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电视剧作为电视节目的一种表现形式,因其题材广泛,形式灵活,内容丰厚,当之无愧的成为宣传主流文化意识形态的中坚力量 近年来,韩剧能在短时间内异军突起,取得骄人的实际并赢得世界的关注 儒家文化应该是其成功的重要因素之一 韩国保留了比较完整的儒家文化器物系统 这表现在遍布全国各地的儒家文化遗迹,比如,安东的书院,一些著名家族的宗祠,遗址等等 同时,韩国也保留了比较完整的儒家文化制度系统 以成均馆为例,成均馆是韩国儒教的象征和中心,拥有教育和祭祀双重职能 馆内建有儒学大学和儒教文化研究委员会,每年3月9月在孔庙明伦堂举办盛大的祭孔大典,儒学院的学生不仅要接受儒学思想教育,而且还要在祭孔大典时学习儒教礼节 全国地方保存了233处乡校和百余所书院,还有遍布各地的儒道会组织 在韩国,人们十分热切的,一丝不苟的接受儒教,韩国人把自己称为“东方禮儀之邦”,一丝不苟的遵循儒教教义所定的仪式的所有方面。时至今日,根深蒂固的儒教行为举止和社会关系模式仍然是在韩国人想事和行事中起重大作用的因素 一部分悠久的儒教传统至今成为了人们的行为和习惯 热爱国家、尊敬父母、尊重他人、遵守秩序、保持礼仪、关心他人,这些精神和态度仍然在韩国人的日常生活中发挥着作用 人们尽管不以儒教精神的形式学习这些儒教德行,但这分明反映了儒教文化传统的影响 可以说,这些德行已经从其哲学的、形而上学的基础上分离出来,成为人们的‘心理习惯 儒教的基本理念,诸如‘君臣父子夫妇长幼朋友之大伦,修身齐家治国平天下之大经’,‘忠孝仁爱,信义和平’等等,已经深深的根植于韩国文化之中,成为韩国民族精神的基石,并且一直延续至今 本论文主要对儒教的共同体意识和家族主义是如何体现在韩国社会,以及如何渗透在韩国的大众文化中进行分析与研究 首先,韩剧里体现了强烈的爱国主义精神。韩国人爱国是举世闻名的,韩剧中韩国人的爱国言行和举动随处可见 韩剧中有很多句台词就是:“我们大韩民国的人......”,说起自己的民族和国家满脸的引以为豪 与此同时,我们可以看到韩剧中几乎所有的演员使用自己的手机,开的汽车全市韩国自己的品牌 这些都是韩国人爱国的体现 韩国基于儒家的群体观,在“教育宪章”里指出:唯有国家的强盛,才有自我的发展,享有自由与权利,尽责任与义务,并积极参与国家的自立建设,发挥国民的奉献精神。做为一个有着儒家传统的国家,韩国国民的价值观念、思维方式和文化结构都受到深刻影响,儒家是最早对群体关系作自觉反省的学派之一 按儒家的看法,每一个体都有自身的价值,所谓“人人有贵于已者”,便是对主题内在价值的肯定。在儒家看来自我的完善并不具有排他的性质,相反,根据人都的原则,个体为实现自我的同时,也应当尊重他人自我实现的意愿,所谓“已欲立而立人,已欲达而达人”就表明这一点 韩国人有着激烈、性急的国民性格,而这正是一种半岛性格 韩国领土面积不大,国家已有风吹草动立即传遍全国 近代史上,韩国因其独特的地理政治学为止,多次成为大国利害冲突的第一线,饱受战争和侵略之苦 因此,韩国人有着强烈的忧患意识和爱国主义精神。个体意识在群体意识和国家意识之前,永远是居第二位的 人必须“克己复礼”,以群体和国家利益为上 表面上看,这种儒家伦理观与孟子提出的“民本主义”相冲突,但在具体应用上,在人与人、人与社会的关系中,“自我”永远是被压抑和克制的对象 中国的封建伦理之核心是“三纲”,即所谓君为臣纲,父为子纲,夫为妻纲。其精神功用就在于用伦理修养来沟通政治关系和家族、家庭关系。自婚姻家庭产生数千年来,家庭一直是社会的细胞,也是现代社会中的人伦之源。家庭和睦有利于社会稳定,也能使人们得到充分的人伦之乐。在儒文化的伦理道德体系中,两千多年来,婚姻家庭道德一直占有突出的地位。在历代儒家看来,特别是儒家亚圣孟子,一直认为国之本在家,要把国家治理好,首先就要把家庭治理好。因此,修身、齐家、治国、平天下,是儒文化的基本宗旨,也是儒文化为社会中的人们提出的最崇高的人生目标。韩国的家庭伦理剧背景常常是三代同堂的大家庭,甚至是兄弟共居的三代家庭,
本 論文은 域上寫眞測賃에서 撮影基綿長의 變化가 誤差傳播에 미치는 影響을 규명하여 보다 이상적인 影據條件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P3l測定用 사진기에 依해 얻은 陰晝로 부터 機械座標를 求하고 affine 변환에 의해 寫眞座標를 구해 collinearity condition에 의한 bundle ad-justment로 標定點의 3차원좌표와 標準誤差를 比較 分析함으로써 握影距離에 따른 기선변화가 誤差傳播에 미치는 영향을 直角水平 및 偏心의 경우로 分類하여 考奈하였다. 重複度가 80%에서 70%로 변화할 때 X,Y,2의 標準誤差는 各各 約 9.8%, 24.4%, 30.7%로 감소되며, 70%에서 60%로 변화할 때 X.Y,2의 標準誤差는 5.6 %, 14.8 %, 21.9 %의 감소현상을 나타내므로 기선변화는 淸度解析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 直角水平인 경우 실제 data에 의한 標準誤差는 simulation標準誤差보다 정도가 양호하나 偏心의 경우는 정도가 낮으므로 攝影方法도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雌上寫眞에서 解情的 方法은 標定에 의한 方法보하 높은 精度의 解析이 能하므로 精密測定을 要하는 各種 構造物의 位置解析에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s the study and analysis of all kinds of exclamatory utterances as a means to express human feelings. Until now, other kinds of sentences such as questions, statements, imperatives have been studied and arranged systematically and widely, but it is true that not many studies on the exclamatory phrasing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both semantic and syntactic analysis is conducted. Especially, in Korea the English curriculum has included exclamations just a little and so students haven't had many chances to learn and use the exclamatory expressions. However,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xclamatory utterances because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ve situations. The exclamations involve many abbreviations, exception sand constraints because they are the utterances to reveal a number of human being's feel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o comprehend and produce the exclamatory expressions in spoken and written English on the ground of traditional grammar. This study consists of syntactic and semantic analysis of the exclamations, establishment of the fundamental exclamation formation, abbreviations, constraints and lots of varied exclamation forms. It may be necessary for us to understand the exclamatory expressions of a native speaker and to express our own feelings incommunicative situations as well. Ability to express human feelings is crucial in communicative performance.
한국기업의 대중국 현지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Since 1990 china economic has been sustaining high economic growth despite stagnant world economy. Specially, China will host Olympic in 2008, at the same time, join WTO. Furthermore, china undertake “Western chinadevelopment project”. Between China and Korea sustainingly have been expanded since a treaty of amity diplomatic relationship in 1992. In 2003, china became the largest exporting country and the second biggest trade country of Korea. Such economy relationship is formed not only in the trade but in investment sector. Therefore Korea’s oversea investment in china has rapidly grown at a more than 60% increasing rate since the first investment in 1998. What is more, it is time for Korea enterprise which invest in China to focus on the expost facto stage, so - called localization, at the first sate of direct investment. At the point of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localization, this study take it for granted that china - based launching enterprise related - study also should transfer from entry mode into operation mode. Localization play a pivotal role in terms of success of Korean enterprise in China market. First and foremost is accommodating to local marketwith localization strategy. Hence, this study will examines, on the basis of localization theory, Korea enterprise's localization in china. it will take one of the Korea leading companies, Samsung electronics as a case which has successfully launched in china. Through this case study, this study put marketing, production, R&D, management on the investment in china all accounts together and then suggest Korea enterprise which is planning to launch on China localization strategy. 세계경제의 불황 속에서 중국경제는 1990년부터 고속성장을 지속하고 있다.특히 중국은 2001년 WTO 가입과 2008년 북경올림픽 유치하면서 중국정부의 ‘서부대개발’ 정책을 시행하여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중국과 한국경제의 교류는 1992년 수교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003년에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자 두번째 교역국으로 부상했다. 이러한 한중간 경제교류의 확대는 단순히 무역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투자분야에서도 이루어져 대중국 해외투자는 1988년 첫 투자가 이루어진 후 연평균 60% 이상의 증가율로 급성장했다. 또한 중국진출 한국기업들은 직접투자 초기 단계에서 이제는 현지화라는 사후 단계에 그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실정이다. 현지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는 시점에서 중국진출 기업들에 관한 연구도 진입방식(entry mode)에 관한 해외직접투자 연구에서 현지화라는 국제 경영관리 방식(operation mode)에 이전되어야 한다고 본다. 현지화는 한국기업의 중국시장에서의 성공의 관건이며 현지화 전략을 통한 현지사회에의 적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지화 이론 및 한국기업의 대중국 현지화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중국로컬기업들, 세계적 다국적기업들과의 경쟁이 치열한 중국 전자시장에 진출한 한국 전자기업 선두주자인 삼성전자 중국공사의 사례를 통하여 대중국 투자에서 마케팅, 생산, R&D, 경영조직 등의 현지화를 종합하여 대중국 현지화의 전략 방향을 도출하고 해외투자 및 현지화를 준비하고 있는 한국기업들에게 현지화 전략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Cabri GeometryⅡ 프로그램을 이용한 개별화 학습이 이차함수 학력증진에 미치는 영향
유열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지난 수십년 동안 교사가 주(主)가 되어서 교과내용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수학교수법에 대한 많은 비판과 의문점이 부단히 제기되어왔으며 또한 학생들에게 적절하고 흥미 있는 프로그램을 최대한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어왔다. 이에 대해 수학교육계는 현 교육이 당면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실제적인 수학교육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여러 가지 시도를 하였으며, 그 대안 중 하나로 컴퓨터를 이용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Cabri Geometry II 프로그램을 사용한 수학교수법이 학생들의 개인차를 어떻게 조절시킬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고, 개별화 교육에 역점을 두어 학생들에게 개인차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내용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업환경에서 교사들과 학생들 사이의 상호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Cabri Geometry II 프로그램을 사용한 수업의 결과와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은 수업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교사들은 이차함수에 관한 내용을 간략하게 학생들에게 설명하고, 학생들은 Cabri Geometry I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포물선의 크기와 폭을 변화시키고 x축, y축으로 포물선을 평행이동 시킴으로써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하여 이차함수와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더욱 더 쉽게 배우게 되고 수업에 보다 적극성을 갖게 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사의 역할은 최소화되고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는 극대화될 수 있다. 이것은 Cabri Geometry II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그것을 적절하게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시키고, 수업에서 우리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것은 학생들이 수업에 보다 집중을 잘 할 수 있고 다각도로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만족 시켜주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During the past decades, the methods of mathematics instruction have been called contiunously into question. There also has been an urgent need to provide maximum opportunity for students to meet some relevent and interesting programs. With the help of educational computer programs, it's possible that we approach methods of teaching mathematics in a more effective way and increase students' attention and motivation by increasing theri level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Most of primarily instructional classes meant boredom, not pleasure, for it is true that students have different needs, concerns, interests, and competences. The aim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effects of the teaching method using Cabri Geometry II Program that have on how to accommodate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speed in the educational circumstances. Recognizing individualized education, we attempt to provide various contents of the program for the students with individual difference. In addition, we try to develop situations in the classroom between teacheres and students more interactively. In this study, we compare results of the class that uses Cabri Geometry II Program with those of the class that doesn't. Teachers explain main teaching points of quadratic functions to students, and allow them to operate programs independently: varying the sizes and the intercepts of parabolas and moving them along the x-axis or the y-axis, students in the former class get to learn about the equations and the parabolas more easily, and therfore they get more aggressive in class. This is to help accelerate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ability to solve the questions, by minimizing the role of teachers and maximizing the student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lass. This suggests that the diverse use of the program and its proper operation make it possible to meet students' needs and accomplish the goals as we want in the field as well, by drawing better attention to the class from the students and satisfying their academic desires in many ways.
유열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부가가치세제를 시행하는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세법적응능력이 부족한 일부 소규모사업자에 대하여 예외적으로 세제상 특례제도를 두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소규모 사업자의 수가 일반과세자보다 더 많아 부가가치세제의 정상적 운영에 많은 부작용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제는 1977년 소비세제를 개혁하면서 도입되었으며, 부가가치세는 조세수입에서 1999년 실적기준으로 내국세 징수의 36.1%, 간접세 징수의 73.5%를 점하여 내국세 수입의 대종을 이루는 기간세목으로 성장하여 왔으나 세금계산서의 수취기피 등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근거과세의 구현이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간이과세제도의 운영실태를 몇가지 기준에 의해 분석하고 동 제도로 인한 주요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간이과세제도의 폐지와 일반과세로의 일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간이과세제도를 폐지하고 일원화하여 모든 사업자에게 동일한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계산방법을 적용함으로서 세부담의 공정성 제고, 세금계산서 수수에 의한 근거과세 확립, 세무행정력의 단순화 및 개인사업자의 혼선방지 및 누출누락 방지등을 통해 부가가치세의 제도적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따라 간이과세제도를 폐지하고 일반과세로의 일원화 방안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보완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납세자의 자발적인 납세순응도를 높여야 하며 납세자가 조세법령이 정하는바에 따라 부담하여야 할 세액을 성실하게 신고·납부하는 납세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 둘째, 간이과세제도에 대한 바른 이해와 부가가치세 본질, 즉 사업자부담이 아닌 최종소비자의 조세부담인 조세전가라는 개념을 인식하도록한다. 셋째, 간이과세사업자등 소규모영세사업자에게는 소액부징수 제도의 폐지 및 축소 조정등을 검토한다. 넷째, 간이과세사업자의 세금계산서 서식에 대한 규제완화, 세금계산서 교부시기의 편의성 완화 등을 통해 세금계산서 수취의무를 유도해 기장의무를 현재와 같이 완화한다. 다섯째, 재화나 용역의 공급이 사업자가 아닌 최종소비자에게 이루어지고 또한 매출의 대부분이 현금으로 이루어지는 업종에 있어서는 신용카드 가맹을 의무화하고 생활화 하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세금계산서 수취의무 유도와 신용카드 가맹 및 사용 활성화 등으로 근거 과세의 기반이 구축됨으로서 모든 거래가 양성화되어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의 증가에 따른 급격한 세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부가가치세율을 적극적으로 인하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제도적 보완책이 시행될 경우 건전한 납세의식의 제고와 근거과세 확립을 통한 부가가치세제의 제도적 정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Most countries that use a VAT system have exceptions for special cases with small-scaled businesses who lack the ability to adapt in taxlaws. In Korea there are harmful side effects of operating the VAT system as is because there are more small-scaled businesses than regular tax payers. In 1977 while the consumption tax system was reformed the VAT system was introduced. In 1999 VAT made up 36.1% of taxes collected domestically and 73.5% of indirect taxes received. The shrinkage of VAT from tax calculations on a domestic level create many problems and this problem can not be pinpointed. This research in Korea's basic tax systems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extracts several major problems resorting from the VAT system depending on the standards of analysis.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a plan to abolish the basic tax system and unify it with regular taxes is presented. The abolishment of the basic tax system and its unification will create an equal stand of tax and tax calculation for all business workers. This in turn creates fairness with the borden of taxes, establishes a relative base tax for calculations, simplifies the taxation administration and prevents confusion for private businessman, and can pinpoint leakage and oversights of the VAT system. For the success of abolishing the basic tax system and unifying it with the regular tax system Supplementary research is needed. First, adjustments need to be increased for tax payers who pay by themselves and an atmosphere that allows tax payers to report their taxes honestly needs to be made. Secondly,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tax system and an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VAT, where the burden of tax is not on the businessman but the final consumer. Thirdly, more exemptions of value-added taxes towards small-scaled petty business must be examined. Fourthly, basic tax paying business mans tax forms need easing of regul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ax forms need to be convenient. The duty of tax calculation receipts induce the duty of registering now and both eased. Fifthly, money supply is not made up of businessmen but of the final consumer. Also the majority of sales are transacted with cash in all types of industries however lifestyle must dictate the use of credit cards and places enforces the duty of tax. Finally, the use of credit cards induces the duty of tax receipts and this will have a positive effected on increasing VAT. In order to not increase the burdens of paying tax the V A T rate should be reduced but with sound payment. The establishment of this on the VAT system will greatly contribute to pinpointing problems that exist.
한·중 한자어의 비교 연구 : 연세대학교 한국어 교재(3-6권) 부록에서 나온 어휘를 중심으로
유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한자어와 중국어의 관계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그 목적으로 한다. 현재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율과 일상 언어생활에서의 사용빈도는 아주 높다고 한다. 그래서 중국인 학습자는 비한자 문화권의 한국어 학습자보다 한국어를 학습할 때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는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는 의미, 형태 그리고 용법에서 일치하지 않는 어휘가 많이 존재하고 있다. 이렇게 한국어 어휘로 굳어진 한자어는 현재 중국어 어휘와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이러한 차이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 방해 요소가 된다. 그래서 본 논문은 한·중 한자어의 비교를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연세대학교가 편저하고 중국 각 대학교 한국어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교재 3, 4, 5, 6권 부록에 나온 어휘 중 2음절과 [-하다]를 비롯한 한자어를 연구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한자어를 동형어와 이형어로 나눠 비교하였다. 동형어는 또 동형동의어와 동형이의어로 나누지만 형태는 같고 의미가 다른 동형이의어에 중점을 두고 비교하였다. 이형어는 이형동의어와 이형이의어로 나누지만 이형이의어는 비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의미가 같고 형태에 차이가 있는 이형동의어를 비교하였다. 이렇게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양국에서 실제 사용하는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양국 한자어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알아보았다. 동형동의어는 형태도 같고 의미도 일치하는 한자어를 말한다. 동형동의어는 한국에 유입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의미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고 중국에서도 원래의 의미가 지금까지 그대로 보존되었다. 비교 분석을 통해서 연세대학교가 편저한 한국어교재 3, 4, 5, 6권 부록에서 동형동의어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아주 큰 장점인 것을 알 수 있다. 동형이의어는 동형 완전이의어와 동형 부분이의어로 나눠 살펴보았다. 동형 완전이의어는 동형어에 해당되는 어휘들의 의미가 전혀 일치하지 않는 어휘를 말한다. 동형 부분이의어는 해당 어휘가 양국에서 공통 의미 외에 역사 문화 경제 등 이유로 새로 생긴 의미를 가지게 된 어휘들이다. 동형 완전이의어와 동형 부분이의어는 3, 4, 5, 6권 교제 부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 않지만 실제 해당되는 어휘 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동형이의어를 잘 비교하고 차이점을 기억해서 잘 파악해야 한다. 이형어는 이형동의어와 이형이의어로 나눌 수 있는데 이형이의어는 말대로 형태도 다르고 의미도 다른 어휘들을 말하고 비교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이형동의어만을 비교 연구를 하였다. 이형 동의어는 또 완전이형 동의어와 부분이형 동의어 그리고 역순 동의어로 나눠 비교를 하였다. 완전이형 동의어는 양국에서 같은 의미를 가지고 형태는 완전히 다른 어휘를 말한다. 즉, AB/CD형의 어휘이다. 부분이형 동의어는 양국에서 같은 의미를 가지며 형태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것이 아니고 하나의 동형 형태소를 갖고 그 형태소의 위치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어휘를 말한다. 즉 AB/AC﹑ AB/CB﹑ AB/BC﹑ AB/CA형의 어휘이다. 역순 동의어는 양국에서 사용하는 어휘 중 같은 의미를 가지며 같은 형태소도 갖지만 어순이 반대되는 어휘를 말한다. 즉 AB/BA형의 어휘이다. 이형 동의어는 전체 연구 대상 중에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형 동의어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제일 쉽게 오용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어 어휘의 형태를 그대로 변역해서 중국식 한국어를 만들고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상의 비교를 통해 연세대학교 한국어교재 3-6권 부록에서 나온 어휘를 정리해 보았다. 본 논문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이 교재를 사용할 때 다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점에서 출발하고 한·중 한자어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런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고 평소에 어휘를 배울 때 더 잘 파악하고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중국 여성 생리대 브랜드의 새로운 패키지디자인 제안 : 한·중·일 생리대 패키지디자인 비교를 중심으로
In China, along with social progress a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e social status of women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demand for aesthetics is also in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the sanitary napkin industry is rapid, and the brand is diversified, and at the same time, the package is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ifi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isual element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s and to study the current brand status. is to presen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visual elements of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by selecting the top 5 sanitary napkin brands for 2020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proposed a new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Using the mind map, he created a new brand called 'Cledevie'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in terms of design, and suggested a package design with a clear brand strategy and direction. Fi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consumers living in first-tier cities, and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investigate consumer preferences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Likert scale, and cross-analysis, and the final proposal for the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was sele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sanitary napkin brands lack brand identity due to the conflict between modernity and conservatives. Second, according to the consumer surve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rand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urchasing behavior. It was also confirmed that color and illustration were two important factors in the package when purchasing a sanitary napki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consumers prefer the image expression of 'Clear', 'Elegant' and 'Natural' more. Third, looking at the final package design proposal, the brand logo used sans serifs to mainly use English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as auxiliary formats to improve readability and internationality of Chinese brands. In order to remind consumers of the brand image and to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 brands, one of the English letters was modified with a leaf illustration. By embodying health and nature, consumers' empathy can be increased. To have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brand, a harmonious tone-on-tone was used similar to the logo color, and the effect of color combination enhances the texture and vitality of the product, which helps to visually enhance the brand's appeal. In the illustration, we used the illustration of flowers and leaves on the front of the package, giving it a high-quality and healthy brand image. The image of flowers is closer to the tastes of female consumers, and intimacy with the brand is also increased. In the layout, a simple left and right arrangement was u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rand logo was applied to each side of the product to enhance brand power so that product information, functions, and size can be seen at a glance. The package container part was opened left and right using LDPE vinyls. It has the storage and practicality of the product itself as well as aesthe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female consumers place importance on sanitary napkin brands. At present, in a situation where foreign brands are leading the Chinese premium market,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promote the brand with a clear brand image so that new brands can express their individuality in order to quickly occupy the marke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roduct that meets the needs of female consumers by segmenting the market, while constantly developing the package design of the product and identifying social phenomena and consumer trends to form a differentiated brand. Existing domestic sanitary napkin brands in China have not yet formed a prosperous identity and quality, but in a period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continuous growth of the premium market, if companies can seize the opportunity, they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market competitiveness and gain opportunities for growt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value in terms of design when Chinese sanitary napkin brands enter the premium market in the future. However, this study selected only 15 brands of sanitary napkin brands, and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were excluded, so the scope of the study wa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women were not considered, future research needs to further broaden the scope of the brand. 중국은 사회의 진보 및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 이에 따라 심미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현대 과학 기술의 발전에서는 생리대 업계의 발전이 신속하고 브랜드가 다양해 지는 동시에 패키지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 은 한· 중· 일 생리대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를 파악하고 현재의 브랜드 현 황을 연구하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고 경쟁력이 있는 새로운 생리대 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 구는 한· 중 ·일 3국의 2020년 상위 5개 생리대 브랜드를 선정해 생리대 패 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를 비교 분석하며, SWOT 분석과 STP 전략 분석법 을 활용하여 분석 결과를 통해 뉴 브랜드의 포지셔닝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새로운 생리대 패키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마인드맵을 활용해 디자인 측면에서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된 'Cledevie'라는 뉴 브랜드를 만들었고 브랜드 전략과 방향성이 뚜렷한 패키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1선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프로 그램을 활용해 빈도 분석, 리커트 척도, 교차 분석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생리대 패키지디자인 최종 제안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중국 생리대 브랜드는 현대와 보수의 충돌로 브랜드 및 제품의 정 체성이 떨어지고 브랜드 차별성도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표현 방식 이 비슷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부족하다. 둘째, 소비자 조사에 따라 브랜드가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 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색채와 일러스트가 생리대 구매 시 패키지에서 중 요하게 여겨지는 두 가지 요소임이라는 것도 확인하였다 . 또 소비자들이 'Clear(깨끗함 )', 'Elegant( 고급스러운 )'과 'Natural(자연스러운 )' 의 이미지 표현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최종 패키지디자인 제안을 보면 , 브랜드 로고는 가독성을 높이고 중국 브랜드의 국제성을 높이기 위해 산세리프를 이용하여 영문문자 위주 로 하고 한자를 보조형식으로 사용하였다. 소비자들이 브랜드 이미지를 연상시키고 다른 브랜드와 차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영문 자모 중 하나에 나뭇잎 일러스트레이션을 변형한 형태를 사용하였다. 건강과 자연을 구현하여 소비자의 공감을 높일 수 있다. 제품 색채는 브랜드와 일정한 연관성이 갖기 위해 로고 색채와 비슷하게 조화로운 톤온톤을 사용했으며, 색채 조합 의 효과로 제품의 질감과 생동감을 높여 시각적으로 브랜드의 매력을 높이 는 데 도움이 된다. 일러스트에서는 패키지 앞면에 꽃과 잎의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했고 고품질과 건강한 브랜드 이미지를 주었다. 꽃의 이미지가 여 성 소비자의 취향에 더욱 가까워지고 브랜드와의 친근함도 더해진다. 레이아웃에서는 앞면에 간단한 좌우 배치를 사용하였고 브랜드 파워를 높이기 위해 제품의 각 측면에 브랜드 로고를 적용하여 제품 정보와 기능, 사이즈 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패키지 용기 부분은 LDPE 비닐류를 이용 해 좌우로 열리는 형태를 사용하였다. 제품 자체의 수납성과 실용성은 물론 심미성까지 갖추고 있다. 결과에 따르면 여성 소비자들은 생리대 브랜드에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중국 프리미엄 시장은 외국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뉴 브랜드가 빠르게 시장을 점유하기 위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확실한 브랜드 이미지를 갖고 효과적으로 브랜드를 홍보해야 한다. 시장 을 세분화하여 여성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만드는 한편 제품 의 패키지디자인도 끊임없이 개발하고 사회 현상과 소비자의 트렌드를 파 악하여 차별화된 브랜드를 형성해야 한다. 중국의 기존 국내 생리대 브랜드 는 아직은 성속한 정체성과 품질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지만 급속한 경제발 전 및 프리미엄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기에서는 기업들이 기회를 잡을 수 있다면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성장의 기회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를 통해서 향후 중국 생리대 브랜드가 프리미엄 시장으로 진출할 때 디자 인 측면에서 참고가치가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그렇지만 본 연구는 생리대 브랜드의 종류 중 15개 브랜드만 선택했으며 미국과 유럽 국가의 브랜드들은 제외되어 연구의 범위가 축소되었다 . 또한 중국 여성의 문화적 인 특성은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브랜드의 범위를 더욱 넓 혀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Referring to general translation theory, this writing considered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translated by Park Tae-won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it conducted a research with which thought and intention he translated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First, Chinese literature translated by Park Tae-won was classified into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and historical stories as per the contents, and arrangement was made on such methods as deletion, omission, addition, and conversion used by Park Tae-won during his translation in comparison of translations with respective originals. Through such methods, Park Tae-won reorganized novels or added psychological descriptions focusing on main characters and characterized regional terminologies by changing them into Korean style. Next, if a more specific review is made on features of Park Tae-won's translation, it is found that his translation literature had something to do with his experience in literature while young and that features appearing in his translation had influence on his creative literature. Positively utilizing psychology analysis used in his creative literature or techniques of camera eyes during the process of his translation, Park Tae-won well represented his own style of writing. From this context, it is understood that Park Tae-won, who preferred to receptive language-oriented translation, exposed his desire to created writing in his style and also in modern Korean language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In order to deeply grasp his literature world, it implies to necessarily go through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Chinese novels translated by Park Tae-won with a long time of translation and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give a great help not only to Park Tae-won's Chinese translation literature but also to researches on relationships between his translation literature and his creative literature. 본고는 일반 번역이론을 참고하여 비교문학적 시각에서 박태원이 번역한 중국고전문학의 양상과 특징을 고찰하는 동시에 그가 어떤 생각과 의도를 가지고 중국문학을 번역했는지를 연구하였다. 먼저 박태원이 번역한 중국문학을 내용에 따라 야담 번역과 역사물 번역으로 분류한 후 번역문과 원문을 대조하여 작품별로 삭제 및 생략, 추가, 전환 등의 박태원이 번역을 하면서 사용한 방법들을 정리했다. 박태원은 이러한 번역 방법을 통해 소설을 주요인물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거나 심리묘사를 첨가하고 지역적 용어들을 한국식으로 바꾸는 등의 특징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박태원의 번역 특징을 좀 더 구체적으로 검토해 보면 그의 번역문학은 그의 어렸을 때의 문학 체험과 무관하지 않았고 나아가 그가 번역을 하면서 나타난 특징들은 그의 창작문학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박태원은 번역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창작소설에서 사용했던 심리해부나 카메라의 눈을 비롯한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문체를 잘 드러냈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수용언어중심의 번역을 선호했던 박태원은 일제강점기에 번역을 통해 자신의 문체와 현대한국어로 창작하고자 했던 그의 욕망을 드러냈던 것으로 파악된다. 박태원이 번역한 중국소설의 수가 많고 번역 기간 또한 짧지 않았다는 점은 그의 문학 세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에서 이번 연구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번 연구가 향후 박태원의 중국번역문학작품과 아울러 그의 번역문학과 그의 창작문학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작업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열 國民大學校 自動車工學大學院 2012 국내석사
본 논문에서는 다른 교통사고에 비하여 2배 이상의 치사율을 보이고 있는 졸음운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LKAS(Lane Keeping Assistance System : 이하 LKAS)은 크게 비전 시스템과 차량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비전 시스템에는 현재 상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Mobileye사의 C2-170 비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선과 구동타이어와의 거리를 출력한다. 차량제어 시스템은 핸들 조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차량의 속도를 입력받기 위한 엔코더, 조향 핸들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조향각 센서, 그리고 이들 센서와 엑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제어 시스템에서는 비전 시스템에서 입력된 거리 값을 바탕으로 현재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여 차량이 도로의 중앙을 주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핸들 조향력을 발생한다. LKAS의 연구 동향을 보면 국외의 경우 유럽 의회에서는 대형 트럭은 2013년부터 LKAS / LDWS(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 이하 LDWS)과 AEB(Automatic Emergency Braking)의 강제 법규화를 제안하고 있으며, 북미에서는 NHTSA(National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 이하 NHTSA)의 경우 2009년 7월부터 법규화를 위한 요구 조건과 시험 방법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고 있다. 폭스바겐은 EPS(Electric Power Steering)를 작동시켜 주행 중인 차량을 차선의 중앙으로 복귀시켜 준다. 인피니티의 시스템은 70km/h이상 속도로 주행 시 차체 자세 제어장치(Vehicle Dynamic Control : 이하 VDC)와 연계해 각 바퀴의 브레이크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이 진행하던 차선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돕는다. 국내에서는 1997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과학기술부가 지원하고 자동차부품 연구원 주관으로 G7과제 ASV(Advanced Safety Vehicle :이하 ASV) 개발계획 중 “졸음운전 경보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2007년도에 연구를 마무리하고 현대자동차에 부착 시험운전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기술을 보완하고 업그레이드를 하고 있으며, 각 제작사마다 현재 차선이탈경고 시스템을 고급 차량에 옵션으로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적용한 상용 비전 시스템인 Mobileye C2-170의 시스템 구동속도는 10Hz이다. 이 구동속도는 차량의 고속 운전에 불안전 요인이 된다. 차량제어 시스템의 구동 속도는 40Hz로 설정하였다. 이는 비전 시스템의 거리 값이 입력되지 않는 구간에 대한 추정을 할 때 오차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동속도이다. 따라서 LKAS의 전체적인 성능은 40Hz로 향상 되었다. 운전자의 조향을 보조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모터의 제어는 토크모드를 통해 이루어졌다. 조향 핸들을 조작하기 위한 토크는 실험적인 방법을 통하여 속도와 핸들 조향각 그리고 토크 등을 구한 후 토크 맵을 구성하였다. 이 토크맵에 의해서 차량의 속도와 조향핸들의 위치에 따른 토크를 출력한다. 본 시스템의 구현은 목표속도 40km/h 50km/h에서 직선과 곡선 구간을 통해 이루어졌다.
한외여과막/오존/자외선/촉매를 이용한 자동차 세차폐수 재이용에 관한연구
In this study, the combination of ultrafiltration-ozone-UV -catalyst in the 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s from car washing wastewater has been investigated. A pilot-scaled plant of 30m3/day was designed with optimal parameters, and operated for 60 days. SS, CODMn, CODCr and rintermediate products were examin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main pollutant concentrations of influent were SS 97.7mg/L, CODMn 28.3mg/L, CODCr 77.3mg/L,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were SS 98.1%, CODMn 89.1, CODCr 90.4, respectively. Carboxylic acid didn’t been detected, however heptanal was founded. It proved that this system was provide much more effective oxidation condition. The application of Ultrafiltration/Ozone/UV/Catalyst process has been proved to be an effective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nonbiodegradable waste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