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기삼투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에 관한 연구

        원세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동전기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탈수 실험을 실시하였다. 소화 과정을 거치고 탈수과정에 투입되기 전 응집제가 첨가되지 않은 슬러지에 중력 및 가압, 전기삼투 및 전기삼투펄스 기법을 적용하여 탈수 효율을 분석하였으며, 소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농축조에서 배출된 슬러지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법으로 탈수 실험을 실시하여 농축 슬러지의 탈수율을 평가하였다. 압력을 가하지 않은 중력 탈수 방식에 직류전기장을 적용한 경우 적용 전압에 비례하여 탈수율이 증가하여 전기삼투에 의한 슬러지 탈수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짧은 시간에 높은 탈수율을 얻기 위해서는 고전압이 필요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압력을 가하면서 전기장을 적용하는 가압식 전기삼투기법을 적용한 결과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중력식 전기삼투기법 보다 탈수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압력과 전기장을 동시에 적용하게 되면 시간에 따른 탈수 효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슬러지 내에서 높이에 따른 함수비 변화폭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펄스 기법을 도입한 결과 실험 중반부터 배출량 및 부피감소량이 정전압에 비해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슬러지 내 함수비가 감소하면서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농축 슬러지에 대한 중력식 및 가압식 전기삼투 탈수 기법도 소화 슬러지와 마찬가지로 높은 탈수율을 나타내어 동전기에 의한 탈수 가능성이 입증되었으며, 소화조 운영 목적 중 화학적인 부분들이 전기삼투에 의한 탈수에 의해 어느 정도 보완될 수 있는지가 평가된다면 슬러지 처리 공정 및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research, the experiment of sewage sludge dewatering is performed by using electrokinetic method, and electrokinetic dewatering efficiency is analyzed. Two materials a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s. One is digested sludge and another is thickend sludge. The dewatering tests of electroosmotic and electroosmotic pulse methods with gravitation and expression are applied to both tested materials. When constant voltage is applied to gravitational dewatering system, dewatering efficiency is improved with proportional to applied voltage. However, higher voltage is needed for the high efficiency. It leads to higher power consumption. Expression dewatering method is applied to overcome such a this problem. Dewatering rate with expression has been shown good results than dewatering rate with gravitation. As a result, combined expression with electric field makes higher dewatering efficiency than any other methods. Under the condition of constant applied voltage, electrical resistance is increased with decreasing of water content. Also, we can know that dewatering efficiency is decreased with respect to time. In particular, when discharge flows downward, electrical resistance is increased with decreasing of water content in the upper part of the cell. The method of electro-osmotic pulse, which can reduce the difference of water content with the height of the cell, is applied to reduce such a hinderance effect. The case of electro-osmotic pulse is better than the case of constant applied voltage for increasing the dewatering flow rate and the dewatered volume. Applying electro-osmosis to sludge dewatring practically, methods for improvement of the eletro-osmotic dewatering efficency might be improved by investigating the chemical reaction property in the sludge dewatering process.

      •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다단식토양여과시스템의 운전인자와 유기물 분해특성에 관한 연구

        원세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하여 다단식토양여과시스템을 적용할 때 주요 운전인자인 여재 충전깊이, 선속도 와 연속?간헐운전방식이 오염물질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여재의 충전깊이의 증가는 오염물질과 여재와의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모든 항목의 제거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물리화학적 제거에 기인하는 TP(Total Phosphorus)와 NH4-N 항목의 제거효율이 상부의 생물학적 활성층에서의 제거에만 주로 기인하는 COD(Chemical Oxygen Demand)에 비하여 더 큰 증가를 보였다. 한편 선속도의 증가는 여재 내에서의 체류시간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함에 따라 전반적인 제거효율의 저하를 가져왔으며, 특히 전체 여재층에 걸친 접촉시간에 영향을 받는 TP와 NH4-N 항목에 비하여 표층부의 생물학적 제거에만 기인하는 COD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오염물질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해서는 체류시간이 주요 운전인자임을 의미한다. 연속식과 간헐식으로 운전방법을 비교한 결과 모든 측정된 수질항목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또한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이용하여 유기물의 분해특성을 규명한 결과 실제하수처리장 방류수 내 대부분의 유기물은 분자량 1 KDa 이하이었으며, 다단식토양여과시스템을 통해 72 % 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FEEM(Fluorescence Excitation Emission Matrix) 분석결과 protein-like, fulvic acid-like, humic-like 의 유기물이 제거 또는 변환되었고, PRAM(Polarity Rapid Assessment Method) 분석을 통하여 유기물의 대부분은 음이온성의 물질임을 확인 하였다. LC-OCD(Liquid Chromatograph Organic Carbon Detector) 분석을 통하여 중성물질이 70 % 정도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기물질 분석결과, 하수처리장 방류수내 유기물 분해에 있어서 주요한 제거기작은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분해 작용임을 확인하였다.

      •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 축제운영조직의 업그레이드 전략 방안에 관한 연구

        원세연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방자치제 출범 이후 지역의 문화관광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축제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규모가 커져감에 따라 이를 실행하는 축제 조직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국가의 재정 한계로 축제 보조금이 줄어들고, 중앙정부로부터 축제의 자생력을 요구받는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들은 축제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조직으로의 전환을 과제로 안게 되었다. 축제의 성장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및 행정적인 여건 등을 고려한 다양한 조직형태의 모델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운영 방안들이 연구되고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축제운영조직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중요도를 순위별로 분석하였는데 기술 분석 결과, 축제운영조직 구성원들은 1년 내내 축제를 준비하는 축제전문 상설조직을 원하며, 축제인력은 학위나 자격증 등을 갖춘 전문 인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만 축제경영 마인드는 아직까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축제운영조직이 나아갈 방향을 항목별로 파악한 뒤 운영안정성, 조직독립성, 직무전문성, 잠재적 역량 요인 등 4개 요인을 도출하여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축제운영조직의 업그레이드 전략 방안을 모색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축제운영조직 구성원들은 조직에서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지나친 행정, 인사 개입으로부터 벗어나 독립성을 보장받고 싶어하는 욕구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축제운영조직 구성원들의 축제홍보 마인드는 크지 않으며, 축제담당 공무원들은 수익구조 다각화를 위한 축제경영 보다 조직안정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축제운영조직에 관한 만족도와 축제전문조직 설립 의사, 도입 가능한 축제조직 유형 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축제운영조직 구성원들은 현 조직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수준으로, 대안으로 자생력을 갖춘 상설형 축제전문재단 설립을 원하고 있으며, 도입 가능한 국내 축제조직 유형으로는 축제·관광·문화사업을 아우르는 종합문화관광형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무적인 측면에서 관 주도형 축제의 추진위원회, 제전위원회의 인적 구성에 변화를 줄 필요가 있으며, 축제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과 중앙정부 차원의 축제조직 자격증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축제운영조직 구성원들의 경영 마인드 전환과 차별화 된 홍보방식 모색의 중요성, 축제 임의단체(추진위원회, 제전위원회 등)의 축제재단 설립 시 활용할 수 있는 4가지 조직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축제의 주최, 주관 주체인 지방자치단체와 축제를 기획, 운영하는 축제전문가 그룹을 중심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국내 축제운영조직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인 접근을 시도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최근 중앙정부가 문화관광축제의 평가시스템 개선을 예고하여 국내 축제운영조직에도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축제운영조직을 진단하고, 그 대안으로 축제재단 설립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축제운영 조직이 관으로부터 보조금을 받고 있는 시스템적 한계로, 조직의 형태를 명확하게 구분 지은 문헌연구나 현황자료가 부족하여 연구방법이나 흐름 전개에 있어 상이한 의견이 제기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대안으로 제시한 축제재단이 완성형 이라기보다는 여물어 가는 단계라고 볼 때 4가지 조직 유형에 국한하여 적용시키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를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자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형태의 축제재단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고, 축제재단에서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되면 관주도형 축제와 축제재단간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형에 걸맞은 축제운영조직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Since the launch of the autonomous local government system in Korea, interests and needs of research about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have been getting bigger as festivals based on cultural contents have also been more various and greater in the scale. Especially, due to the present situation where the local government subsidies for festivals has been reduced for the limited budget of the state and the demand for greater autonomy to operate local festival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inevitably need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the organizations nurturing the ability to organize competitive festivals. For successful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festivals, various types of organizational models based on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conditions are required, and in addition to this, efficient management plans for them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This study shows an analysis about ranking of desirable directions of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From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members of festival organizations expect to have a specialized group dedicated to prepare festivals all- year-around, and they prefer to have festival experts in the group whose degrees or certificates are related. However, they do not have reasonable levels of philosophy for festival management. In addition, this study has examined four factors: management stability, independence of organizations, work profession, potential factors of competence after figuring out desirable directions of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by categories, in order to find upgrade strategies of national festival organizations for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From the results, it presents that members from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tend to give priority to professionalism for the organization, and they require independence from local governments in aspects of administration,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s. Furthermore, this analysis has discovered that local festival organizers do not show much public relation skills and local festival officers are in favor of organizational stability to festival management for diverse profitable ways. This study illustrates an analysis about satisfaction levels of local festival organization, views about establishing professional festival organizations and adoptable types of festival organization. The results has found that members' level of satisfaction of festival organizations was average and alternatively, they hope to establish autonomous and ongoing professional festival organizations, and they prefer comprehensive culture and tourism types as adoptable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From tho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ways of forming members of local government-initiated festival promotion committees need to be changed, and also operating of special festival educational programs for cultivating festival experts and adopting certificate system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re required. In addition, this research presents the importance of boosting business mindset of local festival organizers, values of seeking differentiated public relations methods and four adoptable types for establishing a new local festival organization. This study has some scholarly significance as it deduces implications from both literature reviews and empirical approach to solutions for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which have been raised between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who are the festival hosts and festival experts who plan and operate them.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meaningful approach in terms of that it examines the aspects of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when the local festival organization system need to be changed, recently given the notice of improvement of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s' evaluation system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as an alternativ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some professional festival organization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At the moment,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need to have subsidies from local governments, which leads to insufficient literature and research data to define types of festival organizations, and as a result, a series of controversies might be raised to the result from this study. Especially, it would be difficult to adopt four different types of festival organizations being suggested from this study considering that setting up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is still on progress. In further studies, the approaches about new types of festival organizations which are not presented in this study should be followed, and the suggestions of new models are expected when the organizations present desirable types of festival organizations suitable for Korean circumstance with comparison between local government-initiated festival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 festival organizations.

      • 지역아동센터 평가 결과를 통한 발전방안 연구

        원세연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mmunity child center is the grass-roots child welfare practice program that has grown up spontaneously sharing all the suffering with the urban poor and their children formed from the contradiction of a capitalistic society since 1960s we could name it the meaningful child welfare program because it stemmed from the poor and their children' needs over the last 30 years when there has been no legal social safety net for the children neglected and abused in their commun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munity child center evaluation of government and through th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better program of a community child center. This study tried to check and analyze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which had been undervalued in comparison with other social welfare facilities, with focusing on the Community Child Center Evaluation. This study also tried to figure out what the meaning of the evaluation was, what kinds of efforts the community child center did for it and what problems the evaluation itself had in the procedure of executing the evaluation.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to improve community children center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urvey of dement for installation of community children centers as facilities to provide universal service, not selective service limited to specific clas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installation standard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s and to regulate installation standard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s in detail Third, it is necessary to install Youth-only facility for youth to be protected. and to develope and spread appropriate operating standards and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project performance and support systems.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 food service for child poverty. and The government should create guideline for meals. The community child center had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public spirit and transparency of accounts. The government also came to know the potential utilization value and resources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It is necessary that the government should show efforts to make policies to utilize the community child center.

      • Suppressive effect of Morin on human bladder cancer EJ cells

        원세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Morin은 항균성, 항진균성, 항염증 효과를 포함한 다양한 약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방광암 세포에 대한 Morin의 증식, 침윤, 전이에 대한 억제효과와 작용기전에 대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인체 방광암세포 (EJ 세포)에 대한 Morin의 증식, 침윤, 전이에 대한 억제효과와 작용기전을 확인하고, 나아가 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소재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방광암 EJ 세포에 대한 Morin의 증식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Morin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EJ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성장 억제 효과에 대한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FACS를 수행한 결과 세포주기의 G0/G1 cell cycle arrest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결과는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인 cyclinD1, cyclinE, CDK2, CDK4의 발현감소와 p21WAF1의 발현 증가에 기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orin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증식과 전이에 관여한다고 알려진ERK1/2의 인산화 증가, AKT의 인산화 감소가 확인되었고, JNK와 p38MAPK의 변화는 없었다. 또한 EJ 세포에 대한 Morin의 전이와 침윤의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해 wound healing assay와 invasion assay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시간-농도 의존적으로 방광암세포의 전이와 침윤 능력이 억제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방광암세포의 전이와 침윤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zymography를 수행한 결과 Morin을 처리하였을 때,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인 MMP-9과 MMP-2의 활성이 억제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전사인자인 AP-1, Sp-1and NF-κB의 활성감소로 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Morin의 방광암세포에 대한 증식, 침윤, 전이 억제 작용능력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인 cyclinD1, cyclinE, CDK2, CDK4의 발현 감소, p21WAF1의 발현 증가와 ERK1/2, AKT signaling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사인자 AP-1, Sp-1과 NF-κB의 활성억제로 인한 MMP-9의 발현감소로 인해 세포의 전이가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방광암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Morin의 사용 가능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초자료로써 제공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morin has showed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including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rin on bladder cancer EJ cells. Morin treatment inhibited cell growth in EJ cells using a MTT assay. These inhibitory effects were associated with reduced expression of cyclin D1, cyclin E, CDK2 and CDK4 via increased expression of p21WAF1 in EJ cells. In addition, treatment with morin increased ERK1/2 phosphorylation and decreased JNK and AKT phosphorylation without altering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p38MAPK. Moreover, morin treatment suppressed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EJ cells as demonstrated by wound-healing assay and transwell plate invasion assay. Furthermore, zymography analyses demonstrated that treatment of morin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Coll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morin reduced cyclin D1, cyclin E, CDK2 and CDK4 expression through the induction of p21WAF1 expression, increased ERK1/2 phosphorylation and decreased JNK, and AKT phosphorylation, and prevented MMP-9 expression by the inhibition of transcription factors AP-1, Sp-1, and NF-κB in EJ cells, which led to the inhibition of growth and migration in bladder cancer EJ cells. These results might provide a novel insight in the use of morin for the prevention of bladder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