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만족도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유연수 영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병원 근무 간호사들의 언어폭력 경험 정도를 파악하고, 언어폭력이 직무만족도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구·경북지역의 종합병원 3곳과 대학병원 2곳에서 편의표집한 간호사 250명을 대상으로 2014년 6월 24일부터 7월 1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29명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연구는 영남대학교병원 임상윤리심의위원회 승인을 받았다(YUHS-26-14-018). 병원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점수는 환자·보호자의 언어폭력(2.19±0.79)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의사의 언어폭력(1.77±0.57), 간호사의 언어폭력(1.46±0.53) 순이었다. 대상자의 직무 만족도 점수는 3.37±0.51점(만점 5점)이었고, 소진 점수는 2.97±0.44점(만점 5점)이었다. 의사에 의한 언어폭력 경험은 성별(p=.003), 종교(p=.029), 임상경력(p=.011), 근무부서(p=0.02), 병원종류(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간호사에 의한 언어폭력은 연령(p=.016), 교육수준(p=.048), 직위(p=.001), 병원종류(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보호자에 의한 언어폭력은 근무부서(p=.001)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 만족도는 근무부서(p=.003), 병원종류(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병원(2.71±0.41) 보다 종합병원(3.07±0.53)에서 직무 만족도가 더 높았다. 소진은 연령(p=.001), 결혼상태(p=.001), 종교(p=.001), 교육수준(p=.001), 임상경력(p=.001), 직위(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폭력과 직무만족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언어폭력과 소진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직무만족과 소진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많은 간호사들이 언어폭력을 경험하였으며 그로 인해 직무만족도가 낮아지고 소진이 발생하는 결과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원에서는 간호사들이 폭력에 노출되지 않도록 직원 상호간에 서로 존중하고 이해하며 환자를 돌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여러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북한 가야금 교본 연구

        유연수 淑明女子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6. 25전쟁으로 남북이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지내 온 지 벌써 5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 전통 음악을 보존 계승 발전시켜 왔던 남한에 비해 민족 음악의 현대화와 혁명적 음악 예술의 창작 필요성을 강조한 북한은 음정을 우리의 전통 음정이 아닌 평균율로 바꾸고 또 전통 악기 개량 사업을 실시하여 가야금의 줄도 12줄에서 13, 16, 21줄 등으로 현대적인 악기와 비슷하게 개량하였다. 따라서 북한에서는 이에 맞는 연주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연구를 통해 가야금의 전통적인 주법과 북한에서 개량된 가야금이 사용됨에 따라 생겨난 주법을 비교함으로써 분단 이후 북한에서 변화된 가야금의 연주법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북한 『가야금 교칙본』에 나타난 오른손 주법과 왼손 주법, 특수 주법 등을 남한 주법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주법의 연습곡을 살펴보았다. 북한 ?가야금 교칙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른손 주법은 크게 뜯는 주법, 퉁기는 주법, 미는 주법, 집는 주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오른손 주법에는 ‘뜨는법’, ‘뜯는법’, ‘튀기는법’, ‘덧튀김법’, ‘미닥법’, ‘엄지 미닥법’, ‘훑는법’, ‘집는법’으로 7가지이다. 북한의 ‘뜨는법’은 2지로 줄을 위로 떠 올리면서 소리내는 법으로 남한의 뜯는 주법과 방법은 같으나 명칭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북한의 ‘뜯는법’은 1지와 2지를 합여 줄을 집어 뜨는 주법으로 북한의 곡에서 자주 사용하는 주법인데 반해 남한에서는 산조 연주 중 한 음을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주법으로 공식적인 명칭이나 기호가 없다. 북한의 ‘튀기는법’은 2지의 손톱 부분을 1지 안에 굽혀 넣고 줄을 튀기는 주법으로 남한의 퉁기는 주법에 해당하는데 주법의 기호에서 ‘ 2 ′’와 ‘ 0 ’으로 다르다. 북한의 ‘덧튀기는법’은 3지, 2지로 차례대로 튀기는 주법으로 남한의 연퉁기는법에 해당하며 주법의 방법은 같으나 기호에서 ‘ 3′ 2′’와 ‘ 80 ’으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미닥법’은 2지, 3지를 차례대로 미는 주법으로 남한의 산조에 쓰일 때는 주법의 방법이 같지만 정악에 쓰일 때는 달라진다. 즉 2지로 낸 여음을 3지로 막는 것을 막지 않고 두 음다 길게 울리도록 한다. 북한의 ‘엄지 미닥법’은 1지로 먼저 뜨고 2지로 뜨거나 1지, 2지, 3지를 차례대로 뜨는 주법으로 1지, 2지, 3지를 차례대로 뜨는 주법은 남한의 김죽파류 중모리 중 경드름에 많이 쓰는 주법이다. 북한의 ‘훑는법’은 2지로 두 줄을 훑으며 올라가는 주법으로 남한과 주법의 기호는 같지만 방법이 서로 다르다. 즉 북한은 아래 음과 윗 음을 훑으며 올라가는 주법이고 남한은 아래 줄은 밀고 윗 줄은 뜯는 주법이다. 오른손 주법은 방법에선 남북이 크게 다르지 않지만 주법의 명칭이나 기호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왼손 주법은 크게 농현, 전성, 퇴성, 추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왼손 주법은 규칙적으로 흔드는 ‘롱현’, 음정 변화를 위한 ‘롱현’, 장식음을 위한 ‘롱현’, ‘겹롱현’, 구르는 ‘롱현’, 엄지손’가락에 의한 ‘롱현’으로 6가지이다. 규칙적으로 흔드는 ‘롱현’은 남한의 가늘게 떠는표, 중간으로 떠는표, 굵게 떠는표로 나뉜다. 음정 변화를 위한 ‘롱현’은 남한의 점진적으로 올리는표, 점진적으로 내리는표, 떨면서 내리는표, 아래줄표, 제자리표, 추성, 퇴성, 음을 올려 떠는표, 음을 내려 떠는표로 나뉜다. 장식음을 위한 ‘롱현’은 남한의 꺽는표로 북한의 ‘겹롱현’은 남한의 여음표에 해당한다. 북한의 구르는 ‘롱현’은 남한의 전성으로 북한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롱현’은 남한의 모지표, 엄지표에 해당한다. 북한은 창작 음악 연주를 위한 악기 개량과 평균율 사용으로 전통곡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음정 표현을 위한 왼손 주법이 사라졌다. 즉 서양 음악적인 창작 음악에 맞는 오른손 주법을 중심으로 표현하고 전통 음악의 표현을 위한 왼손 주법은 생략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북한?가야금 교칙본?의 특수 주법은 남한의 신곡 주법으로 ‘곱울림 연주법’, ‘소리 멈추는법’, ‘화음 연주법’, ‘이어 훑는 주법’, ‘버팀음 연주법’, ‘도르뱅이 주법’으로 6가지이다. ‘곱울림 연주법’은 줄의 ½ 위치에서 뜨는 주법으로 남한의 C.S나 Hamonics에 해당하는데 본음보다 옥타브 위의 소리를 내기 위해 사용하며 또한 남한에서는 음색을 탁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소리 멈추는법’은 여운을 짧게 끊는 주법으로 남한의 staccato주법이며 ‘화음 연주법’은 1지, 2지 등을 동시에 뜨는 주법으로 남한의 동시 화음 주법이다. 북한의 ‘이어 훑는 주법’은 1지, 2지 등을 차례대로 뜨는 주법으로 남한의 분산 화음과 같다. ‘버팀음 연주법’은 3지, 1지, 2지, 1지로 뜨는 주법으로 남한의 최옥산류에서 말발굽 연주법이라 한다. 북한의 ‘도르뱅이 주법’은 남한의 연퉁기는법 중의 하나이다. 북한 ?가야금 교칙본?에서는 산조, 정악보다 신곡에 많이 쓰이는 주법이라 하여 특수 주법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남한의 교본에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남한의 신곡 주법에는 네 가지 Arpeggio 주법과 3지, 2지를 거의 동시에 퉁기는 주법과 5지, 4지, 3지, 2지로 차례대로 퉁기는 주법, 줄을 긁음과 동시에 음을 확대시키면서 비벼주는 주법이 있는데 북한의 특수 주법은 남한의 신곡 주법과 다르게 왼손을 현침쪽으로 옮겨서 오른손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넷째, 북한의 ?가야금 교칙본?에 수록된 가야금 곡은 총 138곡으로 연습곡은 60곡, 정악곡은 타령, 군악 등 5곡, 산조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등 13곡, 민요는 아리랑, 풍년가, 진도 아리랑, 옹헤야 등 29곡과 민요 변주곡은 닐니리 변주곡, 경발림 변주곡, 등 5곡, 기타 체제 찬양의 성격을 띤 곡은 불평등가, 자유가 등 18곡, 동요는 어린이 동무 춤추자, 줄넘기 등 8곡, 판소리에 관련된 곡은 토끼화상, 방자의 노래로 2곡, 무용곡 물고기의 춤, 어부의 노래 등 4곡으로 다양한 장르의 곡들을 수록한 것을 알 수 있다. 북한 ?가야금 교칙본?의 연습곡은 다양한 조성을 연주할 수 있게 가야금의 조현 방법으로 조바꿈과 조옮김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 북한 『가약금 교칙본』은 오른손 주법과 왼손 주법의 연습곡을 같은 비중으로 다루고 있으며 오른손 주법, 왼손 주법, 특수 주법에 맞게 곡을 선정하여 그에 따라 연주곡을 분류하고 있다. North and South Korea have held many different aspects of ideologies since the Korean War. After Korea wa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Korea, no ideologies in these two regions have since been exchanged. This was especially true for any information in North Korea,which was restricted by its government to release to South Korea. Therefore, in the past, we only have assumed that North Korea had evolved in various areas like sociology, economics and culture, it was not yet confirmed or proved.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Pyung Yang artist team in Seoul in 1985, and the full-scaled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ince 1999 enabled the public to know at least to some degree about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in North Korea. These events allowed South Korea to learn and experience the style of performing Gayageum, which was not done since the division by the Korean peninsula in 1955. I have analyzed and compared the transformed style of Gayageum in North Korea after the War. This textbook of Gayageum in North Korea also allows u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Korean Classical Music in North and South Korea. Upon evealuation of the textbook Gayageum of North Korea, Many differences were uncovered pertaining to right and left hand skills, unique skills, and other developments. Moreover, I have seen how these techniques are practiced in actual songs. Analyzed results of the Gayageum Textbook of the North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even different kinds of right hand execution involved. There are 'Tteudneunbeop', 'Tteuneunbeop', 'Twigineunbeop', 'Deos-twigineunbeop', 'Midakbeop', 'Eomji-midakbeop', 'Hultneunbeop', 'Jipneunbeop'. 'Tteudneunbeop' in North Korea style is similar to how it is performed in South Korea but they differ in their uses for this execution. While 'Tteuneunbeop' is used quite frequently in North Korea, it is only used in few cases in South Korea when emphazsing one sound in Sanjo. 'Twigineunbeop' of the North is performed by strumming the string through putting the nail of the thumb on to the first finger and it is marked as '2'. This is different from South Korea where strumming is marked as '0'. 'Deos-twigineunbeop' of North Korean execution uses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by strumming them in order. This skill would fall into the category of 'Yeon ttunggineunbeop' in South Korea. Although they are the same in terms of methodology, they use different ways of marking; '3' and '2' in North Korea, and '80' in South Korea. 'Midakbeop' uses first and second fingers by pushing them. While it is used as same method as in the South when it is applied in Sanjo, it is applied quite differently when it is used in Jeongak. Specially, the second finger does not absorb the initiated sound formed by the first finger. Rather, it is left untouched to allow a continuous sound. 'Eomji-midakbeop' of the North is picked by either the thumb, the first finger, or thumb, first finger or second finger in sequence. The last alternative is commonly used in Gyeongdeureum of Gimjukparyu and Jungmori. 'Hultneunbeop' of the North uses first finger to scratch two strings upward and its symbol is the same as in the South, although the methods are different. While both strings are plucked in the North, only one string is scratched and the remaining strings are picked in the South. Thus, it could be claimed tha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methodology, although they are quite different in t Secondly, left hand skills are very distinctly divided into Nonghyeon, Jeonseong, Toeseong and Chuseong. However, according to the Gayageum Textbook of in the North, the left hand skills a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They are as follows: vibrating 'Longhyeon', 'Longhyeon' for the change in the interval, 'Longhyeon' for the ornament grace, 'Gyeop-longhyeon', 'Guruneun-longhyeon', 'Longhyeon' of the thumb. Vibrating 'Longhyeon' is divided into weak, medium and strong trembling notes. 'Longhyeon' for the change in the interval is divided into gradually raising note, gradually lowering note, tremulously lowering note, lower string note, original note, Chuseong, Toeseong, raised trembling sound note, and lowered trembling sound note. Longhyeon for the ornament grace is referred as kkeokneunpyo in the South and gyeop-longhyeon is referred as lingering sound note in South Korea. 'Guruneun-longhyeon' in the North can be seen as jeonseong in the South. 'Longhyeon' of the thumb is divided into Mojipyo and Eomjipyo. The left hand executions that were used in the traditional music to perform a variety of sound expressions has been eliminated in the North due to their instrument's improvement in creative music performance and the usage of equal temperament. In other words, the creative music of the North is expressed based on right hand execution and the North tends to neglect the left hand execution that is used in expressing the traditional music. Thirdly, the North's special execution is the same as the South's new musical composition and refers to all the execution that is created after the formally existed execution of Jungak and Sanjo. According to the Gayageum textbook of the North, the special execution is divided into six categories. They are: 'Gopullim-yeonjubeop','Sori meomchuneunbeop', 'Hwaeum-yeonjubeop','Ieo-hultneunbeop', 'Beotimeum-yeonjubeop', 'Doreubaengi-jubeop'. 'Gopullim-yeonjubeop' refers to a method of picking the middle of the string. This is the same as the execution of CS or Hamonics in South Korea. This execution is used to express a sound above its octave, rather than its original sound. The South also uses it to express a think sound. 'Sori meomchuneunbeop' is a method of stopping the lingering sound and is known as a staccato execution in the South. 'Hwaeum-yeonjubeop' uses picking of the thumb, the first finger and etc. and is known as a chord in South Korea. 'Ieo-hultneunbeop' is a picking of the thumb, first finger and etc. in order and is known as broken chords in the South. 'Beotimeum-yeonjubeop' is a picking method of second finger, thumb, first finger and thumb and is known as 'Malbalgup-yeonjubeop' in the 'Choeksanryu' in the South. 'Doreubaengi-jubeop' of North Korea is known as one of 'Yeon ttunggineunbeop'. Both particular styles in the North and the new-music style in the South sound splendid using harmony. But, those particular styles do not use Hyun-chim. Fourth, there are various genres of music in the textbook for Gayakeum rendering styling of North Korea, included are a total of 138 genres of music: 61 for etude, 5 for Chung-ak, 28 for folk song, 5 for variation of folk song, 18 for praise of Il-sung kim, 6 for children's song, and 2 for Pan-so-ri. There are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for providing various tonalities in Gayakeum rendering styling of North Korea. The standardization of name and symbol for rendering style in South Korea is imperative, compared to North Korea.

      • 천연재료를 이용한 모기퇴치 로션 개발을 위한 연구

        유연수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모기로 인한 질병이 확대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모기기피제의 수요 또한, 역시 증가 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기존 판매중인 천연재료모기퇴치 로션들을 파악한 결과, 디에틸톨루아미드(DEET)성분이 포함된 해충 퇴치약은 모든 종류의 해충 퇴치에 효과가 있다고 하지만 특히, 모기들을 내쫒을 때, 이 성분 이상으로 효과가 좋다는 것이 없다는 점 때문에 액체형․스프레이형․크림제형․고체제형 등으로 여러 가지가 시판되고 있는데, 이 성분은 모기를 내 쫒는 점에서는 우수성을 보이지만, 독성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사용시에는 주의해야 하며, 플라스틱과 합성섬유를 녹이는 성질을 가진 성분도 함유하고 있어 사용시에 조심히 다루어야 한다. 그래서 유아들에겐 법적으론 제제가 가해지지 않지만 유해 될 수 있는 살충효과의 DEET성분을 제외한 후 모기 기피효과의 기능이 잘 알려진 시트로넬라(Citronella)에 비교했을 때, 개발연구의 주목적 성분인 산초나무(Peppertree Prick-lyash)의 산시올(sanshol) 성분을 함유한 로션제 형태의 모기기피제의 성능을 알기 위함이다.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모기기피제에는 살충효과와 약간의 독성을 품고 있는 DEET를 함유하고 있었다. 유아나 소아층이 사용시 유해성이 있는 DEET 성분을 대처하기 위하여 DEET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일반적 모기퇴치 천연성분인 시트로넬라만을 이용한 로션 A 결과물과 기제품 중 잘 사용 되지 않는 산초의 산시올 성분을 DEET 기능을 대처하여 함유한 로션 B 결과물의 유지시간 및 성능을 평가 하기위하여, 동일한 실험장치에서 흡혈 매체로 하여, 지원자의 손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 A는 한손에는 바르지 않고, 한손에는 A제품 0.14g을 손등 위에 발라 실험한 결과, 시트로넬라만을 함유한 로션 A의 유지시간은 약 2-3시간 사이인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또한, 대상자 B는 시트로넬라보다 향이 강한 산시올 성분을 함유한 로션 B의 제품을 한손에는 0.14g을 바르고 한손에는 바르지 않은 결과 유지시간은 3시간-4시간 정도인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곤충들의 후각을 이용해 다른 방향으로 가게 만드는 것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at the demand for mosquito repellent is also increasing as the disease caused by mosquitoes is expandi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squito repellent lotions which are sold on the market, diethyltoluamide (DEET) Insect repellent pesticides containing the ingredients are effective against all kinds of insect pests, but especially because they do not have any effect beyond this ingredient when they are exposed to mosquitoes, they are classified as liquid type, spray type, cream type, This ingredient is excelling in mosquito repellency, but it contains toxic components, so be careful when using it, and contain ingredients that dissolve plastics and synthetic fibers, so it should be handled with care. Therefore, compared to Citronella, which has the function of mosquito repellent effect after excluding the DEET ingredient which can not be harmful but which is harmful although it is not legally prescribed for infants, (Sanshol) component of Peppertree Prick-lyash in order to know the performance of lotion-type mosquito repellent. Diapers and hair diapers have a killing effect and some monopoly. In order to cope with the DEET ingredient which is harmful to infant and childhood use, it is necessary to use Lotion A product using Citronella Raman which is a natural mosquito repellent natural ingredient which does not contain DEET ingredient, In order to evaluate the retention time and performance of the Lotion B product containing the DEET function, the applicant's hand was used as a blood-sucking medium in the same experimental apparatus. Subject A was not applied to one hand, and 0.14 g On the back of the h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olding time of lotion A containing citronellamine was between about 2 and 3 hours.In addition, subject B had 0.14g of the product of lotion B containing the scent ingredient of citron which is stronger than citronella, and the result was not applied to one hand and the result was maintained for 3 hours to 4 hours. Using insects' sense of smell to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was somewhat effective.

      • 宋代 市舶司 硏究 : 廣州 市舶司를 중심으로

        유연수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 역사에서 대외무역은 조선술과 항해술이 크게 발달하기 전까지는 대부분 육로 교통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당 중엽부터 특정 제도를 통해 바다로의 교역에 국가가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배에 실어 들어오는 조공품의 양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이익이 증가하여, 중앙에서 이 이익을 취하고 관리할 필요성이 생긴 것이다. 이것이 시박 제도의 시작이었다. 시박제도의 시작 시점은 일반적으로 唐 玄宗 開元 2년(713)으로 보고 있으며 당시 市舶使의 역할은 수입 화물에 대한 세금 징수와 정부 수매, 외국 상인의 조공품 및 세금 징수 이후 남은 물품을 중앙으로 보내는 일이었다. 당 이후의 통일 왕조였던 宋은 해외 무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박제도를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당의 시박제도를 계승한 송의 市舶使 역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市舶司라는 기구의 편제를 구체화하고 역할을 명확하게 분담하였다는 점에서 시박제도를 완성시켰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시박사의 직제와 역할을 구체화한 바탕에는 시박사의 이익에 대한 중앙의 통제를 강화하고 중앙 재정에 보태고자 하였던 송 정부의 의지가 있었다. 송 정부의 시박사에 대한 관심은 세관으로서의 기본적인 역할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조공 사절과 외국 상인에 대한 접대와 호위 역할을 맡았던 것에서 드러난다. 이처럼 세관의 역할을 초월한 역할은 神宗 시기에 이루어진 시박사 직제의 개편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정부의 해외 무역에 대한 관심 속에서 탄생한 시박사가 최초로 설치된 곳은 廣州였다. 광주 시박사는 송이 南漢 정권을 멸망시킨 직후에 바로 설치되었는데, 광주는 송 정부가 신속하게 시박사를 설치할만한 요인이 있었다. 첫 번째 요인은 당대부터 시박제도가 시행된 곳으로 이미 해외 무역이 번성하였던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기존에 불편하였던 육상 교통로 역시 당대에 시박제도의 시행으로 그 교통로를 개척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요인은 발달한 해상 교통과 시박제도로 말미암아 남해로부터 많은 상인들이 광주를 중국을 방문하기 위한 관문으로 인식하였다는 것에 있다. 이러한 인식은 남해의 여러 나라에 대한 중국 측 기록이 증명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에는 외국인 거주지인 蕃坊이 일찍이 번성하였고 이러한 광주의 환경은 상인들에게 최적의 무역 환경을 제공하였다. 위의 두 요인에 따라 설치된 광주 시박사는 對南海 무역을 전담하였는데, 이곳이 관리하는 무역량은 다른 시박사를 압도하는 수준이었다. 따라서 경제적인 측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던 광주 시박사는 수입의 안정을 바탕으로 폐지된 적 없이 운영을 유지하였다. 또한 안정적이고 가장 오래된 시박사로써 다른 시박사 운영의 기준이 되었고, 이것이 조례로 정해진 것이 廣州市舶法이었다. 이 조례에 의하여 외국 선박은 입국 및 출국할 때 반드시 광주 시박사를 방문해야 했고 광주 시박사에서는 외국인들의 중국 내 이동에 대한 호위를 책임졌다. 이외에 광주 시박사는 업무의 시행 세칙에서 기준이 되기도 하였다. In Chinese history, international trade was achieved by overland transportation. But in the middle of the period of Tang Dynasty, Chinese began to be interested in a particular system for managing sea trade. according to increasing the amount of freight by merchant vessel made Tang government obtain a substantial profit, the government needed to control sea trade. This control for sea trade was a beginning of Shi-bo(市舶) system. In general, most historians consider Shi-bo system begin in A.D. 714. The roles of Shi-bo-shi(市舶使) were tax collection of import cargo, government purchase, and sending some extra cargo after tax collection and purchase to the capital. After this, an unified dynasty Song Dynasty succeeded to Shi-bo(市舶) system and developed the system. Shi-bo-shi(市舶使)’s role of Song Dynasty was similar to Shi-bo-shi(市舶使)’s role of Tang Dynasty. But Song Dynasty gave shape to Shi-bo(市舶) organization called Shi-bo-si(市舶司) and shared responsibilities determinately for international trade. Thereby, Song Dynasty wanted to supplement central finance. It was different to Tang Dynasty. Shi-bo-si(市舶司)’s role that the organization wined and dined tribute missions and traders shows that Song Dynasty was very interested on internation trade and Shi-bo(市舶) system. In the period of reign of Shen-zong(神宗), Song Dynasty reformed Shi-bo-si(市舶司) organizaion, it shows the transcend typical customs roles as such. For such reasons as mentioned Shi-bo-si(市舶司) was established in the attention on internatinal trade. The first established Shi-bo-si(市舶司) was Guang-zhou(廣州) Shi-bo-si(市舶司). Guang-zhou Shi-bo-si(廣州 市舶司) was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Song Dynasty had destroyed Nan-Han(南漢). There are two reasons that Song Dynasty established that quickly. the first reason is Shi-bo(市舶) system was implemented since Tang Dynasty, so international trade was flourished in Guang-zhou(廣州). Additionally Guang-zhou(廣州) was already a major marine transportation. In the field of overland transportation, Tang Dynasty imroved the road that cross some mountains with implement Shi-bo(市舶) system. The second reason is many foreigners considered that Guang-zhou(廣州) was the gateway for visiting China because Guang-zhou(廣州) was marine transportation as mentioned. This perception like this is showed in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For this reason, a residential district was flourished early, and this social environments provided traders with optimal environments for trade. Guang-zhou Shi-bo-si(廣州 市舶司) that was established for the above-stated two reasons was wholly responsible for international trade to Southern sea. The trade volume that the organization administer was much more than Shi-bo-si(市舶司) in other regions. Therefore, Guang-zhou Shi-bo-si(廣州 市舶司) played a central role of international trade and it was never abolished until Song Dynasty collapsed. According to this ordinance, when foreign ships enter and leave China, they must visit Guang-zhou Shi-bo-si(廣州 市舶司). Guang-zhou Shi-bo-si(廣州 市舶司) was in charge of guard for foreigners and their ships. Besides its business methods was standard for rules for operation.

      • 친환경 의료시설 계획을 위한 인증기준 연구

        유연수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에 대한 고려가 어떤 이슈보다도 우선되거나 동등한 관점에서 이해되고 있는 이 시점에 전체 에너지소비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건물의 친환경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에너지 소비량이 큰 의료시설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대부분 치유환경 개선에만 편중되어왔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의료시설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미국이나 영국에서 의료시설을 위한 별도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에는 아직 의료시설 평가항목이 없다. 최근 몇몇 연구에서 이에 대한 필요성을 주장하였지만 국내·외 일반 건축물의 평가항목을 정리하여 국내 의료시설을 평가하는데 그쳤다. 그리하여 의료시설만을 위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해외사례와 국내 제도를 비교·분석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국내 도입의 타당성을 평가하여 친환경 의료시설 인증기준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의료시설의 에너지 사용현황과 친환경적 의료시설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대한민국, 미국, 영국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의료시설 평가항목이 없는 국내의 경우에는 기존 용도별 인증항목을 분석하였으며, 의료시설 평가항목이 있는 미국과 영국의 경우에는 각각의 의료시설 평가항목을 다른 시설과 비교하여 의료시설에만 적용되는 항목을 도출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과 영국의 친환경의료시설 인증항목을 비교·정리하여 이를 국내 제도에 접목하였고, 이렇게 완성된 평가항목의 적정성과 실효성 평가를 위해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친환경 의료시설 평가를 위해 국내 인증제도에 추가해야 할 필요성이 높은 항목은 ① 건물 500m 이내에 건물의 목적과 적합한 편의시설 여부(BREEAM), ② 하역공간 및 배송자재 저장공간 확보(BREEAM), ③ 공간활용 변화에 따른 개보수에 대비한 유연성 있는 계획(LEED). ④ 중금속 경감을 위한 프로그램 설립 및 유해물질 조사와 제거(LEED)였다. 또한, 기존 국내 인증제도 항목 중 필요성이 낮은 항목은 ① 재활용 목표율 설정, ② 거주자에게 실내 환경 조절방식의 제공여부가 있었다. 여기서 제안한 의료시설을 위한 평가항목은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중 의료시설 인증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다만 국내와 해외의 의료시설 환경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추후 실제 국내 의료시설에 적용해 본 후 평가항목의 조절 및 수정이 필요할 것이다. As the concerns for the environment are gradually prioritized, it is drawing increasing interests to convert buildings, the biggest energy consumers, environment friendly. Numerous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regarding the medical facilities which consume energy that is more than double of residential or commercial buildings. However majority of those researches were mainly focused on enhancing only comfort of the medical facility.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ies to convert them into sustainable medical buildings. Nowadays, various certification systems are arranged globally for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buildings and especially in the US and the Great Britain, independently designed systems to evaluate medical buildings are currently in use. Yet in Korea, evaluation item to estimate environment-friendliness of medical buildings does not exist. Numerous recent studies have claimed the needs for such items but they merely evaluated the medical facilities in Korea after analyzing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general-purpose buildings in and outside of Korea. Therefore, the foreign cases where environment friendliness certification systems are in operation and current Korean regulations are comparatively analyzed and feasibility of such system in Korea is evaluated with interviewing the experts of the field so that the foundation study for environment-friendly medical facility certification system is prepared. Firstly, prior studies regarding energy consumption and environment -friendliness of the medical facilities are analyzed and the certification systems of such buildings in Korea, USA and UK are described. For Korean cases where no items exist for medical facility, the existing ones for other purposes were analyzed whereas for US and UK cases, each item to evaluate medical facility was compared to those for other general facility so that the essential items that can be applied only to medical facilities are derived. The final derivative was applied to current Korean system and supplemented by the interviews with the experts to confirm the fea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items. After the interview, it is learned that the following items must be included in Korean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environment-friendly medical facility; - Existence of convenient facilities that corresponds with the purpose of the building within 500m of distance (BREEAM) - Securing loading and storage space for delivery and construction material (BREEAM) - Flexible plans prepared for renovation of the building (LEED) - Programs established to reduce PBT(Persistent, bio-accumulative, toxic che-mical) (LEED) The items that have low importance in current Korean systems are; - Creating recycling-ratio goal - User’s ability to control the indoor environment Medical building specialists believe that the abovementioned system has a great importance and must be introduced to Korea, however they suggest the system is first applied to the buildings exclusively for medical purposes, such as large hospitals, and then gradually expanding its range to small medical buildings. Vast majority of small clinics in Korea are located in commercial buildings so evaluation method must be developed separately. The evaluation item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foundation for preparing a certification system for medical buildings, among the other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foreign system exist so the detailed items ought to be fine-tuned after test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