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암반사면과 절리의 주향차이를 고려한 안정성 해석 방법의 연구

        유영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암반사면의 파괴형태는 평면파괴, 쐐기파괴, 전도파괴, 원호파괴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파괴형태에 따른 파괴조건이 충족될 경우에 사면파괴가 일어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파괴조건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사면과 절리에 대한 주향 / 경사와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이용하는 평사투영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평사투영법에서 평면파괴가 일어나기 위한 기하학적 조건으로 미끄러짐이 일어나는 면은 반드시 경사면에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한(±20° 이내)주향을 가져야 한다고 제시되어 있으나, 거의 평행한 ±20°에 대한 공학적 근거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평사투영법을 이용하여 파괴조건이 충족될 경우는 한계평형해석, 수치해석, 블록해석 등의 안정성해석방법을 이용 안전율을 정량화하여 암반사면의 안정성 및 보강방법을 검토한다. 본 연구를 위한 일정한 사면의 모델링에서 경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주향의 변화를 주면 파괴블럭의 부피와 중량이 변화하고, 낙하하는 경사 또한 변화되므로 불연속면에서의 저항력과 활동력에 관계되는 안전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안정성해석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계평형해석은 사면을 평형상태로 가정하여 해석하고 있지만, 사면과 불연속면의 주향이 다를 경우 발생하는 안전율의 변화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계평형해석의 가정 조건 중 사면과 절리의 평행조건 대한 한계점을 검증하였으므로 앞으로 사면 파괴에 대한 한계평형해석을 적용함에 있어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failure type of rock slope can be classified into plane failure, wedge failure, toppling failure, circular failure etc. and it is assumed that the probability that the slope failure occurs in case that failure conditions according to each failure type are met is high. As a method to judge these failure conditions, the stereographic projection using geometric relationship with strike/dip for a slope and a joint is widely used. As a geometric condition for a plane failure to occur in the stereographic projec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side that a slide occurs must have a strike that is parallel or almost parallel (within ±20°) to the slope, but any engineering basis for the almost parallel ±20° is not presented. In case that failure conditions are met by using the stereographic projection. The stability and reinforcement method of a rock slope are reviewed by quantifying a safety factor by using the stability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limit equilibrium analysis, the numerical analysis and the block analysis etc. If the strike is changed while maintaining a slope constantly at the modeling of the constant slope for this study,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failure block are changed, and the falling slope is also changed so it can be confirmed that a safety factor that is related to resistance and activity on discontinuities is changed. However, the limit equilibrium analysis that is widely used for stability analysis analyzes with an assumption that a slope is in the state of equilibrium, but the variation of a safety factor that occurs in case that a strike of a slope and discontinuities is different is not considered. In this study, since the limit for parallel conditions of a slope and a joint among conditions of assumption for the limit equilibrium analysis is verifie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qualitative improvement in applying the limit equilibrium analysis for the slope failure in the future.

      • 흡착관을 이용한 자동차 에어컨 증발기의 냄새농축 방법

        柳泳在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odor complaint has been increased for the malodor in the cars. Also, as a mechanical performance improved in the car, a pleasant air quality is required. Hence,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resolve the problem of malodor and reduce the emission of air pollutants in the cars. It was generally known that the malodor was emitted from seat, sealant and plastic materials from the HVAC system in the cars, but according to the recent research, it was proved that the malodor is caused by evaporator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The operation modes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an be divided into [Dry]mode, [Dry to wet]mode, [Wet]mode and [Wet to Dry] mode. Among those modes, the rapid changes of moisture occur at [Dry to Wet]mode and [Wet to Dry]mode leading to the occurrence of strong malodor. In contrast, odor was not sensed at the other modes. However, the odor causing compounds can be detected even though odor was not sensed. In addition, it is hard to examine the light-odor below detection limit and catch the time that odor is produced. Therefore, the new methods to condense the light-odor at continuous mode is required. To concentrate the light-odor, extremely low temperature condensing method and sorbent materials have been used. At extremely low temperature condensing method, high cost is required due to use of refrigerant. Meanwhile, in the case of sorbent materials, there are some advantages such as various types of sorbent materials in a sale, low cost and convenience to take samples. In this study, multi bed sorbent materials have been used for effective sampling and examination of light-odor below odor detection limit at [Dry]mode and [Wet]mode. Lab-scale test bench system (LTBS) used for experiment was similar to HVAC system in the real car system. Also, the amount of water produced from evaporator was almost similar between experimental bench system and real HVAC system in the cars. Generally, malodor was sensed with the rapid change of relative humidity showing the characteristic of LTBS, but it was not easy to reproduce same odor even when LTBS was operated at the same condition. Therefore, multi-bed adsorption tube made was used to condense light-odor for effective evaluation of non-detectable odor. Multi-bed adsorption tube made showed over 90% of recovery rate experiments and below 10% of RSD from the results of toluene . In addition, it was possible 14 times condensation of toluene indicating non-detectable odor limit. By using adsorption tube at [Dry]mode and [Wet]mode, the non-detectable odor was concentrated to 1 or 2 degree for direct odor sensory test and 3.2 and 3.6 times condensation for more than five carbon chai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lso, the odor of "dusty" and "plastic" was detected from the samples obtained from [Wet to Dry]mode. The individual odor analysis showed that "dusty", "fragrant", "moldy" and "pungent" odor could be detected.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multi-bed adsorption tube was useful to concentrate non-detectable odor at various modes and reproduce the detectable odor for odor sensory test. 1) 이 연구에서 자동차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냉동벤치 시스템은 실제 자동차의 냉방시스템과 유사한 성능을 나타냈다. 2) 냉동벤치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는 이전 연구 결과와 같이 증발기 표면의 상대습도 변화가 심할 때 발생하였으나, 냉동벤치를 가동할 때마다 항상 같은 냄새를 나타내지는 않았고, 냄새가 짧은 시간동안 순간적으로 발생하여 직접관능법 이외의 방법으로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자동차 실내의 냄새를 제어하기위해 고려되고 있는 센서는 에어컨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평가할 수 없어 다른 방안의 강구가 필요하다. 3) 역치 이하의 냄새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검토된 triple-bed adsorption tube는 톨루엔에 대하여 Safe Sampling Volume이 약 49 L로 측정되었으며 톨루엔에 대한 회수율이 90% 이상으로 우수하였고, 재현성도 RSD 10% 이하로 양호하였다. 4) Triple-bed adsorption tube를 이용하여 톨루엔으로 제조한 역치이하의 냄새를 농축하여 평가한 결과 직접관능법과 공기희석관능법으로는 농축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TD-GC/FID로 분석한 결과 물질로서 약 14배 농축가능 하였다. 그리고 냉동벤치의 냄새가 나지 않았던 상시모드([Dry] mode와 [Wet] mode)에 적용하여 직접관능평가와 냄새값평가로 농축이 가능한 것을 확인 하였고, 물질로서도 농축된 것을 확인하였다. 5) Triple-bed adsorption tube를 이용하여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 냉동벤치의 상시모드에서 냄새를 농축하여 재현한 결과 직접관능평가로는 case 1의 경우 [Wet to Dry] mode에서 발생했던 “metal like", "plastic", "dusty"의 냄새 중 "plastic", "dusty" 냄새가 재현 되었다. 그리고 GC/FID/O의 개별냄새로 확인한 결과 case 1에서는 ”dusty", “fragrant"가 재현되었고, case 4에서는 ”plastic", "moldy", "pungent"가 재현되어 [Dry] mode와 [Wet] mode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농축하여 [Wet 세 Dry] mode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일부 재현하였다. 6) 이 연구에서 사용한 Triple-bed adsorption tube는 상시모드([Dry] mode, [Wet] mode)의 냄새를 농축하고, 냄새를 일부 재현하여 그 동안 수분 이내로 짧은 시간동안 발생하여 평가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던 [Wet to Dry] mode에서 발생하는 냄새 평가를 보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완전히 재현하지는 못하였기 때문에 용량이 더 큰 흡착관을 사용하여 농축량을 증가시켜 완전한 냄새의 재현을 이루거나 응축수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냄새유발물질을 분석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 생명정보 분석을 위한 웹 기반 데이터 마이닝 도구의 설계 및 구현

        유영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명정보학이란 생명체를 이해하기 위한 생명과학 연구에 의해 확보되는 생명정보들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집하고 분석하며 표현하는 일련의 정보처리에 관련된 학문 분야라 할 수 있다. 생명정보학의 대표적인 데이터 중 하나인 유전자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의 경우는 유전자의 수가 표본의 수에 비하여 월등히 많은 경우(n<p)가 많아 일반적인 통계적, 수학적 분석 방법으로는 분석에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이 데이터 마이닝이다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은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잠재되어 있는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 정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발전되어 왔다. 데이터 마이닝 도구 또는 솔루션은 상당히 많은 종류가 있으나 대부분의 데이터 마이닝 도구는 다양성과 범용성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 사용 편의성과 분석 자동화에 대해서는 소홀한 실정이어서 비전문가가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은 PHP와 WEKA를 이용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실행하고 생성된 분석 결과를 보다 쉽게 해석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일반 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데이터 마이닝 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Data mining is the method to find useful information for large amounts of data in database. It is used to find hidden knowledge by massive data, unexpectedly pattern, relation to new rule. We need a data mining tool to explore a lot of information. There are many data mining tools or solutions; E-Miner, Clementine, WEKA, and R. Almost of them are were focused on diversity and general purpose, and they are not useful for laymen.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web-based data mining tool using PHP and WEKA. This system is easy to interpret results and so general users are able to handle. We implement Apriori algorithm, Predictive Apriori algorithm and Tertius algorithm of association rule, K-Means algorithm, EM algorithm and FarthestFirst algorithm of cluster analysis, and J48 algorithm, ADTree algorithm and ID3 of decision tree.

      • ps단위 위상지연을 이용한 시추공 레이다 수신기용 고속 샘플러 설계에 관한 연구

        유영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GPR is applied to many fields in recent years because it can acquire images of underground structures and lipids difficult to be visually confirmed by using electromagnetic waves. A GPR receiver is a device that receives electromagnetic waves of an impulse type continuously radiated from a GPR transmitter to receive a signal that is reflected or scattered back to the object to be surveyed. Here, a high-speed sampling technique is essential. In general, the GHz ADC is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speed sampling circuit, but in this cas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price is too high to be applied to a commercial GPR receiver. As a result, ETS technology is used for GPR receivers, which is comparatively slow but achieves equivalent results with GHz band sampling using low-cost ADCs. ETS is a system that acquires data from a reference signal at a time with a constant delay for each signal input, for sampling in the GHz band. It is important to design the unit to have a fine and constant delay in units of ps. In the previous study, I implemented a GSPS ETS sampler with a 1 ns resolution with a 3-chip structure of ADC, delay generator, and FPGA. In this study, I proposed a method to delay the sampling clock by using DCM, which is a clock management function in Xilinx FPGA, to simplify the existing structure and improve the operation speed of the sampler according to the use of the delay generator. Delaying the ETS sampling clock using the DCM limits the range of clocks that one DCM can delay. Accordingly, in order to sample the recep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DCMs are serially connected to set each interval that satisfies one sampling clock cycle to perform the delay. However, in such a method, an overlapping interval occurs in the delay range allocated to each DCM, resulting in an interval that does not match the order of the sampling data. To prevent this problem, it is needed to calibrate the data sequence after the sampler is implemented. And these corrections require circuit logic for calibration and memory to store calibration values. This results in circuit complexity and additional hardware cost, and requires calibration work for each assembled sampler. Therefore, in this study, I propose a method using four clocks with phase difference of 90 ° for one clock source. One cycle of the sampling clock is divided into 0 °, 90 °, 180 ° and 270 ° phase difference clocks.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require overlapping clocks, unlike the method using multiple DCMs. In addition, in order to satisfy the target sampling range, the structure of the system can be simplified by using one DCM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several DCMs. By using the limited number of DCMs available in the FPGA, the use of a small FPGA package was possible. Also,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time required to acquire the data within the set interval to 1/23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delay generator. Because of this shortened sampling time, it is possible to accumulate 64 more time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ceived signal qualit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ampling method by applying it to a borehole radar receiver for underground tunnel survey. GPR은 전자파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직접 확인이 어려운 지하 구조나 지질에 대한 영상을 얻을 수 있어 최근 많은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GPR 수신기는 GPR 송신기로부터 연속적으로 방사된 임펄스 형태의 전자파가 탐사대상에 반사되거나 산란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 여기에는 고속 샘플링 기술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고속 샘플링 회로의 구현을 위하여 GHz의 ADC를 사용하지만 이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여서 상용 GPR 수신기에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속도는 느리지만 저가의 ADC를 사용하여 GHz대의 샘플링과 동등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ETS 기술을 GPR 수신기용으로 사용한다. ETS는 신호 입력마다 기준 신호로부터 일정한 지연을 갖는 시간에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GHz대의 샘플링을 위해서는 ps 단위의 미세하고 일정한 지연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연구에서 지연 발생기를 이용하여 ADC, 지연발생기, FPGA의 3칩 구조로 1ns 단위 해상도의 1GSPS급 ETS 샘플러를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구조를 단순화하고 지연 발생기 사용에 따른 샘플러의 동작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FPGA 내부의 클럭 관리 기능인 DCM을 사용하여 샘플링 클럭을 지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DCM을 이용하여 ETS 샘플링 클록을 지연하는 경우 하나의 DCM이 지연할 수 있는 클록의 범위가 제한된다. 따라서 일정 구간의 수신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DCM을 직렬로 연결하여 샘플링 클럭의 한 주기를 만족하는 각각의 구간을 설정하여 지연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각단의 DCM에 할당된 지연범위 구간에서 중복되는 구간이 발생하여 샘플링 데이터 순서에 맞지 않는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샘플러 구현 후에 데이터 순서를 맞추는 보정작업이 필요하다. 이런 보정작업을 위해서는 보정을 위한 회로 로직과 보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필요하다. 이는 회로의 복잡성과 하드웨어 추가로 인한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제작된 샘플러별로 보정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클럭 소스에 대해 각 90°씩 위상 차이를 가지는 4개의 클럭을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샘플링 클럭의 한 주기를 0°, 90°, 180°, 270° 위상 차이 클럭으로 각 1/4구간씩 담당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다수의 DCM을 사용하는 방법과 달리 클록이 중복되는 구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구현 후 별도의 보정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목표 샘플링 범위를 만족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DCM을 사용하는 기존 방식에 비하여 하나의 DCM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었으며, FPGA 내부에서 사용 가능한 개수가 제한된 DCM을 최소화하여 사용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FPGA 패키지의 사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지연 발생기를 이용하는 방법보다 설정한 구간 내에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간이 1/23로 단축되었다. 이렇게 단축된 샘플링 시간으로 인해 64회의 추가 누적이 가능해져 지하 터널 탐사를 위한 시추공 레이다 수신기에 적용하여 기존의 샘플링 방식에 비해 수신신호 품질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텍스트 분류 모델을 위한 어텐션 스코어 기반의 데이터 증강

        유영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딥러닝(deep learning)이 다양한 학계 및 산업계의 관심을 받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딥러닝 모델은 기존의 통계 기반의 기계 학습 기법들뿐만 아니라 사람과 유사하거나 그 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딥러닝 모델이 좋은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충분한 크기의 학습 데이터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 하지만, 충분한 크기의 학습 데이터를 구축 및 확보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데이터 증강(data augmentation)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텍스트 분류 모델의 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터 증강 기법인 TABAS(Text-data Augmentation Based on Attention Score)를 제시하였다. TABAS는 어텐션 기법을 통해 각 단어 토큰(token)의 목표변수 예측에 대한 영향력을 고려하여 개체명 인식(NER: Named Entity Recognition)과 품사(POS: Part of Speech) 분석을 통해 토큰을 수정하는 방식이다. 이는 추가적인 외부 데이터 사전 학습 모델(pre-trained model) 또는 언어 모델(language model)없이 기존에 확보 및 구축된 내부 데이터만을 이용해서 활용이 가능하다. 영화 리뷰 데이터와 질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능 평가 및 유효성을 확인한 결과, 학습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최대 약 6.5% 가량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을 활용하여 딥러닝 모델 개발 시,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학습 데이터 부족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멧돼지에 의한 농경지 피해경향과 구제효과 분석 연구

        유영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 wild boar is designated as a harmful wild animal based on a South Korean law, because there have being many types of land uses damaged by wild boars every year. Despite the increasing trend of farmland damage by wild boars, the government didn’t have any solution to get rid of and/or to mitigate the frequency of farmland damages by the wild boar. Meanwhile, there were plentiful data accumulated in every city hall by which a local government pays the refund to farmers for the farmland damage by wild boars. Each local government also paid the incentive to hunters for hunting wild boars which damaged farm lands, and these events were also gathered to the database of each city hall. The frequency on incentives to pay to hunters can be the number of wild boars which were hunted and killed by hunters. Two types of databases upper mentioned would be a valuable information for estimating an aspect of farmland damages and analyzing the effect on mitigating the wild boar population (EMWP); the former (farm land damage information) can be a dependent variable; the later (the frequency on incentives to pay to hunters) can be an independent variable in several models for analyzing the EMWP. For getting models for the EMWP, farmland damage data and frequency of paying incentives to hunt wild boars damaging farm lands from 2012 to 2015 were accepted for obtaining models. Based on the statistics of the farm land damage information, wild boars were known to prefer crop fields rather than rice paddy and orchards. Especially, wild boars tend to mostly like sweat potato as their food during the growing season. The home-range analysis for wild boars were indicating that their home-ranges were commonly overlaid to human land uses so that there can be conflicts between wild boars and human activities. For analyzing the EMWP, this study employed three types of models: poisson model, spatial panel model and GLM with yearly difference values. There is no meaningful output in these models for explaining the EMWP. However, the current trend on intensively hunting wild boars by the incentive was indicating that the EMWP has been gradually appearing. So the further database after 2015 was believed to show reenforced EMWP. Without any top predator, there have often appeared unbalanced population of mesopredators which can effect on an important disturbance in an ecosystem. In South Korea, we have encountered the similar problem and it must be the time to prescribe the proper precaution to regulate the wild boar population with the best and/or proper alternation. “유해야생동물”이란 사람의 생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종을 말한다(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장 제2조 제5호[시행 2016.7.29.][법률 제13822호, 2016.1.27., 일부개정]).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꿩, 멧비둘기, 고라니, 멧돼지, 청설모, 두더지, 쥐류 및 오리류 등을 포함하여 총 14종(포유류 4종, 조류 10종)의 동물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유해야생동물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15.12.31.][환경부령 제633호, 2015.12.31., 타법개정]’ 제4조에 따라 별표 3에서 설명하고 있다.). 멧돼지는 상기 법령에서 서식밀도가 높아 사람의 생명 및 재산에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환경부령에 의하여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되었다. 멧돼지가 인간에게 피해를 입히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한다. 1. 일제강점기 해수구제(害獸驅除)사업을 빙자하여 한반도의 호랑이(Panthera tigris altaica), 늑대(Canis lupus chanco), 표범(Panthera pardus orientalis) 등의 대형 육식 포유류를 대량 학살하여 상위포식자가 멸종 또는 멸종 위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멧돼지의 상위포식자가 사라짐으로써 자연환경에서 멧돼지의 개체수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이 없어졌고, 멧돼지의 서식밀도가 높아지며 인간의 활동영역에 침범을 하기 시작했다. 2. 인간의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도시가 팽창하여 숲의 가장자리가 훼손되며, 경작, 건설 등 인간의 행위에 의하여 서식지가 파괴되고 파편화되어 야생동물에 중요한 서식지 구성요소인 먹이(food), 물(water), 은신처(cover), 영역(place)의 균형이 깨진다. 이로 인해 먹이(food)가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가장자리 지역에서 주로 먹이활동을 하던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파편화되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농경지의 농작물을 먹이원으로 인식하여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게 된다. 국외에서 오랫동안 수행된 연구 자료에 따르면 멧돼지에 의한 피해증가의 원인은 서식지 단절 및 파괴에 따른 서식 공간 부족, 상위포식자 멸종에 따른 먹이사슬 불균형으로 인한 개체수 증가 및 먹이부족 등의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K. et al., 2016). 어느 요인이 핵심적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현상이 그러하듯 상황에 따라 복합적일 수 있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 자료(2005-2015)를 분석한 결과 11년간 멧돼지의 평균 서식밀도는 1㎢당 4.06마리로 나타났고(Appendix. 1), 전국의 멧돼지 개체수는 약 26만 7,000여 마리(2008년 기준)로 추정되었다. 유해야생동물로 포획된 멧돼지 개체는 2005년 2,295마리에서 2015년 21,782마리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5년 전국 지역별 서식밀도는 전라북도에서 8.7마리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기도에서 2.2마리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전국 평균 밀도는 5마리로 나타났다. 농작물 피해에 대해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설정된 멧돼지의 적정 서식밀도는 1.1마리이나(농촌진흥청, 2009) 현재 멧돼지의 평균적인 서식밀도는 전부 이를 넘어서는 수준으로써(Table. 1) 해당 자료를 기반으로 본다면 멧돼지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전국의 멧돼지 서식밀도가 더 낮게 유지될 필요성이 있다. Table 1. Survey on Wild boar(Sus scrofa) during 2012-2015 period 멧돼지로 인한 농작물 피해액은 각 연도별로 상이한 점은 있지만 2005년 76.12억 원에서 2015년 47.01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야생동물 실태조사, 2015). 가까운 나라 일본의 경우 2014년 기준으로 유해야생동물로 입은 총 피해액 191억 엔(약 1,910억 원)중 55억 엔(약 550억 원)이 멧돼지로 인한 피해이다(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Japan, 2016). 포획하는 개체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농경지가 입는 피해액이 크게 줄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현재의 포획수와 비교하여 미래의 포획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상태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가 유지된다는 전제 하에 멧돼지에 의한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멧돼지로 인한 피해 예측이나 분석과 관련된 연구 선행사례로 한국 국립공원 내 야생동물과 농작물 피해(Yoon, S.I, 2007), 멧돼지의 식이물 분석을 통한 농작물 선호도 파악(Lee, S.M. and Lee, W.S., 2014), 멧돼지에 의한 피해 경향 분석(Kim, S.O. et al., 2014)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지역에 대하여 멧돼지에 의한 피해를 예측한 연구는 본 연구의 선행연구인 2014년 논문(Kim, S.O. et al., 2014) 외에는 알려진바 없다. 이렇듯 멧돼지가 인간에게 많은 피해를 입힘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유로 인간에게 피해를 입히는지, 인간에게 입히는 피해가 주로 어떤 조건에서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멧돼지가 인간에게 피해를 입히는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멧돼지에 VHF, GPS collar를 사용하여 해당 개체의 Point 좌표를 얻어 행동권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로, 2012-2013년도의 2년간 자료를 사용했던 선행연구에 대하여 2014-2015년도의 2년간 자료를 추가하여 선행연구인 2014년 논문(Kim, S.O. et al., 2014)에 대한 검증 및 보완을 하여 멧돼지에 의한 피해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로, 유해야생동물에 의한 피해건수 및 금액 자료와, 유해야생동물에 대한 구제실적 자료를 기반으로 유해야생동물의 구제효과를 세 가지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멧돼지가 어떤 서식지를 선호하기 때문에 피해를 입히는지, 인간이 입는 피해를 줄이려면 어떠한 지역을 우선적으로 보호해야 하는지, 현재 구제실적이 피해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가 멧돼지에 의한 피해를 저감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C3H6에 의한 NOx의 SCR에서 귀금속과 제올라이트를 이중 코팅한 모노리스 촉매의 활성

        유영재 順天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Nitrogen oxides(NOx) in the atmosphere are emitted primarily from transportation and other industrial sources, caus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photochemical oxidant, acid rain, and global warming, so they have to be controlled before emitting into the atmosphere. In respect of the severe regulations imposed, the most of new thermoelectric power plants have had to decrease considerably the NOx emissions from their plants. With this in mind, several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decrease the harmful NOx emissions. Selective catalyst reduction(SCR) of nitrogen oxide(NOx) with hydrocarbo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post-combustion De-NOx technologies to control NOx emissions from chemical plant and stationary sources. In this pape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SCR) of NOx with C3H6 was studied in the presence of oxygen. The SCR catalysts were prepared by double wash-coat onto monolith. The lower layer consisted of Au/Al2O3 or Pt/Al2O3 and the upper layer was coated with zeolites onto the lower layer. The Au and Pt particles were dispersed uniformly on monolith with 4~5nm. The activity of SCR catalysts was investigated with varying the loading of noble metal in the lower layer, the kinds of zeolites and NOx concentration. Noble metal-based catalysts are effective for this reaction at appropriately low temperatures and zeolite catalysts in upper layer are effective to permeate NO, oxygen and to adsorb propene. NH4-ZSM5//Au(5wt%)/Al2O3/M catalyst and NH4-ZSM5M//Pt(1wt%)/Al2O3/M catalyst are very efficient for the NOx reduction, the activity was greatly enhanced by coating the upper layer. Also, the reaction temperature taking the maximum activity was lowered by 50℃~100℃, and temperature window was broadened. The optimum loading for Au and Pt on the lower layer were 5wt% and 1wt%,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double wash-coat monolith catalyst could be considered to be a promising system for SCR of NOx with C3H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