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버네큘러 디자인 요소를 응용한 마차 디자인 개발 연구 : 슬로시티 관광지를 중심으로

        원양 세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國文抄錄) 현대의 관광지는 전통문화를 표현하는 현대적인 디자인 요소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관광지에서 휴식을 즐기면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풀 수 있고 한가로운 삶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이 생활 패턴의 하나로서 ‘슬로푸드 운동’ 이 현대 사회에 등장하였고, ‘슬로시티 운동' 또한 출현하고 있다. 많은 관광객은 슬로시티에서 휴식을 취하며 관광을 즐기고 싶어하나 많은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는데, 이것은 관광적 인프라 요소의 부족에서 기인한다. 즉 교통 약자에 대한 이동수단의 부족이 그것이다. 슬로시티에서 전통적인 마차는 전통적인 도시와 농어촌에서의 휴식에 알맞은 운송기기 이다. 지금까지 자료조사 및 현장조사에 의하면 한국 및 중국의 휴양지에 전통적인 교통수단 같은 특색이 있는 관광 상품이 부족하다. 2010년에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은 2009년 동기 대비 41.5%나 증가하였다. 중국 관광객 들은 중국내의 관광지에는 크게 흥미를 갖지 않으며, 그들은 중국내에 없는 관광지를 여행하려고 한다. 중국내에는 슬로시티가 없는데, 슬로시티라는 개념은 중국의 관광객들에게는 아직은 낯선 단어이므로, 슬로시티 관련의 관광 상품을 슬로시티에 개발하는 것은 아주 가치가 있다. 마차는 전통적 운송기기이며 한국과 중국에서 수 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전통적인 마차를 보기 힘들다. 어떻게 이런 전통적인 교통수단을 슬로시티에서 전통 문화와 잘 어울려서 그것의 운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디자인 연구는 연구 가치가 있는 과제 일 것이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전통 문화를 비교 조사하여, 전통 마차를 현대 디자인에 맞추어 지역 특색을 갖추었으며 버네큘러 디자인 요소를 유지 하는 새로운 관광 상품으로 다자인 전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차를 슬로시티 같은 특별한 관광지에서 운송기기를 대체 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관광상품 같은 디자인 개발관련 계획과 내용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버네큘러(Vernacula)디자인의 분석 버네큘러의 정의에 대한 연구부터 시작하였고, 버네큘러 디자인의 특징을 연구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버네큘러 디자인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향토(鄕土)디자인을 의미한다. 버네큘러 디자인과 전통 문화의 연구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부분을 연구한 버네큘러 디자인의 연구 범위는 한국과 중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디자인 요소의 조사 분석까지 포함한다. 2. 슬로시티 관광을 위한 문화 상품 디자인 본 연구의 중심은 슬로시티 관광지에서 사용하는 마차 개발이다. 그래서 제품 개발을 진행하기 전에 슬로시티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이 부분은 먼저 슬로시티의 기본 상황을 소개하고, 대표적인 두 곳의 슬로시티인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i)및 증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슬로시티의 조사 분석을 통해서 마차가 슬로시티의 관광 활성화에 중요한 관광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3. 디자인 접근 방향과 디자인 전개 이 부분은 본 연구의 마차 디자인 개발 단계이다. 앞 부분의 연구 분석을 통해서 마차 디자인에 관한 이론근거를 파악하였다. 이론과 실제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또한 “Design for Human"의 기본 디자인 이념을 고려하여 실증적 조사분석인 한·중국인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문헌조사를 통해 디자인 결정 요소를 확정하였고 중국의 버네큘러 디자인 특징에 의거하여 디자인 안을 3개로 확정 하였다. 이 3개 안의 설문조사의 결과와 분석을 통해서 최종 디자인 안인 C안을 기준으로 Ideation Sketch에 적용 전개하였고, Package Drawing, 3D Modeling으로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 艾偉의 『整個宇宙在和我說話』중·한 번역 연구

        원양 단국대학교 국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艾偉의 단편소설 『整個宇宙在和我說話』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작품의 형식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을 분석하였다. 특히 원문인 A언어(중국어)를 텍스트로 하여 B언어(한국어)로 번역하고, 번역학적인 관점에서 번역 과정의 오류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중국 현대 소설가인 艾偉는 단편소설 『整個宇宙在和我說話』에서 70년대 중국의 작은 도시에서 살고 있는 눈이 먼 소년의 이야기를 통하여 인간의 본성에 숨어있는 자유에 대한 간절한 바람을 묘사했다. 본고는 서론에서 연구배경과 연구방법, 그리고 작가 및 작가의 작품세계를 분석하였으며, 『整個宇宙在和我說話』의 문학적 의의와 번역 대상으로서의 언어적 의의를 논하였다. 본론에서는 소설 『整個宇宙在和我說話』를 B언어인 한국어로 번역하고 번역과정에서 나타나는 오역이나 오류에 대한 수정을 통해 번역학적인 관점에서의 해결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번역 과정에서 오류사항이 발생한 원인과 해결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번역학적 원리를 제시하였다.

      • 최정희 소설의 여성 섹슈얼리티 연구

        원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Choi Jeong-hee, a female writer who has been criticized for advocating male-centered ideology, actually tried to breach it while taking a position that seemed to imitate the dominant discourse. This study points out that sexual awareness is a key theme that penetrates Choi's literature. Choi creates her work based on the desire of a modern female charact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sexual motives appearing in the novel are not simply based on biological essence, but are constructed by intersecting social and historical discourses. In other words, sexuality does not simply refer to sexual impulses and desires, but is a sociocultural component and a complex conception that can also be linked to various political concepts. Contemporary sex discourse takes a constructivist position, as Judith Butler who discarded the distinction between sex, gender, and sexuality argued that sexuality is also a freely moving artifact. Therefore, research on sexuality should include sociocultural gender relationships and be conducted from a broader perspective in combination with various methodologi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female sexuality appearing in Choi Jeong-hee's novels from various perspectives, focusing on the fact that sexuality is a concept that reveals personal desires and is influenced by social ideology.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sexuality of Choi's work in three layers: the body in the individual domain, the motherhood in the family domain, and the affect in the national domain. Chapter II which focuses on the individual domain, analyzes each individual in terms of their body, the most primary being that connects individuals to the world. Since individuals inevitably come to the world with their bodies and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them, examining the body gives insight into how individuals are subjectified or otherized between personal desires and public rules. However, under the Phallus-Logos centrality, female body was a subject on which the principle of the dominant rule is imprinted, and accordingly, women were deprived of their rights to pursue their own desires. Choi exposed how women were being subordinated to male domination by showing the pathologized sexuality expressed through the body. However, just as there is resistance where there is power, Choi also sheds light on women who form self-identity through their bodies and restore their subjectivity. Choi's women break free from the existing system or discover and practice their own desires through reflexivity realized via their bodies. Thus, reflexive sexuality allows women to regain their subjectivity of the body and to be reborn as active subjects who perform reversal and escape. Chapter III focuses on the family domain and the analysis centers around motherhood, the most important role assigned to women in patriarchal society. In previous researches, the femininity of Choi's literature has been mainly reduced to motherhood, and this tendency has led researchers to overlook the sexual awareness in Choi 's novels. So this paper focuses on sexual motives that appear in women as mothers and reveals that “women” and “motherhood” are not conflicting concepts. Due to the maternal myth prevalent in the patriarchal society, women were forced to become virtuous mothers who neutralized sexuality and entirely devoted themselves to their families. Choi has become a recognized writer in a male-centered literary circles by posing as if she conforms to such maternal myth.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Choi carefully places women’s sexual desires beneath the narrative that seems to conclude to motherhood to successfully embody a narrative that disagrees with the dominant discourse. Motherhood is a constructive concept created by family ideology, and Choi captures the female-centered rather than institutionalized motherhood experienced by women themselves. Female-centered motherhood allows women to recover their deprived desires, and accordingly, Choi re-appropriates the concept of “women,” which has previously been considered contrary to motherhood, and dismantles motherhood myths by showing mothers who embody transgressional sexuality. Chapter IV focuses on the national domain and analyzes Choi’s work focusing on affect, a force that allows individuals to be freed from the hierarchical state power. The fascist social system imported under Japanese imperialism has not been liquidated after liberation, but rather strengthened, establishing itself as a chronic mechanism that operates Korean society. Sexual enslavement and de-nationalization were the main mechanisms of fascism and women were used as a tool to create a male-centered nation. Choi wrote about the sexuality of commercialized women to expose the reality where women were being included in the state as a “constitutive outside.” However, Choi's women try to escape from the hierarchical national state and find their own identity, where affect acts as a force to induce constant changes across existing ideas and also to bring out new possibilities. As a result, by embodying transversal sexuality, women can break away from the image of capital women and be reborn as an “ungovernable subject” and a “nomadic subject” that affirms differences. This allows women to move toward affective solidarity so that they can build a new world in another way within the mainstream world. In all, analyzing the female sexuality of Choi's novels in various areas allows the examination of the self-identity and desires that individual subjects possess, and the scene where social norms compete and coincide with one another. Choi reveals that women experience othering in the male-centered society through sexuality, and also shows that they can overcome such oppression to restore self-identity and subjective desires. In other words, Choi reveals the reality of the society by shedding light on the ambivalence of female sexuality in various ways and at the same tim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subversion. In particular, the subversive and practical aspect of female sexuality allows women to stand on their own feet as “the Other woman” rather than as “the Other identity.” Therefore, this paper, which aims to analyze sexuality as a political concept tha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the society, will allow reconsideration of Choi Jeong-hee's literature and also the dynamics that exists within her embodiment of the female subject. 본 연구는 남성 중심 이데올로기에 협력하는 작가로 비판받아왔던 최정희가 지배 담론을 모방하는 듯한 입장을 취하면서도 그것에 균열을 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때 성 의식은 최정희의 문학 세계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모티프로, 최정희는 근대적 여성인물의 욕망에 천착하여 소설을 창작하였다. 중요한 것은 소설에 나타나는 성적 모티프가 단순히 생물학적 본질성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담론이 교차하며 구성된다는 점이다. 즉 섹슈얼리티는 단순히 성적 충동과 욕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만들어진 구성물이며, 다양한 정치적 개념들과 연계될 수 있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의 구분을 폐기하고, 섹슈얼리티 또한 자유롭게 움직이는 인공물이라고 주장한 주디스 버틀러의 입장과 같이 현대의 성 담론은 구성주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섹슈얼리티 연구는 사회문화적인 젠더 관계를 포함하고, 다양한 방법론과 결합하여 보다 넓은 시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는 섹슈얼리티가 개인의 사적인 욕망을 드러내는 동시에 공적인 이데올로기의 영향 하에 있는 개념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최정희 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다각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본고는 최정희 소설의 여성 섹슈얼리티를 개인의 영역에서의 몸, 가족의 영역에서의 모성, 그리고 국가의 영역에서의 정동이라는 세 가지의 층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개인의 영역에 주목하여 개인을 세상과 연결시켜주는 가장 일차적인 존재인 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별 주체는 몸을 가지고 세상에 왔으며, 몸을 통해 자아 외부와의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기 때문에 몸을 살펴보는 작업은 개인이 사적인 욕망과 공적인 질서 사이에서 어떻게 주체화 혹은 타자화되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팔루스-로고스 중심주의 하에서 여성의 몸은 지배 질서의 원리가 각인되는 장이었으며, 이에 따라 여성은 독자적인 욕망을 차단당해왔다. 최정희는 몸을 통해 표출되는 병리화된 섹슈얼리티를 재현함으로써 남성의 지배에 종속되는 여성의 모습을 폭로하였다. 그러나 권력이 있는 곳에는 저항도 있듯, 최정희는 여성이 몸을 통해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고 주체성을 회복하는 모습 또한 서사화한다. 최정희의 여성들은 몸을 경유한 성찰성을 통해 기존의 체제로부터 탈주하거나 스스로의 독자적인 욕망을 발견하고 실천한다. 따라서 성찰적 섹슈얼리티는 여성으로 하여금 몸에 대한 주체성을 되찾고 역전과 탈주를 수행하는 능동적 주체로 거듭나도록 한다. Ⅲ장에서는 가족의 영역에 집중하여 여성이 부여받은 가장 중요한 역할인 모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사에서 최정희 문학의 여성성은 주로 모성으로 환원되어 왔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최정희 소설의 성 의식을 간과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고는 어머니로서의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성적 모티프에 주목하여 ‘여성’과 ‘모성’이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가부장제의 모성신화에 따라 여성은 자율적인 섹슈얼리티를 무화하고 오직 가정에만 헌신하는 정숙한 어머니가 되어야만 했다. 최정희는 가족 이데올로기가 창출한 모성 개념에 순응하는 듯한 포즈를 취함으로써 남성 중심의 문단에서 인정받는 작가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최정희가 모성으로 귀결되는 듯한 서사의 이면에 여성의 성적 욕망을 배치함으로써 지배 담론과 불화하는 서사를 구현했다는 점이다. 모성은 가족 이데올로기가 창출한 구성적 개념이며, 최정희는 제도화된 모성이 아닌 여성이 스스로 경험하는 여성 중심의 모성을 포착하였다. 여성 중심의 모성은 여성으로 하여금 박탈되었던 욕망을 회복하도록 한다. 따라서 최정희는 위반적 섹슈얼리티를 체현하는 어머니를 묘사함으로써 모성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여겨졌던 ‘여성’을 재전유하고 모성신화를 해체한다. Ⅳ장에서는 국가의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수직적인 국가 권력의 포섭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인 정동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일제로 인해 수입된 파시즘적 사회 시스템은 해방 이후 청산되지 않고 오히려 강화되어 한국 사회를 작동시키는 만성화된 매커니즘으로 자리 잡았다. 파시즘은 성노예화와 비국민화를 주요한 통치 기제로 삼았으며, 이에 따라 여성은 민족 남성 중심의 국가를 만들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포착한 최정희는 상품화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재현하여 여성이 구성적 외부(constitutive outside)로서 국가에 포섭되는 현실을 폭로하였다. 그러나 최정희의 여성들은 위계적인 국민국가로부터 벗어나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아나가고자 하는데, 이때 정동은 기존의 관념을 가로질러 끊임없는 변화와 이행을 유발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이끌어내는 힘으로 작동한다. 이에 따라 여성들은 횡단적 섹슈얼리티를 체현함으로써 대문자 여성의 이미지로부터 탈피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다스려질 수 없는 주체(ungovernable)’이자 복수적인 차이를 긍정하는 ‘유목적 주체’로 재의미화된다. 이는 여성으로 하여금 정동적인 연대로 나아가도록 하여 주류적인 세계 안에서 기존의 것과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세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최정희 소설의 여성 섹슈얼리티를 다양한 층위에서 분석하는 작업은 개별 주체의 자아 정체성과 욕망, 그리고 사회적인 규범이 각축하고 연결되는 현장을 살필수 있도록 한다. 최정희는 여성이 섹슈얼리티를 통해 남성 중심적 질서에 타자로서 포섭된다는 점을 고발하고, 그러한 억압을 극복하여 자아 정체성과 주체적인 욕망을 회복할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즉 최정희는 여성 섹슈얼리티가 지닌 양가성을 다각적으로 조명함으로써 기존 체제의 현실을 폭로하면서도 그에 대한 전복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특히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지닌 전복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은 여성으로 하여금 동일자의 타자가 아닌 여성으로서의 타자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여성과 사회의 관계를 고찰하도록 하는 정치적인 개념으로서의 섹슈얼리티를 다각적으로 조명하고자 한 본고의 작업은 그동안 지배 담론에 순응하는 여성작가로 평가받아왔던 최정희의 문학을 재사유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최정희가 구현한 여성 주체의 복합적인 측면을 재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학 졸업자의 첫 일자리 결정 요인 : 교육 특성 서열화를 중심으로

        원양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to examine determinant factors of Korean college graduates’ transition to the labor market. It is commonly known that the first job after completed university, is important in determining social status. Therefore meaningful in understanding unequal social structure including labor market inequalit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n employment and on wages. For the analysis, it use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produc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summary, the performances of college graduates’ school-to-the-labor-market transition are rely on educational characteristics. Keywords: First job,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dividual preparedness, employment, wage

      •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시지각 발달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원양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 사용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은 여광응(1972)이 번안한 것으로, 이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48개의 과제를 구성해놓은 것이다. 기존의 실시방법은 유색연필을 사용하는 단순한 학습지 형태로 실시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구체물(색모래, OHP, 색종이, 여러 색의 실, 셀로판지, 천사점토, 와이어)을 활용하여 구체물을 탐색, 조작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훈련과제 수행 중 어려워하는 과제는 보충과제를 구성하여 지도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G군 소재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으로 교사의 면담 및 예비관찰, 구체적인 선정기준에 따라 12명(남아 6명, 여아 6명)의 학생을 선정하였다.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에 6명, 통제집단 6명을 배치하였다.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중재는 총 18회기로 구성하였으며, 매 회기마다 30분씩 주 3∼4회 총 6주간 진행되었다. 지적장애 학생의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중재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시지각 발달 및 주의집중의 사전-사후 점수 차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기 위하여 맨 휘트니 유 검정(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학생이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생보다 일반 시지각, 시각-운동 통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중재가 지적장애 학생의 시지각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일반 시지각 척도, 운동-감소 시지각 척도, 시각-운동 통합척도 세 개의 종합척도 지수 중에서 일반 시지각 척도는 8개의 하위검사를 종합한 점수로 소위 ‘시지각’이라 부르는 능력을 가장 잘 측정해주는 척도로써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중재가 지적장애 학생의 시지각 발달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의집중에서 실험집단의 학생이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중재가 지적장애 학생의 주의집중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험집단 내의 사전-사후 변화는 주의집중의 하위영역인 선택주의력, 자기통제력, 지속성 주의력 모두에서 실험집단 내에서 향상을 보여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중재가 주의집중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구체물을 탐색, 조작하는 활동으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중재하여 자연스러운 반복학습을 통해 학생의 시지각 발달을 촉진시키고 주의집중 및 지속시간을 향상시켰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adapted by YeoGwangung(1972), which was consisted of 48 task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revious method was implemented in a form of simple workbook with some color pencils, but in this study, various kinds of concretes (color sand, OHP, colored paper, colorful threads, cellophane paper, angel clay, wire) were explored and operated, and some difficult tasks in training ones were instructed by constituting supplement tasks. Of participants who are students enrolled in special schools for tstudents with disabilities ocated in G county, 12 students (6 boys, 6 girls)were selected according to interview of teachers, preliminary observation and specific criteria for standar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halves and allocat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order to prove the effec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was consisted of 18 sessions, and progressed for 30 minutes each session, 3-4 times a week during 6 weeks. Th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part in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in it. When the difference of pre and post scor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lcoxon's signed-ranks Test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pre score and post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visual perception, integration of visual sensation-movement, than the students in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This suggested that the visual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affected the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of students. Among 3 comprehensive scale indices: general visual perception, movement-reduction visual perception, and integration of visual sensation-movement scales, the general visual perception scale, a summed score of 8 sub-tests was the one to best evaluate the ability of 'visual perception'. Since through this scal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post chang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demonstrated,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was found to affect the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si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ention concentr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could be said that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did not directly affect the development of attention concentr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owever, pre-post changes enhanced sub-domains such as selective attention, self-control, persistence attention, which indicated that the visual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ention concentration.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for extending the duration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of students through naturally repetition learning, intervened by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with exploration of concretes and operational activities.

      • 부산항 볼륨인센티브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원양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부산항은 환적화물을 유치하고자 볼륨인센티브를 연평균 약127억원 이상을 지급하고 있으나, 그 효과성이 의문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항의 인센티브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안)을 제시하여 부산항의 물동량 증가에 기여하고자 한다. 현재 부산항에서 시행하는 실적인센티브 지급수식 ‘총액 * 각 선사물량 / 총 선사물량’은 선사들이 물량을 조절하여 ‘총액 * 각 선사조건수량 / (조건수량 * 해당선사 수)’ 범위로 물량을 공급하면 1TEU당 최고의 실적인센티브를 받는다. 또한 증가량인센티브 지급수식 ‘(대상물량 =당해연도 물동량 – 전년도 물동량 : 조건만족, 선사별 한도액 혹은 예산한도액)’은 선사들이 전년도에는 최저물량공급, 당해년도에는 인센티브한도액범위 물량공급으로 물량변동 폭을 최대화하면 증가량인센티브를 최고로 받을 수 있다. 이것은 현재의 인센티브 지급방식이 물동량증가에 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원인은 선사들이 항만을 상대로 물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산항에서 인센티브로 물동량을 증가시키려면 선사들이 물동량을 조절할 수 없도록 지급방식을 개선하여야 한다. 국내 주요 경쟁항만들이 앞 다투어 물동량 증가를 위해 인센티브로 경쟁하면 물량증가 효과보다는 치킨게임이 일어날 수 있다. 국내 항만끼리 인센티브 경쟁으로 증감하는 물량을 우리나라 전체 항만물동량으로 재조명하면 인센티브 지급총액은 증가하는 반면에 국내 항만 전체물동량은 풍선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선사들의 물량조절 능력을 봉쇄하여 항만의 물동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목표설정과 효과분석 등이 용이한 인센티브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 그 대안은 ‘당해년도 물동량에 1TEU당 단가(할인율)를 결정하여 지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물량과 인센티브가 비례하여 움직인다. 즉, 물량이 증가하면 인센티브도 증가하고, 물량이 감소하면 인센티브도 감소하므로 물동량에 따라서 인센티브가 비례한다. 그리고 인센티브를 시행하는 주체가 각 항만공사가 아니라 전체 항만공사를 총괄하는 해양수산부(항만총괄부서)에서 국내 항만 전체의 물동량과 인센티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계 획하고 시행하여야 과당경쟁을 막고, 인센티브에 대한 기대효과를 높여 항만경쟁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예산편성도 예상 증가물량에 대하여 1TEU당 단가를 곱하여 매년마다 추가로 편성하면 된다. 인센티브와 물동량이 비례하므로 물량증감에 따라서 예산도 증감하므로 예산낭비도 줄어들고, 치킨게임도 피할 수 있다. 한편으로 우리나라는 저성장 기조에 접어들고, 기업들은 생산단가를 낮추려고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고 있어서 항만물동량 증가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러므로 항만의 경쟁력을 갖추려면 주요 항만 중심의 경쟁력향상 정책과 생산공장의 국내 유치정책 등에 더 집중하여야 할 것이다. The Busan Port pays yearly average of above 127million won for Volume-incentive in order to leading the transshipment cargo, but it has many questions on the effectiveness. This study is for searching problems the incentive system of Busan Port and contributing to increase the amounts of moving cargo(AMC) by suggesting improvements. In present, under the Incentive system which calculated by “Total Amount * Conditional Moving cargo Amount of each shipping /(Conditional Moving cargo Amount * The number of Each shipping company)” which practically used in Busan Port, the shipping company can receive maximum incentive per 1TEU by controling AMC as like “Total amount * Moving cargo Amount of each shipping company / Moving cargo Amount of Whole Shipping company” And in the incentive Payment for increment of moving cargo amounts calculated by the equation (Target moving cargo amount = An annual Moving cargo amount per this year - Moving cargo amount of last year : Satisfied of condition, Limited Amount of each shipping company or Limited amount of Budget), a ship company can also receive maximum incremental incentive by suppling minimum amounts just before year, and this year by suppling maximum amounts in allowed range. It means that present incentive method has no effects on increasing the cargo amounts, this problem is caused companies can control the cargo amounts. Therefore for increasing the cargo amounts of Busan Port by incentive system, the method to pay incentive must be improved so as companies not to control amounts. If national major ports in competition each other only participate in competition by incentive for increasing AMC. It brings chicken game between ports without increasing of AMC. If the increment of AMC by the incentive competitions between national ports is reconsidered in a view of total amounts of our country, it brings balloon effect on total freights of national port even though the total payments for incentive is increased. For preventing above-mentioned problem, it is necessarily the incentive system must be improved to be easy to setup targets and analyse of effects on incentive by fundamentally blocking the AMC control of companies. The alternative method is ‘to pay incentive by fixed unit price(discount rate) for 1 TEU’ which is proportional to amount of this year. Incentive is increased by increasing AMC, vice versa decrease of AMC will be decreased incentive as this method is linked the incentive to AMC. And the incentive system must be run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general dept of port) which control the total Port Authority, not by each Port Authority. And then for preventing excessive competition among national ports relationships of incentive to AMC in national ports must is analysed, strategies be planned and it practiced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t can promote the potential of ports by rising up hope for incentive. Budget compilation problems can be solved by making budget additionally every years which multiplied the prospected incremental amounts by 1 TEU unit price. Then it can reduce expenses and prevent the chicken game, because the increment or decrement of AMC brings budget increment or decrement by AMC and incentive linked. Now the economics of korea goes to low development in long-term, it makes difficulties to increase Port AMC as the company intended to move the factory to overseas for reducing the product cost. Therefore it is necessarily to concentrate our potentials on leading investment to manufacturing company in our country, and on strategies to rise up capabilities to competition of major parts.

      • 링거裝置의 改善에 의한 通話時間 短縮에 관한 硏究

        원양 建國大學校 産業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15

        Bell sound of phone ringer makes one be nerveous when many phone in the office are ringing simultaneously. Bacause one has to waste much time to recognize or choose which phone is ringing. In the paper, a newly improved ringer system of the phone, which is a voice-ringer system converted by using memory device, is suggested to lesson time to get the phone, and dissolve the noise pollution by phone's ringing

      • 釜山淃의 東北亞 物流中心化 戰略에 관한 硏究

        元瀁淵 동명정보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15

        동북아 특히 중국경제의 성장으로 컨테이너물동량이 늘면서 동아시아 각국은 물류중심기지항의 선점을 위하여 경쟁이 치열하다. 최근의 해운동향은 선사들간의 전략적 제휴와 선박을 대형화하여 기간항로상의 기항지를 줄여 수익성 위주로 고객·물류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있다. 각 국은 선박의 대형화에 맞는 항문구축을 위해 대규모투자 계획을 세우고 있다. 우리나라도 동북아 물류중심기지구축을 위하여 부산항 가덕도에 30선석, 광양항에 33선석, 기타지역에 35선석으로 전체 98개선석의 항만을 개발계획 및 진행중에 있다. 이 논문은 대규모 항만시설투자의 계획과 진행에 대한 항만의 수익성, 항만과 주변여건 등을 점검하여 부산항을 동북아 물류중심지역의 항만과잉공급 현상에 대비하여 지속적으로 동북아 물류중심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략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내용으로 2011년 항만개발의 타당성분석과 대책, 그리고 사업환경개선 등으로 글로벌기업, 해운선사와 부두운영사 등의 유치와 개발을 위한 마케팅, 결론으로 그 대책을 제시하였다. 특히 물류중심기지가 되기 위하여는 항만이 단순하역의 장이 아니라 이와 관련된 인프라 구축과 글로벌기업의 유치, 세계적인 연구소 유치, 고객서비스 및 물류서비스 등 제반 여건이 동시에 충족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항만과 물류관련 논문, 해운항만 전문기관의 연구보고서, 신문, 잡지, 정기간행물, 인터넷 등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통계자료를 적용함에 있어서 발표되는 기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신빙성 있는 정부기관자료를 우선하였다. Countries in the northeast Asia are competing fiercely with each other to preoccupy distributing central base port as the volume of container movement increase owing to the northeast Asian, especially Chinese economic growth. The latest shippers tend to improve their service for customers and distribution, giving the first consideration to profit by minimizing call ports on the key route, through strategic affiliation and large vessels. Each nation is making plan of large scale investment to construct sea ports for large vessels. Korea also has plan or its construction of 98 berths seats is under way in order to build central distribution base, including 30 ones in Gadukdo, Busan port, 33 in Kwang-yang, port, 35 elsewhere. This paper is for working out strategy to make Busan port distribution center in the northeast Asia by checking out profitableness, conditions in and around the ports for the plan and progress of investment for large scale port facilities. And furthermore it i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strategy playing continuous role in distribution center of northeast Asia to meet excessive supply of ports in northeast Asian region in the coming year of 2011. Research contents for it; marketing for inducing global enterprises, shipping companies and pier-operation companies through validity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f port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business conditions, conclusion being overall countermeasure for the matter. It puts emphasis on the general conditions of concerning infrastructure, inducement of global enterprises, research institutions, customer service and distribution service as well as cargo handling place to be especially the center distribution base. In doing this I referred to bibliographies. Materials are collected including papers on ports and distribution, research reports from seaport institutions, newspapers, magazines, periodicals and internet and then in applying statistical data, reliable one of government has priority over others there being a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issuing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