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주 역사적 도심 내 자가(自家) 병용주택의 유형별 특성 및 사례 분석 : 성안동과 중앙동을 대상으로

        유슬기 청주대학교 융합신기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targeted the historic city center, where small-scale stores that have existed for a long time are disappearing and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are being built to replace them. It started with the need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city center by actively utilizing mixed-use dwelling that has both commercial and residential functions. Among the mixed-use dwelling, the residential function was placed at the top, and the focus was on owner shop houses where one can live and do business at the same time, rather than for rental purposes. There are a total of 893 mixed-use dwelling, 364 mixed-use dwelling attached to detached houses, and 529 mixed-use dwelling attached to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in Cheongju. While mixed-use dwelling attached to detached houses is mainly built with three stories or less, mixed-use dwelling attached to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tends to be built up to four stories. Most mixed-use dwelling tends to be built with one or less households rather than multi-family housing. The ratio of multi-family housing in mixed-use dwelling attached to detached houses is 13%, while the ratio of mixed-use dwelling attached to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type housing is 3%. In addition, the ratio of vacant homes for mixed-use dwelling attached to detached houses is less than 2%, while for mixed-use dwelling attached to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it is 6%. I think this is because commercial functions are prioritized and this affects the number of households. In order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city, the main function of mixed-use dwelling must be housing. In the case of a shop, it is judged to be valuable when the purpose of the lease is not incurred and business is conducted directly by the occupants.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on owner shop houses was conducted. Accordingly, out of the 364 mixed-use dwelling attached to detached houses, 47 multi-family houses and 109 buildings with rental tendencies were exclud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field investigation, a total of 148 owner shop houses were selected after excluding the demolished buildings. There are 148 selected owner shop houses in the Cheongju historic district.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wner shop houses, First, It has a typical distribution of functions by floor. The first floor has a ㅡ-shaped, ㄱ-shaped, and elongated types. The second and third floors are used as first-floor stores, and the second and higher floors are used as housing. Second,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stairs leading to the upper floor, 34 buildings (30%) have an internal staircase type that ensures privacy. There are 52 buildings (47%) with an external staircase type to maximize the use of the stores on the first floor and separate them from the residential space. There are also 26 buildings (23%) with rear staircase that are accessed through alleys or private yards. Third, From the looks of it, the 2nd floor has 2 bays and the 3rd floor has 1 bay. Thi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of owner shop houses where the scope of individual ownership can be gauged. Despite containing the opposite functions of shop and house, 35-40% of the cases are unified with openings on the upper and lower floors. In the case of regeneration of self-owned housing, it was divided into single-story type, mid-rise type with 2 to 4 stories, and split type with two or more buildings. In the case of single-story type, the function and layout of stores and hous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ㅡ-shaped, ㄱ-shaped, and elongated. The residential function was placed on the side or back, and the insufficient residential function was expanded. In the case of mid-rise type, The 2-bay internal staircase type on the 2nd floor and the 1-bay internal staircase type on the 3rd floor have the upper residential function and the same opening as the store in appearance. The large 3-story, 3-bay external staircase continues to the 3rd floor with stairs. In the case of split type with two or more buildings, there was an old house type divided into two buildings with a yard, a new and remodeled store with a new and renovated store alongside the old house, and a newly constructed type with two building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rban Planning Act through a system that can provide economic support for the use of small commercial areas and houses in the event that the value of concomitant housing in the old city center has been restored, and new ordinances.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owner shop houses and can be said to be a limited case in the historical city center of Cheongju. It is expected to lead to various studies such as specific regeneration plans and renovation methods for future use. 본 연구는 오래전부터 지속되어 온 소규모 상점 군들을 대신하여 주상복합 용도의 초고층 아파트가 건립될 예정인 청주의 역사적 도심을 대상으로 하여, 상업 및 주생활 기능을 동시에 지닌 기존 병용주택(倂用住宅)의 보호 및 적극적 활용이야말로 쇠퇴한 도심의 정주 환경을 높이고, 오랫동안 지녀 온 삶의 정체성을 지속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작된 것이다. 연구 대상지인 청주의 역사적 도심인 성안동과 중앙동에 2022년 9월 현재 단독주택에 딸린 상(商) 기능의 병용주택 364동, 근린생활시설에 딸린 주(住) 기능의 병용주택 529동으로, 총 893동이 분포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주거 기능을 상위에 둔 단독주택 유형의 364동을 대상으로, 임대의 목적이 아닌 본인이 직접 소유하면서 거주와 영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자가(自家) 병용 주택 148동을 선정하여 유형별 특성 및 사례분석을 살펴보았다. 유형별 특성에 있어서, 첫째, 주·상 기능분포에 있어서, 1층은 ㅡ자형, ㄱ자형, 세장형의 배치를 가지고 대부분 전, 후면으로 점포와 주택을 두고 있다. 2층은 1층 점포 2층 주택으로 구분되나 1층에 주택 병용이 전체의 2/3, 2층 주택에 점포 병용이 전체의 1/3을 차지하였으며, 3층은 층별로 기능을 달리하고 있지만 2, 3층에 주택을 두고 있는 것이 1/2 분포하고 있었다. 둘째, 상부층으로 연결되는 계단의 위치에 있어서, 프라이버시가 확보된 내부 계단형이 34동(30%)이며, 1층의 점포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거주 공간과 분리하기 위한 외부 계단형은 52동(47%)이다. 골목이나 개인 마당을 통하여 진입하는 배면 계단실 유형도 26동(23%)이다. 셋째, 외관상에 있어서, 전면 기둥 간격이 1 베이부터 4 베이 이상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이나, 2층 2 베이가 가장 많다. 3층은 1 베이에서 많은데, 이는 개인 소유의 범위를 가늠할 수 있는 자가 병용주택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점포와 주택의 상반된 기능을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하층의 개구부 위치가 통일되어 있는 사례가 35∼40%에 달하고 있다. 사례 분석에 있어서, 첫째, 단층형의 경우, 주·상 기능의 배치 형태에 의해서 ㅡ자형, ㄱ자형, 세장형 3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이들은 접도(接道) 길이와 대지 형상에 따라 거주 기능을 측면, 혹은 배면에 두었으며, 부족한 거주 기능에 대해서는 증축을 통하여 해결하였다. 둘째, 중층형의 경우,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2층 2 베이 내부 계단형은 1층 점포가 증축되고 2층은 주거로 활용되었으며, 3층 1 베이 내부 계단형은 3층 주기능이 외관상 점포와 동일한 개구부를 두었다. 비교적 규모가 큰 3층 3 베이 외부 계단형은 2층과 3층을 올라가는 외부 계단이 별도로 있었으며, 한편 계단으로 3층까지 이어지는 동선도 나타나고 있다. 분동형의 경우, 도로에 접한 점포와 대지 내의 주택이 예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마당을 두고서 분동되어 있는 옛 가옥형, 도로에 접하여 점포는 신축 혹은 개조되었으나 옛 가옥은 그대로인 신구 병치형, 그리고 세장한 대지 형태로 말미암아 2동의 건축물이 새롭게 신축된 유형들로 나타났다. 향후 역사적 도심 내 병용주택의 가치가 회복되어,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재생 방안 및 리노베이션의 방법 등 다양한 연구로 이어진다면, 도심 옛 주거지의 맥락 및 정체성을 고려한 보다 설득력 있는 도시재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IFRS도입에 따른 상환우선주가 부채비율에 미치는 영향

        유슬기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상장기업은 2011년부터 국제회계기준에 의해서 작성된 재무제표를 공시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으며 비상장기업은 국제회계기준과 기업회계기준 중 선택하여 공시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기업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의 적용에 맞추어 회계처리 및 용어를 수정을 하였으나 일부분은 기존의 방식을 그대로 채택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부분이 상환우선주의 분류이다. 상환우선주는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자본으로 분류하도록 하고 있으나 국제회계기준에서는 실질에 따라 부채 및 자본으로 분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회계기준을 적용하는 기업은 기존의 방식인 자본으로 분류하고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는 회사는 부채로 분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업의 재무상태가 기존과 일치하더라도 상환우선주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국제회계기준 적용 후 부채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SK건설의 재무상태표를 이용하여 상환우선주의 보유에서 상환시점까지 기업회계기준과 국제회계기준의 적용에 따른 부채비율 변화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국제회계기준의 적용을 시작하는 2011년 부채비율은 기업회계기준 적용에 비해 증가하게 되며 상환이 완료되는 시점인 2013년에는 기업회계기준을 적용할 경우와 동일한 부채비율 수준으로 맞춰지게 된다. 금융감독원 공시시스템을 통해 상환우선주를 보유한 기업을 검색 후 전환상환우선주를 제외한 상환우선주를 보유한 기업을 대상으로 부채비율의 변화를 예측해 보았다. 상환우선주의 상환이 전기, 당기, 차기에 이루어는 기업, 과거에 상환이 이루어지고 우선주자본금에 표시되는 기업, 자본잠식 기업, 합병으로 인하여 보유하게 된 기업 등 6개 기업의 과거 부채비율 및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할 경우의 부채비율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SK건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면 상환우선주를 보유하는 기간에는 부채비율이 증가한다. 그리고 상환이 이루어지면 국제회계기준과 기업회계기준의 부채비율 차이는 사라지게 된다. 상환우선주가 자본이 아닌 부채로 분류될 경우는 그에 대한 이익의 분배도 배당금이 아닌 이자비용으로 처리가 된다. 하지만 이자비용으로 처리가 된다고 하여 법인세비용이 감소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법인세법에서 기업회계기준을 계속 적용하는 기존의 기업과 형평성을 맞추기 위하여 손금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회사의 재무상태가 기존의 상황과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상환우선주를 보유하면 국제회계기준 적용시 부채비율의 증가와 이자비용의 증가가 이루어지고 법인세비용은 변하지 않는 다는 것을 서술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이 금융기관을 통해 자금조달을 할 경우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한 기업이 이자보상비율의 증가 및 부채비율의 증가로 인해 금융권의 대출심사에서 불리하지 않도록 기업회계기준을 적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평가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From 2011, listed enterprises are required to disclose the financial statement that follows the K-IFRS, and unlisted enterprises can choose to follow either K-IFRS or K-GAAP for their financial statement. The accounting terms and settlements used in K-GAAP have been revised according to the K-IFRS, but some still choose the old method. Callable preferred stock is one good example that follows the previous method. Callable preferred stock is categorized as a capital stock in the K-GAAP but in K-IFRS it is categorized as either a capital stock or debt according to the real matter. This leads to corporations which follow the previous K-GAAP to settle callable preferred stock under capital stock, while corporations which follow K-IFRS settle it under debt. For corporations which possess callable preferred stock, adopting the K-IFRS may increase the debt ratio even with the same financial status. In this study, change in debt ratio from possession of callable preferred stock to the actual redeemed period from each standard point of view has been forecasted through SK Engineering& Construction’s financial statement. It was seen that in 2011 when K-IFRS was first adopted, the debt ratio increased compared to when using K-GAAP. But after 2013 when the callable preferred stock was redeemed, the ratio decreased to a similar ratio as using K-GAAP. Using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disclosure system, corporations with callable preferred stock-excluding convertible redeemable preferred stock-have been selected to study the change in debt ratio. 6 corporations were chosen, each representing a different financial status. E.g. A corporation that redeems the callable preferred stock every previous term, current term, next term, A corporation that has redeemed in the previous term and settles it as preferred capital stock, A corporation with impaired capital, A corporation that possess callable preferred stock due to M&A, etc. Observed financial statements showed the same results as that of SK E&C. When K-IFRS was adopted, the debt ratio increased during the time of possessing callable preferred stock. Once the stock was redeemed, the ratio difference between K-IFRS and K-GAAP were offset. In case the callable preferred stock is categorized as debt rather than capital stock, the distribution of the profit is also categorized as interest expense rather than dividends. But this does not mean the corporate tax expense decreases. Since corporate tax law does not accept this deduction as an expense to provide equity for corporations that follow K-GAAP. This thesis elaborates that even though corporate’s financial status remains unchanged; possessing callable preferred stock can increase the debt ratio along with interest expense, without changing the corporate tax expense when adopting the K-IFRS. According to this, it is proposed that when a corporation that follows the K-IFRS requires financial aid from a financial institution, it should not receive any disadvantage when getting approval for the loan because of increased interest coverage ratio and debt ratio. It should be treated and evaluated as corporations that follow the K-GAAP.

      •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험이 감정,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슬기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과거와 달리 제품의 속성이나 기능의 차별화가 점차 어려워지고 사회문화적 변화, 외식동기의 변화 등 소비자행동에서 경험과 경험으로부터 발생되는 감정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의 경험에 의한 소비자의 감정, 고객만족, 기업의 수익성이라 볼 수 있는 재방문의도까지 미치는 심리적 과정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패밀리레스토랑 경험관리의 자료을 제시하여 고객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패밀리레스토랑이며 레스토랑경험과 감정을 측정하기 위해 6개월 이내 레스토랑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4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지 50개를 제외하고 350개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0와 AMOS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H1인 패밀리레스토랑의 경험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패밀리레스토랑의 경험 중 품질은 편안한 감정과 짜증스러운 감정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격은 편안한 감정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H2인 패밀리레스토랑의 경험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패밀리레스토랑의 경험 중 품질과 가격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H3인 감정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편안한 감정과 짜증스러운 감정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H4인 고객만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고객만족이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 패밀리레스토랑의 관리자는 감정과 고객만족에 많은 영향을 주는 품질과 가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음식의 맛과 합리적 가격을 제시하여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을 유발하고 고객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독특하고 차별화된 물리적 환경 개선과 서비스개발을 통해 소비자의 지각을 높여 긍정적 감정을 유발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의 연령,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이벤트나 프로모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ifferentiating product attributes or functions is becoming more challenging, while at the same time experiences relevant to consumer behaviour including sociocultural changes and varying eating-out motivation as well as emotions arising from such experiences are considered ever more important unlike in the past.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process where experiences in family restaurants influence consumer emotions, satisfaction and even revisit intention leading to corporate profitability with a view to presenting data on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in family restaurants and some strategies to increase the customer share. This study focused on family restaurants. To measure the experiences and emotions associated with restaura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with consumers who had visited restaurants within three months prior to the survey. A total of 4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Excluding 50 incomplete responses, responses from 350 respondents were statistically analysed using SPSS Statistics 20 and AMOS 21. Below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regarding the hypothesis H1 on the effects of family restaurant experiences on emotions, quality was found to affect comfortable and annoyance emotions. Price influenced the comfortable emotion only. Second, regarding the hypothesis H2 on the effects of family restaurant experiences on customer satisfaction, quality and price affected customer satisfaction. Third, regarding the hypothesis H3 on the effects of emotions on customer satisfaction, comfortable and annoyance emotions influenced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regarding the hypothesis H4 on the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on revisit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was found to affect the revisit inten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restaurant managers should pay attention to food quality and price, both of which were found to influence customer emotions and satisfac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offer foods agreeable to the taste with reasonable prices so as to induce positive emotions from consumers and to raise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licit positive emotions by increasing consumer awareness via service development and differentiated, improved and unique physical environment. Moreover, events or promotional activities need to take into account different age groups and lifestyles of customers.

      • 문화예술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수업설계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유슬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Since cultural sensibility and creativity are being emphasized in this cultural age,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entered a new phase.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converted from functional technology-based education to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ose who feel, express, and create culture and arts. With the implementation of diverse policies supporting this tre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enhanced quantitative performance but is facing qualitative scarcity. Therefore, the studies and policy support are actively taking place for teaching artists who design and perform classes for qualitative growth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However, in spite of such support, teaching artists are undergoing difficulties in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addition, they try to conduct instructional design away from professional art education that they experienced for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those who enjoy it even though the discussions on the methodology remain at certain viewpoints.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and improve educational expertise of teaching artists, the studies on instructional design performed 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environments are necessary. Since instructional design is already dominated by a number of theories and discourses, this study aimed to reveal it as it is through experiences by teaching artists who are the main character of this phenomenon. In this light, this study explored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s by experienced teaching artists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environments based 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ies. Through this, it explored that which viewpoint and process experienced teaching artists conduct instructional design and what the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s mean. As a result,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s by experienced teaching artist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domains: 'going to an active subject’, 'forming stage of art', and 'fo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and tension'. First, the main themes of the 'going to an active subject’ domain have been identified to be ‘looking at the class differently' and ’stantly reflecting on the class classes'. Second, the main themes of the 'forming stage of art' have been identified to be 'planning classes in a fluid way' and 'responding to dynamic learning environments'. Third, the main themes of the 'fo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and tension' domain have been identified to be 'forming complementary relations with institutes', 'forming complementary relations with learners', and 'forming relations amid tension'. The implied meaning of derived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s have been interpreted in the following four themes. The first is 'instructional design seeking a variety of paths'. Learning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not reproducing what already exists but entering the stage of producing hidden differences. In that sense, it can be identified that 'embracing coincidence and emergence as instructional resources' and 'infiltrating the sea of difference generation' are being emphasized. The second is 'instructional design pursuing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design conducted outside of learning environment cannot be the multifunctional key in the environment. Thus, it can be identified that 'writing a flexible class syllabus' and 'falling into a dynamic situation' are being emphasized. The third is 'instructional design in which everyone goes together'.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not to lead the Teaching Artist, but to communicate and compromise with the people concerned about the class. Therefor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putting down omniscient instructor status' and 'communicating amid conflict and compromise' are being emphasized. The fourth is 'instructional design to reflect ceaselessly'. Teaching artists, as active beings of instructions, should reflect on one's own viewpoint and attitude with huge responsibility. Thu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reflection in action' and 'revealing hidden instructional processes' are being emphasized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can be a small clue in organizing meaningful practical understanding of instructional design, which tends to be taken for granted in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y, and in cultivating teaching artists for reconsidering educational expertise of teaching artists. 문화의 시대를 맞아 문화적 감수성과 창조성이 강조되면서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전개가 마련되었다. 문화예술교육은 기능·기술 중심의 교육에서 문화예술을 느끼고 표현하고 창작하는 향유자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했다. 이를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면서 문화예술교육은 양적 성과를 재고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해 수업의 주체인 예술강사에 관한 연구와 정책적 지원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예술강사는 수업설계와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신이 경험한 전문예술교육에서 벗어나 향유자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에 맞는 수업을 설계하고자 하지만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일부 관점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실천되는 수업설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때 수업설계는 이미 수많은 이론과 담론에 지배를 받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에 현상의 주체인 예술강사의 경험을 통해 선입견 없이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를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숙련된 예술강사의 수업설계 경험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예술강사는 어떤 관점과 과정으로 수업을 설계하며 수업설계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그 결과 예술강사의 수업설계경험은 크게 ‘능동적 주체로 나아가기’, ‘예술의 장을 형성하기’, ‘협력과 긴장의 관계 맺기’로 3가지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능동적 주체로 나아가기’영역은 ‘수업을 다르게 바라보기’, ‘수업을 끊임없이 성찰하기’가 주제로 드러났다. 둘째, ‘예술의 장을 형성하기’영역은 ‘수업을 유동적으로 계획하기’와 ‘역동적인 현장에 반응하기’가 주제로 드러났다. 셋째, ‘협력과 긴장의 관계 맺기’영역은 ‘기관과 상호보완적 관계 맺기’, ‘학습자와 상호보완적 관계 맺기’, ‘긴장 속 관계 맺기’가 주제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도출된 수업설계경험의 의미는 4가지 주제로 해석될 수 있었다. 첫째, ‘다양한 길을 모색하는 수업설계’이다. 문화예술교육에서 배움은 기존에 드러난 것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드러나지 않은 차이 생성의 장으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이생성의 바다에 잠입하기’와 ‘우연과 창발을 수업자원으로 끌어안기’가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장성을 지향하는 수업설계’이다. 현장 밖에서 계획한 수업이 현장에서 만능키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역동적 상황에 빠져들기’, ‘가변적 수업계획서 작성하기’가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함께 걸어가는 수업설계’이다.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강사 혼자 이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둘러싼 관계자들과 함께 소통하고 타협해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전지적 설계자의 지위 내려놓기’와 ‘갈등과 타협 속에서 소통하기’가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끊임없이 돌아보는 수업설계’이다. 예술강사는 수업의 능동적인 주체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관점과 태도를 끊임없이 점검해야 한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에서는 ‘숨겨진 수업과정을 드러내기’, ‘실천과정에서 성찰하기’가 강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교육공학과 문화예술교육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수업설계 논의에 의미 있는 실천적 이해를 마련하고, 예술강사의 교육전문성 제고를 위한 예술강사 양성교육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작은 실마리가 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 복강경 이용 자궁선근증 절제와 복강경 혹은 개복을 통한 자궁선근증 절제술의 비교

        유슬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 To assess the safety and benefit of laparoscopic assisted adenomyomectomy compared with laparoscopic or laparotomic adenomyomectomy.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Between January 2016 and January 2019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Ulsan University Hospital, total 277 patients underwent adenomyomectomy, of which 25 had laparoscopic assisted adenomyomectomy, 82 with laparoscopic adenomyomectomy, and 170 with laparotomic adenomyomectomy laparoscopic assisted adenomyomectomy was consisted of laparoscopic uterine artery procedures for reducing blood loss and minimally incisional laparotomic adenomyomectomy. Also, additional laparoscopic surgery was performed about possible pelvic pathology. Results: Data on patient demographics, surgical indications, operative times, estimated blood loss (EBL), short-term complications, and postoperative hospital stays were compared. The laparoscopic assisted surgery(LAS) and laparotomic groups were comparable in terms of the average EBL (208.0±128.8 vs. 193.6±193.0 mL, p=0.11), weight of removed mass (85.5±71.7 vs. 108.2±91.9 g, p=0.39), and postoperative hospital days (HDs) (4.5±1.0 vs. 4.7±0.8 days, p=0.27). These values were lower in the laparoscopic group (EBL 119.5±79.6 ml, mass weight 39.3±25.9 g, HD 3.6±0.8 days). Additional procedures, including myomectomy and combined severe endometriosis surgery, were more frequently performed in the LAS group than in the laparotomic group. The mean operating time was longer in the LAS group (179.8±36.6 min) than in the other groups (laparoscopy 99.9±40.6 min, p<0.00; laparotomy 133.0±41.1 min, p<0.00). The three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erms of transfusion rates, hemoglobin changes, or perioperative complications; however, febrile morbidity was lower in the laparoscopic group than in the LAS and laparotomic group. Conclusion: LAS adenomyomectomy allows for maximal debulking of adenomyosis via extracorporeal and intracorporeal procedures, while re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laparoscopic approach. With this approach, additional pelvic surgery for benign uterine and adnexal pathology can easily be performed.

      • 의료관광인력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의료관광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유슬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의료관광은 선진 의료수준과 관광의 융복합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관광성장을 주도할 잠재력이 높은 사업영역으로 판단되고 있다. 의료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해결해야할 시급한 문제로 전문인력의 부족과 전문성 강화가 대두되고 있다. 의료관광코디네이터, 의료통역사 등 의료관광전문 인력이 의료관광산업의 핵심 인프라이며 수용능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료관광인력 중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전문성에 어떤 요인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지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고찰을 통해 중위적 요인인 업무환경요인과 거시적 요인인 제도적 요인으로 전문성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따른 전문성의 차이를 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하였고, 전문성 영향요인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차이검증을 통해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전문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응답자의 전공에 따른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전문성은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전공이 의료관련 전공일수록 전문성이 높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가설검증 결과 업무환경요인에서 담당하는 업무가 전문성을 축적하기에 용이한 업무인지 여부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 업무를 하기 위한 도구들의 배정이 잘 되어있는가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적 차원에서는 코디들에 대한 명확한 업무 분장을 통해 코디들의 전문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의료관광인력정책을 수립할 때 명확한 업무분장에 관한 제도나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제도적 요인에서는 재교육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적 차원에서는 현재 근무중인 코디들을 위한 재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전문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재직 중인 의료관광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한 재교육을 필수화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의료관광코디네이터들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의료관광산업을 발전을 위해서는 의료관광인력의 전문성 강화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기업적 차원에서는 전문성을 축적할 수 있는 업무를 배정하고 지속적 재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정책적 차원에서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의료관광인력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시도하였던 의료관광코디네이터 전문성 영향요인 연구를 통해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전문성 영향요인 이론의 발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 근대도시 경성에서의 토지가격 결정 요인 연구 :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유슬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근대도시 경성에서의 토지가격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과 통계 분석을 활용한 양적 연구방법을 서로 보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통계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1927년 경성부관내지적목록 자료로 1929년 지형명세도와 함께 디지털화하여 공간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근대도시로 변화해가는 경성의 모습과 경성 안의 세부지역인 동부에서의 변화, 이로 인해 형성된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도시경제구조가 상공업으로 전환되면서 상공업 종사자 수가 증가하고, 일자리를 찾아 대도시 경성으로 인구가 증가하면서 도시문제를 낳았다. 경성부를 확대하여 도시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와중에, 동부지역은 1900년대까지 저개발 지역으로 남아있던 한양도성 안 유일한 곳이었기 때문에 교외로 개발이 확대되기 전 1920년대까지 경성의 근대도시화와 맞물려 새로운 근대적 모습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총독부 산하 기관을 포함하여 근대 시설들이 들어서고 교통망을 구축하는 등 중상층 이상이 거주하는 신흥부촌으로 성장해나갔다. 다음으로, 토지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1920년대 경성의 근대도시 면모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동부지역에서의 토지상황을 토대로 토지면적, 토지용도, 토지소유자를 변수로 하는 토지특성 요인과 주요(예정)도로와의 거리, 전차정거장과의 거리, 도심과의 거리를 변수로 하는 접근성 요인, 그리고 앵커시설과의 거리, 교육시설과의 거리를 변수로 하는 입지특성 요인을 독립변수로, 평당가격을 종속변수로 설정해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토지특성 요인에서는 토지면적이 클수록, 밭보다 대지 용도일 때, 조선인보다 일본인 소유지일 때 토지가격이 더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당시 동부지역이 도시화된 지역이었고,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토지 매입이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접근성 요인에서는 오래 전부터 대로로 이용되던 종로와 이현대로가 가장 토지가격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시구개수 예정도로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전차정거장과 대로를 제외한 전차정거장이 설치된 도로는 토지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당시 전차와의 충돌에 따른 교통사고 위험에 따른 결과로 생각된다. 입지특성 요인에서는 앵커시설과 초등교육시설이 토지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대학 수준의 학교들은 희소한 가치와 엘리트층 및 중산층 사람들의 유입을 이끌어 토지가격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대 토지시장에서의 토지가격 결정 요인은 근대도시로의 변화에 따라 그 변화상이 일부 반영되는 모습을 보이며 토지가격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역사학과 도시계획학의 융복합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근대도시 경성에서의 토지가격 결정 요인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determine land prices in modern city Gyeongseong(Seoul). Research was conducted in a way that supplemented each other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using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ere data from “Gyeongseong land registration list”(京城府管內地籍目錄, 1927), and spatial analysis was attempted by digitizing it with "Gyeongseong Land Registration Map"(地形明細圖, 1929). First, in this study, the locality of the eastern region was derived by examining the appearance of Gyeongseong changing into a modern city and the change in the eastern district, which is a area within Gyeongseong. As the urban economic structure was converted to commerce and industry, the number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workers increased, and the population increased to Gyeongseong for job hunting, resulting in urban problems. While trying to solve the urban problem by expanding the district of Gyeongseong, the eastern area was the only place inner Seoul City Wall(漢陽都城), which remained an underdeveloped area until the 1900s, so it was creating a new modern appearance in conjunction with the modern urbanization of Gyeongseong until the 1920s. Modern facilities, including institutions under the Governor-General's Office, were built and transportation networks were established, growing into an emerging rich village where higher than the middle class lived. Next, the factors affecting land pri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land situation in the eastern area, which representatively shows the modern city aspect of Gyeongseong in the 1920s. The regression analysis variables were land characteristic factors (land area, land use, land owner), accessibility factors (distance from major and scheduled roads, distance from tram stations, distance from the city center), and location characteristic factors (distance from anchor facilities, distance from educational faciliti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land price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in land characteristic factors, it was found that large area, land use for building, and when it was Japanese property. This shows that the eastern area was an urbanized area at that time, and land purchases were being made to create economic benefits. In accessibility factors, Jongro(鐘路) and LeeHyun-daero(梨峴大路), which have long been used as major roads, have the most positive effect on land prices, while they do not affect the road scheduled to renovate. The roads installed the tram stops except major roads and the tram stops were a factor that negatively affects land prices. This is because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the collision with the tram was high at that time. In location characteristic factors, anchor facilities and elementary education facil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land prices, while university-level schools had a positive effect. This is because schools were the scarcity and it led to an influx of elite and higher than the middle class peopl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land price in the modern land market showed that the change was partially reflected according to the change to the modern city. And it had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land pri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factors that determine land prices in Gyeongseong, a modern city that has not been studied so far.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convergence study of history and urban planning was conducted.

      • 상위인지 전략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노트 개발: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유슬기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utilizing metacognitive strategy to improve Korean writing of foreign students who study in Korean college and graduate school. Korean writing ability for academic purpose is an essential ability for foreign students which determines the GPA, the result of studying. However, most of the students are unable to receive the proper Korean writing class when they enter college or graduate school without fluent Korean ability. Thus,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d suggest Korean writing note utilizing metacognitive strategy in order to let foreign students to develop Korean wiring ability for academic purpose without being able to attend Korean language class. Metacognitive strategy is a strategy of solving problems by letting learners decide how or when to use cognitive strategy they already know. When metacognitive strategy is utilized in learning writing of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the learners are able to fix their errors strategically found while reviewing their own writings initiatively. Also, the study added cooperative writing level in Korean writing note for learners to review their own writings from objective point of view of others. Writing is not an independent product, and it is a dynamic activity composed of reader, text and writer's close negotiation. It is not a different case for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when cooperative writing is utilized with metacognitive strategy, it will boost academic effect. The study is proceeded by the order as below. In chapter 1, the purpose of study is revealed, and set the directing of discussion by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In chapter 2, based on the theoretic backgrou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tacognitive strategy Is explored, and examine how it could be utilized in Korean writing, and see how it is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In chapter 3, it is a fundamental research step for Korean writing note development, and conducts survey for learner's demands. Also, to apprehend the condition of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the study examined Korean writing education researches utilizing metacognitive strategy, proposes the list of metacognitive strategy that is to be applied to Korean writing note, analyze the composition of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 that are already published, to apply to the entire composition of Korean writing note. In chapter 4, based on the suggested contents above, the study reveals composition principle, development goal and target of Korean writing note utilizing metacognitive strategy and suggest the actual note. Finally, in chapter 5, the discussion is summarized, reveal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study and propose the future assignment of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Korean writing note utilizing metacognitive strategy will help foreign students to write their own reports and academic journals for their academic careers, and further contribute to boosting their writing ability. Korean writing note utilizing metacognitive strategy is limited as its actual effectiveness was not verified. However, it is signigicant as the cooperative writing level is composed of communication for metacognitive strategy rather than contents comprehension.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as it suggested the actual note for aggressive utilization in Korean writing class for academic purpose.

      • 학습 쓰기를 위한 담화 통합 지도 방안

        유슬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필자의 학습 쓰기(writing to learn)를 위한 담화 통합 지도 방안을 제안하고 실제 초등 학습자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쓰기는 학습의 도구로, 학습자는 국어 교과의 ‘쓰기 학습(learning to write)’을 통해 기른 쓰기 능력을 활용하여 내용 교과에서의 ‘학습 쓰기(writing to learn)’를 능숙하게 수행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해야 한다. 학습이란 교사의 내용 전달과 학습자의 암기가 아니라, 학습자가 다양한 학습 자료를 읽고 정보를 취사 선택하고 정보끼리 연결하고 조직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고, 쓰기는 이를 드러내는 수단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 능력을 기르기 위해 학습자가 복수의 학습 자료를 읽고 학습 자료의 정보를 바탕으로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여 글로 표현하는 담화 통합 과정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교과서에 포함된 다양한 양식의 자료와 학습 내용과 관련한 추가적인 읽기 자료를 읽고 정보 간의 연결과 개념의 위계에 맞는 조직을 거쳐 글을 쓰는 방법을 구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쓰기의 개념과 성격을 탐구하여 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 쓰기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지도하는 것의 방향성을 살피고자 한다. 둘째, 학습 쓰기를 위한 담화 통합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담화 통합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학습 쓰기 상황에서의 담화 통합 과정을 탐색하고자 한다. 셋째, 학습 쓰기를 위한 담화 통합 지도 방안을 마련하여 초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용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학습 쓰기는 학습자가 교과 학습 상황에서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쓰기를 활용하는 것이다. 학습 쓰기는 구성주의 관점에서 학습의 과정과 유사하다. 또한, 학습 쓰기는 읽기가 수반되는 쓰기이다. 학습 쓰기의 수행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기초문식성과 내용문식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학습 쓰기는 학습자가 특정 장르의 형식에 맞게 글을 쓰는 것보다 학습자가 쓰기를 통해 의미를 충실하게 구성할 수 있는지에 초점이 있다. 학습자는 교과 학습 시 하나의 자료를 읽고 이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습 내용과 관련한 다양한 자료를 읽고 종합적으로 의미를 구성해야 한다. 담화 통합은 필자가 복수의 텍스트를 읽고, 그와 관련하여 자신의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이다(Spivey, 1997, 신헌재 외 역, 2004). 학습 쓰기에서 담화 통합은 학습자의 지식 구성 능력을 향상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며, 향후 상급 학교 진학 시 필요한 학습능력의 기초가 된다. 학습 쓰기 상황에서의 담화 통합은 ‘학습 문제 및 쓰기 과제 확인하기’, ‘복수의 학습 자료 연결하기’, ‘정보 선택하여 내용 연결하기’, ‘텍스트 변형하여 내용 조직하기’, ‘텍스트 변형하여 글 표현하기’, ‘공유 및 반성하기’의 과정을 거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쓰기에서의 담화 통합 과정에 따른 지도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9차시는 학습자가 먼저 각 과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과정별 차시로, 6차시는 학습자 스스로 전 과정을 거쳐 학습 쓰기를 해볼 수 있는 적용 차시로 구성하였다. 지도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충청남도 논산시 소재의 A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9명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동일 학교 6학년 학생 19명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지도 프로그램을 투입하였고, 통제집단은 지도 프로그램을 투입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동일한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전후 검사에서 학습자가 작성한 글에 대한 평가자 3인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 쓰기 능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도 프로그램 투입 후 실험집단이 작성한 수업 소감문을 수집하여 학습 쓰기 능력의 변화와 관련지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쓰기를 위한 담화 통합 지도는 학습자의 학습 쓰기 능력 신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 학습 쓰기 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사후 검사와 사전 검사 점수를 분석한 결과, 통제집단은 학습 쓰기 능력이 향상되지 않았으나, 실험집단은 학습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학습 쓰기를 위한 담화 통합 지도는 학습 쓰기 능력 중 글의 내용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내용 범주 하위 요소에 대해서는 주제의 명확성과 내용에 풍부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습 쓰기를 위한 담화 통합 지도는 학습 쓰기 능력 중 글의 조직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조직 범주 하위 요소에 대해서는 문단 구성의 적절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학습 쓰기를 위한 담화 통합 지도는 학습 쓰기 능력 중 글의 표현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표현 범주 하위 요소에 대해서는 텍스트의 변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학습 쓰기를 위한 담화 통합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학습의 도구로서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습자의 성공적인 학습 수행을 위해 담화 통합을 지도하는 것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후속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