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무산소 운동순서에 따른 성인여성의 신체조성 및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유규정 蔚山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성인여성 1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유 · 무산소 운동 순서에 따라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신체조성(체중, 체지방율)의 변화, 염증지표(IL-6, CRP)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피험자들은 U광역시에 소재한 A센터에 수영장회원으로 30대~ 50대사이의 성인여성으로 선정하였으며, 유 · 무산소 운동군, 무 · 유산소 운동군으로 각각 5명씩 나누어 사전 신체구성검사와 염증지표검사를 실시하였다. 운동방법으로 유산소→무산소운동군과 무산소→유산소운동군으로 각각 나누어 실시하였다. 유산소운동은 런닝머신과 사이클로 하루 40분씩 실시하였고, 런닝머신은 화, 수에 실시하고, 사이클은 목, 금에 실시하였다. 무산소운동은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주 4회 화, 수, 목, 금/ 1일 40분) 피험자의 1RM을 설정하고, 12~15회를 실시 할 수 있는 무게로 하였다. 운동 강도는 최대 근력의 60%로 12~15회, 세트 수는 3세트로 매 세트 사이에 휴식은 3분이내로 실시하였고, 4주마다 트레이닝에 의한 체력향상을 감안해서 1RM의 60%의 강도를 재설정하여 다시 실시하였다. 운동 순서 차이로 변화된 체중, 체지방율, IL-6, CRP는 피험자수가 적은 관계로 사전 값을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의 변화는 유산소 · 무산소운동군에서는 운동 전 체중은 60.12±6.53kg으로 나타났고, 운동 후에는 59.64±6.15kg으로 나타났다. 무산소 · 유산소운동군에서는 운동 전 체중은 69.66±12.76kg으로 나타났고, 운동 후에는 69.02±11.48kg으로 나타났다. 사전값을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전값은 유의하였고(F=1122.238, p=.000), 사후값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F=1.776, p=.224). 둘째, 체지방율의 변화는 유산소 · 무산소운동군에서는 운동 전 체지방율은 18.32±6.02%BF으로 나타났고, 운동 후에는 17.84±6.07%BF으로 나타났다. 무산소 · 유산소운동군에서는 운동 전체지방율은 24±6.77%BF으로 나타났고, 운동 후에는 23.46±6.29%BF으로 나타났다. 사전값을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전값은 유의하였고(F=1057.929, p=.000), 사후값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F=.178, p=.686). 셋째, IL-6의 변화는 유산소 · 무산소운동군에서는 운동 전 IL-6수치는 0.96±0.82pg/ml으로 나타났고, 운동 후에는 1.06±0.59pg/ml으로 나타났다. 무산소 · 유산소운동군에서는 운동전 IL-6수치는 0.37±0.40pg/ml으로 나타났고, 운동 후에는 0.56±0.27pg/ml으로 나타났다. 사전값을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전값은 유의하지 않았고(F=2.686, p=.145), 사후값에서 집단간 차이도 유의하지 않았다(F=.898, p=.375). 넷째, CRP의 변화는 유산소 · 무산소운동군에서는 운동 전 CRP수치는 0.11±0.13pg/dl으로 나타났고, 운동 후에는 0.04±0.04pg/dl으로 나타났다. 무산소 · 유산소운동군에서는 운동 전 CRP수치는 0.11±0.12pg/dl으로 나타났고, 운동 후에는 0.49±0.65pg/dl으로 나타났다. 사전값을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전값은 유의하였고(F=6.002, p=.044), 사후값에서 집단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F=3.685, p=.096). 결론적으로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에서 유 · 무산소운동순서 차이에 따른 성인 여성의 신체조성 및 염증지표(IL-6, CRP)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피험자의 나이와 성별, 체력적 수준, 운동 시간, 운동 강도를 보안해서 연구를 한다면 신체조성 및 염증지표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 된다. 주요어 : 유 · 무산소운동순서, 신체조성, 염증지표, IL-6, CR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