천에 있는 나무와 풀, 이름 모를 들꽃들 같은 나약한 존재들로 이루어져 있 다. 그 사물들에 명명되어진 이름들은 거부할 수 없는 민족어인 동시에 시인이 추구 하고자 하는 근원적인 시적 울림이다. 또한 송수권의 시정신에 전반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불교의 연기론이다. 특히 그의 시작품 전반에 걸친 유심론적 세계관은 일 종의 不二정신으로 죽음과 삶은 하나라는 인식에 기반한다. 그래서 시인은 죽은 누 이와도 대화를 나누거나, 죽은 개가 다시 감나무로 환생하는 모습을 포착하며, 입적 한 스님들의 모습을 매화 속에서 보기도 한다. 시인은 이러한 시적 특질들을 통해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건강한 시의 정신을 회복하는 동시에 연기론적인 사유의 체 계까지도 확립한다. Poet Song Soo-gwon is one of the poets creatively succeeding to traditional lyric poetry. He expressed in the whole parts of his poems affection for folk lives forgotten in civilized urban lives, and his concern spread to people in general and the love toward the nation and the land. He also prescribed the language of Chollado, his hometown, as a standard language, and formed national lives, emotions, values, and life styles consisting in dialects into poem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understanding Song Soo-gwon's poetic world is to find out 'the structure of poetic tones' and 'interrelation between lyricism and tone'.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tones are shown as the structure succeeding to Pansori Sasaeljo and melody through aesthetics of curved lines and masculine reverberation. The aesthetics of curved lines produces magnificent melodies in curves his poetic world head toward. These melodies of curves can be caught in ridges, steams of rivers, sounds of a gong and a temple bell, an unpaved country road, and smoke in the evening, and is formed in those things. Sound images of his poems have traits of grand masculine reverberation. Sound images are very important elements in expressing poetic music and at the same time gloss melodies. When it comes to succeeding to Pansori Sasaeljo, poets themselves express deep emotions by combining personal emotions and reminiscence with traditional rituals.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Sasael made up of Pansori medody 'Anira' or 'dialects', and 'Jinyangjo' making poetic rhythm slow play roles in weaving and unweaving poetic meanings elastically. The interrelation between lyricism and tones is embodies through emotions of Chollanamdo dialects, hardships of national lives, lyrical evolution of Karma Theory. To succeed to local lyricism of Chollanamdo, first he wanted to recover pure archetypical humanity. He could express willingness to keep pure lives through local poetic words. This thought view is sublimated into communal joys and sorrows of national lives. The subjects of sublimation are composed of trees, grass, and unknown wild flowers. The names given to those things are irreversible national words and at the same time the basic poetic reverberation the poet tried to seek. The Karma Theory of Buddhism is operating in Song Soo-gwon's whole poetic spirit of. Especially his spiritualistic world view is based on Non-Dualistic spirit, an awareness that death and life is one. So the poet converse with the dead sister, the dead dog is born again a persimmon tree, and dead Buddhist monks are reflected in apricots. Through these poetic characteristics, the poet recovers the sound poetic spirit and establishes the system of the Karma Theory.

      • LP-BM5 바이러스 감염 쥐에서 PSC의 면역조절효과

        유은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LP-BM5 바이러스 감염 쥐에서 PSC의 면역조절효과 유은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노화의과학과 지도교수: 이정민 울금의 성분 중 커튜민은 항산화 기능과 생리면역활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수용성 색소인 안토시아닌(anthocyanin)에 의하여 자색을 띠는 자색고구마는 식감과 맛이 뛰어나며, 다른 식품에서 분리되는 색소에 비해 빛과 열에 비교적 더욱 안정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항산화 및 생리면역활성에 뛰어나지만 식용으로 보급화되지 않은 울금과 안정된 색감과 호감적 식감인 자색고구마를 첨가하여 만든 식이와 면역증강식품인 홍삼 첨가 식이를 비교 연구하여 면역결핍 마우스의 식이변화에 따른 면역활성을 비교 조사함으로 울금과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복합식품의 면역조절효과를 연구를 하고자 한다. 연구는 C57BL/6 마우스에 LP-BM5를 감염시키고 진행 되었으며, 식이 변화는 양성기준으로서 홍삼 750mg/kg (PC : LP-BM5 virus injection + Red Ginseng 750 mg/kg B.W.), 그리고 시험 군으로 울금 189 mg/kg B.W (C; LP-BM5 virus infection + Curcuma 189 mg/kg B.W.), 자색고구마1811 mg/kg B.W., ( P; LP-BM5 virus infection + Purple sweet potato 1811 mg/kg B.W.), 울금 + 자색고구마 저농도2 g/kg B.W.( CPL; LP-BM5 virus infection + Curcuma + Purple sweet potato 2 g/kg B.W.), 울금 + 자색고구마 고농도5 g/kg B.W (CPH; LP-BM5 virus infection + Curcuma + Purple sweet potato 5 g/kg B.W.)를 사용하여 12주간 식이 효율 및 장기 무게 그리고 비장(spleen)과 림프절(Lymph node)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면역 활성인자로는 MHCI 과 MHCII, CD4,CD8, CD11b, CD49b, T cell 과 B cell, Th1 cytokine 과 Th2 cytokine, Immunoglobulin, Phagocytosis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울금-자색고구마는 대식세포, NK activity에는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다. 하지만 실험 경향 분석 결과 사이토킨과 T cell에 유 의미 있다고 판단한다. 그 중 Th1 와 Th2의 밸런스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깨어져 면역 결핍이 생긴 실험 동물에서 식이조절로 Th 1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낸다. 이는 인터페론 감마도 유의적 영향, IL12, IL15 도 증가를 나타내어 면역력 증강을 설명해 준다. 감염 후 B Cell 가 많이 생산되지만 본 연구결과 Th2 감소에 기여하였다. 이는 과대 생산으로 인해 Lymphoma로 가지 않도록 균형을 맞추어 면역증강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동물실험결과 비장(spleen)과 림프절(Lymph node) 면역 결핍 대조군의 크기가 비대해 진 것에 비해 유의적 감소가 있었다는 것은 면역 조절 역할이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울금과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식이는 면역활성 성분을 증가시킴으로 질병 예방 및 면역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결론된다.

      • 호흡명상이 알코올 의존 환자의 병식 형성에 미치는 효과

        유은희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Breath Meditation on the Formation of Insight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Consumption of alcohol has been proliferating at a record pace, not only posing serious health risks and domestic issues for the abusers but problems for the society at large. Despite clinical and societal seriousness of alcohol dependence,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the condition has been challenging due to people's reluctance to accept it as a disease. Alcohol dependence at its core is a loss of self-control, and the initial step for treatment should focus on formation of accurate insight in the patient. The effectiveness of breath meditation (breath-counting meditation) on formation of insight in alcohol dependence patients was evaluated. 13 inpatient participants partook in breath meditation sessions for the course of 8 weeks and 20 inpatient non-participants practiced meditation on their own. Both groups were assessed using HAIS twic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aid program. Significantly higher insight scores among participants than non-participants were shown. Further, the participants showed higher scores concerning realization, motivation for treatment, and commitment to quitting. 58 percent of the participants reached the "good insight" status as opposed to only 15 percent of the non-participants. The results should not be generalized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of the study, but supplementing alcohol dependence treatment with breath meditation seems to be an effective and therapeutic approach.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천광역시 남구를 중심으로

        유은희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는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노인문제이다.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정년퇴직으로 인한 노인들의 지위와 역할 상실은 노인에게 소외감과 고독감을 가지고 온다. 노년기는 개인의 삶을 결론짓는 중요한 시기이다. 대다수의 노인들은 아직도 사회적 활동을 하기에 충분히 건강하며 다양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자신들의 인적자원을 사회를 위하여 기여함으로써 삶의 보람을 찾으려는 열망을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회 일각에서도 노인의 유휴인력을 노인자신과 사회 발전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의 하나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자원봉사활동은 노인 생활의 고독감등을 줄여줄 수 있다고 생각되며, 또한 이 사회의 어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생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람되고 희망찬 생활을 영위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많이 활성화되지 못한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노년기 생활에 얼마나 만족을 하고 있는지 노인자원봉사활동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60세 이상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위해 문헌 연구 조사와 조사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되도록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무엇보다도 먼저 노인에 대한 사회적 부정적 인식을 바꾸고 노인들 스스로의 의식변화를 꾀하기 위해서는 노인 자신이 나도 이사회에서 무엇인가 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는 것이다. 둘째는 자신에게 적합한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며, 또한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노인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나 사회단체 등은 재정적인 뒷받침을 해 주어야 하겠다. At the modern society, we have any serous problem and one of which is population problem caused by increasing old people. It is given to their life as more lonely and enervated for old people to lose one's society standing and role according to sudden changes and retirement due to age limit in these days. Old age in their life is so important period which can determine their destiny. Most old people are still healthy and have various ability enough to be engaged in social activity. And they have an aspiration to search for the value life by contributing their human resources to society. Fortunately, It became regard that aged volunteer service activity is one good method to make active use of the idle manpower of the old population for them and social development. I believe that old men' voluntary service activity might reduce the one's sense of loneliness as well as increase a self-esteem of performing a role as the senior citizen of this society. In addition, it might help them lead a worthwhile and hopeful life Therefor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btained by the old population to fine out wheth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senescent life through aged voluntary service activity still much inactivated in Ko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aged volunteer servic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it was found that those aged engaged in volunteer service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fe. Especially, the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the old man had in voluntary service activity and the more years of career they had in voluntary service activity, the higher degree of life satisfaction they had. The better response the beneficiary had aged voluntary service activity, and the better response the family had to aged voluntary service activity, the higher degree of life satisfaction the old volunteer had. This indicates that these i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both groups. Based up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everal suggestion were made for the revitalization of aged voluntary activity. First, each old person is to establish his/her positive self-image that he/she can do something for this society. Second, the old person should be provide with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voluntary service activity. Third, the aged voluntary service activity program will have to be developed that is suited to the old population. Fourth, financial support will have to be provided for the revitalization of aged voluntary activity.

      • 행렬을 이용한 실생활 문제와 해결에 관한 연구

        劉恩喜 순천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students who say, "I don't know why I study mathematics", and to have them understand that mathematics is the key to practical solutions for many practical life problems. I want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value of mathematics, which they are currently learning, by connecting practical problems to the matrix theory in mathematics textbook, and thereby realizing the process of problem solution. This thesis consist of the following: In Chapter II, I briefly stud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atrix theory. In Chapter III, I study the matrix theory as presented in current textbooks and in the newly introduced field of discrete mathematics. In chapter IV, I research the problems of real life and represent the solution process through the matrix.

      • 중학생의 내외통제성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부모기대의 조절효과

        유은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의 내외통제성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의 있어 부모의기대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중학생의 성취동기를 높이는 데 의의가 있고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적절한 부모기대를 통한 부모상담 및 가족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울의 중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 의정부시 2학년 중학생 6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의 내외통제성, 지각된 부모기대, 성취동기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내외통제성, 아버지기대, 어머니기대, 성취동기는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둘째, 중학생의 학년, 아버지교육, 어머니교육, 경제상황을 통제한 상태에서 살펴본 결과, 중학생의 경우 학년과 경제사정이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는데 학년이 낮을수록 성취동기가 높을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넉넉할수록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내외통제성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내외통제성이 높을수록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즉 내적통제를 많이 할수록 성취동기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중학생의 내외통제성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모기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내외통제성과 아버지기대 두 변수의 곱으로 이루어진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을 때 아버지기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내외통제성과 어머니기대 두 변수의 곱으로 이루어진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의 증가를 보여 어머니기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이 내적통제를 하면서 아버지기대, 어머니기대를 받을 경우 더욱 성취동기가 향상되고 외적통제를 하더라도 아버지기대, 어머니기대를 받으면 성취동기가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넷째, 중학생의 내외통제성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아버지기대와 어머니기대를 동시에 투입하여 살펴본 결과 아버지기대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어머니기대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한 개인의 삶에서 아버지기대와 어머니기대는 함께 받기 때문에 동시에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중학생이 생활하고 성장하면서 아버지기대와 어머니기대를 함께 받을 때 내외통제성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아버지기대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어머니기대가 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는 데 있어 사회경제적 변인인 학년, 부모교육정도, 경제사정, 개인변인인 내외통제성, 부모변인인 아버지기대, 어머니기대 등의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중학생의 내외통제성이 높을수록 성취동기가 높아지고 내외통제성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아버지기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어머니기대도 조절효과를 나타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부모기대를 동시에 살펴보았을 때 아버지기대보다는 어머니의 기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중학생의 내외통제성과 성취동기를 향상시키고 아버지기대와 어머니기대가 적절하게 주어질 수 있도록 부모교육, 부모상담 등에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help increase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valid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expectation in relation to the effect that the locus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would have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arental counseling and family counseling to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through proper parental expectation. For that, a total of 608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who included the first, second, third graders of middles school located in Seoul and second graders of middle school located in Eujeongbu-si. The survey was designed to measure their locus control,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the SPSS 18.0 Statistics Program for the frequen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high locus control, paternal expectation, maternal expect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overall sense. Second, the grade and financial situ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en the grade, paternal education, maternal education, economic situation were controlled. The achievement motivation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grade was lower, while the influence on achievement motivation was proportional to financial wealth. The influence on achievement motivation was also proportional to the extent of locus control in connection with the effect of locus control on achievement motivation. In other words, the achievement motivation was higher as the internal control increased. Third,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expectation in relation to the effect that the locus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would have on achievement motiv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paternal expectation was manifested when inputting the interaction term formed by the multiplication of the two variables, i.e., the locus control and paternal expectation. The explainabilit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hen inputting the interaction term formed by the multiplication of the two variables that were the locus control and maternal expectation, sugg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nal expectation. This implies that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ould be improved further if paternal expectation and maternal expectation are placed on them while they are under the internal control and that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might be boosted by paternal expectation and maternal expectation even if the external control is imposed. Fourth, the paternal expectation and maternal expectation were input simultaneously to examine the effect that the locus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would have on achievement motiv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maternal expect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while the paternal expectation did not exhibit any moderating effect. Both paternal expectation and maternal expectation are placed on individuals' lives and therefore need to be examined simultaneously. The paternal expectation did not have any moderating effect, but the maternal expect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in connection with the effect of locus control on achievement motivation when the paternal expectation and maternal expectation are placed on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ir lives and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achievement motivation increased as the locus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 was higher and that the paternal expectation exhibited a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locus control on achievement motivation while the maternal expectation also had the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grade, education background of parents, financial situation, individual variable such as locus control, and parental variable such as paternal expectation, maternal expectation, etc., in improvi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validated that the maternal expectation had clearer moderating effect than paternal expectation when parental expectation was examined.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d basic data for parental education, parental counseling, etc., to help ensure that both paternal expectation and maternal expectation are placed in a proper manner while improving the locus control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Key words: Middle school student, Locus control, Parental expectation, Achievement mo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