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암세포주에서 가미트리닙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형태 변화와 소라페닙이 HBx 유래 간암 약물저항성을 극복하는 약리활성연구

        유승희 동아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A Study on Dynamics of Mitochondrial Morphology by Gamitrinib and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Bypass by Sorafenib of HBx-derived Chemoresistance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by YOO SEUNG HEE Department of Medicine (Cooperative Course)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a common malignancy that is the fifth most common cancer in the world. Most potentially curative therapies for HCC such as surgical resection, transplantation and ablation therapy are of limited efficacy in advanced stages, and the recurrence rate after these treatments is 40 to 80% within 5 years. Thus far, excision remains the most significant method in the comprehensive treatment of HCC. Chemoresistance remains the main causes of treatment failure and mortality in cancer patients. Chemoresistance has been attributed to certain genetic abnormalities, exogenous factor or defects in apoptotic signaling pathways such as over-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s (Hsp90, Hsp70), and the activities of other proteins (COX-2, Nrf2 and bcl-2 family members), activition of HBV (HBx) infection. In cancer cell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the heat shock protins (HSPs) is abnormally high, and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tumorigenicity, metastatic potential of cancer cells and resistance to chemotherapy. To overcome this problem, Gamitrinib, the inhibitor targeting the mitochondrial Hsp90 and TRAP-1, has been designed to selectively accumulate in the mitochondria of cancer cell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 gamitrinib variant containing triphenylphosphonium (G-TPP) binds to mitochondrial Hsp90 and rapidly inhibits its activity, thus inducing the apoptotic pathway in the cell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mechanism underlying activity of gamitrinib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I observed that gamitrinib induces mitochondrial elongation via oxidative stress-induced cell death. I further found that gamitrinib-induced mitochondrial elongation via oxidative stress was mediated dissociation of CDK1-CyclinB1 complex through downreglation of Drp1. On the other hand, HBx-expressed in HCC cell lines partially mediates resistance to chemotherapeutic agents, such as cisplatin, etoposide and other anticancer drug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if the HBx protein endows chemoresistance to sorafenib in HCC. I found that sorafenib, unlike cisplatin and etoposide, efficiently exerted cytotoxicity in HCC irrespective of HBx protein overexpression. Sorafenib decreased the stability of the HBx protein through a proteasome-dependent degradation pathway and increased the anti-viral effects of IFNα on HBV expression. Through this study, I provide clues supporting that gamitrinib-induced alternation of mitochondrial morphology may be the rationale for these agents as novel therapeutic approaches against cancer. And I provide an insight into a valuable experimental strategy for simple manipulation of mitochondrial morphology. I also provide clues that sorafenib not only downregulates HBV gene expression and promoter activity but also shows additive effects with the conventional IFNα anti-HBV therapy. Thus, sorafenib may help to overcome IFN-based treatment failure in some HBV patients. 의학과 유승희 지도교수 유영현 김종민 간암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빈도가 높은 악성종양이다. 간암의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는 외과적 절제술과 간이식이 있으나, 간암이 더욱 진행된 단계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이며, 이 치료법으로 시술받은 환자는 5년 안에 재발할 확률이 40~80% 이상이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외과적 절제술은 간암의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남아있다. 암 환자에서 약물저항성은 치료의 실패와 사망률을 높이는 난제로 남아있다. 약물저항성은 유전적 결함, 외부 인자와 아폽토시스 신호전달의 결여로 인한 것으로 여기고 있다. 암세포에서 열충격단백(heat shock protein)은 비정상적으로 과발현되어 있고, 암세포의 종양형성과 잠재적인 전이성과 연관이 있으며, 이는 약물 저항성과도 관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Hsp90과 TRAP-1을 저해하는 저해제로 미토콘드리아에 특이적으로 축적되는 gamitrinib이 개발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gamitrinib은 미토콘드리아 Hsp90과 결합하고 이의 활성을 저해시켜 아폽토시스를 유발하였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gamitrinib이 간암세포주에서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기전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자는 gamitrinib이 유도한 산화 스트레스가 죽어가는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를 길어지게 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산화 스트레스를 통해 gamitrinib이 유도한 미토콘드리아의 신장은 Drp1 단백의 감소로 인한 CDK1-CyclinB1 복합체 해리와 관계가 있었다. HBx 과발현 간암세포는 일부 cisplatin, etoposide와 같은 화학치료 약물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Bx 과발현 간암세포주에서 sorafenib이 효과적으로 세포독성을 유발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Sorafenib은 프로테아좀의존적 분해경로를 통해 HBx단백의 안정화를 감소시키고, IFNα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증진시켰다. 본 연구는 미토콘드리아의 형태를 바꾸는 gamitrinib은 암 치료 약물의 효능과 관련된 이론적 해석을 제공하여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미토콘드리아 형태를 간단히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 있는 연구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또한 sorafenib이 HBV 유전자 발현과 프로모터 활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항 HBV 치료제인 IFNα의 효능을 증강시켰다는 점을 밝혔다. 그러므로 sorafenib은 IFN을 기반으로 하는 치료에 실패한 HBV 유관 간암 환자에서, 치료저항성을 극복하는 치료전략을 제시한다.

      • 영유아기 소아암 환자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유승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paediatric cancer patients experience through art therapy and what the implications are. Paediatric cancer in childhood makes patients to go through va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as they experience hardships by physical symptoms and by negative effects on developmental task performance and a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psychological difficulty can make negative effect on adaptation of life after the treatment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art therapy of patients who went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of paediatric cancer on adaptation to everyday life.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otal 18 sessions of 60-minute art therapy once a week from Sep 14, 2017 to Feb 22, 2018.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9 year-old boys who were diagnosed with paediatric cancer when they were 3 months old and resumed everyday life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The objectives of art therapy for adaptation to everyday life of paediatric cancer patients are emotional stability, achievement of initiative and autonomy, and establishment of positive self-image, and sessions of art therapy were composed based on these objectives. Data was collected by referring to interviews on participants and guardians, recording of sessions before the art therapy and record of conversation, work procedure and pictures of artwork, and observation log, response task, and response writing of the researcher.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art therapy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analysis method. Semantic analysis process was of reading a verbatim record repeatedly, arranging significant linguistic and artistic expressions of participants, and analyzed by classifying the mean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as classified into total 7 main topics and 15 sub-topics. Categories of the experienced art therapy cases are <Art therapy that I started with timid manner>, <I found myself getting angry and irritated easily when I do art activity>, <I gradually recovered confidence through the leading art activity>, <changes in perspective on myself got expressed into images in artwork>, <became possible to talk with a therapist>, <was a great time for me to express my hope>, and <gained strength for me to do it myself>. Conclusion for what paediatric patients have experienced during the art therap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stabilized their emotion by expressing and relieving emotions as anxiety and fear through the art activity that helped them to express themselves freely. Secondly, participa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confidence and autonomy for solving problems by thoroughly experiencing control and adjustment through the leading art process that actively reflected their desires. Thirdly, participants were able to discover their strengths on their own by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mselves through the art activity where they can exhibit creativity, and were able to have positive self-image and hope for the future through confidence and achievement in art activity. Fourthly, participants experienced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of receiving and providing help with art therapists through interaction. To sum up, paediatric cancer patients got emotionally stable through the art therapy for them to adapt to daily life, and were able to improve confidence and autonomy through control and adjustment. Also, they were able to learn about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through interaction with art therapists, and discovered their strengths and established positive self-image on their own.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소아암 치료과정을 겪은 환자가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영유아기의 소아암은 신체적 증상으로 인한 어려움과 함께 발달과업 성취, 부모와의 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쳐 환자로 하여금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겪게 한다. 이러한 심리적 어려움은 치료 이후 삶의 적응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소아암 치료과정을 겪은 환자의 미술치료 경험이 일상 적응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사례는 2017년 9월 14일부터 2018년 2월 22일까지 주 1회, 60분간 진행하여 총 18회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생후 3개월 소아암을 진단 받고, 치료과정을 거쳐 일상으로 복귀한 9세 남자 아동이다. 영유아기 소아암 환자의 일상 적응을 위한 미술치료의 목표는 정서 안정, 주도성과 자율성 성취, 긍정적 자아상 구축이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회기가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와 보호자 각각 진행한 면담 및 미술치료 전 회기 녹음 파일과 그것을 전사한 축어록, 작업과정 및 작품 사진, 연구자의 관찰일지와 반응 작업 및 반응 글을 참고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사례연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의미분석 과정은 전사한 축어록을 반복하여 읽으며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미술적 표현을 정리한 뒤 그 의미를 범주화시켜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는 총 7개의 상위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 경험의 범주는 <움츠린 마음으로 시작한 미술치료>, <미술활동을 하며 쉽게 화가 나고 짜증나는 나의 감정을 발견함>, <주도적 미술활동을 통해 점점 자신감을 회복함>, <나에 대한 시각의 변화가 미술 작품에 이미지로 표현됨>, <치료사와 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마음의 공간이 생김>, <나의 소망을 표현할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 됨>, <스스로 해낼 수 있는 힘이 생김>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기 소아암 환자가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미술 활동을 통해 불안, 두려움과 같은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함으로써 정서 안정에 도움을 받았다. 둘째, 참여자는 자신의 욕구를 적극 반영한 주도적인 미술 과정을 통해 통제와 조절을 충분히 경험하며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셋째, 참여자는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미술 활동을 통해 자기탐색과 이해를 하며 스스로 강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미술 활동에서의 자신감과 성취 경험을 통해 긍정적 자아상과 미래에 대한 소망을 가질 수 있었다. 넷째, 참여자는 미술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상호 협력적 관계를 경험하고 사회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영유아기 소아암 환자는 일상 적응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 있었고, 통제와 조절 경험을 통해 자신감과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미술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협력적 관계를 배울 수 있었으며, 스스로 강점을 발견하고 긍정적 자아상을 구축할 수 있었다.

      •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에 따른 뷰티요가 프로그램 만족도 연구

        유승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심각한 환경의 위기와 질병의 위협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포괄적인 의학 체계 가운데 하나인 아유르베다와 아유르베다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요가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아유르베다는 선천적 체질을 판단하는 지식을 담고 있어 각자 자신의 체질에 맞는 요가수련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KAPTI)를 이용하여 뷰티요가 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분포를 알아보고,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에 따른 뷰티요가 프로그램 참가자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뷰티요가 프로그램 참가자의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분포를 살펴보면, 카파형(48명, 48.5%), 피타형(33명, 33.3%), 바타형(18명, 18.2%)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요가 프로그램 참여 실태를 살펴본 바, 바타형은 ‘뷰티요가 프로그램 선택 이유’, ‘선호하는 뷰티요가 동작자세’ 등의 문항에서 선택 사항들의 고른 비율 분포를 보여 호기심이 강하며 바람처럼 변하기 쉬운 바타형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피타형은 뷰티요가 프로그램 참여횟수가 높은 비율과 오랜 기간 뷰티요가 및 요가 수련을 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서서 하는 동작’의 선호 비율도 높게 나타나 역동적이며 자신이 믿는 것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지닌 피타형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피타형이 ‘누워서 하는 동작’과 ‘마무리 명상 시간’을 선택한 비율 역시 높아 긴장이완에 대한 선호 역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카파형은 ‘앉아서 하는 동작’의 선호 비율이 높아 안정형인 카파형의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전신 유연성을 위한 동작’의 선호 비율 역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인 뷰티요가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긴장이완 요인’이 ‘신체적 요인’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 뷰티요가에서 스트레스나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부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카파형은 지적인 자극을 의미하는 ‘교육적 요인’이 바타형과 피타형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보수적이고 잘 동요되지 않는 안정형인 카파형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전반적인 뷰티효과 만족도에서 ‘전신ㆍ척추ㆍ허리ㆍ골반 유연성 향상’ 효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신 다이어트 효과’와 ‘얼굴노화 예방 효과’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특히 카파형은 ‘전신 다이어트 효과’와 ‘얼굴노화 예방 효과’의 만족도가 피타형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뚱뚱한 체형과 무거운 체중으로 특징지어지는 카파형은 다른 유형보다 체중 감량이 어려운 체질이기에 ‘전신 다이어트 효과’ 만족도가 낮게 나온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피타형은 ‘복부의 유연성 향상’ 효과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유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바타형은 ‘감성적 치유’ 효과에서 카파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정서적인 교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관계형인 바타형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전반적인 뷰티요가 동작 만족도에서 ‘고양이 자세’와 ‘코브라 자세’ 동작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물구나무서기 자세’와 ‘어깨서기 자세’ 동작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피타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10개의 문항 모두 다른 유형보다 뷰티요가 동작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사 자세’는 12개의 뷰티요가 동작 중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성취하고자 하는 충동과 진취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는 성장형인 피타형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KAPTI)를 이용하여 뷰티요가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 연구를 하였다는 점,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에 따른 뷰티요가 프로그램 구성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 각 유형별로 만족도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와 가치가 있다. 또한 실증적으로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에 따른 뷰티요가 프로그램 만족도를 분석한 본 연구는 몸ㆍ마음ㆍ영혼의 균형을 위한 뷰티요가 프로그램 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다차원 탄소/탄소 복합재의 고밀도화 및 특성 분석

        柳承希 충남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high density carbon/carbon composites were manufactured through the high pressure impregnation and carbonization after fabricating 4-directional carbon fiber preform of weaving type, 3-directional carbon fiber preform of xyz-weaving type and 3-directional carbon fiber prefrom of sy-weaving/z-rod type. Carbon/carbon composites of multi-directional fiber preform were fabricated by using the coal tar based on pitch as a matrix precursor. The pressure used in carbonization is 100 and 900bar respectively. The pressure used in carbonization is 100 and 900bar respectively. Developing and changing morphologies of the carbonaceous matrix phase and coal tar pitch with the treatment pressure were investigated. When the pitch was treated up to 2400℃ after the high pressure carbonization, the degree of graphitization was improved on a small scale and the crystal size tended to reduce. As the applied pressures to 2D, 3D, and 4D c/c composites increased from 100bar to 900bar, the densification ratio was greatly improved. The densification efficiencyof 3D and 4D carbon/carbon composites had a similar tendency. If the 1∼2 times repetition of this process was given, high density carbon/carbon composites can be fabricated sufficiently. In the case of pressure carboniztion by high pressure, the micro pore can be put on the carbon matrix by 1∼2 times repetition of high densification process, but macro pore were remained as it was. Therefore ; the repetition of this cycle is the process that is put on macro pore. the preform of piercing type generates thermal stress severely to the direction of thichness, by high temperature annealing and cool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high densification, The microstructure of carbon matrix that pitch is precursor can be controlled by the pressure of pressure carbonization process in the high densification process. And the superior lamellar structure of carbon matrix liquid phase is gained by process of pressure carbonization up to 600 atm. But at 900 atm, carbon matrix of fine grain type is formed. Because the carbon/carbon composites of 3D xy-weaving/z-rod type had advantageous structure in the impregnation, the carbon/carbon composites of 3D xy-weaving/z-rod type preform has lower porosity of macro pore size, but the porosity distribution of micro size pore is similar as it is compared with the carbon/carbon composites of 3D xyz-weaving type. The carbon/carbon composites of 3D xyz-weaving type was proved as higher tensile strength than them of 3D xy-weaving/z-rod type. Oxidation and ablation arise previously as the high density carbon/carbon domposite is experienced with thermal fluid of high temperature and speed. Therefore the higher fiber volume percentage of composites go up, the higher ablation efficiency of them rise, too: it is because the size of particle aparted from carbon fiber is large than particle from the carbon mati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